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329B1 - 버스용 돌출번호판 - Google Patents

버스용 돌출번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329B1
KR101758329B1 KR1020160141181A KR20160141181A KR101758329B1 KR 101758329 B1 KR101758329 B1 KR 101758329B1 KR 1020160141181 A KR1020160141181 A KR 1020160141181A KR 20160141181 A KR20160141181 A KR 20160141181A KR 101758329 B1 KR101758329 B1 KR 101758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led module
plate
license pl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만
Original Assignee
이건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만 filed Critical 이건만
Priority to KR102016014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 B60R13/105Licence- or registration plates, provided with mounting means, e.g. frames, holders, retainers, 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F21W210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용 돌출번호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은 버스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부가 일면에 형성된 번호판, 상기 번호판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번호판에 빛을 조사하는 LED 모듈, 상기 번호판의 일 측면이 삽입고정되는 개구부가 일면에 형성되고 LED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내부공간에 내장되며 상기 개구부와 교차방향의 타면에 레일부가 형성된 가이드커버 및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삽입체결되는 제1 고정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 버스의 출입문에 체결되는 제2 고정부가 상기 제1 고정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2 고정부 사이에 서로 교차방향으로 배치된 제1,2 연결부가 형성된 고정 브래킷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스용 돌출번호판{EXTRUSION NUMBER PLATE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용 돌출번호판에 관한 것으로, 출입문의 개폐동작과 연계하여 선회하면서 버스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버스정류장의 승객이 버스의 노선번호를 용이하게 식별토록 하기 위한 버스용 돌출번호판에 관한 것이다.
버스번호판은 버스의 전, 후면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버스정류장에 버스들이 줄지어 정차시에는 승객들이 버스번호판을 통하여 노선번호를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은 시인성을 개선한 버스용 번호판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는 버스의 번호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즉 (특허문헌 1)은 버스용 번호판에 문자판과 함께 LCD판을 배치하여 차량의 노선번호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따른 버스용 번호판은 버스의 전방범퍼, 후방범퍼 또는 내부 전방 천정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버스정류장의 승객이 버스의 노선번호를 용이하게 식별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 2)는 버스의 전면에 도어가 개방되면 작동하는 구동모터와 연동하여 번호판이 회동할 수 있게 하여 버스정류장의 승객이 몸을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버스번호판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따른 버스의 번호판 식별장치는 버스의 전면유리창에 설치되어 있어 전방 시야를 가릴 수 있고, 이는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구동모터와 번호판이 기계적으로 연동하게 구성되어 있어 유지보수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특허문헌 3)은 버스의 개폐도어에 버스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패널을 브래킷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개폐도어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선회하면서 버스의 정보를 식별토록 하는 버스 돌출형 번호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은 표시패널이 브래킷에 나사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거나, 접착제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고 있어 표시패널의 교체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시인성이 좋지 않아 야간에는 식별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시패널을 전자식 디스플레이패널로 구성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비용 측면은 물론이고, 유지보수 측면에서 실시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098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112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660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의 정보가 표시된 번호판과 이를 버스의 출입문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의 분해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번호판의 시인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버스용 돌출번호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은 버스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부가 일면에 형성된 번호판(Number Plate);
상기 번호판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번호판에 빛을 조사하는 LED 모듈(Light emitting diode Module);
상기 번호판의 일 측면이 삽입고정되는 개구부가 일면에 형성되고, LED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내부공간에 내장되며, 상기 개구부와 교차방향의 타면에 레일부가 형성된 가이드커버(Guide cover); 및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삽입체결되는 제1 고정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 버스의 출입문에 체결되는 제2 고정부가 상기 제1 고정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2 고정부 사이에 서로 교차방향으로 배치된 제1,2 연결부가 형성된 고정 브래킷(Bracket);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은 평판형의 육면체로 형성되고, 정보부의 일 측에 광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서로 마주보는 번호판의 측면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이 부착된 번호판의 측면에 조립되어 LED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고, 렌즈부가 형성된 LED 모듈보호커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 및 LED 모듈보호커버는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커버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프런트커버(Front cover);
상기 프런트커버에 조립되어 프런트커버와의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일면에 레일부가 형성된 커버 홀더(Cover holder); 및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제어 보드(Control Board);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에 있어서, 상기 커버 홀더는 일면에 레일부와 연계하여 고정 브래킷을 걸어서 고정하는 락킹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LE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 및
상기 충전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태양광으로 충전배터리를 충전하는 솔라셀(Solar-cell);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ED 모듈의 발광작동을 제어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광센서(Photo sensor), 조도센서(Illumination sens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출입문의 개방동작을 따라 선회하면서 버스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번호판이 가이드커버를 통해 상기 번호판을 버스의 출입문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조립됨으로써, 분해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고정형보다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번호판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측면에 LED 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번호판에 빛을 조사하여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야간에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고, 이로 인해 승객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를 통해 LED 모듈이 출입문의 개방시, 야간 또는 우천시에만 발광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을 분해하여 정면에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의 분해하여 배면에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을 조립하여 배면에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보인 단면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10)은 버스의 정보, 예컨대 노선번호나 행선지를 표시하는 정보부(101)가 전면에 형성된 번호판(100) 및 상기 번호판(100)이 출입문의 개방동작과 연계하여 선회하면서 버스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번호판(100)을 버스의 출입문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Bracket)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번호판(10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번호판(100)에 빛을 조사하여 야간에 용이하게 식별토록 하기 위한 LED 모듈(110) 및 상기 번호판(100)을 고정 브래킷(140)에 용이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140)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조립되는 가이드커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번호판(100)은 예컨대, 평판형의 육면체로서, 즉 도면상 수평방향으로 누여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전면의 상부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직접 형성하거나 스티커형 정보지를 부착하는 방법 등으로 정보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정보부(101)와 겹치지 않는 범위 이내, 즉 하부에 광고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광고부(102)는 상업용 또는 공익용 광고가 표시될 수 있고, 정보부(101)와 동일하게 번호판(100)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직접 형성하거나 스티커형 광고지를 부착하는 방법 등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번호판(100)의 후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번호판(100)은 예컨대, 빛을 용이하게 투과할 수 있는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 즉 강화유리 또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를 이용하여 투명 사출함으로써, LED 모듈(1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용이하게 투과 및 빛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게 된다.
상기 LED 모듈(110)은 예컨대, 인쇄회로기판(PCB)에 LED(Light emitting diode Module)를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열한 구성으로서, 번호판(10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측면, 즉 예컨대 상기 번호판(100)의 상부 측면 또는 좌측면에 구비되어 번호판(100)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버스정류장의 승객이 야간에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LED 모듈(110)은 서로 마주보는 번호판(100)의 측면 양측, 즉 도면상 상부와 하부 측면에 각기 구비되어 빛을 서로 교차하면서 조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인성 측면에서 향상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LED 모듈(110)은 번호판(100)의 측면 외부에 구비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10)은 예컨대, 먼지나 빗물 등의 오염 인자로부터 LED 모듈(110)을 보호하고, 일종의 렌즈역할을 하여 시인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LED 모듈(110)이 구비되는 번호판(100)의 측면에 조립되는 LED 모듈보호커버(111)를 더 포함한다.
도 2에서 보듯이, LED 모듈보호커버(111)는 내부에 수용공간(111a)이 형성되어 LED 모듈(110)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도면상 상기 수용공간(111a)의 하부에 렌즈부(111b)가 형성되어 제공된다. 이러한 LED 모듈보호커버(111)는 번호판(100)과 동일하게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투명 사출함으로써, 상기 번호판(100)의 측면에 용이하게 조립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용공간(111a)에 수용된 LED 모듈(110)의 빛이 용이하게 투과되도록 하게 된다.
도 3 내지 6에서 보듯이, 가이드커버(120)는 번호판(100)과 고정 브래킷(140)을 연결하기 위한 일종의 매개체로서, 예컨대 상기 번호판(100)의 도면상 우측면이 삽입고정되는 개구부(120a)가 일면에 형성되고, LED 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0)가 내부공간(120b)에 내장되며, 상기 개구부(120a)와 교차방향의 타면에 레일부(120c)가 형성되어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커버(120)는 도면상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형성되는 개구부(120a)를 이용하여 번호판(100)의 우측면을 삽입한 후 예컨대, 나사나 볼트 또는 피스를 포함하는 통상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며, 또한 상기 개구부(120a)를 통해 내부공간(120b)에 내장된 전원부(130)와 LED 모듈(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개구부(120a)와 교차방향의 타면, 즉 도 3을 기준으로 가이드커버(120)의 후면에 형성된 레일부(120c)를 이용하여 고정 브래킷(140)의 상단을 슬라이드방식으로 삽입체결함으로써, 상기 고정 브래킷(140)과 번호판(100)을 용이하게 분해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커버(120)를 통해 번호판(100)과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 브래킷(140)은 레일부(120c)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삽입체결되는 제1 고정부(141)가 일단에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기립 형성되고, 타단에 버스의 출입문에 볼트나 리벳을 포함하는 통상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제2 고정부(14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 고정부(141)(142) 사이에 제1,2 연결부(143)(144)가 형성되어 제1,2 고정부(141)(142)를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제1,2 연결부(143)(144)는 서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어 버스의 출입문과 제1 고정부(141)를 서로 이격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정 브래킷(140)은 예컨대, 균일한 두께의 판재로 형성하되, 번호판(100) 및 가이드커버(12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이 우수한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와 강성이 균등한 새로운 재질이 개발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실시 가능할 정도의 구성이므로,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가이드커버(120)는 전원부(13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120b)이 형성된 프런트커버(121), 상기 프런트커버(121)에 조립되어 프런트커버(121)와의 사이에 개구부(120a)를 형성하며, 일면에 레일부(120c)가 형성된 커버 홀더(122) 및 상기 내부공간(120b)에 배치된 제어 보드(123)를 포함한다.
상기 프런트커버(121)는 도면상 수직방향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120b)이 형성되고, 좌측면에 커버 홀더(122)와의 사이에 개구부(120a)를 형성하기 위한 제1 패널(121a)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홀더(122)는 프런트커버(121)와 동일하게 수직방향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제1 패널(121a)과 대응하는 제2 패널(122a)이 일면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2 패널(121a)(122a) 사이에 개구부(120a)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 홀더(122)는 도 4를 기준으로 전면에 고정 브래킷(140)의 상단과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여 레일부(120c)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 브래킷(140)의 제1 고정부(141)를 슬라이드방식으로 삽입체결토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120c)의 하단에 고리형상의 락킹부(122b)를 연장형성함으로써, 상기 락킹부(122b)와 레일부(120c)의 연계를 통해 고정 브래킷(140)을 걸어서 고정하여 하측으로 이탈하여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커버 홀더(122) 및 프런트커버(121)는 통상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술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여 투명 사출하는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보드(123)는 내부공간(120b)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20b)에 내장되는 전원부(130)와 LED 모듈(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은 물론이고, 후술하는 센서부(150)와 LED 모듈(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LED 모듈(110)의 발광작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130)는 제어 보드(123)를 통해 LED 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부(130)는 통상의 충전배터리(131) 및 상기 충전배터리(1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태양광으로 충전배터리(131)를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솔라셀(13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솔라셀(132) 또는 충전배터리(131)의 수명이 다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별도의 충전작업이 필요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유지보수 측면에서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4에서 보듯이, 센서부(150)는 전원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ED 모듈(110)의 발광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센서부(150)는 일종의 접촉센서인 근접센서(151)를 가이드커버(120)에 부착하여 출입문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LED 모듈(110)의 발광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데, 예컨대 출입문이 닫혔을 때에는 LED 모듈(110)에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되고, 출입문이 열렸을 때에는 상기 LED 모듈(110)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토록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커버(120) 근접센서(151)의 설치를 위하여 별도의 수납공간(121b)을 프런트커버(121)에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근접센서(151)를 포함하는 센서부(150)는 주간이나 야간 또는 우천시에도 LED 모듈(110)의 발광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광센서(152) 또는 조도센서(1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예컨대, 상기 광센서(152)와 조도센서(153)를 제어 보드(123)에 실장하고, 이를 전원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야간 및 우천시에 LED 모듈(110)을 발광토록 하여 번호판(100)의 시인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8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10)은 예컨대, 버스의 앞쪽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시에는 출입문과 연계하여 선회하면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버스정류장의 승객이 버스의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출입문의 폐쇄시에는 버스의 주행을 방해하는 인자로 작용하지 않도록 출입문과 연계하여 선회하면서 버스의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돌출번호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버스용 돌출번호판
100 - 번호판 101 - 정보부
102 - 광고부 110 - LED 모듈
111 - LED 모듈보호커버 111a - 수용공간
111b - 렌즈부 120 - 가이드커버
120a - 개구부 120b - 내부공간
120c - 레일부 121 - 프런트커버
121a - 제1 패널 121b - 수납공간
122 - 커버 홀더 122a - 제2 패널
122b - 락킹부 123 - 제어 보드
130 - 전원부 131 - 충전배터리
132 - 솔라셀 140 - 고정 브래킷
141 - 제1 고정부 142 - 제2 고정부
143 - 제1 연결부 144 - 제2 연결부
150 - 센서부 151 - 근접센서
152 - 광센서 153 - 조도센서

Claims (10)

  1. 버스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부가 일면에 형성된 번호판;
    상기 번호판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번호판에 빛을 조사하는 LED 모듈;
    상기 LED 모듈과 제어 보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내장되고 상기 제어 보드가 배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프런트커버 및 상기 프런트커버에 조립되어 프런트커버와의 사이에 번호판의 일 측면이 삽입고정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와 교차방향의 타면에 레일부가 형성된 커버 홀더를 포함하는 가이드커버;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삽입체결되는 제1 고정부가 일단에 수직방향으로 기립 형성되고, 타단에 버스의 출입문에 체결되는 제2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고정부 사이에 서로 교차방향으로 배치된 제1,2 연결부가 형성된 고정 브래킷; 및
    상기 커버 홀더의 하단에 고리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레일부에 고정 브래킷의 제1 고정부가 슬라이드방식으로 삽입시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제1 연결부의 하단을 걸어서 고정하는 락킹부;
    를 포함하는 버스용 돌출번호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은 평판형의 육면체로 형성되고, 정보부의 일 측에 광고부가 형성된 버스용 돌출번호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서로 마주보는 번호판의 측면 양측에 구비된 버스용 돌출번호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이 부착된 번호판의 측면에 조립되어 LED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고, 렌즈부가 형성된 LED 모듈보호커버;
    를 더 포함하는 버스용 돌출번호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 및 LED 모듈보호커버는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형성된 버스용 돌출번호판.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LE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 및
    상기 충전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태양광으로 충전배터리를 충전하는 솔라셀;
    을 포함하는 버스용 돌출번호판.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ED 모듈의 발광작동을 제어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버스용 돌출번호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근접센서, 광센서, 조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버스용 돌출번호판.
KR1020160141181A 2016-10-27 2016-10-27 버스용 돌출번호판 KR101758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181A KR101758329B1 (ko) 2016-10-27 2016-10-27 버스용 돌출번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181A KR101758329B1 (ko) 2016-10-27 2016-10-27 버스용 돌출번호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329B1 true KR101758329B1 (ko) 2017-07-14

Family

ID=5935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181A KR101758329B1 (ko) 2016-10-27 2016-10-27 버스용 돌출번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3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197A (ko) * 2018-03-28 2019-10-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광고물 교체가 용이한 돌출형 간판
KR20210114667A (ko) * 2020-03-11 2021-09-24 (주)엡스코어 단자함 내장형 태양광 안내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5004694A1 (en) * 1984-04-11 1985-10-24 Hansson Erik G Device for connecting two elements
JP2006171256A (ja) * 2004-12-15 2006-06-29 Sekisui Jushi Co Ltd 導光板式表示装置、サイン及び道路標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5004694A1 (en) * 1984-04-11 1985-10-24 Hansson Erik G Device for connecting two elements
JP2006171256A (ja) * 2004-12-15 2006-06-29 Sekisui Jushi Co Ltd 導光板式表示装置、サイン及び道路標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197A (ko) * 2018-03-28 2019-10-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광고물 교체가 용이한 돌출형 간판
KR102048143B1 (ko) * 2018-03-28 2019-11-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광고물 교체가 용이한 돌출형 간판
KR20210114667A (ko) * 2020-03-11 2021-09-24 (주)엡스코어 단자함 내장형 태양광 안내판
KR102327387B1 (ko) * 2020-03-11 2021-11-17 (주)엡스코어 단자함 내장형 태양광 안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025B1 (ko) 발광용 홀더부재를 갖는 전방분리형 투명방음판
ES2445020T3 (es) Acristalamiento luminoso de vehículo, fabricaciones
KR100719913B1 (ko) 도로교통 안전 표지판
EA027798B1 (ru)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е стекл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о
US20020135208A1 (en) Framing for a window of a mot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and a motor vehicle door including such framing
KR101857254B1 (ko) 주간 및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한 교통표지판.
US20110030252A1 (en) Illuminated Point of Sale Signage System
US11028995B2 (en) Glazing with detachable light device
JP6750065B2 (ja) 光ファイバ発光型標識装置
KR101758329B1 (ko) 버스용 돌출번호판
EP2788223B1 (en) Light emitting diode perimeter lamp assembly
KR101402335B1 (ko) 도로의 원점거리 표시장치
KR20120117440A (ko) 태양광을 이용한 도로 분리대의 유도장치
KR200404631Y1 (ko) 태양열을 이용한 발광표지판
KR101158243B1 (ko)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1039170B1 (ko) 정류장용 조명장치
KR200448402Y1 (ko) 쏠라부를 구비한 도로표지병
KR200475558Y1 (ko) 버스노선 안내판
KR20140013189A (ko) 태양광 엘이디를 이용한 중앙분리대겸용 보행자 안전 휀스
JP5603312B2 (ja) 停電時対応型自発光標識
KR200442747Y1 (ko) 건물 번호판 장치
KR200459102Y1 (ko) 엘이디 신호등
KR20090102275A (ko) 교통안전 표지물
JP2000290943A (ja) 道路鋲
KR102606006B1 (ko) 교체성을 향상시킨 도로 교통안전 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