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366B1 -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 Google Patents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366B1
KR102309366B1 KR1020210067466A KR20210067466A KR102309366B1 KR 102309366 B1 KR102309366 B1 KR 102309366B1 KR 1020210067466 A KR1020210067466 A KR 1020210067466A KR 20210067466 A KR20210067466 A KR 20210067466A KR 102309366 B1 KR102309366 B1 KR 102309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vertical
adhesion
rop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장환
이용운
장용수
Original Assignee
임장환
이용운
장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장환, 이용운, 장용수 filed Critical 임장환
Priority to KR1020210067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366B1/ko
Priority to PCT/KR2022/007281 priority patent/WO20222503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고정구조」(P)와 「회전방식」을 이루는 하부「회전구조」(Q)의 국기걸이강봉 상단에 「빗물접착억제봉」을 설치함으로써 비에 젖은 대형국기의 면(面)접착현상이 억제되게 하면서 그 접착면적이 최소화되게 함과 동시에 접착부분에 대해서는 접착내부로의 통풍유도를 위한 단초의 출발점이 되게 하는 한편, 이를 통해 대형국기의 면(面)접착부분으로부터 원상회복으로의 펴짐 속도가 최대화되게 한 것에 핵심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Moving assembly of rotation way minimizing the flag surface adhesion area in the flagpole}
본 발명은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부「고정구조」(P)와 「회전방식」을 이루는 하부「회전구조」(Q)의 국기걸이강봉 상단에 「빗물접착억제봉」을 설치함으로써 비에 젖은 대형국기의 면(面)접착현상이 억제되게 하면서 그 접착면적이 최소화되게 함과 동시에 접착부분에 대해서는 접착내부로의 통풍유도를 위한 단초의 출발점이 되게 하는 한편, 이를 통해 대형국기의 면(面)접착부분으로부터 원상회복으로의 펴짐 속도가 최대화되게 한 것에 핵심적 특징이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상부「고정구조」(P)와 하부「회전구조」(Q)의 조립에 의해 조립 회전부(R)가 이루어진 상하이동체(100)가 형성되고, 동시에 그 조립 회전부(R)에 2중 기능이 주어짐으로써 상부「고정구조」(P)에 대하여 하부「회전구조」(Q)의 자중을 지지하는 「자중지지기능」이 그 하나이고, 그 하부「회전구조」(Q)가 회전되는 「회전기능」이 다른 하나이며, 조립 회전부(R)의 「회전기능」에 의해 하부「회전구조」(Q)와 함께 국기걸이부가 동시에 회전되어 「바람」으로 인한 휘감김이 방지되는 한편, 조립 회전부(R)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자중지지기능」 및 「회전기능」과 「바람의 휘감김 방지」가 동시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발명이다.
그뿐 아니라 상부「고정구조」(P)와 하부「회전구조」(Q)의 조립부인 조립 회전부(R)에 의해 회전되는 국기걸이부가 종래 로프(rope)방식과는 달리 견고한 강봉방식이 되게 함으로써 바람에 의해 국기결착부분이 활처럼 휘어지지 않고, 항상 수직일직선의 국기결착이 유지되어 한층 더 미려한 게양국기의 외관이 유지되도록 한 발명이다.
또한 대칭구조의 상하이동체(100)가 게양대에 설치된 상태에서 게양대의 내경중심수직선(M)과 상하이동체(100)의 중심수직선(N)이 서로 하나로 일치된 단일중심수직선(V)상에 엎-다운 로프(rope)가 설치됨으로써 엎-다운 로프(rope)가 상하이동체(100)의 대칭중심선이 되어 엎-다운 로프(rope)와 상하이동체(100)의 상하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상하이동체(100)의 상하이동이 전혀 편심 됨 없이 항상 균형을 이루며 상하이동체(100)의 상하이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유용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국기게양대의 국기의 승하강은 로프(rope)의 엎-다운(up-down)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형적인 로프 (rope)엎-다운(up-down)방식이 등록실용신안 20-0246070호(종래기술-1이라한다)에 개시되어있다. 엎-다운 로프가 도1과 같이 게양대 외부로 노출된 상태다.
먼저, 로프(rope)엎-다운(up-down)방식이 갖는 공통된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와 같이 국기가 게양대 외부에 위치된 엎-다운 로프에 매달린 것으로서 바람에 의해 로프가 활처럼 휘어지게 된다. 로프에 매달린 국기도 로프와 같이 활처럼 휘어지게 된다. 국기의 수직선이 로프의 활모양으로 휘어짐으로써 수직선에서 이탈된 게양국기의 외관이 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많은 각국 국기들이 한곳에 게양된 국제 행사장의 국기게양대에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로프 (rope)엎-다운(up-down)방식이면서 엎-다운 로프에 국기를 수직상으로 매다는 대신 도2에서와 같이 수평국기걸이봉(211)에 수평상으로 국기를 매다는 공개특허 제10-2019-0011149호(종래기술-2라 한다)가 개시되어있다.
종래기술-2의 엎-다운 로프에 국기가 매달리는 구조가 아니므로 종래기술-1과 같이 국기의 수직선이 활처럼 휘어지지는 문제점은 없지만 도4에서와 같이 수평국기걸이봉(211)으로 휘감기는 문제점은 피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종래기술-1, -2 모두 로프 (rope)엎-다운(up-down)방식이면서 회전방식을 취하고 있다. 종래기술-1, -2 모두 게양대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수평 회전되는 수평회전방식이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1은 로프에 수직으로 매달린 국기가 바람을 따라 수평 회전됨으로써 게양대에 그 휘감김이 방지된다. 그렇지만 종래기술-2의 국기가 도2와 같이 견고한 수평국기걸이봉(211)에 매달림으로써 게양대에 휘감길 수 없는 구조이므로 종래기술-2의 수평회전방식은 게양대의 휘감김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렇다고 그 수평회전방식이 수평국기걸이봉(211)에 국기가 휘감김을 방지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수평국기걸이봉(211)에 국기의 휘감김 방지는 수평국기걸이봉(211)에 대한 수직회전방식이어야 하기 때문에 그렇다. 종래기술-2의 수평회전방식으로는 수평국기걸이봉(211)의 휘감김 방지와는 전혀 관계가 없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다음으로, 회전방식이면서 로프 (rope)엎-다운(up-down)방식으로 이루어지되 로프가 게양대의 내부에 위치된 특허 제10-0303045호(종래기술-3이라 한다)에 개시되어있다(도3a참조).
종래기술-3은 상하부 풍향 회전링(14)(14’)에 의한 회전방식이므로 국기가 게양대에 그 휘감김이 방지된다. 그러나 국기는 상하부 풍향 회전링(14)(14’)에 매다는 구조이다. 상하부 풍향 회전링(14)(14’)사이에는 국기를 잡아주는 별도의 수단이 없다. 상하부 풍향 회전링(14)(14’)사이에는 오직 국기만 있을 뿐이다. 그런데 상하부 풍향 회전링(14)(14’)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여유 폭을 갖는 구조로 되어있다. 상하 슬라이딩여유 폭에 의하여 도3a와 같이 바람에 의해 국기가 활처럼 휘어짐으로써 게양국가의 외관이 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때 하부 풍향 회전링(14’)의 슬라이딩 폭은 제3돌기(12‘’)와 제2돌기(12’)사이이고, 상부 풍향 회전링(14)의 슬라이딩 폭은 제1돌기(12)에서 상향까지이다.
또한, 비좁은 게양대 내경에 엎-다운로프와 함께 상하롤러도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내경에 설치된 엎-다운로프는 승강부재(130)을 상하이동 되게 하는 것 외에 특단의 기능이 없다.
한편, 종래기술-1, -2, -3는 모두 바람에 의한 게양대의 휘감김 방지를 위한 회전방식을 취하고 있다. 「비에 젖은 대형국기의 면(面)접착」문제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없다. 「빗물에 젖은 대형국기의 면(面)접착된 면적」클수록 펴지는 원상회복의 속도가 아주 느리다. 그렇다고 대형국기를 하강시킬 수도 없다. 로프의 하향작동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게양국기의 흉한 외관이 흉한 상태그대로 지속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 본 발명은 상부「고정구조」(P)와 「회전방식」을 이루는 하부「회전구조」(Q)의 국기걸이강봉 상단에 「빗물접착억제봉」을 설치함으로써 비에 젖은 대형국기의 면(面)접착현상이 억제되게 하면서 그 접착면적이 최소화되게 함과 동시에 접착부분에 대해서는 접착내부로의 통풍유도를 위한 단초의 출발점이 되게 하는 한편, 이를 통해 대형국기의 면(面)접착부분으로부터 원상회복으로의 펴짐 속도가 최대화되게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상부「고정구조」(P)와 하부「회전구조」(Q)의 조립에 의해 조립 회전부(R)가 이루어진 상하이동체(100)가 형성되고, 동시에 그 조립 회전부(R)에 2중 기능이 주어지게 함으로써 상부「고정구조」(P)에 대하여 하부「회전구조」(Q)의 자중을 지지하는 「자중지지기능」이 그 하나이고, 그 하부「회전구조」(Q)가 회전되는 「회전기능」이 다른 하나이며, 조립 회전부(R)의 「회전기능」에 의해 하부「회전구조」(Q)와 함께 국기걸이부가 동시에 회전되어 「바람」으로 인한 휘감김이 방지되는 한편, 조립 회전부(R)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자중지지기능」 및 「회전기능」과 「바람의 휘감김 방지」가 동시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상부「고정구조」(P)와 하부「회전구조」(Q)의 조립부인 조립 회전부(R)에 의해 회전되는 국기걸이부가 종래 로프(rope)방식과는 달리 견고한 강봉방식이 되게 함으로써 바람에 의해 국기결착부분이 활처럼 휘어지지 않고, 항상 수직일직선의 국기결착이 유지되어 한층 더 미려한 게양국기의 외관이 유지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고,
⒟ 대칭구조의 상하이동체(100)가 게양대에 설치된 상태에서 게양대의 내경중심수직선(M)과 상하이동체(100)의 중심수직선(N)이 서로 하나로 일치된 단일중심수직선(V)상에 엎-다운 로프(rope)가 설치됨으로써 엎-다운 로프(rope)가 상하이동체(100)의 대칭중심선이 되어 엎-다운 로프(rope)와 상하이동체(100)의 상하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상하이동체(100)의 상하이동이 전혀 편심 됨 없이 항상 균형을 이루며 상하이동체(100)의 상하이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엎-다운 로프(rope)방식에 의한 국기게양대에 있어서
상하이동체(100)가 게양대(170)에 설치된 상태에서 게양대의 내경중심수직선(M)과 상하이동체(100)의 중심수직선(N)이 하나로 일치된 단일중심수직선(V)에 엎-다운 로프(rope)(160)의 한 줄이 설치되고, 이때 그 한 줄은 핸들(174)에서 방향전환롤라(176)까지이며, 그 줄의 연장선이 방향전환롤라(176)를 거쳐 방향전환된 다른 한 줄이고, 그 다른 한 줄은 상부「고정구조」(P)의 내측 수직부(112)상단에 고정되는 한편, 엎-다운 로프(rope)(160)에 의해 승강되는 상하이동체(100)의 구조는 단일중심수직선(V)에 대하여 대칭구조를 이루면서 상부「고정구조」(P)와 하부「회전구조」(Q)로 이루어진 조립체이며, 이때 양 구조(P)(Q)의 조립에 의해 조립 회전부(R)가 이루어지고, 조립 회전부(R)는 상부「고정구조」(P)의 수용부(116)와 하부「회전구조」(Q)의 상부 회전부(U)에 의한 조립부이며, 하부 회전부(D)는 상부 회전부(U)의 연장선이면서 수평상의 빗물접착억제봉(159)이 설치·고정된 수직상의 국기걸이부(157)이고, 조립 회전부(R)의 상부 회전부(U)가 회전됨과 동시에 하부 회전부(D)도 함께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이다.
여기에다,
상기 상부「고정구조」(P)의 내측 수직부(112)와 외측 수직부(113)와 그리고 수평부(114)에 의해 이루어진 수용부(116)내에는 원형베어링(116a)이 내설되고, 그 위에 상부 회전부(U)의 누름회전판(152)이 삽입·조립되어 상부 회전부(U)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이다.
또한,
조립 회전부(R)의 상부 회전부(U)는, 「누름회전판(152)→누름지지봉(153)→수평연결봉(154)→수직연결봉(155)」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연결부이고, 이에 대응된 하부 회전부(D)는 「원주상의 수직구조(F)」인 국기걸이부(157)이며, 풍향에 따라 상하부 회전부(U)(D)가 동시에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이다.
그뿐 아니라,
상기 빗물접착억제봉(159)의 길이는 가로방향 국기 폭의 1/8~1/4이고, 그 길이에 의해 빗물로 인한 면(面)접착의 억제 및 최소화되면서 그 접착내부로의 통풍유도의 단초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이다.
또한,
국기걸이부(157)의 「원주상의 수직구조(F)」는 상하이동체(100)의 중심수직선(N)에 대하여 동일직경의 강봉이면서 국기걸이강봉(157a)과 지지강봉(157b)으로 이루어진 대칭구조이고, 「원주상의 수직구조(F)」의 고정은 다수의 수평지지회전링(158)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이다.
또한,
게양대(170)의 상단에 고정된 방향전환롤라(176)의 중심이, 단일중심수직선(V)선상에 설치된 엎-다운(up-down) 로프(rope)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그 엎-다운(up-down) 로프(rope)를 따라 상하이동 되는 대칭구조의 상하이동체(100)가 전혀 편심 됨 없이 항상 균형 잡힌 이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이다.
그뿐 아니라,
캔틸레버구조인 동일외경의 게양대(170)의 내경을 강성 보강함에 있어 하부지표면근처에서 그 내경의 두께가 최대가 되고, 그로부터 위로 갈수록 점차로 그 두께가 작게 되는 계단식 내경강성보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이다.
또한,
핸들(174)에서 출발한 단일중심수직선(V)상의 엎-다운 로프(rope)(160)가 방향전환롤라(176)를 거쳐 방향 전환된 로프(rope)연장선에 병행으로 또 하나의 연결로프(rope)를 추가·2개의 연장연결로프(rope)가 상부「고정구조」(P)의 내측 수직부(112)의 상단에 고정하되 단일중심수직선(V)과 방향전환롤라(176)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고정구조」(P)에 대하여 「회전방식」의 하부「회전구조」(Q)의 국기걸이강봉(157a)에 「빗물접착억제봉(159)」이 설치됨으로써 「빗물접착억제봉(159)」에 의해 「빗물」로 인해 젖은 대형국기의 면(面)접착면적이 억제되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그 최소화된 면(面)접착부분에 대해서도 「빗물접착억제봉(159)」에 의해 면(面)접착내부로의 통풍유도의 단초가 제공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원상으로의 펴짐 속도가 최대화되는 것에 핵심적 특징이 있다.
⒜ 본 발명은 상부「고정구조」(P)와 「회전방식」을 이루는 하부「회전구조」(Q)의 국기걸이강봉 상단에 「빗물접착억제봉」을 설치함으로써 비에 젖은 대형국기의 면(面)접착현상이 억제되면서 그 접착면적이 최소화됨과 동시에 접착부분에 대해서는 접착내부로의 통풍유도를 위한 단초의 출발점이 되는 한편, 이를 통해 대형국기의 면(面)접착부분으로부터 원상회복으로의 펴짐 속도가 최대화되는 효과가 있고,
⒝ 상부「고정구조」(P)와 하부「회전구조」(Q)의 조립에 의해 조립 회전부(R)가 이루어진 상하이동체(100)가 형성되고, 동시에 그 조립 회전부(R)에 2중 기능이 주어짐으로써 상부「고정구조」(P)에 대하여 하부「회전구조」(Q)의 자중을 지지하는 「자중지지기능」이 그 하나이고, 그 하부「회전구조」(Q)가 회전되는 「회전기능」이 다른 하나이며, 조립 회전부(R)의 「회전기능」에 의해 하부「회전구조」(Q)와 함께 국기걸이부가 동시에 회전되어 「바람」으로 인한 휘감김이 방지되는 한편, 조립 회전부(R)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자중지지기능」 및 「회전기능」과 「바람의 휘감김 방지」가 동시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 상부「고정구조」(P)와 하부「회전구조」(Q)의 조립부인 조립 회전부(R)에 의해 회전되는 국기걸이부가 종래 로프(rope)방식과는 달리 견고한 강봉방식이 됨으로써 바람에 의해 국기결착부분이 활처럼 휘어지지 않고, 항상 수직일직선의 국기결착이 유지되어 한층 더 미려한 게양국기의 외관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고,
⒟ 대칭구조의 상하이동체(100)가 게양대에 설치된 상태에서 게양대의 내경중심수직선(M)과 상하이동체(100)의 중심수직선(N)이 서로 하나로 일치된 단일중심수직선(V)상에 엎-다운 로프(rope)가 설치됨으로써 엎-다운 로프(rope)가 상하이동체(100)의 대칭중심선이 되어 엎-다운 로프(rope)와 상하이동체(100)의 상하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상하이동체(100)의 상하이동이 전혀 편심 됨 없이 항상 균형을 이루며 상하이동체(100)의 상하이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 회전방식 및 로프 엎-다운방식으로 이루어진 종래기술-1의 사용상태도
[도2] 회전방식 및 로프 엎-다운방식으로 이루어진 종래기술-2의 사용상태도
[도3a] 회전방식 및 로프 엎-다운방식으로 이루어진 종래기술-3의 사용상태도
[도4] 본 발명 상하이동체(100)에 의해 국기가 게양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5] 본 발명 상하이동체(100)의 분해사시도
[도6] 도5에 도시되어있는 주요구성의 조립상태도
[도7] 본 발명 상하이동체(100)의 조립 회전부(R)와 상하부 회전부(U)(D)를 나타낸 상태도
[도8] 본 발명 상하이동체(100)에 의해 국기가 하강하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9] 도4의 A-A선 단면도
[도10] 게양대의 강성을 계단식으로 보강한 단면도
[도11] 본 발명 상하이동체(100)에 의해 국기가 게양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도
본 발명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이동체(100)는 상부「고정구조」(P)와 하부「회전구조」(Q)로 이루어진 조립체이다.
상부「고정구조」(P)에 대하여 하부「회전구조」(Q)는 회전구조다.
하부「회전구조」(Q)는 수평연결부(156)를 기준으로 상하부 회전부(U)(D)로 나누었다. 실제 하부「회전구조」(Q)는 일체로 된 하나의 회전부재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첫 번째로, 조립 회전부(R)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6, 도7 참조).
조립 회전부(R)는 상부「고정구조」(P)와 하부「회전구조」(Q)의 조립부이다.
다시 말하면, 그 조립 회전부(R)는 상부「고정구조」(P)의 수용부(116)와 하부「회전구조」(Q)의 상부 회전부(U)와의 조립부이다. 하부 회전부(D)는 상부 회전부(U)의 연장선에 있다. 상하부 회전부(U)(D)는 하부「회전구조」(Q)이다.
조립 회전부(R)의 상부 회전부(U)는, 「누름회전판(152)→누름지지봉(153)→수평연결봉(154)→수직연결봉(155)」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연결부이다.
상부 회전부(U)중 누름회전판(152)과 이에 용접·고정된 누름지지봉(153)이 상부「고정구조」(P)의 수용부(116)에 삽입·조립된다.
상부 회전부(U)에 대하여 하부 회전부(D)는, 「원주상의 수직구조(F)」로 이루어진 강봉방식의 국기걸이부(157)이다.
국기걸이부(157)의 「원주상의 수직구조(F)」는, 상하이동체(100)의 중심수직선(N)에 대하여 동일직경의 강봉이면서 국기걸이강봉(157a)과 지지강봉(157b)으로 이루어진 대칭구조이다. 「원주상의 수직구조(F)」의 고정은 다수의 수평지지회전링(158)과의 용접에 의해 이루어진다. 국기걸이강봉(157a)은 국기가 결착되는 강봉이다. 지지강봉(157b)은 국기걸이강봉(157a)과 함께 국기걸이부(157)의 「원주상의 수직구조(F)」를 이루는 지지부재이다. 그 지지부재의 개수는 4개가 바람직하다. 상하이동체(100)의 중심수직선(N)에 대하여 대칭구조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다. 4개의 지지부재인 국기걸이강봉157a)과 지지강봉(157b)은 대칭을 위해 동일직경의 견고한 동일재질의 강봉이 바람직하다.
빗물접착억제봉(159)은 국기걸이강봉157a)의 상단에 설치·고정된다.
상하부 회전부(U)(D)는 동시에 회전되는 관계다.
상부「고정구조」(P)에 대하여 조립 회전부(R)에 의해 하부「회전구조」(Q)가 회전된다.
풍향에 따라 조립 회전부(R)의 상부 회전부(U)가 회전됨과 동시에 하부 회전부(D)[국기걸이부(157)]도 회전된다.
조립 회전부(R)는, 2중 기능을 한다.
상부「고정구조」(P)에 대하여 하부「회전구조」(Q)의 자중을 지지하는 「자중지지기능」이 그 하나이고, 그 하부「회전구조」(Q)가 회전되는 「회전기능」이 다른 하나이다.
조립 회전부(R)는, 상부「고정구조」(P)의 수용부(116)내에서 상부 회전부(U)의 누름회전판(152)이 회전되므로 수용부(116)내에 원형상의 원형베어링(116a)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로, 상하이동체(100)의 중심수직선(N)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6, 도7, 도8 참조).
상하이동체(100)는 그 중심수직선(N)에 대하여 대칭구조이다.
상부「고정구조」(P)와 하부「회전구조」(Q)도 그 중심수직선(N)에 대하여 대칭구조이다.
또한 승강되는 상하이동체(100)의 중심수직선(N)과, 외경이 동일한 게양대의 내경중심수직선(M)이 일치된다.
「원주상의 수직 구조(F)」의 국기걸이부(157)는, 상기 중심수직선(N)에 대하여 대칭구조를 이룬다.
수평지지회전링(158)은, 「원주상의 수직 구조(F)」의 「용접고정부재」이면서 동시에 하부「회전구조」(Q)에 대한 「수평지지부재」이다.
대형국기는 빗물접착억제봉(159)이 설치된 국기걸이강봉157a)에만 결착됨으로써 항상 수직일직선이 유지되어 그 외관이 미려하다.
세 번째로, 빗물접착억제봉(159)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5, 도6, 도7 참조).
국기걸이강봉157a)의 상단에 설치·고정된 빗물접착억제봉(159)은, 견고한 강봉의 수평부재로서 빗물에 젖은 대형국기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그 면(面)접착을 억제하는 부재이다. 도8에서와 같이 수평상의 빗물접착억제봉(159)의 보강을 위해 경사보강대(159a)의 설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빗물접착억제봉(159)은, 면(面)접착을 억제하는 부재일뿐, 국기를 매달기 위한 국기걸이봉이 아니다. 국기는 이미 수직상의 국기걸이부(157)의 국기걸이강봉(157a)에 결착되기 때문에 그렇다.
빗물접착억제봉(159)의 주된 기능은, 비에 젖은 대형국기의 면(面)접착의 억제·그 접착면적의 최소화가 이루어지게 하면서 동시에 접착부분에 대해서는 그 접착내부로의 통풍유도의 단초제공의 출발점이 되게 하는 기능이 바로 그것이다(도1 참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빗물접착억제봉(159)의 길이는, 가로방향 국기 폭의 1/8~1/4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접착억제봉(159)의 길이가 그 폭의 1/4을 초과하게 되면, 「비」에 젖은 대형국기의 면(面)접착에 대한 접착내부로의 통풍유도의 단초제공의 효율적 장점에 비하여, 빗물접착억제봉(159)으로 인해 펼쳐진 대형국기에 대하여 가해지는 풍압, 특히 태풍과 같은 강한 풍압으로 인한 폐해의 단점이 더 크기 때문에 그렇다.
그 폐해로서는, 수평의 빗물접착억제봉(159)과 수직의 국기걸이강봉157a)에 의해 대형국기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가해지는 풍압이 불가피하고, 풍압이 지속적으로 가해질수록, 빗물접착억제봉(159)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그 풍압의 크기도 커져 빗물접착억제봉(159)뿐 아니라 국기걸이강봉157a)이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면서 상하이동체(100)의 작동이 정지되는 폐해가 바로 그것이다.
또한 빗물접착억제봉(159)의 길이가 그 폭의 1/8이하가 되면, 「비」에 젖은 대형국기자체의 면(面)접착에 대한 면(面)접착내부로의 통풍유도의 단초제공이 거의 없어 원상회복으로의 펴짐 속도역시 거의 없게 되어 비효율적이 된다.
네 번째로, 게양대의 내경중심수직선(M)과 상하이동체(100)의 중심수직선(N)과 엎-다운 로프(rope)와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5, 도6, 도7 참조).
상하이동체(100)가 게양대에 설치된 상태에서 게양대의 내경중심수직선(M)과 상하이동체(100)의 중심수직선(N)이 서로 하나로 일치된 중심선을, 특히 단일중심수직선(V)이라한다.
게양대와 상하이동체(100)은 단일중심수직선(V)에 대하여 대칭구조이다.
또한 엎-다운 로프(rope)도 단일중심수직선(V)상에 설치·위치된다.
상하이동체(100)가 단일중심수직선(V)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면서 엎-다운 로프(rope)를 따라 상하이동 됨으로써 상하이동체(100)가 전혀 편심 됨 없이 항상 균형을 이루며 효율적인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게 된다.
다섯 번째로, 대형국기의 국기걸이강봉(157a) 및 빗물접착억제봉(159)과의 결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국기의 세로방향은, 그 결착공(S)에 관통된 연결철끈(C)에 의해 국기걸이강봉(157a)과 함께 묶어 단단히 결착한다. 국기의 가로방향 빗물접착억제봉(159)의 결착도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착한다. 이러한 결착방식은 통상적 일 뿐, 특별한 것이 아니므로 통상적인 결착방식도 여기에 모두 적용된다.
여섯 번째로, 대형국기가 결착된 상하이동체(100)의 승하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5, 도6, 도7 참조).
대형국기의 승하강은 단일중심수직선(V)상의 엎-다운 로프(rope)(160)에 의해 상하이동 된다.
단일중심수직선(V)상의 엎-다운 로프(rope)(160)는 핸들(174)보빈과 방향전환롤라(176)까지의 수직선이다. 그 방향 전환된 로프(rope)전환연장선은 상부「고정구조」(P)의 내측 수직부(112)에 고정된다. 이때 전환된 로프(rope)연장선에 병행으로 또 하나의 연결로프(rope)가 추가된다. 병행의 2개의 로프(rope)전환연장선이 단일중심수직선(V) 및 방향전환롤라(176)중심선에 대하여 상부「고정구조」(P)의 내측 수직부(112)에 대칭으로 고정된다.
일곱 번째로, 기타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9, 도10참조).
첫째, 엎-다운 로프(rope)(160)는 통상적인 와인더장치(174a)에 감겨져 핸들(174)에 의해 승강된다. 브레이크버튼(174b)에 의해 엎-다운 로프(rope)(160)가 고정된다. 게양대(170)의 최상단에 설치된 스토퍼돌기(171)에 의해 상하이동체(100)가 더 이상 상승되지 않게 된다.
둘째, 게양대(170)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상하이동체(100)의 마찰접면위치, 예컨대 상부「고정구조」(P)의 내측 수직부(112), 국기걸이부(157)의 수평지지회전링(158) 등에 소음방지부재(G)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대형국기의 결착공(S)을 관통한 연결철끈(C)에 의해 국기걸이강봉(157a)에 결착된다.
넷째, 상하이동체(100)의 게양대에 설치는 일반적인 설치방법에 의해 설치가능하다. 예컨대, 그 방법 중의 하나가 조립방식 또는 용접방식이다. 조립방식은, 대칭구조의 상하이동체(100)를 그 중심수직선(N)에 대하여 공장에서 반분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설치하는 방식이다. 용접방식은, 반분제작된 것에 대하여 현장에서 용접·고정하는 방식이다. 일반적 설치방법의 2가지 전제조건은, ①게양대에 설치된 상하이동체(100)의 중심선(N)과 단일중심수직선(V)이 일치되는 조건과, ②상하이동체(100)의 승강이 항상 편심 됨 없이 슬라이딩되는 조건이다. 이 2조건이 충족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설치방법이든 상관없다.
이와 같이 엎-다운 로프(rope)(160)가 단일중심수직선(V)선상에 설치되고 상하이동체(100)가 단일중심수직선(V)에 대하여 승하강됨으로써 더한층 균형 잡힌 상하이동체(100)의 슬라이딩 엎-다운(sliding up-down)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빗물접착억제봉(159)에 의해 비에 젖은 대형국기의 면(面)접착의 억제·그 접착면적의 최소화가 이루어지고, 또 그 접착부분에 대해서는 그 내부로의 통풍유도의 단초의 출발점이 됨으로써 원상으로의 펴짐 속도가 최대화되는 특징을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100; 상하이동체(100)
[P]; 상부「고정구조」(P)
110; 상부수용구조(110)
112; 내측 수직부(112), 113; 외측 수직부, 114; 수평부, 116; 수용부(116), 116a; 원형베어링(116a), 117; 덮개부,
[Q] ; 하부「회전구조」(Q)
150; 하부삽입구조(150)
152; 누름회전판(152), 153; 누름지지봉(153), 154; 수평연결봉(154), 155; 수직연결봉(155),
156; 수평연결부(156), 157; 국기걸이부(157), 157a; 국기걸이강봉(157a), 157b; 지지강봉(157b), 158; 수평지지회전링(158), 159; 빗물접착억제봉(159), 159a; 경사보강대(159a),
[R]; 조립 회전부(R)
160; 엎-다운 로프(rope)(160),
170; 게양대(170), 171; 스토퍼돌기(171),
172; 계단식 내경강성보강(172),
174; 핸들(174), 174a; 와인더장치(174a), 174b; 브레이크버튼(174b),
176; 방향전환롤라(176),
G; 소음방지부재(G)
S; 결착공(S)
B; 로프(rope)전환연장선(B)

Claims (8)

  1. 엎-다운 로프(rope)방식에 의한 국기게양대에 있어서

    상하이동체(100)가 게양대(170)에 설치된 상태에서 게양대의 내경중심수직선(M)과 상하이동체(100)의 중심수직선(N)이 하나로 일치된 단일중심수직선(V)에 엎-다운 로프(rope)(160)의 한 줄이 설치되고, 이때 그 한 줄은 핸들(174)에서 방향전환롤라(176)까지이며, 그 줄의 연장선이 방향전환롤라(176)를 거쳐 방향전환된 다른 한 줄이고, 그 다른 한 줄은 상부「고정구조」(P)의 내측 수직부(112)상단에 고정되는 한편, 엎-다운 로프(rope)(160)에 의해 승강되는 상하이동체(100)의 구조는 단일중심수직선(V)에 대하여 대칭구조를 이루면서 상부「고정구조」(P)와 하부「회전구조」(Q)로 이루어진 조립체이며, 이때 양 구조(P)(Q)의 조립에 의해 조립 회전부(R)가 이루어지고, 조립 회전부(R)는 상부「고정구조」(P)의 수용부(116)와 하부「회전구조」(Q)의 상부 회전부(U)에 의한 조립부이며, 하부 회전부(D)는 상부 회전부(U)의 연장선이면서 수평상의 빗물접착억제봉(159)이 설치·고정된 수직상의 국기걸이부(157)이고, 조립 회전부(R)의 상부 회전부(U)가 회전됨과 동시에 하부 회전부(D)도 함께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구조」(P)의 내측 수직부(112)와 외측 수직부(113)와 그리고 수평부(114)에 의해 이루어진 수용부(116)내에는 원형베어링(116a)이 내설되고, 그 위에 상부 회전부(U)의 누름회전판(152)이 삽입·조립되어 상부 회전부(U)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3. 제1항에 있어서
    조립 회전부(R)의 상부 회전부(U)는, 「누름회전판(152)→누름지지봉(153)→수평연결봉(154)→수직연결봉(155)」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연결부이고, 이에 대응된 하부 회전부(D)는 「원주상의 수직구조(F)」인 국기걸이부(157)이며, 풍향에 따라 상하부 회전부(U)(D)가 동시에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접착억제봉(159)의 길이는 가로방향 국기 폭의 1/8~1/4이고, 그 길이에 의해 빗물로 인한 면(面)접착의 억제 및 최소화되면서 그 접착내부로의 통풍유도의 단초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5. 제1항에 있어서
    국기걸이부(157)의 「원주상의 수직구조(F)」는 상하이동체(100)의 중심수직선(N)에 대하여 동일직경의 강봉이면서 국기걸이강봉(157a)과 지지강봉(157b)으로 이루어진 대칭구조이고, 「원주상의 수직구조(F)」의 고정은 다수의 수평지지회전링(158)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6. 제1항에 있어서
    게양대(170)의 상단에 고정된 방향전환롤라(176)의 중심이, 단일중심수직선(V)선상에 설치된 엎-다운(up-down) 로프(rope)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그 엎-다운(up-down) 로프(rope)를 따라 상하이동 되는 대칭구조의 상하이동체(100)가 전혀 편심 됨 없이 항상 균형 잡힌 이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7. 제1항에 있어서
    캔틸레버구조인 동일외경의 게양대(170)의 내경을 강성 보강함에 있어 하부지표면근처에서 그 내경의 두께가 최대가 되고, 그로부터 위로 갈수록 점차로 그 두께가 작게 되는 계단식 내경강성보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8. 제1항에 있어서
    핸들(174)에서 출발한 단일중심수직선(V)상의 엎-다운 로프(rope)(160)가 방향전환롤라(176)를 거쳐 방향 전환된 로프(rope)연장선에 병행으로 또 하나의 연결로프(rope)를 추가·2개의 연장연결로프(rope)가 상부「고정구조」(P)의 내측 수직부(112)의 상단에 고정하되 단일중심수직선(V)과 방향전환롤라(176)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KR1020210067466A 2021-05-26 2021-05-26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KR102309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466A KR102309366B1 (ko) 2021-05-26 2021-05-26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PCT/KR2022/007281 WO2022250395A1 (ko) 2021-05-26 2022-05-23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466A KR102309366B1 (ko) 2021-05-26 2021-05-26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366B1 true KR102309366B1 (ko) 2021-10-05

Family

ID=7807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466A KR102309366B1 (ko) 2021-05-26 2021-05-26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9366B1 (ko)
WO (1) WO20222503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657B1 (ko) * 2021-10-12 2022-03-28 이인아 기 게양장치
WO2022250395A1 (ko) * 2021-05-26 2022-12-01 장용수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313B2 (ja) * 1989-11-27 1996-07-31 ドーエイ外装有限会社 旗ポ―ル
KR100303045B1 (ko) * 1998-11-02 2001-09-24 강영준 풍향회전국기게양대
KR20070118479A (ko) * 2006-06-12 2007-12-17 강상호 필름코팅 깃발의 게양장치
KR101716094B1 (ko) * 2016-09-01 2017-03-13 안병봉 국기 게양대
KR20190011149A (ko) * 2017-07-24 2019-02-01 정새결 회전식 게양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366B1 (ko) * 2021-05-26 2021-10-05 임장환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313B2 (ja) * 1989-11-27 1996-07-31 ドーエイ外装有限会社 旗ポ―ル
KR100303045B1 (ko) * 1998-11-02 2001-09-24 강영준 풍향회전국기게양대
KR20070118479A (ko) * 2006-06-12 2007-12-17 강상호 필름코팅 깃발의 게양장치
KR101716094B1 (ko) * 2016-09-01 2017-03-13 안병봉 국기 게양대
KR20190011149A (ko) * 2017-07-24 2019-02-01 정새결 회전식 게양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395A1 (ko) * 2021-05-26 2022-12-01 장용수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KR102379657B1 (ko) * 2021-10-12 2022-03-28 이인아 기 게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0395A1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366B1 (ko)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CN2576065Y (zh) 遮阳吊伞的伸缩装置
CN112320618A (zh) 一种稳定型施工起重机械
KR102379657B1 (ko) 기 게양장치
CN203998709U (zh) 一种超省力电力设备起吊装置
CN213171206U (zh) 施工升降机吊杆及施工升降机
CN204802885U (zh) 一种旋转吊机
CN211078285U (zh) 一种l型舞台吊杆升降机
CN209120830U (zh) 林业树木支撑辅助装置
CN208500178U (zh) 一种用于房建工程的建筑吊篮
JP4669692B2 (ja) クライミング型ジブクレーン
KR100303045B1 (ko) 풍향회전국기게양대
CN219078949U (zh) 一种重型卷扬的低净空欧式起升机构
CN217555742U (zh) 一种自提升吊杆
CN2529999Y (zh) 折叠式防火帘
KR200237255Y1 (ko) 기 게양대
JPH0886122A (ja) 幟旗ポール
CN207485310U (zh) 无绳自动百叶窗帘
CN220317205U (zh) 一种立柱式折臂以及起重设备
CN104986670B (zh) 一种旋转吊机
KR102501605B1 (ko) 풍향에 따라 회전하는 풍향기 및 국기 게양대
CN212503693U (zh) 一种塔吊附着安拆起吊装置
CN212863955U (zh) 一种预制构件的吊取装置
CN213894972U (zh) 一种钢结构安装用辅助吊架
CN211871056U (zh) 一种可调节线缆辊支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