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145B1 - 여성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성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145B1
KR101720145B1 KR1020160087147A KR20160087147A KR101720145B1 KR 101720145 B1 KR101720145 B1 KR 101720145B1 KR 1020160087147 A KR1020160087147 A KR 1020160087147A KR 20160087147 A KR20160087147 A KR 20160087147A KR 101720145 B1 KR101720145 B1 KR 101720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medium
present
ac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372A (ko
Inventor
김성옥
양창남
Original Assignee
(주)정가진면역연구소
김성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가진면역연구소, 김성옥 filed Critical (주)정가진면역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08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1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R1/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여성의 가검물로부터 Lactobacillus plantarum MB01, Lactobacillus acidophilus MB07 및 Lactobacillus crispatus MB08을 선발하고 선발한 유산균의 생화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선발 유산균을 GPY배지, GGPY배지, P-GPY배지, P-GGPY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고 성장속도 및 산도변화를 확인한 후 상기 선발 유산균의 유해 미생물 저해 활성 및 상기 선발 유산균 배양 상등액의 항균효과를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 유산균을 함유한 여성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본 발명 글리세린이 첨가되지 않은 P-GPY 배지를 이용한 상기 유산균주의 배양방법에 따른 여성 질염 예방 및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여성의 비정상적인 질내의 미생물 균총을 정상적인 균총으로 회복시킴으로써 여성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질내의 산도를 정상적으로 유지시켜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생리 후 빠른 시간 내에 정상적인 미생물 균총으로 회복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여성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vaginosis}
본 발명은 여성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질은 자궁의 입구에 위치하고 있어 월경주기에 따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으며 요도와 항문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대장 미생물과 요도계 질환 미생물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높다(Cho, Y. H., 2006, Introduction to urinary tract infection, Kor. J. Urol. 47, 559-567). 여성의 생식기 주변에서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로는 대장균 (E. coli), 트리코모나스 원충(Tricomonas vaginalis), 진균류(Candida albicans), 클라미디아(Chlamidia), 헤모필루스균(Haemophilus vaginalis),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virus) 및 가드네렐라 종(Gardnerella sp.) 등이 있고, 질염은 이들 균의 단독 또는 혼합 감염에 의해 흔히 발생한다.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 BV)은 일반적으로 여성 생식기계의 감염 중, 지속적인 만성 감염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의 약 50% 이상을 차지한다(Sobel, 1990). 특히 여성이 성생활을 하면서 병원성 미생물의 침투로 인하여 정상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고 국부적인 염증 등 다양한 형태의 질병으로 시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로운 미생물이 골반강까지 침투하여 불임 등 심각한 상태에 이르기도 한다.
여성의 질 내부에 살고 있는 정상 균주로는 유산간균(Lactobacilli), 연쇄상 구균(Peptosreptococcus, group β-hemolytic streptococcus), 대장균(Coliform bacteria)이 있으며 이들 중 외부의 미생물들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의 영향으로 질내 상피세포에 보관되어 있는 글리코겐이 유산발효에 사용된다. 유산 발효는 질내에 존재하고 있는 유산균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적절한 수준의 유산균이 질내의 pH를 4.5 ~ 5.5로 유지하게 되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게 된다.
한편, 젖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프로바이오틱(probiotic)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세균으로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고, 사람이나 동물의 장(腸)과 발효식품 등에서도 쉽게 발견되는 미국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안전하다고 인정한 미생물이다(Orrhge, K. et al., 2000, Bifidobacteria and lactobacilli in human health, Drugs Exptl. Clin. Res., 26, 95-111). 젖산균은 장내 상피세포에 부착하여 기생하게 되어 장내 균총의 성질을 개선시켜 장내 균총의 안정화, 유해세균의 정착 억제에 따른 부패산물 생성 감소 및 질병 예방, 면역 활성화 작용, 항암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등 숙주동물에 많은 도움을 준다. 젖산균이 여러 부패성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생육억제 작용을 갖는 것은 몇 가지 대사적인 특성 때문인데 젖산균은 대사산물로서 항균활성 인자인 organic acid, hydrogen peroxide, reuterin, diacetyl, acetaldehyde, bacteriocin 등을 생산하기 때문이다(Fuller, K., 1989, Probiotics in man and animals, J. Appl. Bacteriol., 66, 365-378).
세균성 질염은 임상에서 항생제를 경구 투여하거나 직접 질 내에 연고 또는 질정을 투여하는 방법으로 치료를 하고 있는데(Blackwell et al. 1983), 이미다졸 및 니트로이미다졸 유도체가 이러한 증상을 치료하는데 종종 사용되며, 사용되고 있는 다른 유형의 약제로는 니트로푸르푸릴 유도체 및 다양한 항생제가 있다. 이 활성 항생제 성분들은 경구 또는 국소 투여용으로 제제화될 수 있는데, 메트로니다졸은 흔히 경구 경로로 투여되나, 혼합 감염은 국소 투여용 조성물, 특히 2종 이상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페서리(pessary) 형태가 그 목적에 적당하다. 그러나,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의 경우, 항생제는 질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은 물론 질 내의 정상 세균총 특히 유산간균의 생육에도 영향을 미쳐 그 숫자를 감소시키므로, 정상적인 질 내의 세균총을 파괴하게 되어 만성적으로 반복되는 질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질염 치료용 생균제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0411호에 개시된 바 있고 질 치료 조성물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2731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 질염 병원균의 증식 억제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벨브루키 에스에스피. 불가리쿠스 에이치와이79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제품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8404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문헌 어디에도 L. acidophilus, L. crispatus 및 L. plantarum이 단일 또는 혼합된 조성물 형태의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에 관하여는 개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질염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는 L. acidophilus, L. crispatus 및 L. plantarum 등의 유산균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L. acidophilus, L. crispatus 및 L. plantarum을 함유하는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여성의 가검물로부터 유산균을 선발하는 단계와; 상기 선발 유산균의 Lactobacillus plantarum MB01, Lactobacillus acidophilus MB07 및 Lactobacillus crispatus MB08으로 명명하고 생화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와; GPY배지, GGPY배지, P-GPY배지, P-GGPY배지를 이용하여 상기 선발 유산균을 배양하고 성장속도 및 산도변화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발 유산균의 유해 미생물 저해 활성 및 특성변화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발 유산균 배양 상등액의 항균효과를 평가하는 단계와 본 발명 선발 유산균을 함유한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여성의 비정상적인 질내의 미생물 균총을 정상적인 균총으로 회복시킴으로써 여성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질내의 산도를 정상적으로 유지시켜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생리 후 빠른 시간 내에 정상적인 미생물 균총으로 회복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GPY배지에서 유산균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성장 속도 및 산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비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의 C. ablicans 및 유산균의 성장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선별된 유산균과 E. coli의 혼합 배양에 따른 생균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선별된 유산균과 S. aureus의 혼합 배양에 따른 생균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선별된 유산균과 E. coli의 혼합 배양시 시간 경과에 따른 pH 및 산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선별된 유산균과 S. aureus의 혼합 배양시 시간 경과에 따른 pH 및 산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선별된 유산균 배양 상등액의 미생물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여성의 가검물은 서울 홍태의 비뇨기과, 대전 신아 산부인과, 인천 최대경 산부인과에서 수득하였으며 MRS배지는 Difco사(Becton, Dickinson and Co., Sparks, MD 21152, USA)의 제품을 사용 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산균은 배양액 및 분말 형태일 수 있으며, 분말 형태인 경우에는 미생물의 활성을 유지 가능한 어떠한 방법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 분말형태로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제, 겔제, 연고제, 크림제, 또는 액제 및 고형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배합되는 일반적인 성분들, 예를 들면 항생제, 결합제, 붕해제, 희석제, 활택제, 안정제, 보존료, 또는 향료 등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 실시예 1> 본 발명 유용 유산균의 선발
1999년 5월부터 서울, 대전, 인천에 위치한 산부인과 병원으로부터 200명이 넘는 여성의 가검물을 수득하였다. 강한 유산 발효능력을 가지고 있는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가급적 정상적인 미생물 균총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의 가검물로부터 유산균 선별배지인 MRS배지를 활용하여 유산균을 선발하였다.
< 실험예 1> 본 발명 선발 유산균의 특성평가
본 발명에서 선발된 유용 유산균 생화학적 특성중 사이즈는 마이크로미터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람 음성/그람 양성 판정은 Difco사 제품의 그람 염색으로 판정하였다. 또 카탈라아제 테스트는 1% H2O2 용액을 콜로니에 떨어뜨려 거품이 나는지 여부로 판정하였으며 pH 측정은 배양액에 pH미터(Orion Star A211, Thermo, Singapor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총산도 측정은 시료 10 ml에 페놀프탈레인 용액 2~3방울을 주입후 0.1N NaOH용액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색이 변하는 순간까지 첨가한 NaOH용액의 양에 0.059를 곱하여 환산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발한 유산균 중 유산 발효 후의 최종 산도, 포비돈에 대한 내성, 및 포도상구균이나 대장균과의 혼합 배양에서의 생존율 등을 감안하여 MB01, MB07 및 MB08을 최종 선발하였다. 상기 최종 선발된 3주의 유산균은 인하대학교 한홍의 교수 연구실 및 서울대학교 유전체 연구소에서 동정한 결과, 각각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acidophilus, 그리고 Lactobacillus crispatus로 판명되었다. 발명자들의 균주분류기준에 따라 각각 Lactobacillus plantarum MB01, Lactobacillus acidophilus MB07 및 Lactobacillus crispatus MB08이라고 명명하였다. 상기 L.plantarum MB01의 16s ribosomal RNA gene sequence는 본 명세서에 첨부하였다.
본 발명에서 선발된 유용 유산균 생화학적 특성
Colony Characteristics of Colonies Size of bacterium Gram Staining Catalase Test CPR test final pH total Acidity(%)
Microscopic Morphology
MB01 white, entier , flat 1.5m + - + 3.82 1.50
rod
MB07 white, entier , flat 2.5 + - + 3.80 1.48
rod
MB1 white, entire, convex 0.1 + - + 4.29 1.48
rod
MBa2-2 white, irregular, flat 1.0 + - + 3.97 1.86
coccobacillus
MB08 white, entier , flat 2.0 + - + 3.84 2.19
rod
MBb white, convex, entire 3.0 + + - 6.06 0.28
yeast
MBd white, convex, entire 1.5 + ++ - 6.56 0.22
yeast (slim)
MBe white, convex, irregular 0.5 + - + 4.65 1.03
coccobacillus
MBh pale yellow 0.6 + + + 4.80 0.86
coccus
MBi1-1 white, convex, entire 1.0 + + - 4.57 1.10
staphylococcus
MBi1-2 white convex, entire 1.0 + + + 4.93 0.73
staphylococcus
MBi1-3 white, convex, entire 0.8 + + + 4.85 0.79
staphylococcus
MBi2 white, convex, entire 0.5 + - + 5.00 0.63
streptococcus
< 실시예 2> GPY 배지와 GGPY 배지를 이용한 본 발명 선별 유산균의 배양
[표 2]의 조성을 가지는 배지를 이용하여, 상기 3종의 유산균을 배양하였다. 각각의 유산균은 미리 MRS배지에 48시간 배양하고 다시 GPY 및 GGPY배지에 1% (v/v)가 되게 접종하여 37℃에서 72시간동안 정치배양 하였다.
본 발명 GPY 및 GGPY액체 배지의 조성비
배지 GPY GGPY
성분 조성비(%) 조성비(%)
포도당(Glucose) 2.0 2.0
글리세린(Glycerin) - 10.0
펩톤(Peptone) 0.1 0.1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0.1 0.1
< 실험예 2> GPY 배지와 GGPY 배지를 이용한 본 발명 선별 유산균의 성장 및 산도 변화
유산균 성장 측정은 MRS 액체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균체수를 계수하여 측정하였으며 산도는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선발된 유산균 중 유산 발효능력이 탁월하다고 판단되는 Lactobacillus crispatus MB01을 배양한 경우의 성장 정도와 산도의 변화를 도 1에 예시하였다.
실험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글리세린(Glycerin)을 첨가하지 않아 점도가 낮은 GPY 액체 배지에서 유산균의 성장이 월등히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72시간 배양이 끝날 시점에서 유용 유산균의 생존율에는 커다란 차이를 볼 수는 없었다. 산도에 있어서는 GPY 액체 배지에서의 산도 증가는 시간이 갈수록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GGPY배지에서는 24시간 후에 산도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72시간 후의 유산균은 1.0 X 105 pfc/ml 생존하였다.
< 실시예 3> P- GPY 배지와 P- GGPY 배지를 이용한 본 발명 선별 유산균의 배양
정상적인 유산균의 유산발효만으로는 캔디다균을 억제하기가 어려워 포비돈(povidone)을 첨가하는 배지(P-GPY 및 P-GGPY)를 개발하였다. [표 3]의 조성을 가지는 배지를 이용하여, 상기 3종의 유산균을 배양하였다. 각각의 유산균은 미리 MRS배지에 48시간 배양하고 P-GPY 및 P-GPY 배지에 1% (v/v)가 되게 접종하여 37℃에서 72시간동안 정치배양 하였다.
본 발명 P-GPY 및 P-GGPY액체 배지의 조성비
배지 P-GPY P-GGPY
성분 조성비(%) 조성비(%)
포비돈 0.09 0.09
포도당(Glucose) 2.0 2.0
글리세린(Glycerin) - 10.0
펩톤(Peptone) 0.1 0.1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0.1 0.1
< 실험예 3> 포비돈 첨가 배지를 이용한 본 발명 선별 유산균의 성장 및 산도 변화
유산균은 MRS배지에 미리 48시간 배양한 뒤 1%(v/v)으로 접종하였으며, C. albicans는 이들의 배양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YM배지에서 미리 24시간 배양한 후 역시 1%(v/v)으로 접종하였다. 미생물의 성장 정도는 24시간 및 48시간의 시점에서 비색계를 사용하여 530nm에서의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선발된 유산균 가운데 유산 발효능력이 탁월하다고 판단되는 Lactobacillus crispatus MB08와 Lactobacillus plantarum MB01을 Candida albicans와 포비돈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와 적정 농도의 포비돈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그 성장 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도2a에는 포비돈이 첨가된 P-GGPY배지에서의 유산균과 캔디다 균의 성장 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2b에는 포비돈이 첨가되지 아니한 동일 배지에서의 성장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Lactobacillus plantarum MB01은 24시간 및 48시간의 시점에서 포비돈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의 성장 정도가 OD530 값으로 거의 1.0에 가까운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나 포비돈이 첨가된 배지에서는 0.81 ~ 0.93 정도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C. albicans의 경우에는 포비돈이 없을 때에는 OD530 값이 1.3 정도인데, 포비돈을 첨가해주면 0.2 ~ 0.8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4> 본 발명 선별 유산균의 유해 미생물 저해 활성 및 특성변화
통상 질염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미생물로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그람 양성균인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질내 유해 미생물로 선택하여 상기 3종의 유산균과 혼합 배양하였다. 본 발명 선별 3종의 유산균들은 MRS배지에서 18시간 동안 따로 배양하였고, E. coli는 S. aurues는 TSB(Tryptic soy broth)에서 18시간 배양한 뒤, 이들을 각각 1%(v/v)되게 GPY 액체 배지에 접종한 뒤 섭씨 37℃에서 배양하면서 생균수, 산도 및 pH를 측정하였다. 생균수의 측정을 위하여 L. plantarum MB01과 L. acidophilus MB07은 MRS배지에서, L. crispatus MB08은 TSA(Tryptic soy agar) 배지에서, E. coli와 S. aureus는 EMB(Eosin Methylene Blue) 배지에서 희석 도말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3,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E. coli와 S. aureus는 각각 배양 후 9시간과 24시간 째에 사멸하였다.
또, 도 5,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지의 산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질염을 일으킬 수 있는 대표적인 미생물인 E. coli와 S. aureus를 유산균과 혼합하여 배양하는 경우, 3시간 이내에 급격히 떨어지는 pH값(5.0)과 24시간 시점에서의 pH값(4.0이하)으로 미루어 볼 때, 산도의 증가에 의하여 상기 질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생존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5> 본 발명 선별 유산균 배양 상등액의 항균 효과
실시예 1에서 선발된 세 가지 유산균을 MRS배지에서 18시간 동안 따로따로 배양하고 그 배양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L. plantarum MB01의 배양 상등액은 원액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L. acidophilus MB7과 L. crispatus MB08의 배양 상등액은 10배로 농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E. coli, S. aureus, 그리고 C. albicans를 도말한 TSA 배지의 중앙에 코르크 보오러를 사용하여 뚫은 구멍에 상기 각 균주의 배양 상등액 300 μL를 투여하고 섭씨 37℃에서 24시간 배양한 뒤 성장 억제 환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E. coli에 대해서는 세 가지 유산균의 배양 상등액이 모두 뚜렷한 억제환을 보여주었으나, S. aureus에 대해서는 억제환이 E. coli의 것처럼 뚜렷하지는 아니하였다. S. aureus가 pH의 변화에 대하여 E. coli에 비하여 어느 정도 내성을 보이는 것도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유산균을 18시간 동안만 배양한 다음에 상등액을 얻었다는 것이 또 다른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산균은 72시간 배양할 경우 충분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4> 본 발명 선발 유산균을 함유한 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제조
부원료로서 고구마전분에 상기 선발한 유산균을 전체중량% 대비 0.1 ~ 10중량%를 넣고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부원료는 탈크, 감자전분, 옥수수전분, 실리카파우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유산균을 함유하는 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유산균은 전체중량% 대비 0.1중량%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병원성 미생물 저해효과가 미흡하게 나타나며, 0.1 ~ 10중량% 에서는 그 미생물 저해효과가 충분히 나타났으므로 0.1 ~ 10중량%가 가장 바람직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질내 유산균 L. acidophilus, L. crispatus, L. plantarum 및 상기 유산균 배양액과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877BP 20110223
<110> KIM, SUNG OK Jung LAB Co., Ltd. <120>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vaginosis <130> P5449 <140> 10-2013-0163415 <141> 2013-12-26 <150> KR <151> 2013-12-26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475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6s ribosomal RNA gene sequence <400> 1 tggttcctaa aggttacccc accgactttg ggtgttacaa actctcatgg tgtgacgggc 60 ggtgtgtaca aggcccggga acgtattcac cgcggcatgc tgatccgcga ttactagcga 120 ttccgacttc atgtaggcga gttgcagcct acaatccgaa ctgagaatgg ctttaagaga 180 ttagcttact ctcgcgagtt cgcaactcgt tgtaccatcc attgtagcac gtgtgtagcc 240 caggtcataa ggggcatgat gatttgacgt catccccacc ttcctccggt ttgtcacggc 300 agtctcacca gagtgcccaa cttaatgctg gcaactgata ataagggttg cgctcgttgc 360 gggacttaac ccaacatctc acgacacgag ctgacgacaa ccatgcacca cctgtatcca 420 tgtccccgaa gggaacgtct aatctcttag atttgcatag tatgtcaaga cctggtaagg 480 ttcttcgcgt agcttcgaat taaaccacat gctccaccgc ttgtgcgggc ccccgtcaat 540 tcctttgagt ttcagccttg cggccgtact ccccaggcgg aatgcttaat gcgttagctg 600 cagcactgaa gggcggaaac cctccaacac ttagcattca tcgtttacgg tatggactac 660 cagggtatct aatcctgttt gctacccata ctttcgagcc tcagcgtcag ttacagacca 720 gacagccgcc ttcgccactg gtgttcttcc atatatctac gcatttcacc gctacacatg 780 gagttccact gtcctcttct gcactcaagt ttcccagttt ccgatgcact tcttcggttg 840 agccgaaggc tttcacatca gacttaaaaa accgcctgcg ctcgctttac gcccaataaa 900 tccggacaac gcttgccacc tacgtattac cgcggctgct ggcacgtagt tagccgtggc 960 tttctggtta aataccgtca atacctgaac agttactctc agatatgttc ttctttaaca 1020 acagagtttt acgagccgaa acccttcttc actcacgcgg cgttgctcca tcagactttc 1080 gtccattgtg gaagattccc tactgctgcc tcccgtagga gtttgggccg tgtctcagtc 1140 ccaatgtggc cgattaccct ctcaggtcgg ctacgtatca ttgccatggt gagccgttac 1200 cccaccatct agctaatacg ccgcgggacc atccaaaagt gatagccgaa gccatctttc 1260 aagctcggac catgcggtcc aagttgttat gcggtattag catctgtttc caggtgttat 1320 cccccgcttc tgggcaggtt tcccacgtgt tactcaccag ttcgccactc actcaaatgt 1380 aaatcatgat gcaagcacca atcaatacca gagttcgttc gacttgcatg tattaggcac 1440 gccgccagcg ttagtcctga gccatgatca aactc 1475

Claims (4)

  1. 삭제
  2. 유전자 염기서열 1로 이루어진 Lactobacillus plantarum MB01 유산균주(KCTC11877BP)를 미리 48시간 MRS 배지에서 배양하고 다시 글리세린이 첨가되지 않고 포비돈(povidone)이 첨가된 P-GPY 배지에 1%(v/v)를 접종하여 37℃에서 72시간 정치배양하여 캔디다 알비칸스(C.albicans)를 억제하는 것이 특징인 여성 질염 예방 및 개선용 유산균주의 액체 배양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60087147A 2016-07-08 2016-07-08 여성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 KR101720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147A KR101720145B1 (ko) 2016-07-08 2016-07-08 여성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147A KR101720145B1 (ko) 2016-07-08 2016-07-08 여성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415A Division KR20150075447A (ko) 2013-12-26 2013-12-26 여성 자궁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372A KR20160087372A (ko) 2016-07-21
KR101720145B1 true KR101720145B1 (ko) 2017-04-07

Family

ID=5668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147A KR101720145B1 (ko) 2016-07-08 2016-07-08 여성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1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746B1 (ko) 2021-09-16 2022-09-19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idcc 345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KR102486025B1 (ko) * 2022-09-19 2023-01-09 지비비 주식회사 생유산균을 포함하고 질염 개선에 도움을 주는 여성청결제용 조성물
KR20230041588A (ko) 2021-09-16 2023-03-24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KR20230041589A (ko) 2021-09-16 2023-03-24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438B1 (ko) * 2018-10-12 2018-12-18 (주) 에이투젠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atg-k2, atg-k6 또는 atg-k8, 이를 포함하는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62466B1 (ko) * 2020-12-04 2021-06-10 한국콜마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방부 시스템
CN112899182B (zh) * 2021-01-08 2023-03-24 安徽省肿瘤医院 一种能够预防和/或治疗子宫颈鳞癌的卷曲乳杆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86B1 (ko) 1999-06-21 2007-04-27 악티알 파마수티카 엘디에이. 젖산균 복합제, 및 감염 및 염증 증상의 예방 및/또는치료를 위한 그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927141A (en) * 2007-11-22 2009-07-01 Bayer Schering Pharma Oy Vaginal delivery system
KR101287126B1 (ko) * 2011-10-28 2013-07-17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식물성유산균발효액을 함유하는 질염 및 요로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86B1 (ko) 1999-06-21 2007-04-27 악티알 파마수티카 엘디에이. 젖산균 복합제, 및 감염 및 염증 증상의 예방 및/또는치료를 위한 그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Vol.47, pp.308-315(2011.)*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746B1 (ko) 2021-09-16 2022-09-19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idcc 345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KR20230041588A (ko) 2021-09-16 2023-03-24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KR20230041589A (ko) 2021-09-16 2023-03-24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KR102486025B1 (ko) * 2022-09-19 2023-01-09 지비비 주식회사 생유산균을 포함하고 질염 개선에 도움을 주는 여성청결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372A (ko)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145B1 (ko) 여성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
EP3926040A1 (en) Multi-lactobacillus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to vaginal health of females
KR101770902B1 (ko) 바실러스 코아굴란스로부터 부분적으로 정제된 세포외 대사물질 생산물을 생산하는 방법 및 이의 생물학적 적용
Maia et al. Evaluation of the components of a commercial probiotic in gnotobiotic mice experimentally challenged with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ser. Typhimurium
TWI627276B (zh) 新穎之卷曲乳酸桿菌(lactobacillus crispatus)菌株
TW201531560A (zh) 一種捲曲乳桿菌(lactobacillus crispatus)及其應用
KR101287126B1 (ko) 식물성유산균발효액을 함유하는 질염 및 요로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220409681A1 (en) Lactobacillus salivarius ls97 and application thereof
CN103409334B (zh) 抑制阴道炎病原菌之乳酸杆菌及其用途
US20220062330A1 (en) Use of thiosulfate to potentiate the anti-pathogenic effect of lactobacilli
TWI784210B (zh) 用以抑制陰道炎病原菌之組合物、陰道清潔組合物以及其用途
US11235060B2 (en) Urogenital medical device formulation based on suitable biochemical compositions for the stabilization of the acidity and the redox state of the vaginal fluid
CN113855711A (zh) 皮肤外用组合物及其用途
CN112806576B (zh) 抑制阴道炎病原菌的组合物、阴道清洁组合物以及其用途
CN103911306A (zh) 加氏乳杆菌菌株及其用途
CN103911308A (zh) 卷曲乳杆菌菌株及其用途
TWI412371B (zh) 抑制陰道炎病原菌之乳酸桿菌及其用途
CN103911309A (zh) 加氏乳杆菌菌株及其用途
CN114561330B (zh) 一种防治生殖道感染的复合菌剂
US11045507B2 (en) Bifidobacterium animalis AMT30 strain and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train of Bifidobacterium animalis AMT30
CN101543514A (zh) 预防或治疗阴道炎的复合乳酸菌洁阴护理液及工艺
CN103911307A (zh) 卷曲乳杆菌菌株及其用途
KR20150075447A (ko) 여성 자궁 질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조성물
EP3489350B1 (en) Bifidobacterium animalis amt30 strain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train of bifidobacterium animalis amt30
Babenko et al. Prophylactic effect of lactobacilli and bifidobacteria probiotic strains on experimental bacterial vaginit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