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323B1 -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 - Google Patents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323B1
KR101720323B1 KR1020150089337A KR20150089337A KR101720323B1 KR 101720323 B1 KR101720323 B1 KR 101720323B1 KR 1020150089337 A KR1020150089337 A KR 1020150089337A KR 20150089337 A KR20150089337 A KR 20150089337A KR 101720323 B1 KR101720323 B1 KR 101720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afety
reflector
plat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291A (ko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김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철 filed Critical 김용철
Priority to KR102015008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3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2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F21S48/3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H05B37/0227
    • F21W210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등이 차량의 후미에 반사판과 함께 설치되어 차량의 안전을 우수하게 도모하도록 이루어지고, 반사판의 내구성을 향상시켜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우수하게 방지할 수 있는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조명을 받아서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102)과; 상기 반사판(102)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 안전등(104)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판(102)은,
후방 차량의 조명을 받아서 빛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 몸체부(108)와;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의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안전등(104)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안전등 결합부(114)가 형성되는 전면 보호판(110)과;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의 후면에 고정되는 후면 보호판(1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등 결합부(114)는, 유(U)자 형상의 결합 레일(16)로 이루어지고 전면이 개구되어 상기 안전등(104)이 돌출되도록 전면 개구부(18)가 형성되며, 상기 안전등(104)이 끼워지도록 상방향으로는 개구되는 레일홈(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REFLECTOR WITH SAFETY LAMP}
본 발명은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등이 차량의 후미에 반사판과 함께 설치되어 차량의 안전을 우수하게 도모하도록 이루어지고, 반사판의 내구성을 향상시켜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우수하게 방지할 수 있는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보통 전방 및 후방부에 신호용 등화장치가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상태를 전,후방 차량에 알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차량의 후방에는 조명용 등화장치가 설치되는 전방부와 달리 신호용 등화장치만이 설치되어 있어 이의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차량의 존재를 후방차량에 알릴 수 없기 때문에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조명빛을 반사시켜서 이에 의해 차량의 존재를 후방차량에 알릴 수 있도록 반사판을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반사판은 얇은 스티커 형태로 되어 있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각종 이물질이나 먼지, 매연, 햇빛 등에 의하여 쉽게 변색 및 탈색이 이루어지고, 긁히거나 파손이 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로 인하여 반사판을 자주 교체해야 하였고, 그로 인한 비용의 증가와 운전자들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용 안전등의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시 안전등의 불빛을 반사시켜서 주위에 위치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불어 넣어 안전운전을 하기 위한 것으로 눈에 띄기 쉬운 차량의 높은 곳에 설치하였으나 안전등에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조명을 반사하는 반사판에 조명을 반사하는 안전등을 구비시킴으로써 차량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8050호(1999.02.25.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후방에서 다가오는 차량의 조명빛을 반사판을 이용하여 반사시키고 안전등을 이용하여 엘이디를 점멸시킴으로서 차량간의 추돌 및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한 솔랄셀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 후, 변환시킨 전기 에너지를 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엘이디를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고, 야간 운행시 다가오는 차량의 조명등을 받아서 안전등이 감지하여 점멸 동작하여 추돌을 방지하고 경각심을 우수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반사판의 일면에 안전등을 설치하여 후방에서 다가오는 차량의 조명 빛을 감지하여 작동할 수 있고 운행이 멈추면 작등을 정지하도록 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빛이 없는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 일정거리 이내의 빛을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안전등을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등과 반사판의 이중 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초기에 설치한 상태의 반사판의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긁힘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세척 및 청소가 용이하며 교체없이 차량을 폐차할 때까지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반사판의 상하좌우를 유수가 스며들지 못하게 밀폐시켜서 수명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조명을 받아서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102)과;
상기 반사판(102)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 안전등(104)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판(102)은,
후방 차량의 조명을 받아서 빛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 몸체부(108)와;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의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안전등(104)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안전등 결합부(114)가 형성되는 전면 보호판(110)과;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의 후면에 고정되는 후면 보호판(1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등 결합부(114)는, 유(U)자 형상의 결합 레일(16)로 이루어지고 전면이 개구되어 상기 안전등(104)이 돌출되도록 전면 개구부(18)가 형성되며, 상기 안전등(104)이 끼워지도록 상방향으로는 개구되는 레일홈(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등(104)은, 판 형상의 중앙부에 배터리가 결합되는 배터리부(24)가 형성되고, 판 형상의 양측부에는 상기 레일홈(20)에 끼워지도록 결합날개(26)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날개(26)의 전방향으로 돌출되는 측부 결합판(28)이 형성된 몸체(32)와; 상기 몸체(32)의 전부에 결합되어 빛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신호동작수단(34)과; 상기 신호동작수단(34)을 덮어주도록 형성된 커버 몸체(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동작수단(34)은,
인쇄회로기판(35)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5)에 전기적으로 연결 동작하도록 설치되는 감지센서(44)를 포함하되,
상기 인쇄회로기판(35)은,
상기 감지센서(44)에 의해 빛을 감지하여 점멸동작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엘이디(36)와,
차량의 조명등에서 비쳐지는 빛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감지센서(42)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35)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몸체(46)는,
상기 감지센서(42)가 빛을 흡수할 수 있고, 상기 감지센서(44)가 차량의 조명등 빛을 감지할 있도록 다각형상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경사면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버튼 결합부(4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32)의 내측부에는 감지센서(44)가 경사면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도록 상기 측부 결합판(28)의 내측면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돌부(25)와,
상기 감지센서(44)의 우측변부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32)의 상측변부에 지지돌편(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보호판(110)의 전면부는 빛이 반사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한 사다리꼴, 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와 후면 보호판(112)의 사이에는 측단면이 물결 모양으로 이루어진 쿠션부재(10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긁힘을 방지하기 위한 후면 보호판(112)과; 상기 후면 보호판(112)의 상면에 접착된 접착부재(111)와, 상기 접착부재(111)가 접착된 일면에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부착된 반사판 몸체부(108)와,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의 전면 테두리 부분에 유수가 유입되지 않고 밀폐되도록 접착되는 사각 테두리 형태의 밀폐부재(109); 및 상기 밀폐부재(109)가 접착된 일면에 전면 보호판(110)이 부착되되, 상기 후면 보호판(112), 반사판 몸체부(108) 및 전면 보호판(110)이 부착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고정수단(106)과, 상기 밀폐부재(109)를 상기 고정수단(106)이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의 전면에 가압하여 유수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밀폐시켜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수의 솔라셀로 이루어지고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0)와; 상기 전원부(20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신호동작수단(34)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202)와; 상기 제어부(202)를 동작시키기 위한 입력부(204)와; 상기 제어부(202)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고 점멸신호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2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200)에 의해서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여 상기 전원부(200)의 미동작시 충전된 전원을 상기 제어부(202)에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충전부(20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은 차량의 운행시 후방에 설치하여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의 조명을 받아서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후방 차량의 조명을 받아서 엘이디가 점멸함으로써 반사판과 안전등의 동시 동작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반사판의 색이 바라지 않고 세척이 용이하며, 충격에 강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수명이 오래가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목적에 따른 효과가 발휘하며, 일부 효과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고 해도 목적과 구성으로서 충분히 유추할 수 있는 효과로서 발휘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적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등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안전등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신호동작수단의 동작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적층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등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안전등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안전등의 동작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100)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다가오는 차량의 조명을 받아서 반사시키는 반사판(102)과, 상기 반사판(102)의 상부 중앙에 결합 설치되어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원으로 이용하여 엘이디가 점멸하도록 이루어지고, 후방의 차량의 빛을 감지하여 점멸하며, 상기 반사판(102)의 중앙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결합 설치되며 야간 및 어두운 곳에서 동작이 이루어지는 안전등(104)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판(102)에는 리벳, 볼트, 피스 등의 고정수단(106)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엘이디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우선, 상기 반사판(102)은 반사판 몸체부(108)와, 전면 보호판(110)과 및 후면 보호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는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반사판 몸체(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좌우 양측부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고정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에는 적색 또는 황색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모양이 형성되어 후방의 차량에서 비쳐지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보호판(110) 및 후면 보호판(112)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면 보호판(110)의 전면 중앙 상부에는 안전등 결합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등 결합부(114)에는 전술된 안전등(104)이 볼트, 피스, 리벳 등의 고정수단(106)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전면 보호판(110)은 상기 반사판 몸체(10)와 대응하여 전면부에 부착되도록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보호판 몸체(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판 몸체(14)의 중앙 상부에는 안전등 결합부(114)가 결합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반사판 몸체(10)의 후부에는 상기 반사판 몸체(10)와 대응하여 후면부에 부착하도록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보호판 몸체(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반사판 몸체(10), 보호판 몸체(14) 및 보호판 몸체(22)는 고정수단(106)에 의해 고정되어 진다.
상기 반사판 몸체(10)와 보호판 몸체(22)의 사이에는 접착부재(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111)는 투명 테이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양면에 접착제가 형성되어 일면에는 보호판 몸체(22)가 부착되고, 타측면에는 반사판 몸체(10)가 부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 몸체(10)와 상기 보호판 몸체(14)의 사이에는 밀폐부재(10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109)는 투명 테이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양면에 접착제가 형성되어 일면에는 반사판 몸체(10)가 부착되고, 타측면에는 보호판 몸체(14)가 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109)와 접착부재(111)는 투명한 재질이므로 보호판 몸체(22)와 밀착 접착되어도 상기 반사판 몸체(10)의 앞뒤 모양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페부재(109)는 상기 반사판 몸체(10)의 테두리 부분을 접착하여 밀폐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유수의 차단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전면 보호판(110)의 전면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면으로 돌출된 사다리꼴, 육면체 등의 다각형 구조로서 형성되어 반사면적을 넓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먼저, 전면 보호판(110)의 상면에 밀폐부재(109)가 적층 부착되고, 상기 밀폐부재(109)의 상면에 반사판 몸체부(108)가 적층 부착되고,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의 상면에 접착부재(111)가 적층 접착되며, 상기 접착부재(111)의 상면에 후면 보호판(112)이 접착 적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반사판(102)에 상기 고정수단(106)으로 고정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수단(106)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상기 고정수단(106)이 조여지는 강도에 따라 밀착 강도가 더욱 견고하고 우수하게 되면서 유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우선, 상기 반사판(102)은 반사판 몸체부(108)와, 전면 보호판(110)과 및 후면 보호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는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반사판 몸체(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좌우 양측부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고정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에는 적색 또는 황색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모양이 형성되어 후방의 차량에서 비쳐지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보호판(110) 및 후면 보호판(112)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면 보호판(110)의 전면 중앙 상부에는 안전등 결합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등 결합부(114)에는 전술된 안전등(104)이 결합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전면 보호판(110)은 상기 반사판 몸체(10)와 대응하여 전면부에 부착되도록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보호판 몸체(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판 몸체(14)의 중앙 상부에는 안전등 결합부(114)가 결합 고정되는바, 상기 안전등 결합부(114)는 유(U)자 형상의 결합 레일(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전등 결합부(114)의 전방향으로는 전면부가 개구된 전면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레일(16)에는 레일홈(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홈(20)에는 안전등((104)이 끼워져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판 몸체(10)의 후부에는 상기 반사판 몸체(10)와 대응하여 후면부에 부착하도록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보호판 몸체(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반사판 몸체(10), 보호판 몸체(14) 및 보호판 몸체(22)는 고정수단(106)에 의해 고정되어 진다.
상기 반사판 몸체(10)와 보호판 몸체(22)의 사이에는 접착부재(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111)는 투명 테이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양면에 접착제가 형성되어 일면에는 보호판 몸체(22)가 부착되고, 타측면에는 반사판 몸체(10)가 부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 몸체(10)와 상기 보호판 몸체(14)의 사이에는 밀폐부재(10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109)는 투명 테이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양면에 접착제가 형성되어 일면에는 반사판 몸체(10)가 부착되고, 타측면에는 보호판 몸체(14)가 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109)와 접착부재(111)는 투명한 재질이므로 보호판 몸체(22)와 밀착 접착되어도 상기 반사판 몸체(10)의 앞뒤 모양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페부재(109)는 상기 반사판 몸체(10)의 테두리 부분을 접착하여 밀폐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유수의 차단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안전등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안전등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 상태도면으로서, 먼저, 상기 안전등(104)은 몸체(32), 신호동작수단(34) 및 커버 몸체(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32)는 전술된 안전등 결합부(114)의 결합 레일(16)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32)는 직사각형상의 판상 중앙부에 배터리가 결합되는 배터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부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날개(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날개(26)의 전면부에는 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측부 결합판(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부 결합판(28)의 내측 근접한 부분에는 다수 개의 고정대(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대(30)에는 고정공(3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32)의 내측부에는 신호동작수단(34)이 전기, 전자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 설치되는바, 상기 신호동작수단(34)은 전기, 전자적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회로가 구성된 인쇄회로기판 몸체(35)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몸체(35)에는 다수 개의 엘이디(36) 및 마이크로 스위치(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 몸체(35)에는 후방의 차량으로부터 비쳐지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엘이디(36)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면감지센서(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몸체(35)에는 전원라인(42)이 상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원라인(42)에는 감지센서(44)가 연결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감지센서(40)는 차량의 빛을 감지하여 상기 엘이디(36)를 점멸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이디(36)는 빨강 및 노랑 등을 같이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파랑, 노랑, 빨강 중 어는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44)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동작하는 감지센서로서, 태양광이 적게 흡수되는 경우, 상기 엘이디(36)가 점멸 동작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태양광이 많은 낮에는 엘이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 태양광이 적어지는 경우에 엘이디(36)의 점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이디의 동작회로는 통상의 회로구성이므로 상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신호동작수단(34)은 낮에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나 어두운 곳이나 후방 차량의 조명이 직접 비쳐지는 경우에는 그 빛을 감지하여 엘이디(36)가 점멸하여 안전등(104)이 점멸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몸체(32)에 신호동작수단(34)이 결합되어 설치되면, 상기 몸체(32)의 외측부에는 커버 몸체(46)가 덮여져서 씌워지는바, 상기 커버 몸체(46)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모양의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감지센서(44)를 덮는 경우, 태양광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몸체(46)의 중앙 하부에는 버튼 결합부(48)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튼 결합부(48)에는 버튼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부(50)는 전술된 마이크로 스위치(38)가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튼부(50)를 누름으로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8)가 눌러져서 인쇄회로기판(35)이 동작되도록 온/오프시킨다.
상기 배터리부(24)의 후면부에는 배터리가 수납된 후, 배터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배터리 커버(52)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몸체(32)와 상기 커버 몸체(46)의 사이에는 유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링(2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44)의 양변부는 몸체(32)의 내측 양측면부에 형성된 안착돌부(25)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센서(44)의 우측변부는 몸체(32)에 형성된 지지돌편(27)의 내측부에 끼워져서 경사시게 고정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동작수단(34)은 상기 배터리부(24)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고정대(30)의 상부에 안착 고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결합단면도로서, 반사판(102)의 전면부에 안전등(104)이 결합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반사판(102)은 후면 보호판(112)의 전면에 쿠션부재(109)가 결합되고, 상기 쿠션부재(109)의 전면에 반사판 몸체부(108)가 결합되며,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의 전면에 전면 보호판(11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면 보호판(110)의 전부에는 안전등(104)이 결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전등(104)은 레일홈(20)에 끼워져서 결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전면보호판(110)의 전면부에 다수 개의 안전등(104)이 결합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도면으로서, 전면 보호판(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전등 결합부(116)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상하부 레일몸체(54)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안전등(104)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에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결합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신호동작수단의 동작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로서, 다수 개의 솔라셀로 이루어지는 감지센서(44)가 구비된 전원부(2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원부(200)에 의해 동작되는 제어부(2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202)를 동작시키기 위한 입력부(20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200)에 의해 획득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20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202)에 의해 외부에 점멸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20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원부(200)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자동 충전하도록 다수 개의 솔라셀로 이루어진 감지센서(44)는 태양광 집전지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2)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204)는 마이크로 스위치, 버튼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길게 누르면 전원이 켜지고,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누르면 표시 기능이 선택되며, 다시 길게 누르면 전원이 꺼지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부(206)는 다수 개의 엘이디(36)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부(208)는 상기 전원부(2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받기 위해 충전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충전부(208)는 제어부(202)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어부(202)는 충전지의 과충전 및 방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절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신호동작수단의 동작을 설명하여 보면, 먼저, 상기 전원부(200)에 의해 태양광으로부터 입력된 광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솔라셀로 이루어진 상기 전원부(200)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이 이루어지고, 상기 솔라셀을 감지센서로 이용하여 주간 및 야간에 안전등을 점멸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솔라셀은 빛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차량 운행을 자동으로 인식하여서 차량이 주차중인지 또는 운행중인지 자동으로 인식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차량이 주차중인 경우에는 대기전원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절전모드로 전환되고, 운행중인 경우에는 절전모드를 해제하며, 야간에는 안전등을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충전 배터리의 전원 상태에 따라서 엘이디의 밝기와 점멸 속도를 제어하여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04)의 마이크로 스위치는 온/오프 기능, 엘이디 표시 선택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차량의 후방에 본원발명의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100)을 설치하여 운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반사판 몸체 12 : 고정공
14, 22 : 보호판 몸체 16 : 결합레일
18 : 전면 개구부 20 : 레일홈
24 : 배터리부 26 : 결합 날개
28 : 측부 결합판 30 : 고정대
32 : 고정공 34 : 신호동작수단
36 : 엘이디 38 : 마이크로 스위치
40 : 전면감지센서 42 : 전원라인
44 : 감지센서 46 : 커버 몸체
48 : 버튼 결합부 50 : 버튼부
52 : 배터리 커버 54 : 레일 몸체
100 :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
102 : 반사판 104 : 안전등
106 : 고정수단 108 : 반사판 몸체부
109 : 밀폐부재 110 : 전면 보호판
111 : 접착부재 112 : 후면 보호판
114, 116 : 안전등 결합부
200 : 전원부 202 : 제어부
204 : 입력부 206 : 출력부
208 : 충전부

Claims (8)

  1. 차량의 조명을 받아서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102)과;
    상기 반사판(102)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 안전등(104)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판(102)은,
    후방 차량의 조명을 받아서 빛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 몸체부(108)와;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의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안전등(104)이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안전등 결합부(114)가 형성되는 전면 보호판(110)과;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의 후면에 고정되는 후면 보호판(1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등 결합부(114)는,
    유(U)자 형상의 결합 레일(16)로 이루어지고 전면이 개구되어 상기 안전등(104)이 돌출되도록 전면 개구부(18)가 형성되며, 상기 안전등(104)이 끼워지도록 상방향으로는 개구되는 레일홈(20)이 형성되며,
    상기 안전등(104)은,
    판 형상의 중앙부에 배터리가 결합되는 배터리부(24)가 형성되고, 판 형상의 양측부에는 상기 레일홈(20)에 끼워지도록 결합날개(26)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날개(26)의 전방향으로 돌출되는 측부 결합판(28)이 형성된 몸체(32)와;
    상기 몸체(32)의 전부에 결합되어 빛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신호동작수단(34)과;
    상기 신호동작수단(34)을 덮어주도록 형성된 커버 몸체(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동작수단(34)은,
    인쇄회로기판(35)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5)에 전기적으로 연결 동작하도록 설치되는 감지센서(44)를 포함하되,
    상기 인쇄회로기판(35)은,
    상기 감지센서(44)에 의해 빛을 감지하여 점멸동작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엘이디(36)와,
    차량의 조명등에서 비쳐지는 빛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감지센서(42)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35)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몸체(46)는,
    감지센서(44)가 차량의 조명등 빛을 감지할 있도록 다각형상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경사면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버튼 결합부(4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2)의 내측부에는 감지센서(44)가 경사면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 안착되도록 상기 측부 결합판(28)의 내측면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돌부(25)와,
    상기 감지센서(44)의 우측변부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32)의 상측변부에 지지돌편(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보호판(110)의 전면부는 빛이 반사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한 사다리꼴, 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몸체부(108)와 후면 보호판(112)의 사이에는 측단면이 물결 모양으로 이루어진 쿠션부재(10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
  8. 삭제
KR1020150089337A 2015-06-23 2015-06-23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 KR101720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337A KR101720323B1 (ko) 2015-06-23 2015-06-23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337A KR101720323B1 (ko) 2015-06-23 2015-06-23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291A KR20170000291A (ko) 2017-01-02
KR101720323B1 true KR101720323B1 (ko) 2017-03-27

Family

ID=5781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337A KR101720323B1 (ko) 2015-06-23 2015-06-23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304Y1 (ko) * 2017-10-23 2019-01-10 권영옥 자석 부착식 태양광 라이트
KR200494050Y1 (ko) * 2020-05-11 2021-07-21 김용호 다목적 안전 표시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437Y1 (ko) * 2002-09-06 2002-12-16 고종태 자동차용 스포일러형 광고패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236Y1 (ko) * 1977-11-24 1979-07-30 고호균 차량용 반사판
KR19980035290U (ko) * 1996-12-12 1998-09-15 김영석 차량용 반사판 장착구조
KR19990008050U (ko) 1998-11-13 1999-02-25 김국락 차량용 경광등
KR101178092B1 (ko) * 2010-08-25 2012-08-30 주식회사 현암 길알리미 기능을 겸비한 다용도 등주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437Y1 (ko) * 2002-09-06 2002-12-16 고종태 자동차용 스포일러형 광고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291A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00166A1 (en) Day/night safety sign using reflective internal lighting
KR200470551Y1 (ko) 태양전지 회전불빛 경광등
KR101720323B1 (ko) 안전등이 구비된 반사판
JP3171390U (ja) 交通警報装置
KR100873914B1 (ko) 경계석용 표지병
KR200452899Y1 (ko) 손전등
US6389720B1 (en) Triangle road sign with solar power-driven flashing light means
CN208470020U (zh) 挡泥板及滑板车
KR200448402Y1 (ko) 쏠라부를 구비한 도로표지병
KR20090080675A (ko) 차량용 등화장치
KR101758329B1 (ko) 버스용 돌출번호판
JP2727958B2 (ja) 道路標識
CN210975611U (zh) 太阳能闪光警示牌
JP3513745B2 (ja) 道路鋲
CN203276772U (zh) 一种led汽车用三角架
JP2503505Y2 (ja) ドア開放警告灯
KR200389207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중앙선 표시구
CN207394731U (zh) 红白组合灯
KR20130029172A (ko) 태양광을 이용한 차량용 악세사리 겸용 비치 비상등
KR200197318Y1 (ko)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CN212161209U (zh) 一种智能型的三角警告牌
JPH08151610A (ja) 標識装置およびその雪よけフード
CN212961380U (zh) 一种嵌入式节能led自行车尾灯
CN211604286U (zh) 一种太阳能警示灯
CN215629532U (zh) 一种桥测反光发光警示标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