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094B1 - 국기 게양대 - Google Patents

국기 게양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094B1
KR101716094B1 KR1020160112314A KR20160112314A KR101716094B1 KR 101716094 B1 KR101716094 B1 KR 101716094B1 KR 1020160112314 A KR1020160112314 A KR 1020160112314A KR 20160112314 A KR20160112314 A KR 20160112314A KR 101716094 B1 KR101716094 B1 KR 101716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hollow
strut
fla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봉
Original Assignee
안병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봉 filed Critical 안병봉
Priority to KR1020160112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41Suspended ba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기 문양을 갖는 패널이 일측에 결합되어 상시 국기 게양이 가능하며, 깃대봉의 승강에 의해 조기 게양이 가능한 국기 게양대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지주와, 지주의 외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적어도 일면에 태극기 문양이 형성된 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국기 게양대{Flagpole}
본 발명은 국기 게양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국기 문양을 갖는 패널이 일측에 결합되어 상시 국기 게양이 가능하며, 깃대봉의 승강에 의해 조기 게양이 가능한 국기 게양대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태극기는 국경일 등 각종 기념일에 애국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각 가정이나 관공서 및 도로변의 가로등 지주에 게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도로변에 게양되거나 축제나 행사장의 도로변 또는 행사장 주변에 설치되어 축제나 행사 분위기를 고취시키는데 적절히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게양대에 게양하는 태극기는 천 재질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바람에 펄럭일 때에만 그 전체적인 모양을 인식할 수 있다. 바람이 불지 않을 때에는 아래로 늘어져서 태극기 형상을 볼 수가 없으며, 이에 따라 태극기 게시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북한과 대치하는 휴전선 부근의 최전방 부대는 먼 거리에서도 확인 가능하도록 높은 게양대에 걸 수 있는 대형 태극기의 보급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대형 태극기가 바람에 날려서 게양대에 한 번 감기게 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쉽게 풀리지 않아서 태극기의 존엄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시 게양하는 태극기의 경우, 우천시에는 비를 맞아 축 늘어져 있게 되고, 게양대에 감기면서 때가 묻거나 바람에 찢어진 상태로 게양되어 보기 흉한 경우가 많다.
아울러, 천 재질로 제작되는 대형 태극기의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염이나 훼손이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에 따라 주기적으로 태극기를 새로 구입하여 교체해야 함에 따라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시 태극기의 게양이 가능하고, 바람에 태극기가 깃대에 휘말리지 않도록 하는 한편,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태극기 문양이 형성된 패널을 게양대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대형 태극기의 경우에는, 패널의 규격이 크고 무게 또한 무겁기 때문에, 조기 게양시 패널을 깃대의 아래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시 태극기 게양이 가능한 국기 게양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형 태극기 문양의 패널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국기 게양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깃대봉이 승강하거나 또는 다단 신축됨에 따라 조기 게양이 가능한 국기 게양대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지주; 및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적어도 일면에 태극기 문양이 형성된 패널을 포함하며, 상시 국기 게양이 가능한 국기 게양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주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패널이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중공을 갖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중공에 하단이 삽입되며 상기 중공을 따라 승강하는 깃대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주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깃대봉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블록의 일측에 결합되는 피뢰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피뢰침은 일단이 상기 지지블록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블록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타단에서 수직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깃대봉은 외주면 양측에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절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피뢰침의 수평바가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지지블록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수평바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깃대봉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부와, 상기 지주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윈치와, 상기 고리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롤러를 거쳐 상기 윈치에 감기는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지지블록의 중공 내주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롤러와, 상기 깃대봉의 외주면 하단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고리부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1 고리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로프에 의해 상기 깃대봉의 하부에 이격하여 지지되는 견인부재와, 상기 견인부재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주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윈치에 감기는 제2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 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베어링 지지부재와,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패널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와, 상기 패널의 상단에 서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조명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지주;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 일측이 결합되며 적어도 일면에 태극기 문양이 형성된 패널; 및 상기 지주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단 신축 가능한 깃대봉을 포함하는 국기 게양대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깃대봉은, 하단이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제1 걸림부가 절곡 형성되는 제2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하단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제2 걸림부가 절곡 형성되며 외주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깃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깃대봉은, 상기 깃봉부의 천정면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지주의 중공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켜 상기 깃대봉을 다단 신축시키는 승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중공을 갖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단에 결합되며 수평바와 수직바를 갖는 피뢰침과, 상기 수평바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깃대봉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부와, 상기 지주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윈치와, 상기 고리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롤러를 거쳐 상기 윈치에 감기는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중공을 갖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중공 내주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롤러와,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 하단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고리부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1 고리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로프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이격하여 지지되는 견인부재와, 상기 견인부재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주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윈치에 감기는 제2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단의 플랜지부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의 중공에 설치되는 실린더 고정 파이프와, 상기 실린더 고정 파이프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되, 상기 실린더 고정 파이프의 바닥면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깃봉부의 천정면에 상단이 결합되어 신축하는 승강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국기 게양대에 의하면, 지주의 일측에 태극기 문양이 형성된 패널이 설치됨으로써, 상시 국기 게양 상태가 유지되는 국기 게양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태극기 문양이 형성된 패널이 지주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천 재질의 국기가 게양대에 감겨서 국기의 형태를 알아볼 수 없게 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천 재질의 대형 태극기 게양에 따른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국기 게양대에 의하면, 단순히 깃대봉을 상승시키거나 다단으로 펼침으로써 조기 게양 상태로 간단히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110)와, 지주(110)의 외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적어도 일면에 태극기 문양이 형성된 패널(10)을 포함한다. 패널(10)이 지주(110)의 바깥쪽으로 펼쳐져 있음에 따라, 종래 천 재질의 태극기가 게양대에 감겨서 보기 흉하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육안으로 태극기 문양을 확인할 수 있는 국기 게양 상태를 항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비바람 등 기상조건에 따른 태극기 훼손의 염려가 없으므로, 상시 국기 게양이 가능하고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100)는, 지주(110)의 외주면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파이프(120)와, 지주(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블록(130)과, 지지블록(130)의 중공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깃대봉(140)과, 깃대봉(140)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주(110)는 중공 파이프 형태이며, 금속 재질로서 예컨대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회전 파이프(120)는 지주(110)의 외주면 상단부에 지주(110)를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따라서 지주(110)의 외경보다 큰 폭의 내경을 갖는 금속 재질의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파이프(120)의 외주면 일측에 패널(10)이 결합되며, 따라서 패널(10)이 바람을 받게 되면 패널(10)과 함께 회전 파이프(120)가 지주(11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패널(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블록(130)은 지주(110)의 상단에 결합된다. 이때, 지지블록(130)의 하단은 지주(110)의 상단 테두리에 안착되고, 지지블록(130)의 저면에는 지주(110)의 중공에 삽입되어 내주면에 밀착되는 지지부(131)가 하향 연장 형성된다. 또한, 지지블록(130)의 외측면에는 회전 파이프(120)와 지지블록(130)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이 삽입 안착되도록 단턱(132)이 단차 형성된다. 지지블록(130)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을 가지며, 지지블록(130)의 중공은 지주(110)의 중공과 연통된다.
한편, 회전 파이프(120)가 지주(110)를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파이프(120)와 지주(110) 사이에는 복수 개의 베어링이 개재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 파이프(120)의 내주면 하단에 제1 베어링 지지부재(121)가 결합되고, 제1 베어링 지지부재(121)와 지주(110) 사이에 제1 베어링(161)이 개재된다. 또한, 회전 파이프(120)의 내주면 상단에 제2 베어링 지지부재(122)가 결합되고, 제2 베어링 지지부재(122)와 지지블록(130) 사이에 제2 베어링(162)이 개재된다. 이때, 제1,제2 베어링(161,162)은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제1 베어링(161)은 회전 파이프(120)의 축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스러스트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베어링(162)은 전술한 지지블록(130)의 단턱(132)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제2 베어링(161,162)의 이탈 방지를 위해, 제1 베어링(161)의 하단과 제2 베어링(162)의 상단에는 제1,제2 스톱링(163,164)이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 파이프(120)의 상승 방지를 위해, 제1 베어링 지지부재(121)의 하단에는 제1 스톱링(163)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121a)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깃대봉(140)은 지지블록(130)의 중공에 삽입되며, 지지블록(130)의 중공을 따라 승강한다.
여기서, 깃대봉(140)은 지지블록(130)의 중공에 삽입되는 원통 형태의 삽입부(141)와, 삽입부(141)의 상단에 구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깃봉부(142)를 포함한다. 삽입부(141)의 외측면에는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홈(141a)이 절개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141a)은 삽입부(14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깃봉부(142)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깃대봉(140)의 일측에는 피뢰침(170)이 설치되는데, 이 피뢰침(170)은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수평바(171)와, 수평바(171)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상향 연장 형성되는 수직바(172)를 포함한다. 피뢰침(170)의 수평바(171)는 일단이 지지블록(130)의 상단에 용접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며, 타단은 깃대봉(140)의 가이드홈(141a)을 차례로 관통하여 깃대봉(14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깃대봉(140)의 승강시 피뢰침(170)의 수평바(171)는 가이드홈(141a)을 따라 상대적으로 승강하게 되며, 따라서 깃대봉(140)의 승강에 따른 깃대봉(140)과 피뢰침(170)의 충돌이 방지된다.
피뢰침(170)의 상측에는 깃대봉(140)이 승강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180)가 결합되며, 이 커버(180)는 제2 베어링(162) 장착 부위, 또는 지지블록(130)의 중공으로 먼지나 빗물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커버(180)의 테두리는 제2 베어링 지지부재(122)의 외측을 덮도록 하향 절곡되며, 커버(180)의 일측에는 피뢰침(170)의 수평바(171)가 커버(180)의 외측으로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도록 절개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100)에 의하면, 회전 파이프(120)의 외주면 일측에 태극기 문양이 형성된 패널(10)의 프레임 일측이 용접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패널(10)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 제2 베어링 지지부재(122)의 외주면 상단에 구비되는 걸림고리(123)로부터 패널(10) 상단에 서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걸림고리(11)까지 각각 와이어(12)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흐린 날씨나 야간에도 패널(10)의 국기 문양이 뚜렷이 식별되도록, 패널(10)의 국기 문양을 비추는 복수 개의 조명등(미도시)이 패널(1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100)는, 깃대봉(140)의 승강 작동에 의해 정상적인 국기 게양 형태와 조기 게양 형태가 상호 전환 가능하다. 즉, 깃대봉(140)이 하강하여 지주(110)의 상단에 깃대봉(140)의 깃봉부(142)가 위치하면, 깃봉부(142)와 패널(10) 사이의 간격이 가깝고 따라서 정상적인 형태의 국기 게양 모습으로 보이게 된다. 반대로, 깃대봉(140)이 상승하여 지주(110)의 상부로 소정 높이 이격하여 깃봉부(142)가 위치하게 되면, 깃봉부(142)와 패널(10)이 원래의 모습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는 모습으로 변화하게 되고, 따라서 깃봉부(142)로부터 상대적으로 패널(10)이 하강한 조기 형태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깃대봉(140)의 승강은 지주(110)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장치(15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승강장치(150)는, 피뢰침(170)의 수평바(171)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151)와, 깃대봉(14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부(152)와, 지주(110)의 중공 하부에 설치되는 윈치(153)를 포함하며, 고리부(152)에 일단이 결합된 로프(154)가 롤러(151)를 둘러서 윈치(153)까지 연장된다. 즉, 윈치(153)를 회전시켜 로프(154)를 감으면 깃대봉(140)의 고리부(152)에 일단이 결합된 로프(154)가 롤러(151) 방향으로 깃대봉(140)을 끌어당겨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깃대봉(140)의 바닥면에 소정의 폭으로 절개홈(141b)이 관통 형성되고, 절개홈(141b)의 일측에 고리부(15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151)의 하부로 연장되는 로프(154)는 절개홈(141b)을 통과하여 윈치(153)의 몸체에 권취된다.
한편, 윈치(153)의 일측에는 윈치(153)를 회전시켜 로프(154)를 권취할 수 있도록 손잡이(153a)가 구비되며, 이 손잡이(153a)는 지주(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이를 잡고 돌려서 윈치(15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153a)의 일측에는 윈치(153)의 회전 제한을 위해 스토퍼로 기능하는 고정핀(153b)이 마련되며, 사용자는 윈치(153) 조작 후 고정핀(153b)을 윈치(153)의 몸체 일측에 끼워넣어 윈치(153) 몸체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깃대봉(140)의 자중에 의해 윈치(153)가 회전하면서 로프(154)가 풀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윈치(153)의 일측에 윈치(153)의 회전 작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200)는, 지주(110)의 외주면 상단부에 지주(110)를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회전 파이프(120)가 결합되고, 이 회전 파이프(120)의 외주면 일측에 국기 문양의 패널(10)이 결합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다만, 깃대봉(240)이 다단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200)는 깃대봉(240)이 지주(110)의 상단에서 높이 방향으로 다단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며, 깃대봉(240)을 신장시킴으로써 조기 게양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깃대봉(240)은, 하단이 지주(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파이프(241)와, 제1 파이프(24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 파이프(242)와, 제2 파이프(24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깃봉부(243)를 포함하며, 깃봉부(243)의 내부 천정면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지주(110)의 중공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이프(241)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41a)가 형성되며, 제1 파이프(241)의 하단 절곡부(241a)와 커버(180) 및 피뢰침(170)의 수평바(171)를 차례로 관통하여 지지블록(130)의 상단에 볼트 등의 체결구가 체결됨으로써, 제1 파이프(241)의 하단이 지주(110)의 상단에 결합된다.
제1 파이프(241)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제1 걸림부(241b)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2 파이프(242)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제2 걸림부(242a)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데, 제2 파이프(242)의 제2 걸림부(242a)는 제1 파이프(241)의 제1 걸림부(241b) 아래쪽에 제1 걸림부(241b)와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파이프(242)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제3 걸림부(242b)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깃봉부(243)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제4 걸림부(243a)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깃봉부(243)의 제4 걸림부(243a)는 제2 파이프(242)의 제3 걸림부(242b) 아래쪽에 제3 걸림부(242b)와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승강장치(150)에 의해 깃봉부(243)가 상승하게 되면, 깃봉부(243)의 제4 걸림부(243a)가 제2 파이프(242)의 제3 걸림부(242b) 하단에 걸려서 제2 파이프(242)를 위쪽으로 끌어올리게 되며, 제2 파이프(242)가 제1 파이프(241)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깃대봉(240)이 깃봉부(243) - 제2 파이프(242) - 제1 파이프(241)의 순서를 따라 다단으로 펼쳐지고 전체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 파이프(242)의 상승시 제2 파이프(242) 하단의 제2 걸림부(242a)는 제1 파이프(241) 상단의 제1 걸림부(241b)에 걸리게 되며, 이때 제1 파이프(241)의 하단이 지지블록(13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제2 파이프(242)와 깃봉부(243)는 더 이상 상승할 수 없게 된다. 즉, 제1,제2 걸림부(241b,242a)는 깃대봉(240)의 신장 길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승강부재(250)는 지지블록(130)의 중공을 따라 승강하는 원통 형태의 삽입부(251)와, 삽입부(251)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은 깃봉부(243)의 내부 천정면에 결합되는 바(bar) 형태의 연장부(252)를 포함한다.
이때, 삽입부(251)의 일측에는 승강부재(250)의 승강시 피뢰침(170)의 수평바(171)와 부딪히지 않도록, 피뢰침(170)의 수평바(171)가 관통하는 가이드홈(미도시)이 삽입부(251)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절개 형성되며, 삽입부(251)의 바닥면에는 후술하는 로프(154)가 관통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으로 절개홈(251a)이 관통 형성된다.
승강부재(250)의 승강은 지주(110)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장치(15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때 승강장치(150)는 피뢰침(170)의 수평바(171)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151)와, 삽입부(251)의 내부 바닥면에 절개홈(251a)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는 고리부(152)와, 지주(110)의 중공 하부에 설치되는 윈치(153)를 포함하며, 고리부(152)에 일단이 결합된 로프(154)가 롤러(151)를 둘러서 절개홈(251a)을 관통하여 윈치(153)까지 연장된다.
즉, 윈치(153)를 회전시켜 로프(154)를 감으면, 삽입부(251)의 고리부(152)에 일단이 결합된 로프(154)가 롤러(151) 방향으로 삽입부(251)를 끌어당겨 상승시키게 되고, 이때 연장부(252)가 깃봉부(243)를 밀어 올리면서 깃대봉(240)이 다단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윈치(153)를 역회전시켜 로프(154)를 풀면, 깃봉부(243)와 제2 파이프(242)가 하강하면서 깃대봉(240)이 접혀서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되며, 윈치(153)의 회전에 따라 로프(154)를 감거나 푸는 동작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모터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는(300)는, 깃대봉(340)이 지지블록(130)의 중공에 삽입되는 원통 형태의 삽입부(341)와, 삽입부(341)의 상단에 구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깃봉부(34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국기 게양대(100)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다만, 깃대봉(340)의 구체적인 형상과 깃대봉(340)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350)의 구성 및 피뢰침(170)의 조립 구조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는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3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300)에 의하면, 피뢰침(170)의 단부가 지지블록(130)의 외측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깃대봉(340)의 외주면에 피뢰침(170)의 수평바(171)를 안내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홈(141a, 도 2 참조)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윈치(153, 도 3 참조)와 깃대봉(340)을 연결하는 로프(353,355)가 깃대봉(340)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깃대봉(340)의 하단에 절개홈(141b, 도 3 참조)을 형성할 필요도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피뢰침(170)의 단부가 지지블록(130)의 외측면에 조립되는 구조를 전술한 제1,제2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300)에 의하면, 승강장치(350)에 의해 깃대봉(340)이 지지블록(130)의 중공을 따라 승강하게 되는데, 여기서 승강장치(350)는 지지블록(130)의 중공 내주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롤러(351)와, 깃대봉(340)의 외주면 하단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고리부(352)와, 제1 롤러(351)와 제1 고리부(352)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로프(353)와, 제1 로프(353)에 의해 깃대봉(340)의 하부에 이격하여 지지되는 견인부재(354)와, 견인부재(354)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지주(11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윈치(153)에 감기는 제2 로프(355)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롤러(351)는 지지블록(130)의 중공 내주면에 대칭으로 설치되며, 한 쌍의 제1 고리부(352)는 깃대봉(340)의 삽입부(341) 외주면 하단에 대칭으로 형성된다.
또한, 견인부재(354)는 블록 형상 몸체의 외측면 양측에 한 쌍의 제2 고리부(354a)가 각각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데, 일단이 깃대봉(340)의 제1 고리부(352)에 고정된 제1 로프(353)의 타단이 제1 롤러(351)를 둘러 견인부재(354)의 제2 고리부(354a)에 고정된다.
이때, 제1 로프(353)는 제1 고리부(352)와 제1 롤러(351), 그리고 제1 롤러(351)와 제2 고리부(354a)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로프(353)에 의해 견인부재(354)는 깃대봉(340)의 하부에 이격하여 지지된다.
견인부재(354)의 하단 중앙에는 제3 고리부(354b)가 하향 돌출 형성되며, 일단이 제3 고리부(354b)에 고정된 제2 로프(355)의 타단은 하향 연장되어 지주(11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윈치(153)에 감기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윈치(153)를 회전시켜 제2 로프(355)를 감으면, 견인부재(354)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제1 로프(353)를 잡아당겨 제1 고리부(352)를 제1 롤러(351) 방향으로 끌어올리게 되며, 이때 깃대봉(340)은 지지블록(130)의 중공을 따라 상승하여 국기 게양대(300)가 조기 게양 형태로 변화하게 된다.
윈치(153)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제2 로프(355)를 풀면 깃대봉(340)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며, 이때 제1 로프(353)가 견인부재(354)를 깃대봉(340) 방향으로 끌어올려서 원위치시키게 된다.
제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는(400)는, 피뢰침(170)의 조립 구조와 승강장치(350)의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제3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다만, 깃대봉(440)이 전술한 제2 실시예와 같이 다단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3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바,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깃대봉(440)은, 하단이 지지블록(1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파이프(441)와, 제1 파이프(44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 파이프(442)와, 제2 파이프(44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깃봉부(443)를 포함하며, 깃봉부(443)의 내부 천정면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지주(110)의 중공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이프(441)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441a)가 형성되며, 제1 파이프(441)의 하단 절곡부(441a)와 커버(180)를 차례로 관통하여 지지블록(130)의 상단에 볼트 등의 체결구가 체결됨으로써, 제1 파이프(441)의 하단이 지지블록(130)의 상단에 결합된다.
제1 파이프(441)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제1 걸림부(441b)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2 파이프(442)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제2 걸림부(442a)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데, 제2 파이프(442)의 제2 걸림부(442a)는 제1 파이프(441)의 제1 걸림부(441b) 아래쪽에 제1 걸림부(441b)와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파이프(442)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제3 걸림부(442b)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깃봉부(443)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제4 걸림부(443a)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깃봉부(443)의 제4 걸림부(443a)는 제2 파이프(442)의 제3 걸림부(442b) 아래쪽에 제3 걸림부(442b)와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승강장치(350)에 의해 깃봉부(443)가 상승하게 되면, 깃봉부(443)의 제4 걸림부(443a)가 제2 파이프(442)의 제3 걸림부(442b) 하단에 걸려서 제2 파이프(442)를 위쪽으로 끌어올리게 되며, 제2 파이프(442)가 제1 파이프(441)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깃대봉(440)이 깃봉부(443) - 제2 파이프(442) - 제1 파이프(441)의 순서를 따라 다단으로 펼쳐지고 전체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 파이프(442)의 상승시 제2 파이프(442) 하단의 제2 걸림부(442a)는 제1 파이프(441) 상단의 제1 걸림부(441b)에 걸리게 되며, 이때 제1 파이프(441)의 하단이 지지블록(13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제2 파이프(442)와 깃봉부(443)는 더 이상 상승할 수 없게 된다. 즉, 제1,제2 걸림부(441b,442a)는 깃대봉(440)의 신장 길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승강부재(450)는 지지블록(130)의 중공을 따라 승강하는 원통 형태의 삽입부(451)와, 삽입부(451)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은 깃봉부(443)의 내부 천정면에 결합되는 바(bar) 형태의 연장부(452)를 포함한다.
승강부재(450)의 승강은 지주(110)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장치(35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때 승강장치(350)는 지지블록(130)의 중공 내주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롤러(351)와, 승강부재(450)의 외주면 하단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고리부(352)와, 제1 롤러(351)와 제1 고리부(352)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로프(353)와, 제1 로프(353)에 의해 승강부재(450)의 하부에 이격하여 지지되는 견인부재(354)와, 견인부재(354)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지주(11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윈치(153, 도 3 참조)에 감기는 제2 로프(355)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롤러(351)는 지지블록(130)의 중공 내주면에 대칭으로 설치되며, 한 쌍의 제1 고리부(352)는 승강부재(450)의 삽입부(451) 외주면 하단에 대칭으로 형성된다.
또한, 견인부재(354)는 블록 형상 몸체의 외측면 양측에 한 쌍의 제2 고리부(354a)가 각각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데, 일단이 승강부재(450)의 제1 고리부(352)에 고정된 제1 로프(353)의 타단이 제1 롤러(351)를 둘러 견인부재(354)의 제2 고리부(354a)에 고정된다.
이때, 제1 로프(353)는 제1 고리부(352)와 제1 롤러(351), 그리고 제1 롤러(351)와 제2 고리부(354a)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로프(353)에 의해 견인부재(354)는 승강부재(450)의 하부에 이격하여 지지된다.
견인부재(354)의 하단 중앙에는 제3 고리부(354b)가 하향 돌출 형성되며, 일단이 제3 고리부(354b)에 고정된 제2 로프(355)의 타단은 하향 연장되어 지주(11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윈치(153)에 감기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윈치(153)를 회전시켜 제2 로프(355)를 감으면, 견인부재(354)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제1 로프(353)를 잡아당겨 제1 고리부(352)를 제1 롤러(351) 방향으로 끌어올리게 되며, 이때 승강부재(450)가 지지블록(130)의 중공을 따라 상승하면서 연장부(452)가 깃봉부(443)를 밀어 올려 깃대봉(440)이 다단으로 펼쳐지게 되고, 국기 게양대(400)가 조기 게양 형태로 변화하게 된다.
윈치(153)를 역회전시켜 제2 로프(355)를 풀면, 깃봉부(443)와 제2 파이프(442)가 하강하면서 깃대봉(440)이 접혀서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되며, 윈치(153)의 회전에 따라 제2 로프(355)를 감거나 푸는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모터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5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는(500)는, 깃대봉(440)이 다단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4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다만, 깃대봉(440)을 신축시키는 승강장치가 승강 실린더(550)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4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으며, 따라서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제4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50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대(500)는 지지블록(130)의 중공에 실린더 고정 파이프(510)가 수직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실린더 고정 파이프(510)는 전체적으로 상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며, 상단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플랜지부(511)가 확장 형성된다. 지지블록(130)의 중공에 실린더 고정 파이프(510)의 하단을 삽입하면, 상단의 플랜지부(511)가 지지블록(130) 상단의 중공 테두리에 걸려서 지지되며, 볼트 등의 체결구가 플랜지부(511)를 관통하여 지지블록(130)의 상단에 체결됨으로써 실린더 고정 파이프(51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실린더 고정 파이프(510)의 플랜지부(511)를 지지블록(130)의 상단에 용접 고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린더 고정 파이프(510)의 내부에 승강 실린더(550)가 설치되는데, 승강 실린더(550)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실린더 하우징(551)과, 실린더 하우징(551)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bar) 형태의 실린더 로드(552)를 포함한다. 실린더 로드(552)는 전기 공급에 의한 모터(미도시) 작동에 의해 실린더 하우징(551)의 중공을 따라 승강하게 되며, 다른 예로서,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실린더 로드(552)의 승강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실린더 하우징(551)은 실린더 고정 파이프(510)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예컨대 실린더 하우징(551)의 하단이 실린더 고정 파이프(510)의 바닥면에 볼트 체결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 하우징(551)의 상단부는 지지블록(130)의 상부로 돌출되어 깃봉부(443)의 내부에 수용되며, 실린더 로드(552)의 상단이 깃봉부(443)의 내부 천정면에 결합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깃봉부(443)의 천정면에 브라켓(443b)이 결합되고, 이 브라켓(443b)에 실린더 로드(552)의 상단이 핀 결합될 수 있다.
지주(110)의 중공 하부에는 승강 실린더(5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미도시)가 설치되며, 이 전원장치로부터 승강 실린더(550)로 연장되는 전원 케이블(553)에 의해, 승강 실린더(550)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지주(110)의 하단부 외주면 일측에 전원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작동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승강 실린더(550) 작동시, 실린더 로드(552)가 실린더 하우징(551)의 중공을 따라 상승하여 깃봉부(443)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며, 이때, 깃봉부(443) 하단의 제4 걸림부(443a)가 제2 파이프(442) 상단의 제3 걸림부(442a) 하단에 걸려서 제2 파이프(442)를 제1 파이프(441)의 외주면을 따라 끌어올리게 된다. 실린더 로드(552)가 최대 상승 높이까지 신장되면 제2 파이프(242) 하단의 제2 걸림부(442a)가 제1 파이프(441) 상단의 제1 걸림부(441b)에 걸리게 되며, 깃봉부(443)가 태극기 문양의 패널(10, 도 6 참조) 상부에 초기 상태보다 더 멀리 이격하여 위치하게 됨에 따라, 조기 게양 형태를 이루게 된다.
반대로, 실린더 로드(552)가 하강하면 깃봉부(443)와 제2 파이프(442)는 원위치로 내려오며, 통상적인 국기 게양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깃대봉(240,440)이 제1 파이프(241,441)와 제2 파이프(242,442) 및 깃봉부(243,443)를 포함하여 3단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깃봉부(243,443)의 하단에 접철되는 파이프의 길이 등 규격과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패널 100,200,300,400,500 : 국기 게양대
110 : 지주 120 : 회전 파이프
130 : 지지블록 140,240,340,440 : 깃대봉
150,350 : 승강장치 170 : 피뢰침
250,450 : 승강부재 510 : 실린더 고정 파이프
550 : 승강 실린더

Claims (16)

  1.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지주;
    상기 지주의 중공에 하단이 삽입되며 상기 중공을 따라 승강하는 깃대봉;
    상기 지주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깃대봉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중공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지주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윈치와, 상기 깃대봉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롤러를 거쳐 상기 윈치에 감기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태극기 문양이 형성된 패널이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중공을 갖는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의 일측에 결합되는 피뢰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피뢰침은 일단이 상기 지지블록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블록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타단에서 수직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바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의 저면에 상기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깃대봉은 외주면 양측에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절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피뢰침의 수평바가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지지블록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7. 삭제
  8.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지주;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중공을 갖는 지지블록;
    상기 지주의 중공에 하단이 삽입되며 상기 중공을 따라 승강하는 깃대봉; 및
    상기 지주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깃대봉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지지블록의 중공 내주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깃대봉의 외주면 양측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로프에 의해 상기 깃대봉의 하부에 이격하여 지지되는 견인부재와, 상기 견인부재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주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윈치에 감기는 제2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 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베어링 지지부재와,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패널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와, 상기 패널의 상단에 서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조명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10.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지주;
    상기 지주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단 신축 가능한 깃대봉;
    상기 깃대봉의 내부 천정면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지주의 중공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켜 상기 깃대봉을 다단 신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중공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지주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윈치와, 상기 승강부재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롤러를 거쳐 상기 윈치에 감기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깃대봉은, 하단이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제1 걸림부가 절곡 형성되는 제2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하단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제2 걸림부가 절곡 형성되며 외주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깃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중공을 갖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단에 결합되며 수평바와 수직바를 갖는 피뢰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의 저면에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프는 상기 승강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15.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지주;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며 중공을 갖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단 신축 가능한 깃대봉;
    상기 깃대봉의 내부 천정면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지주의 중공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켜 상기 깃대봉을 다단 신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지지블록의 중공 내주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 양측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로프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이격하여 지지되는 견인부재와, 상기 견인부재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주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윈치에 감기는 제2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16.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지주;
    상기 지주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단 신축 가능한 깃대봉;
    상기 지주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깃대봉을 다단 신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장치는, 상단의 플랜지부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의 중공에 설치되는 실린더 고정 파이프와, 상기 실린더 고정 파이프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되, 상기 실린더 고정 파이프의 바닥면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깃대봉의 내부 천정면에 상단이 결합되어 신축하는 승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대.
KR1020160112314A 2016-09-01 2016-09-01 국기 게양대 KR101716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314A KR101716094B1 (ko) 2016-09-01 2016-09-01 국기 게양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314A KR101716094B1 (ko) 2016-09-01 2016-09-01 국기 게양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094B1 true KR101716094B1 (ko) 2017-03-13

Family

ID=5841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314A KR101716094B1 (ko) 2016-09-01 2016-09-01 국기 게양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09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601B1 (ko) * 2017-12-08 2018-03-16 (주)세명엔지니어링 배전 전주용 접지판
CN110517611A (zh) * 2019-07-08 2019-11-29 合肥龙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户外的具有防雷的灯杆屏幕
KR20200064371A (ko) * 2018-11-29 2020-06-08 이상은 국기 게양대용 깃봉 어셈블리
KR102309366B1 (ko) * 2021-05-26 2021-10-05 임장환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KR102501605B1 (ko) * 2022-08-19 2023-02-17 김기종 풍향에 따라 회전하는 풍향기 및 국기 게양대
KR20230073543A (ko) * 2021-11-19 2023-05-26 정승아 깃발 회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109A (ko) * 1999-09-14 1999-12-06 김성수 국기 조기 계양 깃대
KR20000030985A (ko) * 1998-11-02 2000-06-05 강영준 풍향회전국기게양대
KR200231504Y1 (ko) * 2001-01-26 2001-07-19 이상원 회전식 국기 게양대
KR20010088651A (ko) * 2001-08-17 2001-09-28 김원희 풍향계식 깃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985A (ko) * 1998-11-02 2000-06-05 강영준 풍향회전국기게양대
KR19990084109A (ko) * 1999-09-14 1999-12-06 김성수 국기 조기 계양 깃대
KR200231504Y1 (ko) * 2001-01-26 2001-07-19 이상원 회전식 국기 게양대
KR20010088651A (ko) * 2001-08-17 2001-09-28 김원희 풍향계식 깃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601B1 (ko) * 2017-12-08 2018-03-16 (주)세명엔지니어링 배전 전주용 접지판
KR20200064371A (ko) * 2018-11-29 2020-06-08 이상은 국기 게양대용 깃봉 어셈블리
KR102216478B1 (ko) * 2018-11-29 2021-02-16 이상은 국기 게양대용 깃봉 어셈블리
CN110517611A (zh) * 2019-07-08 2019-11-29 合肥龙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户外的具有防雷的灯杆屏幕
KR102309366B1 (ko) * 2021-05-26 2021-10-05 임장환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KR20230073543A (ko) * 2021-11-19 2023-05-26 정승아 깃발 회전장치
KR102537937B1 (ko) * 2021-11-19 2023-05-31 정승아 깃발 회전장치
KR102501605B1 (ko) * 2022-08-19 2023-02-17 김기종 풍향에 따라 회전하는 풍향기 및 국기 게양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094B1 (ko) 국기 게양대
CN105627213A (zh) 一种升降路灯及维护方法
CA2828907A1 (en) Method for accessing the outer surface of wind turbine towers and device for use with this method
WO2020039870A1 (ja) 投光器
KR101497661B1 (ko) 접이식 폴
KR20110006018A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JP5264138B2 (ja) 幟旗掲揚装置
KR101033695B1 (ko) 깃발 게양대
CN205245009U (zh) 升降式高杆灯
CN205579368U (zh) 一种升降路灯
KR101566326B1 (ko)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KR101063308B1 (ko)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CN105371192B (zh) 升降式高杆灯
JP2017045022A (ja) 旗類掲納装置
KR102379657B1 (ko) 기 게양장치
CN105371191B (zh) 升降式高杆灯用灯盘支撑机构
JP5331539B2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
US20090199886A1 (en) Support assembly for a roof element, shelter comprising said support assembly and method to mount said shelter
JP4562450B2 (ja) 照明装置
KR20220072642A (ko) 길이 조절 가능한 가로등 장치
KR20040075804A (ko) 도로용 현수막거치대
KR101135675B1 (ko) 분뇨, 오수 및 폐기물 저장시설 가변 지붕형 덮개
JPH09144302A (ja) タンク内面の点検補修装置
CN213141229U (zh) 一种高空悬挂装置
JP3038357B2 (ja) 折畳み式仮設屋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