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132B1 - 하수관 보수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 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132B1
KR101717132B1 KR1020160094110A KR20160094110A KR101717132B1 KR 101717132 B1 KR101717132 B1 KR 101717132B1 KR 1020160094110 A KR1020160094110 A KR 1020160094110A KR 20160094110 A KR20160094110 A KR 20160094110A KR 101717132 B1 KR101717132 B1 KR 10171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pipe
branch pipe
main body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거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16009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non-electronic flash apparatus; Non-electronic flash units
    • G03B15/041Separatable flash apparatus; Means for mounting the flash apparatus on the photographic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보수장치에 탈, 장착 가능하며 독립 운용이 가능한 촬영유닛을 설치함으로써, 하수관의 보수 이전에 독립 투입되어 상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보수 중에도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보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독립 투입으로 보수 결과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하수관 보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다수개의 바퀴가 설치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관과 지관의 연결부분을 보수할 지관 보수부재를 지지한 상태에서 팽창 시 상기 지관 및 메인관 내측에 상기 지관보수부재를 밀착시키는 지관보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본체의 후단에 탈, 장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탈착 시 독립 운용이 가능한 촬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관 보수장치{SEWAGE PIPE REPAIR APPARATUS}
본 발명은 하수관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관과 지관의 연결 부분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는 하수관 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화 및 교통량 증가에 따라 굴착 공사 시 야기되는 공사비, 사회손실비용, 안전사고, 환경문제 등의 관심이 커지면서 국내외에서 하수관의 보수공법의 적용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비굴착공법은 땅을 파고 하수관을 전면 교체하는 굴착공법과 대조된다. 이 공법은 보수해야 할 하수관 내부에 내시경을 집어넣고 이를 통해 장애물이 있는지를 검사한 뒤 상류 쪽의 하수를 막고 하류 쪽 하수관에 플라스틱 원통 하수관을 집어넣는다. 그리고 낡은 시멘트 하수관을 밀착시켜 파손된 부분을 메우는 방식이다. 특히 비굴착 보수공사는 굴착 보수공사 비용의 약 65~80%(부분 파손) 정도에 불과하여 매우 경제적이다. 비굴착 보수공법으로 지수제 주입공법과 부분보강공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지수제 주입공법은 흔히 화학약액 주입법(Chemical Grouting) 또는 보수기공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강공법은 보강 시트(Sheet) 부착공법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약액 주입법은 하수관거 이음부의 누수와 원주형태의 갈라진 틈을 메우기 위하여 사용하며, 관 벽에 작은 구멍이나 방사형으로 갈라진 틈새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초기의 누수시험에 통과하지 못한 관거나 관의 균열, 원주형 틈, 이음부 틈새 등 따문에 발생하는 지하수 침투를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부분보강공법은 기존관이 노후하여 부분적으로 균열이 발생한 곳, 집중하중으로 인해 국부파손이 발생한 곳 등을 보강하기 위해 적용된다.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542194호(2006.01.03 등록)에서 하수관의 가지관 연결부위 보수장치는,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하수관과 가지관의 연결부위에 소정의 라이닝재를 부착할 수 있도록 압축공기의 유입에 의하여 팽창되는 패커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730651호(2007.06.14 등록)는 관 형상으로 중공된 내부를 구분하여, 중앙에 공기실과, 공기 실 양측을 구분하는 좌측 및 우측 격판과, 격판 외측에 좌측 및 우측 체결부를 형성하는 패커와, 패커의 외부면에 부착되어 밀폐된 공기실로 주입되는 팽창압력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 부재와, 팽창 부재의 외부면에 비닐이 감겨진 상태에서 감착되어 접착제가 함침되어 파손된 부분에 밀착 고정되는 보수부재와, 패커의 외부면에 순차 적으로 위치하여 감착되는 팽창 부재에 일정이상의 팽창압력이 제공될 때 파손되어 결속이 해지되는 가는 철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비굴착 정밀 부분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이나 상수관 내의 갈라진 틈, 균열 및 단차에 의한 부분적 파손으로 침입수 및 누수 발생에 대해, 관로를 굴착하지 않고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파손된 부분만을 용이하게 보수하기 위하여 와이어에 체결되어 관로를 따라 견인되는 보수장치가 파손된 부분까지 장애물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팽창 부재의 팽창력 향상으로 보수 부재 전체를 균등하게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보수장치들에는 패커를 통한 보수 진행시, 장치에 일체로 카메라가 설치되어 하수관의 내부 상황을 먼저 파악하거나 보수 이후에도 나중에 보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수장치를 같이 이동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보수재의 경화시간에도 보수장치와 같이 카메라는 대기하고 있어서 다른 하수관의 상황을 미리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를 위하여 다른 카메라를 별도로 운용하기에는 생산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치본체에 탈, 장착 가능하며 독립 운용이 가능한 촬영유닛을 설치함으로써, 하수관의 보수 이전에 독립 투입되어 상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보수 중에도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보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독립 투입으로 보수 결과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하수관 보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보수장치의 장치본체 상에 열선을 설치하여 경화재의 경화시간 단축을 도울 수 있는 하수관 보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다수개의 바퀴가 설치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관과 지관의 연결부분을 보수할 지관 보수부재를 지지한 상태에서 팽창 시 상기 지관 및 메인관 내측에 상기 지관보수부재를 밀착시키는 지관보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본체의 후단에 탈, 장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탈착 시 독립 운용이 가능한 촬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유닛은 구동모터에 의하여 전, 후진 이동되며,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다수개의 바퀴가 설치되는 이동본체와, 상기 이동본체의 전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본체의 후단에 탈, 장착되는 척킹아암과, 상기 이동본체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본체의 전단에 회동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척킹아암의 틸팅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척킹아암은 마주하는 한 쌍의 아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아암은 실린더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잇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는 상기 지지대에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에 의하여 360°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의 근처에는 조명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본체의 외주연에는 코일열선이 더 설치되어 상기 지관 보수부재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관보수유닛의 팽창팩 내부로는 텐션바 형태의 감지센서가 더 설치되어 상기 팽창팩의 팽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 보수장치는, 보수장치에 탈, 장착 가능하며 독립 운용이 가능한 촬영유닛을 설치함으로써, 하수관의 보수 이전에 독립 투입되어 상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보수 중에도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보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독립 투입으로 보수 결과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수장치의 본체 상에 열선을 설치하여 경화재의 경화시간 단축을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수장치의 본체 정면을 원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지관 보수부재의 균등 팽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지관보수유닛에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정확한 팽창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보수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수관 보수장치의 장치본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수관 보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 보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지관 보수유닛을 발췌하여 보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관 보수장치를 이용하여 지관을 보수할 때 사용되는 지관 보수부재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관 보수부재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지관 보수부재를 팽창팩에 거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관 보수장치를 이용하여 지관 연결부분을 보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은 관 보수장치를 이용하여 지관 연결부분을 보수 한 뒤, 관 보수장치가 빠져나오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보수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수관 보수장치의 장치본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수관 보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 보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지관 보수유닛을 발췌하여 보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관 보수장치를 이용하여 지관을 보수할 때 사용되는 지관 보수부재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관 보수부재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지관 보수부재를 팽창팩에 거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관 보수장치를 이용하여 지관 연결부분을 보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은 관 보수장치를 이용하여 지관 연결부분을 보수 한 뒤, 관 보수장치가 빠져나오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보수장치는, 크게 보수용 장치본체(110)와, 하수관의 보수가 이루어지는 지관 보수유닛(140)과, 장치본체(110)에 탈, 장착되는 촬영유닛(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장치본체(110)는 길이가 긴 통 구조를 가지며, 정면 또는 후면에서 본 형상 즉, 정면형상은 대략 원형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장치본체(110)의 외주연으로는 코일열선(114)이 더 설치되어 하기에서 설명하는 지관 보수부재(170)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코일열선(114)은 장치본체(110)의 전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또는 지관보수유닛(140)에 근접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오프 작동에 의하여 온도를 빠르게 올릴 수 있다.
한편, 장치본체(110)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는 바퀴(120)가 설치되어 메인관(10) 내부에서 장치본체(110)가 안정적인 자세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바퀴(121,122)는 전방 및 후방 각각에 2개씩 설치될 수 있다.
전방의 바퀴(121)는 장치본체(1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된 지지브라켓(123)에 지지된다. 후방의 바퀴(122)는 장치 본체(110)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13)에 지지된다. 즉, 구동모터(113)의 모터하우징(113a) 하부에 지지브라켓(124)이 연결되고, 그 지지브라켓(124)에 후방의 바퀴(122)가 지지된다.
또한, 구동모터(113)는 구동축부(113b)가 장치 본체(110)에 연결된 구성으로서, 구동 시 좌우방향으로 구동축부(113b)를 회전시켜서 장치 본체(11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관보수유닛(140)이 지관(20)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동모터(113)를 정밀 제어하여 지관 보수유닛(140)이 지관(20)에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이때 바퀴(121)는 그 자리에 위치하고, 장치본체(110)의 자세만을 변경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장치본체(110)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관통되도록 통수경로(114)가 형성된다. 통수경로(114)는 장치 본체(110)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관통되도록 파이프를 설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통수경로(114)를 통해서 메인관(10) 내부에서의 물의 흐름이 장치본체(110)에 의해 막히지 않고 자연스럽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장치본체(110)를 메인관(10) 내부로 진입시켜서 보수작업 시 메인관(10) 내의 유체 흐름을 중단시키거나 다른 곳으로 바이패스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량과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 장치본체(110)의 전단 및 후단부에는 견인용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견인고리(1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장치본체(110)의 후단부에는 에어 공급호스(115)가 연결된다. 에어 공급호스(115)는 장치본체(110)에 설치되는 본체 접속부(160)에 연결된다.
본체 접속부(160)는 장치본체(110)의 상면의 대략 중앙부분에 설치되며,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 본체 접속부(160)는 에어 공급경로(161)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에어 공급경로(161)는 지관 보수유닛(140)의 연결포트(14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포트 삽입부(163)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 접속부(160)에는 에어 공급경로(16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측에서 내부로 관통되게 볼트 체결공(165)이 형성되며, 한 쌍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관 보수유닛(140)은 베이스(141)와, 베이스(141)의 상부에 설치되는 팽창팩(143)과, 베이스(141)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포트(145)를 구비한다.
베이스(141)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베이스(141)는 연결포트(145)를 장치 본체(110)의 본체 접속부(160)에 연결시 장치 본체(110)의 평평한 상면에 밀착되어 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팽창팩(143)은 팽창 시 메인관(10)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접촉되는 하부 팽창부(143a)와, 하부 팽창부(143a)의 중앙부분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연결되어 지관(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지관용 팽창부(143b)를 가진다. 하부 팽창부(143a)는 지관(20)의 연결부분을 기준으로 메인관(10)의 내주에 대응되도록 소정 면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팽창시 상하 방향으로 팽창한다.
지관용 팽창부(143b)는 하부 팽창부(143a)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며, 상부로 봉 형상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지관(2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지관용 팽창부(143b)는 팽창시 상부 방향으로 일부 팽창되며, 대부분의 팽창방향은 측면으로 확장되어 지관(20)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팽창팩(143)의 내부로는 텐션바 형태의 감지센서(148)가 설치되어 정확한 팽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텐션바가 완전히 펼쳐졌을 때에 팽창 여부가 확인되며, 덧붙여, 펼쳐진 팽창팩(143)이 옆으로 팽창하게 되면 압착력의 증가를 감지하여 더 이상의 팽창을 제어할 수 있다.
연결포트(145)는 베이스(141)의 하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본체 포트부(160)의 포트 삽입부(163)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포트 몸체부(145a)와, 포트 몸체부(145a)와 베이스(141) 사이에 마련되며 외경이 축소된 걸림턱부(145b) 및 포트 몸체(145a)의 외주에 환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링 결합홈(145c)에 결합되는 복수의 오링(145d)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연결포트(145)가 본체 접속부(160)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 체결공(165)으로 볼트(147)를 삽입하여 결합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47)가 걸림턱부(145b)에 밀착되어 걸림으로써, 연결포트(145)가 본체 접속부(160)에서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포트(145)에 포함된 오링(145d)에 의해 연결포트(145)와 본체 접속부(160) 사이가 밀폐되어 외부로 에어가 나오지 않고, 본체 접속부(160)의 에어 공급경로(161)를 통해 유입되는 에어는 연결포트(145)를 통해 팽창팩(143)으로 공급되어 팽창팩(143)을 팽창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지관 보수유닛(140)에 지관 보수부재(170)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팽창팩(143)을 팽창시키게 되면, 지관 보수부재(170)가 펼쳐지면서 지관(20) 및 메인관(10)에 결쳐서 보수할 부분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지관 보수부재(170)는 유리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관 보수부재(1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관(20) 내부로 삽입되어 지관(20)의 내주를 보수할 지관 보수부(171)와, 지관 보수부(171)에서 연결되며 지관과 메인관의 연결부분 및 메인관(10)의 내주에 밀착되어 시공될 메인관 결합부(172)로 구분된다. 지관 보수부(171)는 팽창 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지관 보수부(171)는 팽창팩(143)의 지관용 팽창부(143b)에 지지된 상태로 지관(20) 내부로 진입되어 지관(20)의 내벽에 밀착되어 보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지관 보수부(171)는 지관용 팽창부(143b)에 끼워져 걸리되, 지관용 팽창부(143b)가 지관 보수부(171)를 완전히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의 모서리부분(171a)을 접어서 박음질 실(174)로 지관 보수부(171)에 박음질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박음질 실(174)은 지관용 팽창부(143b)가 팽창시 팽창압력에 의해 지관 보수부(171)가 원통형으로 펼쳐질 때 쉽게 뜯어질 수 있을 정도로 약하게 박음질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메인관 결합부(173)는 지관 보수부(171)에서 연결되며, 연결부분에서 양측으로 더 확장된 상태에서 하단은 단락된 구성을 가진다. 즉, 메인관 결합부(173)는 상부 테두리만 박음질부(173a)에 의해 막혀 있고, 양측과 하단은 개방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지관 보수유닛(140)에 장착한 상태로 메인관(10) 내부로 운송할 때, 장치 몸체(110)의 외측을 감싸서 덮은 상태로 이동되며, 팽창팩(143)의 팽창시 하부 팽창부(143a)에 의해 메인관(10)의 내주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지관 보수부재(170)를 장치 본체(110)에 장착 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 결합부(173)는 장치 본체(110)를 감싸도록 감은 상태에서, 팽창압력에 의해 절단 가능한 밴드를 이용하여 풀리지 않게 감아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지관 보수부재(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수재(170a,170b)를 준비하여 서로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일부 부분을 박음질하여 연결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겹쳐진 상태에서의 지관 보수부(171)의 양단의 연결부분을 박음질하여 박음질부(171c)를 마련하고, 메인관 결합부(173)의 상단부분을 서로 연결하도록 박음질한 박음질부(173a)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6과 같이 지관 보수부(171)의 상단 모서리부분(171a)을 접어서 박음질함으로써, 지관 보수부(171)의 상부 개방부의 입구를 임시로 축소시켜 놓는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지관 보수부재(170)는 지관 보수유닛(140)에 장착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팩(143)에 지관 보수부(171)가 끼워져서 상단에 지지되도록 씌운다. 이 상태에서 장치 본체(110)를 메인관(10) 내부로 진입시키게 되는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랙시블한 재질인 팽창팩(143)을 접은 상태로 견인 로프(30) 등을 이용하여 진입시키며, 카메라(230)로 메인관(10)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보면서 지관(20)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팽창팩(143)이 접힌 상태에서 큰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 메인관(1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과 같이, 팽창팩(143)이 지관(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면, 접혀있던 팽창팩(143)이 펼쳐지면서 지관(20)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외부에서 에어를 팽창팩(143)으로 공급하게 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팩(143)이 팽창하면서 지관 보수부재(171)를 상승시키고 확장시켜서 지관(20)과 메인관(10)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일정시간을 유지하게 되면, 지관 보수부재(170)가 경화되어 지관(20)과 메인관(10)의 연결부분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지관 보수부재(170)는 유리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외에 다양한 공지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지관 보수부재(170)의 재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관 보수부재(170)는 지관 보수부(171)의 상부 테두리부분과 메인관 결합부(172)의 양측 테두리부분에 확장밴드(175)(176)가 각각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확장밴드(175)(176)는 지관 보수부재(170)와 지관(20) 및 메인관(10)이 닿는 부분에 설치되며, 물이 닿으면 확장되어 관과 지관 보수부재(170) 사이의 틈을 실링하여 물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유리섬유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지관 보수부재(170)가 관 내측에 밀착되어 결합된 후에는, 팽창팩의 에어를 빼내어서 축소시킨 후에, 장치 본체(110)를 도 15와 같이 메인관(10)의 외부로 빼내게 되면, 지관 보수작업이 마무리 된다.
한편, 장치본체(110)의 후단에 탈, 장착이 가능하며, 탈착 시 독립 운용이 가능한 촬영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촬영유닛(200)은 크게 이동본체(210)와, 장치본체(110)로부터 탈,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척킹아암(220)과, 카메라(230)로 구성된다.
이동본체(210)는 장치본체(110)와 같이 길이가 긴 통 구조를 가지며, 정면 또는 후면에서 본 형상 즉, 정면형상은 대략 원형 구조를 가지나, 그 형상에 대해서는 다각 형상도 무방하다.
이동본체(210)의 내부로는 구동모터(212)가 설치되며, 이 구동모터(212)는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바퀴(214)를 구동시키게 된다.
바퀴(214)는 바람직하게 4개이고, 전, 후진 이동을 돕게 된다.
그리고 이동본체(210)의 전단에는 회동모터(216)가 설치되어 설치되는 척킹아암(220)을 상, 하로 틸팅 시킬 수 있다.
이동본체(210)의 전단측에 설치되는 척킹아암(220)은, 마주하는 한 쌍의 아암(222)으로 이루어지고, 각 아암(222)은 실린더(224)에 연결되어 오므려지고, 벌어지는 작동으로 장치본체(110)에 탈,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본체(210)의 상부측으로 지지대(232)가 수직하게 돌출되고, 이 지지대(232)에 카메라(230)가 설치되며, 이 카메라(230)는 지지대(232)의 회전(모터작동: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더욱이 카메라(230)의 근처에는 조명장치(2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촬영유닛(200)은, 척킹아암(220)을 통하여 장치본체(110)에 장착 시, 카메라(230)에 케이블(미도시)가 연결되어 메인관(10)의 내부는 물론, 지관 연결부분을 외부의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 영상을 전송하게 된다.
특히, 카메라(230)는 지지대(232)의 회전 그리고 회동모터(216)에 의하여 틸팅이 가능하여 전방의 상황에 따라 회전 및 틸팅되면서 정확한 작업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척킹아암(220)의 탈착 시 구동모터(212)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전, 후진 운용이 가능하여 작업 전에 이동본체(210)를 메인관(10)의 내부로 이동시켜서 보수 부분의 확인이 가능하고, 작업 후에도 별도로 운용되어 보수 결과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본체(110)에 탈, 장착 가능하며 독립 운용이 가능한 촬영유닛(200)을 설치함으로써, 하수관의 보수 이전에 독립 투입되어 상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보수 중에도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보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독립 투입으로 보수 결과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장치본체(110) 정면을 원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지관 보수부재(170)의 균등 팽창이 가능하며, 장치본체(110) 상에 코일열선(114)을 설치하여 경화재의 경화시간 단축을 도울 수 있다.
또, 지관 보수유닛(140)에 감지센서(148)가 설치되어 정확한 팽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메인관 20 : 지관
100 : 관 보수장치 110 : 장치 본체
114 : 코일열선 120 : 바퀴
130 : 카메라모듈 140 : 지관 보수유닛
148 : 감지센서 160 : 본체 접속부
170 : 지관 보수부재 200 : 촬영유닛
210 : 이동본체 212 : 구동모터
214 : 바퀴 220 : 척킹아암
222 : 아암 224 : 실린더
230 : 카메라 232 : 지지대
240 : 조명장치

Claims (8)

  1.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다수개의 바퀴가 설치되고, 외주연에는 코일열선이 설치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관과 지관의 연결부분을 보수할 지관 보수부재를 지지한 상태에서 팽창 시 상기 지관 및 메인관 내측에 상기 지관보수부재를 밀착시키는 지관보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본체의 후단에 탈, 장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탈착 시 독립 운용이 가능한 촬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유닛은,
    구동모터에 의하여 전, 후진 이동되며,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다수개의 바퀴가 설치되는 이동본체와,
    상기 이동본체의 전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본체의 후단에 탈, 장착되는 척킹아암과,
    상기 이동본체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카메라로 구성되고,
    상기 척킹아암은,
    상기 이동본체의 전단에 회동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척킹아암의 틸팅이 가능하며, 마주하는 한 쌍의 아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아암은 실린더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보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지지대에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에 의하여 360°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보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근처에는 조명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보수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보수유닛의 팽창팩 내부로는 텐션바 형태의 감지센서가 더 설치되어 상기 팽창팩의 팽창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보수장치.
KR1020160094110A 2016-07-25 2016-07-25 하수관 보수장치 KR10171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10A KR101717132B1 (ko) 2016-07-25 2016-07-25 하수관 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10A KR101717132B1 (ko) 2016-07-25 2016-07-25 하수관 보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132B1 true KR101717132B1 (ko) 2017-03-17

Family

ID=5850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110A KR101717132B1 (ko) 2016-07-25 2016-07-25 하수관 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751B1 (ko) * 2018-03-02 2018-10-05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급결시멘트를 이용한 대구경 하수관로 보수장치
KR102393599B1 (ko) * 2020-12-08 2022-05-03 주식회사 뉴보텍 비굴착형 하수관 보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879Y1 (ko) * 2002-07-04 2002-11-13 김일환 관로조사용 자주차
KR100646802B1 (ko) * 2005-09-16 2006-11-2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관로 보수용 패커
JP2014162209A (ja) * 2013-02-27 2014-09-08 Okumura Doro Co Ltd 下水管ライニングチューブへの枝管接続装置及び方法
KR101636470B1 (ko) * 2015-11-11 2016-07-06 김도환 하수관로의 본관과 연결관 접합부 보수장치 및 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879Y1 (ko) * 2002-07-04 2002-11-13 김일환 관로조사용 자주차
KR100646802B1 (ko) * 2005-09-16 2006-11-2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관로 보수용 패커
JP2014162209A (ja) * 2013-02-27 2014-09-08 Okumura Doro Co Ltd 下水管ライニングチューブへの枝管接続装置及び方法
KR101636470B1 (ko) * 2015-11-11 2016-07-06 김도환 하수관로의 본관과 연결관 접합부 보수장치 및 보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751B1 (ko) * 2018-03-02 2018-10-05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급결시멘트를 이용한 대구경 하수관로 보수장치
KR102393599B1 (ko) * 2020-12-08 2022-05-03 주식회사 뉴보텍 비굴착형 하수관 보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821B1 (ko) 균일 팽창이 가능한 패커를 구비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US595068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junction of a sewer main line and lateral
CN105065846B (zh) 地下管道修复系统及地下管道修复方法
KR101245258B1 (ko) 하수관의 본관과 가지관이 연결된 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 방법 및 장치
KR101862254B1 (ko) 관로 이음부 상태 조사겸 보수용 공기압 주입식 팩커 및 이의 관로 이음부 자동 세팅방법
KR101001729B1 (ko) 관로의 보수 방법 및 이를 위한 보수 장치
KR101157080B1 (ko) 하수관과 가지관 접합부의 비굴착 보수 장치 및 보수 방법
KR101717132B1 (ko) 하수관 보수장치
NZ522599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lining passageways
CA2745405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ing a pipe junction
MX2014013362A (es) Ensamble de forro para reparacion o refuerzo de tuberia y metodo para instalarlo.
KR101907405B1 (ko) 지하 도관의 보수 장치 및 그의 보수 방법
KR20140092465A (ko)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시스템 및 공법
KR102014460B1 (ko) 관로 배면의 함몰량 진단겸 채움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배면 함몰량 진단겸 채움재 주입공법
KR100914748B1 (ko) 진공을 이용한 하수관 부분 보수 시험장치 및 방법
KR101245259B1 (ko) 하수관의 본관과 가지관이 연결된 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 방법 및 장치
KR101636470B1 (ko) 하수관로의 본관과 연결관 접합부 보수장치 및 보수방법
KR20210071529A (ko) 하수관 부분보수장치
JP4481514B2 (ja) 更生管の止水方法と止水部材の保持装置
KR101188717B1 (ko) 하수관과 가지관 접합부의 비굴착 연속 보수 장치 및 연속 보수 방법
JP3746972B2 (ja) 取付管口の止水方法
JP2008215370A (ja) 既設管渠の更生方法、及び治具等
KR102393599B1 (ko) 비굴착형 하수관 보수 시스템
JP2003166284A (ja) 下水道本管との接続部位を含む取付管の補修方法
JP3986336B2 (ja) 立て坑のシ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