KR20200022862A -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862A
KR20200022862A KR1020180099013A KR20180099013A KR20200022862A KR 20200022862 A KR20200022862 A KR 20200022862A KR 1020180099013 A KR1020180099013 A KR 1020180099013A KR 20180099013 A KR20180099013 A KR 20180099013A KR 20200022862 A KR20200022862 A KR 20200022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outlet
flow path
air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039B1 (ko
Inventor
윤성현
김진백
김연제
서응렬
정창우
한동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039B1/ko
Priority to US17/271,171 priority patent/US20210396398A1/en
Priority to EP19852867.1A priority patent/EP3828476B1/en
Priority to PCT/KR2019/002999 priority patent/WO2020040392A1/ko
Priority to CN201980069931.8A priority patent/CN112955698B/zh
Publication of KR2020002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가전제품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전제품은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배출구, 상기 제1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배출구, 상기 제1 배출구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제1 팬 및 상기 제2 배출구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팬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 배출구로 안내하는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AIR CONDITIONER AND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배출구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도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 송풍 유닛 등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 교환시키는 열 교환기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배출시키는 팬을 구비한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배출공기에 직접 닿는 경우 추위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반면에 배출공기에 접하지 않는 경우 더위 및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이다. 공기청정기는 유입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미세먼지 및 악취의 원인이 되는 화학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배출시키는 팬을 구비한다. 공기청정기는 사용자가 배출공기에 직접 닿는 경우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나의 팬을 통해 열 교환된 공기 및 실내 공기가 혼합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배출유로 구조가 개선된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다양한 공기 배출 방법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배출구; 상기 제1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배출구; 상기 제1 배출구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제1 팬 및 상기 제2 배출구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팬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상기 제1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 배출구로 안내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열 교환하도록 배치되는 열 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팬과 상기 제1 배출구 사이에는 제1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팬과 상기 제2 배출구 사이에는 상기 제1 유로와 구획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제2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2 배출구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2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유로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구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로 제어 유닛은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는 제2 개구를 갖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2 유로를 차단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유로 제어 유닛; 상기 유로 제어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유로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팬 및 상기 제2 팬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2 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간섭하도록 구성되는 팬 제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팬과 상기 제2 팬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팬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팬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팬 구동부; 및 상기 제2 팬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2 팬과 동일한 회전 축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팬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팬과 상기 제2 팬 사이에 배치되는 경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경계부는 상기 스테이터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경계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스테이터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이터 개구의 직경은 상기 경계부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전제품은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배출구; 상기 제1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배출구; 상기 제1 배출구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제1 팬 및 상기 제2 배출구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팬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 배출구로 안내하는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팬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제1 팬과 상기 제1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팬과 상기 제1 배출구 사이에는 제1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팬과 상기 제2 배출구 사이에는 상기 제1 유로와 구획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제2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2 배출구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경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팬은 상기 경계부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팬은 상기 경계부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경계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스테이터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이터 개구의 직경은 상기 경계부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팬 및 상기 제2 팬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제2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유로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배출 홀을 갖는 배출패널이 배치된 제1 배출구와,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를 제1 배출구보다 고속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제2 배출구를 포함하므로, 다양한 공기 배출 방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은 하나의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분배하는 스테이터(stator)를 가지므로, 하나의 팬으로 다양한 공기 배출 방법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공기조화기가 제1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2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로 제어 유닛이 제1 배출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유로 제어 유닛이 제2 배출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팬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제1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2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제1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2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제1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2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공기조화기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배출유로가 적용될 수 있는 구성은 공기조화기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배출유로를 가질 수 있는 가전제품,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 가습기, 또는 제습기와 같은 가전제품이라면 어떠한 가전제품에라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공기조화기가 제1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2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 어셈블리(100)와,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 교환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팬 어셈블리(100) 및 열 교환기(30)가 장착되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16)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유입구(12)와, 제1 배출구(17)와 제2 배출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는 공기조화기(1)의 후면, 양 측면, 상면 및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는 전면이 개방되어 케이스 개구(11a)를 형성할 수 있으며, 케이스 개구(11a)는 전면 패널(16)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전면 패널(16)은 케이스 개구(11a)를 커버하도록 케이스(11)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 패널(16)은 케이스 개구(11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전면 패널(16)이 케이스(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전면 패널(16)과 케이스(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면 패널(16)에는 제1 배출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7)는 하우징(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7)는 전면 패널(16)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배출구(17)는 전면 패널(16)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7)는 유입구(12)와 대략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열 교환된 공기는 제1 배출구(17)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7)는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케이스(11)에는 유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2)는 케이스(11)의 배면을 관통할 수 있다. 유입구(12)는 케이스(11)의 배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2)를 통해 공기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에는 유입구(12)가 2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유입구(1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유입구(12)가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유입구(12)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전면 패널(16)에는 제2 배출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출구(13)는 제1 배출구(17)의 좌측 및/또는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출구(13)는 제1 배출구(17)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출구(13)는 제1 배출구(17)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출구(13)는 케이스(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배출구(13)는 제1 배출구(17)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는 제2 배출구(13)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배출구(13)는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배출구(13)는 제2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제1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배출구(13)가 형성된 전면 패널(16)의 일 부분에는 제2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제1 배출구(17)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제2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곡면부(13a,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가이드 곡면부(13a)를 따라 제1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될 수 있는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가이드 곡면부(13a)는 제2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제1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배출구(13) 상에는 제2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블레이드(61)가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61)는 제2 배출구(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배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00)와 제1 배출구(17)를 연결하는 공기의 유로를 제1 유로(S1)라고 하고, 팬 어셈블리(100)와 제2 배출구(13)를 연결하는 공기의 유로를 제2 유로(S2)라고 한다. 여기서, 제1 유로(S1)와 제2 유로(S2)는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S1)를 흐르는 공기와 제2 유로(S2)를 흐르는 공기는 섞이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로(S1)와 제2 유로(S2)는 구획 부재(11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구획 부재(110)는 팬 어셈블리(20)가 배치되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획 부재(110)는 케이스(11)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00)는 구획 부재(110)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획 부재(110)는 구획 플레이트(111)와, 스테이터(112)와, 힌지(113)와, 유로 제어 유닛(114)을 포함할 수 있다.
구획 플레이트(1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획 플레이트(111)는 제2 배출구(13)가 형성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유로(S2)는 구획 플레이트(111)와 케이스(11)의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112)는 구획 플레이트(111)의 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112)는 팬 어셈블리(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112)는 팬 어셈블리(1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제1 유로(S1) 및 제2 유로(S2)로 분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터(112)는 제1 팬(101)의 크기 및/또는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터(112)는 팬 어셈블리(100)를 향하는 스테이터 개구(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개구(112a)는 팬 어셈블리(100)의 제1 팬(101)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 개구(112a)는 경계부(103)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터 개구(112a)는 제1 팬(101)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 개구(112a)의 직경은 제1 팬(101)의 직경보다 0.8배에서 1.2배의 크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터 개구(112a)는 경계부(103)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 개구(112a)의 직경은 경계부(103)의 직경보다 0.8배에서 1.2배의 크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터 개구(112a)를 통해 팬 어셈블리(100)의 제1 팬(101)이 배출하는 공기가 제1 유로(S1)로 안내될 수 있다. 제1 팬(101)이 배출한 공기는 스테이터(112)의 내부를 통과하며 제1 유로(S1)로 안내될 수 있다. 경계부(103)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제2 팬(102)이 배출하는 공기는 스테이터(112)의 외측면을 따라 제2 유로(S2)로 안내될 수 있다. 스테이터(112)는 제1 팬(101)이 배출하는 공기를 제1 유로(S1)로 안내할 수 있고, 제2 팬(102)이 배출하는 공기를 제2 유로(S2)로 안내할 수 있다. 스테이터(112)는 팬 어셈블리(100)가 배출하는 공기를 제1 유로(S1) 및 제2 유로(S2)로 분배할 수 있다.
스테이터(112)는 스테이터 가이드(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가이드(112b)는 대략 스테이터(112)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스테이터 가이드(112b)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터 가이드(112b)는 스테이터 개구(112a)를 통과하는 공기를 제1 배출구(17)로 안내할 수 있다.
힌지(113)는 유로 제어 유닛(11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힌지(113)는 유로 제어 유닛(114)의 일 단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113)는 구획 플레이트(111)의 일 단에 설치될 수 있다.
유로 제어 유닛(114)은 힌지(113)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2 유로(S2)를 개폐할 수 있다. 유로 제어 유닛(114)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유로 제어 유닛(114)은 힌지(113)가 배치된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이 스테이터(112)와 접촉하도록 위치함에 따라, 제2 유로(S2)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1)는 제1 배출구(17)를 통해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며, 제2 배출구(13)를 통해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제1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된 공기와 제2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믹싱되어 제1 배출구(17)만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비해 멀리까지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을 공기조화기(1)가 제1 모드로 구동된다고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유로 제어 유닛(114)은 힌지(113)가 배치된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이 케이스(11)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위치함에 따라, 제2 유로(S2)를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1)는 제1 배출구(17)를 통해 열 교환된 공기만 배출할 수 있다. 열 교환된 공기는 제1 배출구(17)를 통해 저속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을 공기조화기(1)가 제2 모드로 구동된다고 할 수 있다.
힌지(113) 및 유로 제어 유닛(114)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제2 유로(S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2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배출구(17)를 통해 열 교환기(30)와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고, 제2 배출구(13)를 통해 열 교환기(30)를 거치지 않은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배출구(13)는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로(S1) 상에는 열 교환기(30)가 배치되므로, 제1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열 교환된 공기일 수 있다. 제2 유로(S2) 상에는 열 교환기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제2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일 수 있다.
케이스(11)는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 방향에 따른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따라 하우징(10)은 바닥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전장품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는 수용공간(19)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9)에는 공기조화기(1)의 구동에 필요한 전장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00)는 유입구(12)와 제1 배출구(1017) 사이의 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00)는 제1 유로(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00)에 의해 공기는 유입구(12)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유로(S1)를 따라 이동하여 제1 배출구(17)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에서 팬 어셈블리(100)는 3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팬 어셈블리(100)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00)는 제1 팬(101)과, 제2 팬(102)과, 경계부(103)와, 팬 구동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101)은 경계부(103)를 중심으로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팬(101)은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1 유로(S1)로 배출할 수 있다. 제1 팬(101)은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스테이터(112)의 내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제1 팬(101)은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스테이터 개구(112a)를 통해 제1 배출구(17)로 배출할 수 있다. 제1 팬(101)은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스테이터 개구(112a)를 통해 열 교환기(30)로 배출할 수 있다.
제2 팬(102)은 경계부(103)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팬(102)은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2 유로(S2)로 배출할 수 있다. 제2 팬(102)은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스테이터(112)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제2 팬(102)은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2 배출구(13)로 배출할 수 있다.
경계부(103)는 제1 팬(101)과 제2 팬(1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경계부(103)는 양 단이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팬(101)은 경계부(103)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팬(102)은 경계부(103)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경계부(103)는 제1 유로(S1)과 제2 유로(S2)를 구획할 수 있다.
경계부(103)는 그 직경이 스테이터(112)의 스테이터 개구(112a)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경계부(103)는 스테이터(112)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경계부(103)의 직경은 스테이터 개구(112a)의 직경의 대략 0.8배에서 1.2배 사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팬 구동부(104)는 제1 팬(101) 및 제2 팬(102)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1 팬(101) 및 제2 팬(102)은 하나의 팬 구동부(10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팬 구동부(104)는 제1 팬(101)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 구동부(104)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팬 구동부(104)는 제1 팬(101)과 연결될 수 있다. 팬 구동부(104)는 제1 팬(101)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1 팬(101)과 연결된 경계부(103)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경계부(103)가 회전함에 따라 제2 팬(102)을 회전시킬 수 있다.
팬 구동부(104)는 경계부(103)와 연결될 수 있다. 팬 구동부(104)는 경계부(103)를 회전시킴에 따라 경계부(103)와 연결된 제1 팬(101) 및 제2 팬(102)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어셈블리(100)는 하나의 팬 구동부(104)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팬(101) 및 제2 팬(102)을 포함하므로, 하나의 팬 어셈블리(100)만으로 제1 유로(S1) 및 제2 유로(S2)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열 교환기(30)는 팬 어셈블리(100)와 제1 배출구(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열 교환기(30)는 제1 유로(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열 교환기(30)는 유입구(12)와 팬 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열 교환기(30)는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열 교환기(30)는 튜브와, 튜브에 결합되는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열 교환기(3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조화기(1)는 제1 배출구(17)가 형성된 전면 패널(16)의 일 부분에 배치되는 배출 패널(4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패널(40)은 제1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제2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공기보다 느리게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출 홀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배출 홀은 배출 패널(40)을 관통할 수 있다. 복수의 배출 홀은 미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배출 홀은 배출 패널(40)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복수의 배출 홀에 의해 제1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는 열 교환된 공기는 균일하게 저속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1)의 유입구(12)가 형성된 일 부분에 결합되는 유입그릴(51)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그릴(51)은 유입구(12)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입그릴(51)은 복수의 슬릿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그릴(51)은 유입구(12)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전면 패널(16)의 제1 배출구(17)가 형성된 일 부분에 결합되는 배출그릴(53)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그릴(53)은 제1 배출구(17)를 통해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그릴(53)은 복수의 슬릿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그릴(53)은 제1 배출구(17)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로 제어 유닛이 제1 배출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유로 제어 유닛이 제2 배출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2)의 유로 제어 유닛(213)은 슬라이딩 부재(214)와 고정 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215)는 구획 부재(110)의 구획 플레이트(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215a)와, 제2 유로(S2) 상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2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215b)는 제1 고정부(215a)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215)는 복수의 팬 어셈블리(100)가 연장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15a)에는 제1 고정부(215a)를 관통하는 제1 개구(2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217)는 제2 팬(102)이 배출하는 공기를 제1 유로(S1)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개구(217)는 제1 고정부(215a)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개구(217)는 제1 유로(S1)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15b)에는 제2 고정부(215b)를 관통하는 제2 개구(2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216)는 제2 팬(102)이 배출하는 공기를 제2 유로(S2)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개구(216)는 제2 고정부(215b)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개구(216)는 제2 유로(S2)와 연통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214)는 고정 부재(2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214)는 제1 고정부(215a)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슬라이딩부(214a)와 제2 고정부(215b)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슬라이딩부(214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2)는 제1 배출구(17) 및 제2 배출구(13) 모두에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슬라이딩 부재(214)를 제2 개구(216)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214)가 제2 개구(216)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딩 부재(214)의 제1 슬라이딩부(214a)는 제1 개구(217)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팬(102)이 배출하는 공기는 제1 유로(S1)로 이동하지 않고, 제2 유로(S2)를 통과하며 제2 배출구(13)로 배출될 수 있다. (P1 방향) 제2 배출구(13)로 배출된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는 제1 배출구(17)로 배출된 열 교환된 공기와 함께 상대적으로 먼 위치까지 배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2)는 제1 배출구(17)에서만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슬라이딩 부재(214)를 제1 개구(217)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214)가 제1 개구(217)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딩 부재(214)의 제2 슬라이딩부(214b)는 제2 개구(216)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팬(102)이 배출하는 공기는 제2 유로(S2)로 이동하지 않고, 제1 유로(S1)를 통과하며 열 교환된 후 제1 배출구(17)로 배출될 수 있다. (P2 방향) 즉, 제2 팬(102)이 배출하는 공기는 제1 팬(101)이 배출하는 공기와 함께 열 교환된 후 제1 배출구(17)로 배출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팬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3)의 팬 어셈블리(300)는 제1 팬(301)과, 제2 팬(302)과, 제1 팬 구동부(304)와, 제2 팬 구동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301)과 제2 팬(302)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1 팬(301)은 제1 팬 구동부(30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제1 팬(301)은 제2 팬(30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팬(301)은 유입구(12)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1 유로(S1)로 배출할 수 있다. 제1 팬(301)은 유입구(12)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스테이터(112)의 내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제2 팬(302)은 제2 팬 구동부(306)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제2 팬(302)은 제1 팬(30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팬(302)은 유입구(12)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2 유로(S2)로 배출할 수 있다. 제2 팬(302)은 유입구(12)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스테이터(112)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제2 팬(302)은 제1 팬(301)의 외측에 관 형상으로 마련되는 팬 몸체(305)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팬 몸체(305)는 동력 전달부(307)를 통해 제2 팬 구동부(306)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팬 구동부(306)에서 발생된 동력은 동력 전달부(307)를 통해 팬 몸체(305)로 전달되며, 팬 몸체(305)가 회전함에 따라 제2 팬(302)은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팬(301) 및 제2 팬(302)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3)는 제1 배출구(17) 및/또는 제2 배출구(13)를 통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제1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2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4)는 팬 어셈블리(400)와, 팬 제어부재(407)를 포함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400)는 제1 팬(401)과, 제2 팬(402)과, 제1 경계부(403a)과, 제2 경계부(403b)와, 팬 구동부(4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401)은 팬 구동부(40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제1 팬(401)은 제1 경계부(403a)와 연결되어 제1 경계부(403a)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경계부(403a)는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팬 구동부(404)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의해 제1 팬(401) 및 제1 경계부(403a)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팬(402)은 제1 팬(401)과 함께 회전하거나, 제1 팬(401)이 회전할 때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팬(402)은 제2 경계부(403b)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팬(402)은 제2 경계부(403b)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경계부(403b)는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경계부(403a)는 제2 경계부(403b)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경계부(403a)의 외주면과 제2 경계부(403b)의 내주면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경계부(403b)는 제1 경계부(403a)와 접촉될 수 있다. 제2 경계부(403b)는 제1 경계부(403a)와 함께 회전하거나, 제1 경계부(403a)에 대해 슬립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 제어부재(407)는 케이스(11)에 형성된 부재 삽입홈(408)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팬 제어부재(40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 삽입홈(408)에 삽입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 삽입홈(408)으로부터 인출되어 케이스(11)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4)는 팬 제어부재(407)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제1 모드로 구동되는 공기조화기(4)는 제2 팬(402)을 회전시켜 제2 유로(S2)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팬 제어부재(407)를 부재 삽입홈(408)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팬 구동부(404)가 제1 팬(401) 및 제1 경계부(403a)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 경계부(403a)와 접촉된 제2 경계부(403b)가 회전하게 된다. 제2 경계부(403b)가 회전함에 따라, 제2 팬(402)은 회전하게 된다. 제2 팬(402)의 회전에 의해 유입구(12)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제2 유로(S2)를 통해 제1 배출구(13)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모드로 구동되는 공기조화기(4)는 제2 팬(402)의 회전을 차단하여 제2 유로(S2)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팬 제어부재(407)를 부재 삽입홈(408)으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팬 제어부재(407)는 제2 팬(402)의 회전을 제한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팬 구동부(404)가 제1 팬(401) 및 제1 경계부(403a)를 회전시키더라도, 팬 제어부재(407)가 제2 팬(402)의 회전을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팬(402) 및 제2 경계부(403b)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유입구(12)로 유입된 공기는 제1 팬(401)의 회전을 통해 제1 유로(S1)를 통과하며 열 교환된 후 제1 배출구(17)를 통해서만 배출되게 된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제1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2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5)는 제2 유로(S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구동원(513)과, 동력 전달부재(513a)와, 유로 제어 유닛(514)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513)은 케이스(11)의 내부에 마련되며, 유로 제어 유닛(514)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동력 전달부재(513a)는 구동원(513)에서 발생된 동력을 유로 제어 유닛(514)으로 전달할 수 있다.
유로 제어 유닛(514)은 동력 전달부재(513a)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유로 제어 유닛(514)은 제1 부분(514a)과 제2 부분(514b)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 제어 유닛(514)은 제2 유로(S2)가 형성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부분(514a)은 제2 부분(514b)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514a)은 공기조화기(5)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유로(S1)와 제2 유로(S2)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부분(514b)은 공기조화기(5)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제2 유로(S2)를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모드로 구동되는 공기조화기(5)는 유로 제어 부재(514)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제1 부분(514a)이 제1 유로(S1)와 제2 유로(S2)를 구획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제1 부분(514a)은 구획 부재(110)에 형성된 구획 개구(116)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부분(514a)은 구획 플레이트(111)로부터 스테이터(11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팬(102)이 배출하는 공기는 제2 유로(S2)를 따라 흐르며 제2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모드로 구동되는 공기조화기(5)는 유로 제어 부재(514)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2 부분(514b)이 제2 유로(S2)를 차단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제2 부분(514b)은 구획 개구(116)의 일 단부로부터 케이스(11)의 내측벽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팬(102)이 배출하는 공기는 제2 유로(S2)로 흐르지 못하고, 제1 유로(S1)로 유입되어 열 교환된 후 제1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가전제품의 일 예인 공기청정기(6)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팬 어셈블리(100)가 적용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6)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60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01)의 전면에는 제1 배출구(607) 및 제2 배출구(60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출구(603)는 제1 배출구(607)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출구(607)에는 배출 패널(608)이 배치될 수 있다. 배출 패널(608)은 미세한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01)의 배면에는 유입구(602)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는 유입구(602)를 통해 하우징(601)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1 배출구(607) 및/또는 제2 배출구(603)를 통해 하우징(60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601)의 내부에는 필터(605)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605)는 유입구(602)와 팬 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605)는 유입구(602)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605)는 팬 어셈블리(100)와 제1 배출구(607)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필터(605)를 통과한 공기는 팬 어셈블리(100)에 의해 제1 배출구(607) 또는 제2 배출구(603)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팬(101)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는 스테이터(112)의 스테이터 개구(112a)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스테이터 개구(112a)의 내부로 배출된 공기는 제1 유로(S1)를 통과하여 제1 배출구(607)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배출구(607)로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 패널(608)에 형성된 미세한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에 의해 저속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6)는 공기가 배출됨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팬(102)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는 스테이터(112)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팬(102)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는 제2 유로(S2)를 통과하여 제2 배출구(603)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배출구(603)로 배출되는 공기는 제1 배출구(607)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전방으로 더 멀리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6)는 힌지(113) 및 유로 제어 유닛(114)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 제어 유닛(114)은 힌지(113)에 의해 회전하며 제2 유로(S2)를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6)는 제1 배출구(607)를 통해서만 공기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유로(S2)를 차단하는 위치로 유로 제어 유닛(114)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제1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2 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7)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70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701)의 전면에는 제1 배출구(707) 및 제2 배출구(70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출구(703)는 제1 배출구(707)의 외주를 따라 제1 배출구(707)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구(707)에는 배출 패널(708)이 배치될 수 있다. 배출 패널(708)은 미세한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출구(703)에는 제2 플레이트(713)와 제1 플레이트(71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714)는 하우징(70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713)는 제2 플레이트(7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모드로 구동되는 공기청정기(7)는 제1 배출구(707)를 통해서만 공기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제2 플레이트(713)가 제2 배출구(703)를 폐쇄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7)는 필터링된 공기를 저속으로 토출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 모드로 구동되는 공기청정기(7)는 제1 배출구(707)뿐만 아니라, 제2 배출구(703)를 통해서도 공기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제2 플레이트(713)를 제1 플레이트(714)에 대해 회전시켜 제2 배출구(703)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7)는 필터링된 공기를 제1 모드에 비해 멀리까지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2, 3, 4, 5, 6, 7; 공기조화기
13, 603, 703; 제2 배출구
17, 607, 707; 제1 배출구
30; 열 교환기
100, 300, 400; 팬 어셈블리
101, 301, 401; 제1 팬
102, 302, 402; 제2 팬
103; 경계부
104; 팬 구동부
112; 스테이터
114, 213, 514; 유로 제어 유닛
S1; 제1 유로
S2; 제2 유로
605; 필터

Claims (20)

  1.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배출구;
    상기 제1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배출구;
    상기 제1 배출구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제1 팬 및 상기 제2 배출구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팬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상기 제1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 배출구로 안내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열 교환하도록 배치되는 열 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과 상기 제1 배출구 사이에는 제1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팬과 상기 제2 배출구 사이에는 상기 제1 유로와 구획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제2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2 배출구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유로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구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 제어 유닛은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는 제2 개구를 갖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를 차단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유로 제어 유닛;
    상기 유로 제어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유로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팬 및 상기 제2 팬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팬 구동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간섭하도록 구성되는 팬 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팬과 상기 제2 팬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팬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팬 구동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팬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팬 구동부; 및
    상기 제2 팬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팬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2 팬과 동일한 회전 축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팬의 내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팬과 상기 제2 팬 사이에 배치되는 경계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계부는 상기 스테이터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경계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스테이터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 개구의 직경은 상기 경계부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2.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배출구;
    상기 제1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배출구;
    상기 제1 배출구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제1 팬 및 상기 제2 배출구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팬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 배출구로 안내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팬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가전제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과 상기 제1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가전제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과 상기 제1 배출구 사이에는 제1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팬과 상기 제2 배출구 사이에는 상기 제1 유로와 구획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제2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2 배출구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경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팬은 상기 경계부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팬은 상기 경계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가전제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경계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스테이터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 개구의 직경은 상기 경계부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팬 및 상기 제2 팬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팬 구동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유로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80099013A 2018-08-24 2018-08-24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 KR102615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013A KR102615039B1 (ko) 2018-08-24 2018-08-24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
US17/271,171 US20210396398A1 (en) 2018-08-24 2019-03-15 Air conditioner and home appliance
EP19852867.1A EP3828476B1 (en) 2018-08-24 2019-03-15 Air conditioner
PCT/KR2019/002999 WO2020040392A1 (ko) 2018-08-24 2019-03-15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
CN201980069931.8A CN112955698B (zh) 2018-08-24 2019-03-15 空气调节器和家用电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013A KR102615039B1 (ko) 2018-08-24 2018-08-24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862A true KR20200022862A (ko) 2020-03-04
KR102615039B1 KR102615039B1 (ko) 2023-12-19

Family

ID=6959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013A KR102615039B1 (ko) 2018-08-24 2018-08-24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96398A1 (ko)
EP (1) EP3828476B1 (ko)
KR (1) KR102615039B1 (ko)
CN (1) CN112955698B (ko)
WO (1) WO2020040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82114A (zh) * 2022-11-08 2023-02-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313A (ko) 1997-06-19 1999-01-15 유성용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KR100665999B1 (ko) 2006-03-20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1388483B1 (ko) 2013-01-29 2014-04-23 여신동 흡기 및 배기 일체형 환기팬
KR20160077359A (ko) 2014-12-22 2016-07-04 코웨이 주식회사 급속 순환 공기조화기
KR101720644B1 (ko) 2016-01-21 2017-03-28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윙렛 구조를 가지는 이중팬 및 이러한 이중팬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80032439A (ko) 2016-09-22 201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9265B2 (ja) * 1993-04-30 1995-10-25 利春 藤見 冷房装置
KR20050074140A (ko) * 2004-01-13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기능을 향상시킨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91414B1 (ko) * 2009-08-18 2012-10-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 혼합형 에어컨
TR201815067T4 (tr) * 2011-04-29 2018-11-21 Giordano Riello Int Group S P A Fanlı konvektör.
TWI476327B (zh) * 2012-09-12 2015-03-11 Wan Ju Chang 適用於風扇的雙層扇葉結構
KR101385293B1 (ko) * 2014-01-21 201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342119B1 (ko) * 2014-10-31 202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6099030A (ja) * 2014-11-19 2016-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暖房機、及び、空気調和機
KR101500501B1 (ko) * 2015-01-02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4555012U (zh) * 2015-02-02 2015-08-1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及空调器的出风控制方法
KR101698842B1 (ko) * 2015-07-17 2017-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14559A1 (en) * 2015-07-21 2017-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30178B1 (ko) * 2016-01-07 2023-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7869765B (zh) * 2016-09-23 2020-05-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6403033B (zh) * 2016-09-30 2019-04-30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空调器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8019825B (zh) * 2016-11-02 2021-07-2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
CN106762823A (zh) * 2016-12-28 2017-05-31 东莞市卓奇电子科技有限公司 多流道轴流风聚焦叶轮
CN206723128U (zh) * 2017-05-10 2017-12-08 宁波先锋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多级风叶的电风扇
CN109425024B (zh) * 2018-04-28 2023-06-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
CN209053810U (zh) * 2018-10-15 2019-07-02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风扇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313A (ko) 1997-06-19 1999-01-15 유성용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KR100665999B1 (ko) 2006-03-20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1388483B1 (ko) 2013-01-29 2014-04-23 여신동 흡기 및 배기 일체형 환기팬
KR20160077359A (ko) 2014-12-22 2016-07-04 코웨이 주식회사 급속 순환 공기조화기
KR101720644B1 (ko) 2016-01-21 2017-03-28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윙렛 구조를 가지는 이중팬 및 이러한 이중팬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80032439A (ko) 2016-09-22 201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8476A4 (en) 2021-08-25
KR102615039B1 (ko) 2023-12-19
EP3828476C0 (en) 2024-02-14
US20210396398A1 (en) 2021-12-23
CN112955698A (zh) 2021-06-11
CN112955698B (zh) 2023-10-13
EP3828476A1 (en) 2021-06-02
WO2020040392A1 (ko) 2020-02-27
EP3828476B1 (en)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3848B1 (ko) 공기조화기
JP2017171020A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EP3335918B1 (en) Air blowing device
US20090133422A1 (en) Air conditioner
CN108679705B (zh) 空气调节器
CN109974092B (zh) 空调
KR20200022862A (ko)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
KR102493913B1 (ko) 공기조화기
JP2004182224A (ja) 車両のための空調機器
KR2010000592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9979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76936A (ko) 공기조화기
CN110239306A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213338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80111363A (ko) 공기조화기
CN214406254U (zh) 一种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07007825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0026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47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492365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상시 토출장치
KR102362389B1 (ko) 공기조화기
KR20030035116A (ko) 공기 조화기의 토출유로 전환장치
KR2022013556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50049210A (ko) 공기조화기
KR100734363B1 (ko)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