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010B1 -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010B1
KR102279010B1 KR1020190106233A KR20190106233A KR102279010B1 KR 102279010 B1 KR102279010 B1 KR 102279010B1 KR 1020190106233 A KR1020190106233 A KR 1020190106233A KR 20190106233 A KR20190106233 A KR 20190106233A KR 102279010 B1 KR102279010 B1 KR 102279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ireless power
information
cran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031A (ko
Inventor
김동완
차명훈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0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구비하고,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컨테이너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갠트리 크레인, 및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구비하고,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컨테이너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트랜스퍼 크레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CRANE AND SYSTEM FOR TRANSFERRING WIRELESS POWER TO CONTAINER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기술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항만에 적재된 컨테이너에 전력을 공급하기는 방법은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0107호(2015.01.0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주로 유선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때, 냉동 컨테이너에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력 공급 시스템을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이 경우, 냉동 컨테이너는 정해진 위치에서만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자기유도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7229호(2019.05.08)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항만에서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구조를 활용하여 릴레이 방식으로 전력을 전달하나, 무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 부분이 여전히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이동성에 여전히 제한을 가지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가 여러 층으로 적재된 경우, 상층에 적재된 컨테이너는 전력 공급을 받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고, 집전 코일이 아래에 구비되어 컨테이너 안에 적재된 물품에 의해 파손이 되는 경우 전력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0107호(2015.01.0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7229호(2019.05.08)
개시되는 실시예는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기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갠트리 크레인; 및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트랜스퍼 크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에 설치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여 배터리 잔량 정보를 생성하는 배터리 잔량 확인부; 및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갠트리 크레인은,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에 의한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지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무선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갠트리 크레인은, 지면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레일;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레일; 및 일단이 상기 제2 레일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코일을 구비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와 대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갠트리 크레인은, 상기 컨테이너를 선박과 항만 간에 상차 및 하차하는 과정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로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은,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빅데이터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빅데이터 서버로부터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우선 순위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컨테이너 야드에 위치하는 컨테이너들에게 순차적으로 무선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2 무선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은, 지면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레일;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레일; 및 일단이 상기 제2 레일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코일을 구비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와 대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갠트리 크레인은,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컨테이너의 출입 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상기 갠트리 크레인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의 출입 기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의 영역에 존재하는 컨테이너들의 무선 전력 공급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으로 송신하는 빅데이터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및 무선 전력 송신부를 구비하고, 항만에서 상기 항만과 선박 간 상기 컨테이너의 상차 및 하차 작업 시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갠트리 크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에 설치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여 배터리 잔량 정보를 생성하는 배터리 잔량 확인부; 및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갠트리 크레인은,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에 의한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지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및 무선 전력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해당 컨테이너 야드에 적재된 컨테이너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트랜스퍼 크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는,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으로 송신하고, 상기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컨테이너 야드에 적재된 컨테이너들의 무선 전력 공급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으로 송신하는 빅데이터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은, 상기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야드에 적재된 컨테이너들에게 순차적으로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항만에서 상기 항만과 선박 간 컨테이너의 상차 및 하차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크레인으로서,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에 의한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지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무선 전력 제어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크레인은, 지면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레일;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레일; 및 일단이 상기 제2 레일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코일을 구비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무선 전력 수신부와 대면하도록 마련된다.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항만의 컨테이너 야드에서 컨테이너들의 적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크레인으로서,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빅데이터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빅데이터 서버로부터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 및 상기 수신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 야드에 적재된 컨테이너들에게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크레인은, 지면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레일;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레일; 및 일단이 상기 제2 레일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코일을 구비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무선 전력 수신부와 대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갠트리 크레인 및 트랜스퍼 크레인에 무선 전력 송신부를 설치하고, 각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 수신부를 설치함으로써, 항만에서 항만과 선박 간 상차 및 하차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각 컨테이너 야드에 적재된 컨테이너들의 배터리 잔량을 모니터링 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컨테이너들에게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항만에 설치되고 3축 이동이 가능한 크레인(갠트리 크레임 및 트랜스퍼 크레인)에 무선 전력 송신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적재 위치 및 적재 높이 등에 관계 없이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컨테이너에 용이하게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만 크레인을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만 크레인을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트랜스퍼 크레인이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만 크레인을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항만 크레인을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은 갠트리 크레인(104) 및 트랜스퍼 크레인(106)을 포함할 수 있다.
갠트리 크레인(104)은 선박(50)과 항만 간에 컨테이너를 싣거나 내리는 작업을 하는 크레인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갠트리 크레인(104)은 선박(50)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항만으로 들여오며, 항만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선박(50)에 싣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스퍼 크레인(106)은 항만 내 각 컨테이너 야드(A, B, C, D)에서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트레일러에 상차 및 하차 하는 작업을 하는 크레인을 의미할 수 있다. 갠트리 크레인(104)에 의해 선박(50)에서 항만으로 옮겨진 컨테이너는 각 컨테이너 야드에서 트랜스퍼 크레인(106)에 의해 적재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갠트리 크레인(104) 및 트랜스퍼 크레인(106)에는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컨테이너에는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송신부 및 무선 전력 수신부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 등에 의해 무선 전력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갠트리 크레인(104) 및 트랜스퍼 크레인(106)에 무선 전력 송신부를 장착하고, 각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 수신부를 장착함으로써,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상차 및 하차하는 과정에서 컨테이너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되고, 각 컨테이너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상차 및 하차하는 과정에서 컨테이너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갠트리 크레인(104) 및 트랜스퍼 크레인(106)과 컨테이너 간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때,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각 컨테이너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어느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것인지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만 크레인을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항만 크레인을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은 컨테이너(102), 갠트리 크레인(104), 트랜스퍼 크레인(106), 제1 베이스 스테이션(108), 제2 베이스 스테이션(110), 및 빅데이터 서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102), 갠트리 크레인(104), 트랜스퍼 크레인(106), 제1 베이스 스테이션(108), 제2 베이스 스테이션(110), 및 빅데이터 서버(112)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각 컨테이너(102)들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컨테이너(102)는 화물을 수송하는데 사용되는 규격화된 박스형 용기일 수 있다. 컨테이너(102)는 배터리 잔량 확인부(102a), 통신부(102b), 및 무선 전력 수신부(102c)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잔량 확인부(102a)는 컨테이너(102)에 설치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102)는 내부에 수용된 화물을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온도 조절 유닛(예를 들어, 냉동 유닛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온도 조절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온도 조절 유닛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102)의 다른 구성(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 확인부(102a) 및 통신부(102b) 등)에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부(102b)는 배터리 잔량 정보(즉, 컨테이너(102)의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2b)는 컨테이너(102)의 컨테이너 식별 정보(예를 들어, MAC 주소 등)를 송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부(102b)는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패킷으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02b)는 기 설정된 주기로 데이터 패킷을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컨테이너(102)가 갠트리 크레인(104)의 인근에 있는 경우, 컨테이너(102)가 송신하는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갠트리 크레인(104)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102)가 트랜스퍼 크레인(106)의 인근에 있는 경우, 컨테이너(102)가 송신하는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트랜스퍼 크레인(106)이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부(102c)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부(102c)는 갠트리 크레인(104) 또는 트랜스퍼 크레인(106)으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부(102c)는 무선 전력 방식(예를 들어,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 등)에 따라 코일 형태, 코일 크기, 및 주파수 등이 설계될 수 있다. 컨테이너(102)는 수신한 무선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갠트리 크레인(104)은 통신부(104a), 무선 전력 제어부(104b), 및 무선 전력 송신부(104c)를 포함할 수 있다. 갠트리 크레인(104)은 선박과 항만 간에 컨테이너(102)를 싣고 내리는 과정에서 컨테이너(102)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부(104a)는 컨테이너(102)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부(104a)는 선박에서 항만으로 컨테이너(102)를 옮기거나 항만에서 선박으로 컨테이너(102)를 옮기는 과정에서 컨테이너(102)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4a)는 컨테이너 식별 정보에 기반한 출입 기록 정보를 제1 베이스 스테이션(108)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갠트리 크레인(104)은 컨테이너(102)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컨테이너(102)의 출입 기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갠트리 크레인(104)은 컨테이너(102)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통해 해당 컨테이너(102)가 선박에서 항만으로 들어오는 것인지 또는 항만에서 선박으로 나가는 것인지에 대한 출입 기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출입 기록 정보에는 해당 컨테이너(102)의 식별 정보, 해당 컨테이너(102)의 출입 작업을 수행한 갠트리 크레인(104)의 식별 정보, 해당 컨테이너(102)와 관련된 선박의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제어부(104b)는 컨테이너(102)로부터 수신한 배터리 잔량 정보에 기반하여 컨테이너(102)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제어부(104b)는 컨테이너(102)의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해당 컨테이너(102)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갠트리 크레인(104)은 컨테이너(102)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지 여부를 직접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부(104c)는 무선 전력 제어부(104b)의 제어에 따라 컨테이너(102)에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부(104c)는 무선 전력 방식(예를 들어,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 등)에 따라 코일 형태, 코일 크기, 및 주파수 등이 설계될 수 있다. 갠트리 크레인(104)과 컨테이너(102)에서 무선 전력 송신부(104c)와 무선 전력 수신부(102c)는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트랜스퍼 크레인(106)은 통신부(106a), 무선 전력 제어부(106b), 및 무선 전력 송신부(106c)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퍼 크레인(106)은 해당 컨테이너 야드에서 컨테이너(102)를 싣고 내릴 때 컨테이너(102)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부(106a)는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부(106a)는 트랜스퍼 크레인(106)이 위치한 컨테이너 야드에 있는 컨테이너(102)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6a)는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제2 베이스 스테이션(1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06a)는 제2 베이스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 순위 정보는 무선 전력을 공급해야 할 컨테이너(102)들의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제어부(106b)는 통신부(106a)가 수신한 우선 순위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컨테이너 야드에 위치하는 컨테이너(102)들에게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제어부(106b)는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해당 컨테이너 야드에 위치하는 컨테이너(102)들에게 순차적으로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부(106c)는 무선 전력 제어부(106b)의 제어에 따라 컨테이너(102)에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부(106c)는 무선 전력 방식(예를 들어,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 등)에 따라 코일 형태, 코일 크기, 및 주파수 등이 설계될 수 있다. 트랜스퍼 크레인(106)과 컨테이너(102)에서 무선 전력 송신부(106c)와 무선 전력 수신부(102c)는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스테이션(108)은 갠트리 크레인(104)와 빅데이터 서버(112) 간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스테이션(108)은 갠트리 크레인(104)이 위치하는 영역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스테이션(108)은 갠트리 크레인(104)으로부터 컨테이너(102)의 출입 기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스테이션(108)은 컨테이너(102)의 출입 기록 정보를 빅데이터 서버(112)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스테이션(110)은 트랜스퍼 크레인(106)과 빅데이터 서버(112) 간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 스테이션(110)은 각 컨테이너 야드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컨테이너 야드에 복수 개의 제2 베이스 스테이션(11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컨테이너 야드에 한 개의 제2 베이스 스테이션(11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베이스 스테이션(108)은 트랜스퍼 크레인(106)으로부터 컨테이너(102)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스테이션(108)은 트랜스퍼 크레인(106)으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102)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빅데이터 서버(112)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스테이션(108)은 빅데이터 서버(112)로부터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여 트랜스퍼 크레인(106)으로 송신할 수 있다.
빅 데이터 서버(112)는 항만 내 각 컨테이너(102)들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빅데이터 서버(112)는 항만 내 컨테이너(102)의 출입 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서버(112)는 항만 내 컨테이너 야드에 적재되는 컨테이너(102)들의 배터리 잔량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전력 공급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빅데이터 서버(112)는 통신부(112a), 출입 기록 관리부(112b), 및 우선 순위 제어부(112c)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2a)는 제1 베이스 스테이션(108) 및 제2 베이스 스테이션(110)과 각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2a)는 제1 베이스 스테이션(108)으로부터 컨테이너(102)의 출입 기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2a)는 제2 베이스 스테이션(108)으로부터 컨테이너(102)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출입 기록 관리부(112b)는 통신부(112a)가 수신한 컨테이너(102)의 출입 기록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112)는 어떤 선박에서 어떤 컨테이너가 어떤 갠트리 크레인을 통해 출입을 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우선 순위 제어부(112c)는 제2 베이스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102)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트랜스퍼 크레인(106)의 영역이 존재하는 컨테이너(102)들의 무선 전력 공급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우선 순위 제어부(112c)는 배터리 잔량이 낮은 순으로 무선 전력 공급에 대한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우선 순위 제어부(112c)는 트랜스퍼 크레인(106)이 담당하는 영역 별로 우선 순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우선 순위 제어부(112c)는 우선 순위 정보를 통신부(112a)를 통해 제2 베이스 스테이션(108)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베이스 스테이션(108)은 우선 순위 정보를 해당 트랜스퍼 크레인(106)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제1 베이스 스테이션(108)이 갠트리 크레인(104)과 빅데이터 서버(104) 간 통신을 수행하고, 제2 베이스 스테이션(110)이 트랜스퍼 크레인(106)과 빅데이터 서버(104) 간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베이스 스테이션(108)과 제2 베이스 스테이션(110)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 스테이션(108)과 제2 베이스 스테이션(110)은 물리적으로 구분된 하나 이상의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되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트랜스퍼 크레인이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트랜스퍼 크레인(106)에 대해 일 실시예로 설명하나, 갠트리 크레인(104)도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랜스퍼 크레인(106)은 지지부(121), 제1 레일(123), 제2 레일(125), 스프레더(127), 및 무선 전력 송신부(106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1)는 지면에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21)는 트랜스퍼 크레인(106)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부(121)는 사각형 모서리의 각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레일(123)은 지지부(121)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레일(123)은 한 쌍이 제1 방향(예를 들어, X 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레일(125)은 한 쌍의 제1 레일(123)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레일(125)은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레일(125)은 제1 레일(12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프레더(127)는 제2 레일(125)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프레더(127)는 연결 부(127a)(예를 들어, 로프 또는 와이어)에 의해 제2 레일(125)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프레더(127)는 제2 레일(125)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프레더(127)는 제2 레일(125)에 연결될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프레더(127)는 컨테이너(60)를 잡고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부(106c)는 제2 레일(125)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부(106c)는 연결부(106c-1)에 의해 제2 레일(125)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06c-1)는 로프 또는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106c-1)의 내부에는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코일이 구비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부(106c)는 제2 레일(125)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부(106c)는 제2 레일(125)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Z축 방향)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102)에는 무선 전력 수신부(102c)가 장착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부(102c)는 컨테이너(102)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102)의 일 측면에 문이 설치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부(102c)는 문이 설치되는 측면의 반대편 측면(타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트랜스퍼 크레인(106)은 우선 순위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컨테이너 야드에서 무선 전력 송신부(106c)를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해당 컨테이너(102)의 무선 전력 수신부(102c)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트랜스퍼 크레인(106)은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컨테이너(102)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부(106c)는 3축 이동이 가능하므로 컨테이너(102)의 적재된 위치에 관계 없이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컨테이너(102)로 이동하여 컨테이너(102)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갠트리 크레인 및 트랜스퍼 크레인에 무선 전력 송신부를 설치하고, 각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 수신부를 설치함으로써, 항만에서 항만과 선박 간 상차 및 하차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각 컨테이너 야드에 적재된 컨테이너들의 배터리 잔량을 모니터링 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컨테이너들에게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컨테이너(102)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갠트리 크레인(104)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트랜스퍼 크레인(106)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제1 베이스 스테이션(108)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제2 베이스 스테이션(110)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빅데이터 서버(112)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02 : 컨테이너
102a : 배터리 잔량 확인부
102b : 통신부
102c : 무선 전력 수신부
104 : 갠트리 크레인
104a : 통신부
104b : 무선 전력 제어부
104c : 무선 전력 송신부
106 : 트랜스퍼 크레인
106a : 통신부
106b : 무선 전력 제어부
106c : 무선 전력 송신부
106c-1 : 연결부
108 : 제1 베이스 스테이션
110 : 제2 베이스 스테이션
112 : 빅데이터 서버
112a : 통신부
112b : 출입 기록 관리부
112c : 우선 순위 제어부
121 : 지지부
123 : 제1 레일
125 : 제2 레일
127 : 스프레더
127a : 연결부

Claims (17)

  1.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으로서,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갠트리 크레인; 및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트랜스퍼 크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에 설치된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여 배터리 잔량 정보를 생성하는 배터리 잔량 확인부; 및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갠트리 크레인은,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컨테이너의 출입 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상기 갠트리 크레인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의 출입 기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의 영역에 존재하는 컨테이너들의 무선 전력 공급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으로 송신하는 빅데이터 서버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 크레인은,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에 의한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지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무선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 크레인은,
    지면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레일;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레일; 및
    일단이 상기 제2 레일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코일을 구비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와 대면하도록 마련되는,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 크레인은,
    상기 컨테이너를 선박과 항만 간에 상차 및 하차하는 과정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로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은,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빅데이터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빅데이터 서버로부터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우선 순위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컨테이너 야드에 위치하는 컨테이너들에게 순차적으로 무선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2 무선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은,
    지면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레일;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레일; 및
    일단이 상기 제2 레일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코일을 구비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와 대면하도록 마련되는,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으로서,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및
    무선 전력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해당 컨테이너 야드에 적재된 컨테이너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트랜스퍼 크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는,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으로 송신하고,
    상기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컨테이너 야드에 적재된 컨테이너들의 무선 전력 공급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으로 송신하는 빅데이터 서버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크레인은,
    상기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야드에 적재된 컨테이너들에게 순차적으로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항만의 컨테이너 야드에서 컨테이너들의 적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크레인으로서,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컨테이너 식별 정보를 빅데이터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빅데이터 서버로부터 결정된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컨테이너 야드에 적재된 컨테이너들의 무선 전력 공급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테이너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 및
    상기 수신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테이너 야드에 적재된 컨테이너들에게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지면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레일;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레일; 및
    일단이 상기 제2 레일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코일을 구비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무선 전력 수신부와 대면하도록 마련되는, 크레인.
KR1020190106233A 2019-08-29 2019-08-29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279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33A KR102279010B1 (ko) 2019-08-29 2019-08-29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33A KR102279010B1 (ko) 2019-08-29 2019-08-29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031A KR20210026031A (ko) 2021-03-10
KR102279010B1 true KR102279010B1 (ko) 2021-07-16

Family

ID=7514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233A KR102279010B1 (ko) 2019-08-29 2019-08-29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0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2662B2 (ja) * 2011-08-22 2016-05-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リーファーコンテナ及びリーファーコンテナへの給電システム
KR101716460B1 (ko) * 2016-02-11 2017-03-15 주식회사 타오스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434B1 (ko) * 2013-01-29 2015-03-11 강미연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충전 시스템
KR20150000107U (ko) 2013-06-27 2015-01-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냉동 컨테이너 이중 전력 공급장치
KR102037876B1 (ko) 2017-10-27 2019-10-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냉동컨테이너용 무선전력전송 구조
KR20190048411A (ko) * 2017-10-31 2019-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충전설비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운반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2662B2 (ja) * 2011-08-22 2016-05-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リーファーコンテナ及びリーファーコンテナへの給電システム
KR101716460B1 (ko) * 2016-02-11 2017-03-15 주식회사 타오스 배터리 상태정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케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031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46663C (en) Automatic truck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KR102080424B1 (ko)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447245B2 (en) Drone-based goods transportation
CN106664507B (zh) 使用无线节点网络的元素的使能节点递送通知
KR100710093B1 (ko) 컨테이너용 하역 기계,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및 컨테이너하역 방법
US20240169302A1 (en) System for automatic loading / unloading and related devices
US20180094966A1 (en) Generating load characteristic information based on sensor data
CA26542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ath for a mobile drive unit
KR20220169667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134977A (ko) 화물 적재 시스템 및 화물 적재 방법
CN112949968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非暂时性存储介质
JP2017019588A (ja) 通信装置、搬送補助具、および搬送システム
CN111523835A (zh) 智能装货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279010B1 (ko)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JP6919962B2 (ja) クレーンの制御システム及びクレーンの制御方法
KR101850411B1 (ko) 다중 물류수단용 허브스테이션 내 환적 처리 관제 시스템 및 그의 환적 처리 관제 운영 방법
CN114180255B (zh) 用于立体仓储系统的调度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JP2019046294A (ja) 輸送手段管理装置、輸送手段管理システム、輸送手段管理方法及び輸送手段管理プログラム
KR20220051670A (ko) 수화물 자동 이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52102B2 (ja) 配送監視装置、配送管理方法、プログラム
JP5995387B1 (ja) 無線給電システムおよび無線給電方法
FI130312B (en) Following a truck in the container handling area
US120085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packages transported in a delivery vehicle
KR20110081664A (ko) 모바일 하버용 컨테이너 정보 전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4250209A (ja) 倉庫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