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460B1 -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460B1
KR101716460B1 KR1020160015731A KR20160015731A KR101716460B1 KR 101716460 B1 KR101716460 B1 KR 101716460B1 KR 1020160015731 A KR1020160015731 A KR 1020160015731A KR 20160015731 A KR20160015731 A KR 20160015731A KR 101716460 B1 KR101716460 B1 KR 101716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battery
state information
battery state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오스
Priority to KR102016001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01R31/367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정보수집장치(OBD)에 연결되어 차량정보를 획득한 배터리 측정모듈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로 배터리 상태정보를 무선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날씨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운행 중 구동될 부대장치들에서의 소모 전력(계절 및 날씨에 따라 에어콘이나 히터 등 소모 전력이 증감하며, 블랙박스의 구비시 그 구동을 위한 추가 소모 전력이 요구됨)을 고려하여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주행 가능한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운행일정을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운행할 수 있는 실질 주행가능거리와 운행일정상의 예정경로를 비교하여 추가적인 충전을 권고하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미리 전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운행 전에 전기자동차의 충전여부를 미리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게 한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ELECTRIC VEHICLE CARE SYSTEM USING BATTERY INFORMATION}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정보수집장치(OBD)에 연결되어 차량정보를 획득한 배터리 측정모듈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로 배터리 상태정보를 무선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날씨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운행 중 구동될 부대장치들에서의 소모 전력(계절 및 날씨에 따라 에어콘이나 히터 등 소모 전력이 증감하며, 블랙박스의 구비시 그 구동을 위한 추가 소모 전력이 요구됨)을 고려하여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주행 가능한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운행일정을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운행할 수 있는 실질 주행가능거리와 운행일정상의 예정경로를 비교하여 추가적인 충전을 권고하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미리 전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운행 전에 전기자동차의 충전여부를 미리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게 한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적인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전기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물로서 여러 자동차 생산업체에서 다양한 종류의 전기자동차를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으로 자동차를 구동하게 되므로,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관리가 일반적인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훨씬 중요하게 된다.
그에 따라 현재 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경우 이론적인 스펙상 1회 충전시 최대 주행거리를 명시하고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전기자동차 효율 분석 그림과 같이, 충전된 전력이 주행에만 소모되지 않고 전기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내비게이션이나 블랙박스, 공조기 등 다른 부대장치들을 동작시키는 데에도 사용되므로, 실질적인 주행거리는 스펙상에 명시된 주행거리에 미치지 못하게 됨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기아 2014 쏘울 EV의 경우 스펙(Spec)상 주행거리는 148km 이지만 실제 주행거리는 90~118km에 불과하고, 르노삼성 SM3 Z.E.의 경우 스펙상 주행거리는 135km 이지만 실제 주행거리는 108~121km에 불과하며, 쉐보레 스파크 EV의 경우 스펙상 주행거리는 128km 이지만 실제 주행거리는 103km에 불과하고, 기아 레이 EV의 경우 스펙상 주행거리는 91km 이지만 실제 주행거리는 68km에 불과하게 된다.
이러한 스펙상 주행거리와 실제 주행거리 사이의 차이는 다른 요인보다는 주행 중 다른 부대장치를 동작시키는데 전력이 사용되기 때문인바,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 중 어느 정도를 다른 부대장치 동작에 사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된다.
또한, 전기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공조기의 구동 여부에 따라 부대장치에서 사용되는 전력의 소모 정도도 크게 달라지게 되므로,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을 주행에 어느 정도 이용할 수 있는지는 계절과 같은 날씨 요인에 크게 좌우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통상적인 전기자동차의 경우 이렇게 부대장치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고려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지 않게 됨은 물론, 날씨에 따라 부대장치에서 어느 정도의 전력이 사용될지 여부를 고려하여 제공하지 않곤 하는바, 운전자가 예상하였던 주행가능거리보다 실질적인 주행거리는 많이 줄어들게 되곤 하였다.
운전자의 예상보다 실질적인 주행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운전 중 차량의 운행이 정지되는 것은 비단 전기자동차에 국한된 문제는 아니지만, 소량의 가솔린이나 경유를 주입하여 주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거리를 다시 이동할 수 있는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충전소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전기자동차의 경우 방전으로 인해 운행하지 못하게 되면 간편하게 다시 운행을 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많이 있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777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실시간으로 감시된 배터리 감시정보를 수집한 후 수집된 배터리 감시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배터리 상태를 파악하며, 이와 같이 파악된 배터리 상태 관련 정보와 배터리 감시정보를 포함하는 배터리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버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로부터 배터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상태 확인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7779호의 경우 사용자가 배터리의 상태를 언제 어디서든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파악한 배터리의 상태가 어느 정도 충전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정도에 그치고 말게 되므로, 잔여 배터리 충전량으로 실제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신경을 써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내비게이션이나 블랙박스 또는 공조기 등에서 소요되는 전력을 예측하기 어려워 실질적인 주행거리를 사용자가 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전기자동차를 운행하고자 계획하고 있을 경우 배터리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것만으로는 추가적인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미리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필요한 만큼 충전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오래 소요될 수 밖에 없으므로, 미리 충전을 해 놓지 않을 경우 전기자동차를 이용하지 못하거나, 운행 중 낭패를 겪게 되는 위험을 여전히 감수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77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5627호
본 발명은 차량정보수집장치(OBD)에 연결되어 차량정보를 획득한 배터리 측정모듈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로 배터리 상태정보를 무선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날씨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운행 중 구동될 부대장치들에서의 소모 전력(계절 및 날씨에 따라 에어콘이나 히터 등 소모 전력이 증감하며, 블랙박스의 구비시 그 구동을 위한 추가 소모 전력이 요구됨)을 고려하여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주행 가능한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운행일정을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운행할 수 있는 실질 주행가능거리와 운행일정상의 예정경로를 비교하여 추가적인 충전을 권고하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미리 전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운행 전에 전기자동차의 충전여부를 미리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게 한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은,
전기자동차의 차량정보수집장치(OBD)에 연결되어 차량정보를 획득한 후,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배터리 측정모듈;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에서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수신한 후, 날씨의 변화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부대장치에서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고려하여,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주행 가능한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전송하고, 무선통신망상에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일정을 수신한 후, 주행 전 또는 주행 중의 추가 충전을 안내하는 충전권고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전기자동차 케어서버; 및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정보와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운행일정을 등록한 후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생성된 충전권고메시지를 수신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은,
전기자동차의 차량정보수집장치(OBD)에 연결되어 차량정보를 전달받은 후, 수령한 차량정보로부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OBD 단자 연결부; 및 상기 OBD 단자 연결부에서 획득한 배터리 상태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는,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무선통신망상에서 수신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상태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배터리 상태정보 갱신부; 및 상기 배터리 상태정보 갱신부에서 새로 수신한 배터리 상태정보로부터 현재의 날씨에 따라 구동해야 하는 공조기와 전기자동차의 부대장치들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제외한 잔여 충전량으로 주행할 수 있는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행가능거리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전기자동차 운행일정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운행일정 등록부; 상기 운행일정 등록부에 의해 저장된 운행일정에 따라 전기자동차로 이동할 예정경로와 거리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예정경로 생성부; 및 상기 예정경로 생성부에서 산출된 예정경로에 따라 이동할 거리와 상기 주행가능거리 갱신부에서 산출된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비교하여 현재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주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 후, 추가 충전이 필요할 경우 전기자동차의 주행 전 또는 주행 중 추가적인 충전을 권고하는 충전권고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충전권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충전권고메시지는, 상기 예정경로 생성부에서 산출된 예정경로 상에서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나 배터리 측정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배터리 상태정보 수신부;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 접속하여 전기자동차를 이용하려는 운행일정을 입력하는 운행일정 입력부; 및 사용자가 입력한 운행일정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생성된 충전권고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출시키는 충전권고메시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측정모듈로부터 전송된 배터리 상태정보를 수신한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날씨에 따라 또는 전기자동차의 운행 중 구동될 부대장치들에서의 소모 전력을 고려하여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주행 가능한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운행일정을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운행할 수 있는 실질 주행가능거리와 운행일정상의 예정경로를 비교하여 추가적인 충전을 권고하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미리 전송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운행 전에 전기자동차의 충전여부를 미리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전기자동차의 효율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분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의 개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의 개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은, 전기자동차의 차량정보수집장치(OBD)에 연결되어 차량정보를 획득한 후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배터리 측정모듈(100)과,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에서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수신한 후 날씨의 변화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부대장치에서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고려하여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주행 가능한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전송하고 무선통신망상에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일정을 수신한 후 주행 전 또는 주행 중의 추가 충전을 안내하는 충전권고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전기자동차 케어서버(200)와,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정보와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운행일정을 등록한 후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생성된 충전권고메시지를 수신하는 스마트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100)은, 전기자동차의 차량정보수집장치(OBD)에 연결되어 차량정보를 전달받은 후 수령한 차량정보로부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OBD 단자 연결부(110)와, 상기 OBD 단자 연결부에서 획득한 배터리 상태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OBD 단자 연결부(110)는, 전기자동차의 ECU 등으로부터 연비와 가속도 정보 및 배터리 상태정보 등 차량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에 구비되어 있는 차량정보수집장치(OBD : On-Board Diagnostic System)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시간마다 차량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OBD 단자 연결부(110)는 차량정보수집장치(OBD)로부터 수신한 전기자동차의 다양한 차량정보들을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200)로 전송하되, 상기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활용하여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산정하고 충전권고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는바, 이하에서는 상기 OBD 단자 연결부에서 배터리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것만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이 상기 OBD 단자 연결부가 상기 차량정보수집장치로부터 배터리 상태정보만을 획득하게 되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전기자동차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차량 정보를 상기 OBD 단자 연결부에서 획득한 후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OBD 단자 연결부에서 획득한 배터리 상태정보 등의 다양한 차량정보들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로 전송하는 원거리 통신모듈(122)과, 상기 OBD 단자 연결부에서 획득한 배터리 상태정보 등의 다양한 차량정보들을 전기자동차에 탑승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모듈(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100)에서는, 상기 원거리 통신모듈(122)을 통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200)로 배터리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게 됨은 물론, 사용자가 운전을 위해 전기자동차에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24)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300)로 배터리 상태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도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에서는 원거리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미리 등록되어 있어야 하고,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미리 등록되어 상호 매치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200)는,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무선통신망상에서 수신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상태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배터리 상태정보 갱신부(210)와, 상기 배터리 상태정보 갱신부에서 새로 수신한 배터리 상태정보로부터 현재의 날씨에 따라 구동해야 하는 공조기와 전기자동차의 부대장치(내비게이션, 블랙박스 등)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제외한 잔여 충전량으로 주행할 수 있는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행가능거리 갱신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상태정보 갱신부(210)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100)에서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20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는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최근 상태정보가 저장되어 있게 되고, 이러한 최근의 배터리 상태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300)로 전송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의 배터리 상태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주행가능거리 갱신부(220)는,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저장되어 있는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주행할 수 있는 주행거리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행가능거리 갱신부(220)에서는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부터 현재의 날씨에 따라 주행 중 구동해야 하는 공조기에서 소모되는 전력량과, 전기자동차의 주행에 필요한 내비게이션이나 블랙박스 등의 부대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제외한 나머지 충전량만으로 주행할 수 있는 주행거리를 실질적인 주행가능거리로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로서는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을 나타내는 수치 자체에 의존하지 않고, 상기 주행가능거리 갱신부(220)에서 산출된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현재의 충전량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가 공조기 등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부대설비의 구동에 의해 주행 중 갑작스럽게 감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현재의 충전량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되며, 충전시점도 안전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로서는 전기자동차에 탑승하여 시동을 켜지 않고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도 상기 주행가능거리 갱신부에서 전송되는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게 되므로, 배터리 상태정보와 그에 따른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전기자동차 운행 여부나 충전 여부를 미리 예측할 수 있어, 주행 중 배터리의 충전 부족으로 인한 곤란에 처하게 되는 위험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2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전기자동차 운행일정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운행일정 등록부(230)와, 상기 운행일정 등록부에 의해 저장된 운행일정에 따라 전기자동차로 이동할 예정경로와 거리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예정경로 생성부(240)와, 상기 예정경로 생성부에서 산출된 예정경로에 따라 이동할 거리와 상기 주행가능거리 갱신부에서 산출된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비교하여 현재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주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 후 추가 충전이 필요할 경우 전기자동차의 주행 전 또는 주행 중 추가적인 충전을 권고하는 충전권고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충전권고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운행일정 등록부(230)는, 전기자동차를 이용하여 운행할 사용자의 운행일정을 스마트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운행일정 등록부(230)는 사용자가 전기자동차를 이용할 시간정보뿐만 아니라 전기자동차로 이동할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정보를 운행일정으로 함께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운행일정으로 시간정보와 지역정보를 함께 수신함으로써, 날씨 등 외부조건에 따른 부대장치의 구동여부를 예측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전기자동차로 이동해야 하는 이동거리의 산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예정경로 생성부(240)는, 상기 운행일정 등록부에 의해 수신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운행일정 상의 지역정보를 토대로 전기자동차로 이동해야 하는 예정경로와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는 예정경로와 이동거리의 산출을 위한 맵(map)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맵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의 위치정보가 함께 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운행일정에 따라 전기자동차를 주행하는 동안 충전이 가능한 경로를 미리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배터리의 충전량 부족으로 인하여 운행이 어렵게 되는 상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충전권고부(250)는, 상기 예정경로 생성부(240)에서 운행일정에 따라 산출된 예정경로에 따른 이동거리와 상기 주행가능거리 갱신부(220)에서 배터리의 현재 잔여 충전량을 기반으로 산출된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비교하여, 현재의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운행일정에 따른 주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판단 결과 현재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만으로는 주행하기 부족할 경우에는, 상기 충전권고부(250)에서 주행 전 또는 주행 중 추가적인 충전을 권고하는 충전권고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충전권고메시지에는 상기 예정경로 생성부에서 산출된 예정경로 상에서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부족한 충전소를 찾기 위해 헤매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충전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300)는,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나 배터리 측정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배터리 상태정보 수신부(310)와,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 접속하여 전기자동차를 이용하려는 운행일정을 입력하는 운행일정 입력부(320)와, 사용자가 입력한 운행일정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생성된 충전권고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출시키는 충전권고메시지 수신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상태정보 수신부(310)는,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에서 획득한 배터리 상태정보를 전기자동차 케어서버(200)로부터 전달받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로서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상태를 전기자동차에 가지 않고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웹(Web)이나 앱(App)을 통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 접속하여 언제든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 상태정보 수신부(320)는, 단순히 배터리의 잔여 충전량을 포함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 구비된 주행가능거리 갱신부(220)에서 산출된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도 함께 수신하여, 사용자가 전기자동차의 이용 및 배터리 충전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전기자동차에 탑승하여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124)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 상태정보 수신부(310)에서 배터리 측정모듈(100)로부터 배터리 상태정보를 직접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과 배터리 상태정보 수신부 상호간이 등록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운행일정 입력부(320)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 케어서버(200)에 접속한 후 전기자동차를 이용하려는 운행일정, 즉 운행시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와, 운행지역을 나타내는 지역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운행일정을 전기자동차 케어서버(200)에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운행일정 입력부(320)에 의해 전기자동차를 이용하려는 일정을 등록함으로써,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200)에서는 등록된 운행일정에 맞춰서 전기자동차의 이용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충전권고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충전권고메시지 수신부(330)는, 상기 운행일정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운행일정을 토대로 주행 전 또는 주행 중 추가적인 충전이 필요함을 안내하고,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의 위치정보를 함께 안내하는 충전권고메시지를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충전권고메시지를 본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와 일정에 따라 전기자동차를 이용하기 전 또는 이용하는 도중 적절한 시점에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되어, 예상치 못한 전력소모로 인하여 전기자동차의 주행에 필요한 전력이 부족하게 되어 운행을 중단해야 하는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배터리 측정모듈 110 : OBD 단자 연결부
120 : 통신부 122 : 원거리 통신모듈
124 : 근거리 통신모듈
200 : 전기자동차 케어서버 210 : 배터리 상태정보 갱신부
220 : 주행가능거리 갱신부 230 : 운행일정 등록부
240 : 예정경로 생성부 250 : 충전권고부
300 : 스마트 단말기 310 : 배터리 상태정보 수신부
320 : 운행일정 입력부 330 : 충전권고메시지 수신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기자동차의 차량정보수집장치(OBD)에 연결되어 차량정보를 획득한 후,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배터리 측정모듈;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에서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수신한 후, 날씨의 변화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부대장치에서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소모 전력을 고려하여,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주행 가능한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전송하고, 무선통신망상에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일정을 수신한 후, 주행 전 추가 충전을 안내하는 충전권고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전기자동차 케어서버; 및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정보와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운행일정을 등록한 후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생성된 충전권고메시지를 수신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은,
    전기자동차의 차량정보수집장치(OBD)에 연결되어 차량정보를 전달받은 후, 수령한 차량정보로부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OBD 단자 연결부; 및
    상기 OBD 단자 연결부에서 획득한 배터리 상태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는,
    상기 배터리 측정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무선통신망상에서 수신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상태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배터리 상태정보 갱신부;
    상기 배터리 상태정보 갱신부에서 새로 수신한 배터리 상태정보로부터 현재의 날씨에 따라 구동해야 하는 공조기와 전기자동차의 부대장치들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제외한 잔여 충전량으로 주행할 수 있는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행가능거리 갱신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운행일정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운행일정 등록부;
    상기 운행일정 등록부에 의해 저장된 운행일정에 따라 전기자동차로 이동할 예정경로와 거리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예정경로 생성부; 및
    상기 예정경로 생성부에서 산출된 예정경로에 따라 이동할 거리와 상기 주행가능거리 갱신부에서 산출된 실질 주행가능거리를 비교하여 현재 배터리 상태정보 상의 잔여 충전량으로 주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 후, 추가 충전이 필요할 경우 전기자동차의 주행 전 추가적인 충전을 권고하는 충전권고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충전권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권고메시지는, 상기 예정경로 생성부에서 산출된 예정경로 상에서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나 배터리 측정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배터리 상태정보 수신부;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 접속하여 전기자동차를 이용하려는 운행일정을 입력하는 운행일정 입력부; 및
    사용자가 입력한 운행일정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 케어서버에서 생성된 충전권고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출시키는 충전권고메시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
KR1020160015731A 2016-02-11 2016-02-11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 KR101716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731A KR101716460B1 (ko) 2016-02-11 2016-02-11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731A KR101716460B1 (ko) 2016-02-11 2016-02-11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460B1 true KR101716460B1 (ko) 2017-03-15

Family

ID=5840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731A KR101716460B1 (ko) 2016-02-11 2016-02-11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46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857B1 (ko) 2017-10-31 2019-01-03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KR20200059580A (ko) * 2018-11-21 2020-05-29 디노플러스 (주) 사물인터넷 기반의 차량단말장치를 이용한 차량관리시스템
WO2021020817A1 (ko) * 2019-07-31 2021-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상태 예측 장치 및 배터리 상태 예측 방법
KR20210026031A (ko) * 2019-08-29 2021-03-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N112700135A (zh) * 2020-12-31 2021-04-23 小犀新能源科技(南京)有限公司 一种基于车载obd智能盒子采集数据的充电推荐方法
WO2021101048A1 (ko) * 2019-11-21 2021-05-27 (주)에코브레인 차량센서를 활용한 전기차용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KR102371424B1 (ko) * 2020-10-30 2022-03-10 주식회사 에스제이 테크 Bms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 통합관리시스템
CN115635881A (zh) * 2022-10-31 2023-01-24 天津大学 新能源汽车的电池智能管理方法
KR20240059026A (ko) 2022-10-26 2024-05-07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행경로 맵에 기반한 킥보드 주행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8590A (ja) * 2005-11-24 2007-06-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充電スタンド情報提供サーバ、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87779A (ko) 2012-01-30 2013-08-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상태 확인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3250801A (ja) * 2012-05-31 2013-12-12 Nec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携帯通信端末、携帯通信端末の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サーバ、サーバの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
KR20140042306A (ko) * 2012-09-28 2014-04-07 (주)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의 수집 및 그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주행효율 판단 장치와 그 방법
KR101535627B1 (ko) 2013-11-11 2015-07-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8590A (ja) * 2005-11-24 2007-06-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充電スタンド情報提供サーバ、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87779A (ko) 2012-01-30 2013-08-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상태 확인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3250801A (ja) * 2012-05-31 2013-12-12 Nec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携帯通信端末、携帯通信端末の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サーバ、サーバの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
KR20140042306A (ko) * 2012-09-28 2014-04-07 (주)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의 수집 및 그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주행효율 판단 장치와 그 방법
KR101535627B1 (ko) 2013-11-11 2015-07-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857B1 (ko) 2017-10-31 2019-01-03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KR20200059580A (ko) * 2018-11-21 2020-05-29 디노플러스 (주) 사물인터넷 기반의 차량단말장치를 이용한 차량관리시스템
KR102210021B1 (ko) 2018-11-21 2021-02-02 디노플러스 (주) 사물인터넷 기반의 차량단말장치를 이용한 차량관리시스템
WO2021020817A1 (ko) * 2019-07-31 2021-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상태 예측 장치 및 배터리 상태 예측 방법
KR20210026031A (ko) * 2019-08-29 2021-03-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279010B1 (ko) * 2019-08-29 2021-07-1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WO2021101048A1 (ko) * 2019-11-21 2021-05-27 (주)에코브레인 차량센서를 활용한 전기차용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KR20210062205A (ko) * 2019-11-21 2021-05-31 (주)에코브레인 차량센서를 활용한 전기차용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KR102309268B1 (ko) * 2019-11-21 2021-10-07 (주)에코브레인 차량센서를 활용한 전기차용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US11858377B2 (en) 2019-11-21 2024-01-02 Ecobrain Co., Ltd.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system for electric vehicle using vehicle sensors
KR102371424B1 (ko) * 2020-10-30 2022-03-10 주식회사 에스제이 테크 Bms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 통합관리시스템
CN112700135A (zh) * 2020-12-31 2021-04-23 小犀新能源科技(南京)有限公司 一种基于车载obd智能盒子采集数据的充电推荐方法
KR20240059026A (ko) 2022-10-26 2024-05-07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행경로 맵에 기반한 킥보드 주행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15635881A (zh) * 2022-10-31 2023-01-24 天津大学 新能源汽车的电池智能管理方法
CN115635881B (zh) * 2022-10-31 2024-04-12 天津大学 新能源汽车的电池智能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460B1 (ko)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
US10859390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network services
US98512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
US884949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a vehicle's energy source
US8996213B2 (en) Charge control system for electric motor vehicle
US9233620B2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vehicle assistance system, navigation device, and charging cable
CN104044462B (zh) 基于日历事件的用户接口系统和方法
US20140139354A1 (en) Vehicl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nd vehicle information administration system
KR101245572B1 (ko)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스테이션,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교환 예약시스템 및 그 예약방법
US20130261953A1 (en) Route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automobile
US94754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
JP6035917B2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CN103180165A (zh) 用于路由到充电站点的系统和方法
US2019024109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86708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and optimizing fuel/energy consumption
CN102770304A (zh) 电力供给控制装置以及信息提供装置
KR20150008256A (ko) 전기차의 주행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03831B1 (ko) 차량, 차량과 통신하는 서버 및 차량의 제어 방법
KR101369596B1 (ko) 전기자동차 상태정보 제공방법
JP2009023433A (ja) 給油案内方法、給油案内装置、車載端末、車両、及びセンターサーバ
KR101282616B1 (ko) 전기자동차의 항속 가능 거리 표시 방법
JP202118964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75958A (ko) 차계부 시스템
JP6787113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21056595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