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396B1 -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396B1
KR101716396B1 KR1020160094407A KR20160094407A KR101716396B1 KR 101716396 B1 KR101716396 B1 KR 101716396B1 KR 1020160094407 A KR1020160094407 A KR 1020160094407A KR 20160094407 A KR20160094407 A KR 20160094407A KR 101716396 B1 KR101716396 B1 KR 101716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lling
conveyor
chain type
link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규
윤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산업기계
Priority to KR102016009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62Load-carriers
    • B65G2812/02772Plates or bu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을 이송시키는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낙하물을 수집하는 낙하물 받이판과, 상기 운반물이 운반되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벨트 및 낙하물 받이판 사이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운반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에 무한궤도상으로 설치된 연결체인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체인 구동부와, 상기 연결체인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체인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낙하물 받이판에 수집된 상기 낙하물을 간섭하여 강제 이송시키는 다수의 스크레퍼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는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여 낙하물 받이판에 수집된 낙하물을 연결체인에 의해 이동하는 스크레퍼들에 의해 강제이송시키므로 낙하물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Link chain type transfer apparatus of fallen object for conveyor}
본 발명은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운반물 중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을 수집하여 이송시키는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conveyor)는 다양한 이송물을 이송하는데 이용되는 장치이다. 여기서, 컨베이어는 벨트 컨베이어, 나사 컨베이어, 버킷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 및 트롤리 컨베이어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중, 벨트 컨베이어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벨트를 이용하여 이송물을 이송하는 것으로, 마찰에 의한 동력 손실이 매우 적고 설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골재, 시멘트, 철광석 등을 이송하는데 주로 사용되지만, 이송되는 골재, 시멘트, 철광석의 일부가 벨트에 부착되어 이송되다가 바닥으로 낙하하여 낙하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낙하물이 발생하면, 이송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라 낙하물을 처리하는데도 많은 인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02-0019156호: 조립식 배처 플랜트의 벨트 컨베이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된 낙하물을 수집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는 운반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을 이송시키는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낙하물을 수집하는 낙하물 받이판과, 상기 운반물이 운반되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벨트 및 낙하물 받이판 사이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운반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에 무한궤도상으로 설치된 연결체인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체인 구동부와, 상기 연결체인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체인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낙하물 받이판에 수집된 상기 낙하물을 간섭하여 강제 이송시키는 다수의 스크레퍼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운반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벨트가 무한궤도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들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롤러 작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 구동부는 상기 지지롤러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 구동부는 상기 지지롤러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1전달 스프로켓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전달 스프로켓과, 상기 제1 및 제2전달 스프로켓에 연결된 전달체인과, 상기 제2전달 스프로켓의 회전축에 설치된 아이들 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아이들 기어에 치합되는 피동기어를 구비한다.
상기 제1지지 스프로켓은 상기 운반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 스프로켓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 스프로켓에 상기 제2지지 스프로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장력인가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는 상기 스크레퍼에 설치되며, 수분에 의해 상기 낙하물이 상기 스프래퍼의 표면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크레퍼를 가열시키는 가열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는 상기 스크레퍼에 설치되며, 상기 낙하물이 상기 스크레퍼의 표면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크레퍼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는 상기 스크레퍼들이 상기 연결체인에 대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레퍼들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에 설치된 연결체인의 상측부분 및 하측부분 사이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의 이격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판과, 상기 스크레퍼들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체인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레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되, 단부가 상기 가이드판에 접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지지로드를 구한다.
상기 가이드판은 소정의 자성을 갖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로드들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판에 자력결합되는 다수의 접촉자석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는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여 낙하물 받이판에 수집된 낙하물을 연결체인에 의해 이동하는 스크레퍼들에 의해 강제이송시키므로 낙하물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는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므로 구동시 별도의 모터가 요구되지 않아 유지비가 비교적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의 체인구동부에 대한 평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의 스크레퍼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의 스크레퍼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의 지지유닛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의 지지유닛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100)는 운반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10)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을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이송 컨베이어(10)는 프레임(11)과,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지지롤러(12)와, 상기 지지롤러(12)들에 무한궤도상으로 설치되어 지지롤러(12)의 회전에 따라 운반물을 이송하는 이송벨트(13)와, 상기 지지롤러(12)를 회전시키는 롤러 작동부(14)를 구비한다. 상기 롤러 작동부(14)는 프레임(11)에 설치된 구동모터(19)와, 상기 구동모터(19)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1스프로켓(15)과, 지지롤러(12)들 중 후방부에 설치된 지지롤러(12)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2스프로켓(16)과, 상기 제1 및 제2스프로켓(15,16)을 연결하는 동력체인(17)을 구비한다. 한편, 이송벨트(13)의 후방측 프레임(11)에는 이송벨트(13)에 의해 이송된 운반물이 배출되는 수집호퍼(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집호퍼(18)의 하부에는 수집된 운반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수집호퍼(18)의 하부에는 수집호퍼(18)를 통해 배출되는 운반물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해 보조 컨베이어(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벨트(13)의 이동 경로 상의 프레임(11)에는 상기 이송벨트(13)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된 이송 컨베이어(10)는 운반물을 운반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벨트 컨베이어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100)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10)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낙하물을 수집하는 낙하물 받이판(110)과, 상기 운반물이 운반되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10)의 이송벨트(13) 및 낙하물 받이판(110) 사이의 프레임(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운반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1)에 지지된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120,130)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120,130)에 무한궤도상으로 설치된 연결체인(140)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120,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체인 구동부(150)와, 상기 연결체인(140)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체인(14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낙하물 받이판(110)에 수집된 상기 낙하물을 간섭하여 강제 이송시키는 다수의 스크레퍼(160)를 구비한다.
낙하물 받이판(110)은 이송벨트(13)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벨트(13)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을 수집한다. 상기 낙하물 받이판(110)은 이송벨트(13)의 폭에 대응되는 좌우 폭을 갖고,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이때, 낙하물 받이판(110)의 후단부에는 스크레퍼(160)에 의해 낙하물 받이판(110)을 따라 이송되는 낙하물을 보조 컨베이어(20)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판(111)이 설치되어 있다. 유도판(111)은 일단이 낙하물 받이판(110)의 후단부에 인접되게 설치되고, 타단부는 보조 컨베이어(20)의 상부로 인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지지 스프로켓(120)은 설치유닛(121)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 스프로켓(120)은 복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설치유닛(121)은 프레임(11)의 좌우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지지 스프로켓(120)들의 회전축 양단부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블럭(122)과, 일단이 지지블럭(122)들의 전면에 각각 고정되며, 타단은 프레임(11)을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설치로드(123)를 구비한다. 이때, 설치로드(123)의 타단부에는 지지판(124)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지지 스프로켓(120)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 스프로켓(120)에 상기 제2지지 스프로켓(1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장력인가부재(125)를 더 구비한다. 상기 장력인가부재(125)는 일단이 설치로드(123)의 타단부에 설치된 지지판(124)에 지지되고, 타단은 지지판(124)에 대향되는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지지블럭(122)에 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코일 스프링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지지 스프로켓(130)은 제1지지 스프로켓(120)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11)에 설치되며, 제1지지 스프로켓(120)들에 대향되게 복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연결체인(140)은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120,130)에 무한궤도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링크 체인이 적용된다. 연결체인(140)은 복수개가 상호 대향되는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120,130)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 구동부(150)는 상기 지지롤러(12)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1전달 스프로켓(151)과, 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전달 스프로켓(152)과, 상기 제1 및 제2전달 스프로켓(151,152)에 연결된 전달체인(155)과, 상기 제2전달 스프로켓(152)의 회전축에 설치된 아이들 기어(153)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120,13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아이들 기어(153)에 치합되는 피동기어(154)를 구비한다.
이때, 제1전달 스프로켓(151)은 제1스프로켓(15)이 설치된 지지롤러(12)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피동기어(154)는 제2지지 스프로켓(13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전달 스프로켓(152)은 제1지지 스프로켓(120)에 인접된 위치의 프레임(11)에 설치되고, 피동기어(154)는 제1지지 스프로켓(120)의 회전축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체인 구동부(150)는 상기 지지롤러(12)의 회전력을 제2지지 스프로켓(130)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므로 동시 별도의 모터가 요구되지 않는다.
스크레퍼(160)는 연결체인(140)에 고정된 고정판(161)과, 낙하물 받이판(110)에 수집된 낙하물을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161)으로부터 연장된 간섭부재(162)를 구비한다.
고정판(16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고정판(161)은 좌우단부가 각각 연결체인(140)들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간섭부재(162)는 낙하물을 간섭할 수 있도록 고정판(16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연결체인(14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간섭부재(162)는 낙하물 받이판(110)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좌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간섭부재(162)가 형성된 고정판(161)의 일측면의 반대편에는 상기 간섭부재(162)의 돌출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돌기(1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레퍼(160)들은 연결체인(14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며 낙하물 받이판(110)의 상부에 적층된 낙하물을 간섭하여 유도판(111)으로 강제이송시킨다. 강제 이송된 낙하물들은 유도판(111)을 통해 보조 컨베이어(20)로 유도되며, 보조 컨베이어(20)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100)는 이송 컨베이어(10)로부터 낙하하여 낙하물 받이판(110)에 수집된 낙하물을 연결체인(140)에 의해 이동하는 스크레퍼(160)들에 의해 강제이송시키므로 낙하물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2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210)는 상기 스크레퍼(160)에 각각 설치되며, 수분에 의해 상기 낙하물이 상기 스프래퍼의 표면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크레퍼(160)를 가열시키는 다수의 가열부재(211)를 구비한다.
상기 가열부재(211)는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선이 적용되며, 스크레퍼(16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간섭부재(162)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가열부재(211)는 간섭부재(162)와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가열부재(211)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들이 상기 스크레퍼(160)들에 각각 설치되어 가열부재(211)에 전원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2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220)는 상기 스크레퍼(160)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낙하물이 상기 스프래퍼의 표면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크레퍼(160)에 진동을 인가하는 다수의 바이브레이터(221)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221)는 스크레퍼(16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간섭부재(162)의 후면에 설치되며,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동발생장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된 바이브레이터(221)는 스크레퍼(160)에 진동을 인가하여 간섭부재(162)의 표면에 낙하물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낙하물에 대한 이송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23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230)는 상기 스크레퍼(160)들이 상기 연결체인(140)에 대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레퍼(160)들을 지지하는 지지유닛(231)을 더 구비한다.
지지유닛(231)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120,130)에 설치된 연결체인(140)의 상측부분 및 하측부분 사이의 상기 프레임(11)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120,130)의 이격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판(232)과, 스크레퍼(160)들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체인(14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레퍼(16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되, 단부가 상기 가이드판(232)에 접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지지로드(233)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판(232)은 이송벨트(13)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에 대한 간섭을 줄이기 위해 복수개가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판(232)의 양단부는 제1지지 스프로켓(120) 및 제2지지 스프로켓(130)에 각각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로드(233)는 각 스크레퍼(160)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가이드판(232)에 대향되는 위치의 돌출돌기(163)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가이드판(232)에 접촉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지지로드(233)는 연결체인(140)이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120,130)을 통과시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120,130)의 회전축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120,130)의 반경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판(232)에 지지된 지지로드(233)가 스크레퍼(160)를 지지하므로 낙하물의 중량에 의해 간섭부재(16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크레퍼(160)에 의한 낙하물 이송 작업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유닛(24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유닛(240)은 상기 지지로드(233)들의 타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판(232)에 자력결합되는 다수의 접촉자석(241)를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232)은 소정의 자성을 갖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된다.
장시간 사용시 연결체인(140)이 느슨해지면 스크레퍼(16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단부가 낙하물 받이판(110)에 접촉되어 손상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230)는 상기 접촉자석(241)에 의해 지지로드(233)가 가이드판(232)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하므로 연결체인(140)이 느슨해지더라도 낙하물 받이판(110)으로부터 이격되게 스크레퍼(160)가 이동되어 낙하물 받이판(110)에 의한 크랙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체인(140)이 이동시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더라도 지지로드(233)가 가이드판(232)에 자력결합되어 있으므로 스크레퍼(160)가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이송 컨베이어
11: 프레임
12: 지지롤러
13: 이송벨트
14: 롤러 작동부
15: 제1스프로켓
16: 제2스프로켓
17: 동력체인
19: 구동모터
20: 보조 컨베이어
100: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110: 낙하물 받이판
111: 유도판
120: 제1지지 스프로켓
121: 설치유닛
122: 지지블럭
123: 지지로드
125: 장력인가부재
130: 제2지지 스프로켓
140: 연결체인
150: 체인 구동부
160: 스크레퍼
161: 고정판
162: 간섭부재
163: 돌출돌기

Claims (9)

  1. 운반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을 이송시키는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낙하물을 수집하는 낙하물 받이판과;
    상기 운반물이 운반되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벨트 및 낙하물 받이판 사이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운반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에 무한궤도상으로 설치된 연결체인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체인 구동부와;
    상기 연결체인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체인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낙하물 받이판에 수집된 상기 낙하물을 간섭하여 강제 이송시키는 다수의 스크레퍼와;
    상기 스크레퍼에 설치되며, 수분에 의해 상기 낙하물이 상기 스프래퍼의 표면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크레퍼를 가열시키는 가열부재;를 구비하는,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운반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벨트가 무한궤도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들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롤러 작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 구동부는 상기 지지롤러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구동부는
    상기 지지롤러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1전달 스프로켓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전달 스프로켓과;
    상기 제1 및 제2전달 스프로켓에 연결된 전달체인과;
    상기 제2전달 스프로켓의 회전축에 설치된 아이들 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아이들 기어에 치합되는 피동기어;를 구비하는,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 스프로켓은 상기 운반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 스프로켓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 스프로켓에 상기 제2지지 스프로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장력인가부재;를 더 구비하는,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에 설치되며, 상기 낙하물이 상기 스크레퍼의 표면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크레퍼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구비하는,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들이 상기 연결체인에 대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레퍼들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더 구비하는,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에 설치된 연결체인의 상측부분 및 하측부분 사이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 스프로켓의 이격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판과;
    상기 스크레퍼들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체인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레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되, 단부가 상기 가이드판에 접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지지로드;를 구비하는,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소정의 자성을 갖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로드들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판에 자력결합되는 다수의 접촉자석;을 더 구비하는,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KR1020160094407A 2016-07-25 2016-07-25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KR101716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407A KR101716396B1 (ko) 2016-07-25 2016-07-25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407A KR101716396B1 (ko) 2016-07-25 2016-07-25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396B1 true KR101716396B1 (ko) 2017-03-14

Family

ID=5846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407A KR101716396B1 (ko) 2016-07-25 2016-07-25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83648A (zh) * 2022-12-13 2023-03-14 河南启欧通用机械有限公司 一种紧凑链式刮板输送机用的链条防松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156A (ko) 2000-09-05 2002-03-12 구자홍 공기조화기용 터보팬
KR100893530B1 (ko) * 2008-07-18 2009-04-17 장원에스엠 주식회사 산적화물 낙물 회수 및 비산 방지 장치
KR20130120943A (ko) * 2012-04-26 2013-11-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628026B1 (ko) * 2015-12-28 2016-06-08 주식회사 건룡산업 컨베이어의 낙하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156A (ko) 2000-09-05 2002-03-12 구자홍 공기조화기용 터보팬
KR100893530B1 (ko) * 2008-07-18 2009-04-17 장원에스엠 주식회사 산적화물 낙물 회수 및 비산 방지 장치
KR20130120943A (ko) * 2012-04-26 2013-11-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628026B1 (ko) * 2015-12-28 2016-06-08 주식회사 건룡산업 컨베이어의 낙하물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83648A (zh) * 2022-12-13 2023-03-14 河南启欧通用机械有限公司 一种紧凑链式刮板输送机用的链条防松装置
CN115783648B (zh) * 2022-12-13 2023-12-22 河南启欧通用机械有限公司 一种紧凑链式刮板输送机用的链条防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4329B2 (ja) ばら材料を運搬するためのセルフクリーニング機能を備えたクローズ型ベルトコンベヤ
CN204624502U (zh) 一种物料传送装置
KR101424424B1 (ko) 벨트컨베이어용 부착광 제거장치
KR101716396B1 (ko) 링크 체인형 낙석 처리장치
KR20160148802A (ko) 절단스크랩 분리수거장치
KR101882684B1 (ko) 머지 컨베이어 장치
CN202400596U (zh) 一种带式输送机清扫装置
CN214918210U (zh) 一种分拣设备
KR20080083502A (ko) 컨베이어 장치
KR20130120943A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CN107651381B (zh) 一种中部呈拱形的皮带传输装置
CN212830924U (zh) 一种半封闭式针体传送带
CN213085805U (zh) 一种酸洗污泥电热翅片平板烘干机
CN210948683U (zh) 一种盾构隧道施工用运土设备
CZ125795A3 (en) Conveyor and material conveying method
JP6618166B1 (ja) チェーン式搬送コンベア
KR100748645B1 (ko) 산적화물 회수장치
JP5479847B2 (ja) コンベア装置
CN112456063A (zh) 一种用于矿石运输的输送机
KR20100118026A (ko) 이송장치
KR101167165B1 (ko) 부착광 부착 방지장치
CN205023325U (zh) 废料输送装置
CN2775006Y (zh) 与波状挡边带式输送机配套的链式清扫机
KR20150095036A (ko) 일체형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CN102963714A (zh) 链条推杆式移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