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657B1 - 기 게양장치 - Google Patents

기 게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657B1
KR102379657B1 KR1020210134643A KR20210134643A KR102379657B1 KR 102379657 B1 KR102379657 B1 KR 102379657B1 KR 1020210134643 A KR1020210134643 A KR 1020210134643A KR 20210134643 A KR20210134643 A KR 20210134643A KR 102379657 B1 KR102379657 B1 KR 102379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ing
rope
pulley
r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아
Original Assignee
이인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아 filed Critical 이인아
Priority to KR1020210134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657B1/ko
Priority to PCT/KR2022/006282 priority patent/WO20230635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 게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게양대의 상단에 고정되고, 일측으로는 게양 로프가 권회하는 상부 도르래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여 게양대를 축으로 반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도르래 고정 베어링; 상기 도르래 고정 베어링의 하부에서 게양대를 따라 일정 높이를 이격하여 게양대에 고정되도록 하고, 일측으로는 기 상승용 로프가 통과하도록 링형 고리가 형성되도록 하여 게양대를 축으로 반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로프 지지 베어링; 상기 게양대의 하단에 고정되면서 일측에는 스냅 후크 고리가 연결되고, 상기 스냅 후크 고리에는 게양 로프가 권회하는 하부 도르래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하며, 게양대를 축으로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도르래 연결 베어링으로 구비한다.

Description

기 게양장치{Apparatus for rasing flag}
본 발명은 기 게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게양대에 게양된 기가 바람의 영향에 의해 회전하게 되더라도 게양 로프와 함께 기가 자연스럽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게양대에 꼬이거나 감기지 않도록 하는 기 게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깃발은 어떤 의미를 상징하는 표장으로서, 여러 행사시에나 국경일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깃발의 종류에는 국기, 새마을기, 시기, 도기, 민방위기 등 다양한 깃발이 있으며, 이중에서 특히 국기(우리나라인 경우는 '태극기')는 한 나라를 상징하는 얼굴과 같은 상징물로서, 일반 가정은 물론, 학교, 관공서 등에 비치하여 필요시 사용하도록 한다.
깃발은 보통 액자 등에 보관하여 현수하는 보관용 현수 깃발과, 관공서나 학교 등의 게양대에 걸어놓는 게양용 대형 깃발과, 휴대 가능한 휴대용 게양대에 걸어 들고 다니도록 하는 휴대용 소형 깃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게양대에 게양줄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비휴대용의 경우는 학교 또는 관공서에서 아침, 저녁으로 애국가와 함께 국기를 게양 또는 하강시키는 경우이다.
또한 국제적인 스포츠 경기가 벌어지는 운동장이나 국제회의장 등에서 각 나라의 국기가 게양되어 스포츠 경기 또는 당해 국제회의에 참석한 나라를 대표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 제0334443호(2003.11.17.)의 기 게양장치에서는 기의 상측가로면 테두리에는 가로대가 삽입되는 가로대 삽입홀이 마련되고, 기의 우측세로면 테두리에는 세로대가 삽입되는 세로대 삽입홀이 마련되어 게양줄이 기의 우측테두리의 상하측에 연결되어 게양대에 게양되도록 한 바 있다.
즉, 게양대에 마련된 게양줄의 양단부를 세로대의 상하부에 마련된 고리에 연결하고, 기의 상부로 연결된 게양줄이 도르래로 말려 들어갈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도르래가 인접한 위치의 게양줄에 매듭을 만들어주며, 연결줄을 사용하여 기의 우측 상하부에 마련된 구멍과 게양줄을 연결하여 기의 고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게양장치는 바람이 심하게 흔들리게 되면 게양줄이 게양대에 감겨지면서 꼬임이 발생되어 기가 게양대에 감기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0334443호(2003.11.1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게양대의 상단으로부터 하단부까지 일정 높이마다 복수의 베어링이 구비되도록 하면서 상단의 도르래 고정 베어링에는 상부 도르래가 일체로 고정되고, 그 하부로 형성되는 복수의 로프 지지 베어링에는 기 상승용 로프가 통과하도록 일측으로 고리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바람에 의해 기가 게양대를 회전 시 안정적으로 회전하면서 줄 꼬임이나 기의 감김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 게양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가 연결되는 기 하강용 로프는 일정 길이가 절단되게 하여 절단된 기의 상단과 하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와 게양 로프를 쉽고 안정적으로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 게양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장치는, 게양대의 상단에 고정되고, 일측으로는 게양 로프가 권회하는 상부 도르래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여 게양대를 축으로 반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도르래 고정 베어링; 상기 도르래 고정 베어링의 하부에서 게양대를 따라 일정 높이를 이격하여 게양대에 고정되도록 하고, 일측으로는 기 상승용 로프가 통과하도록 링형 고리가 형성되도록 하여 게양대를 축으로 반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로프 지지 베어링; 상기 게양대의 하단에 고정되면서 일측에는 스냅 후크 고리가 연결되고, 상기 스냅 후크 고리에는 게양 로프가 권회하는 하부 도르래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하며, 게양대를 축으로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도르래 연결 베어링으로 구비한다.
상기 도르래 고정 베어링과 상기 로프 지지 베어링과 상기 도르래 연결 베어링은 도르래 본체의 외륜에 고정 링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 링의 일측면에는 상부 도드래와 링형 고리가 일체로 연결되며, 스냅 후크 고리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도르래 고정 베어링과 상기 로프 지지 베어링과 상기 도르래 연결 베어링은 베어링 본체의 내륜이 일정 높이 상부 또는 하부가 일체로 연장되도록 한 연장면을 복수의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게양 로프는 기가 연결되는 기 하강용 로프가 기의 높이보다는 길게 절단되도록 하고, 절단된 단부와 상기 기의 일단부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인출되는 기 고정 로프의 단부와 연결 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기 하강용 로프의 절단된 단부와 상기 기 고정 로프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 고리와 스냅 후크 고리로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기 고정 로프는 상기 기의 일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장치에 의해 기의 게양을 위해 게양대 상단과 하단의 상부 도르래와 하부 도르래간을 권회하도록 설치되는 게양 로프의 기 상승용 로프가 복수의 로프 지지 베어링의 링형 고리를 관통하여 지지되도록 하면서 기 하강용 로프에 연결되는 기가 바람에 의해 휘날리게 되더라도 기가 게양대에 감기지 않으면서 항상 바른 게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 하강용 로프에 기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면서 기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는 인장 탄성을 갖는 기 고정 로프가 연장 형성되게 함으로써 기를 게양한 상태에서도 기의 기 고정 로프를 형성한 일단이 일정 탄성을 가지며 안정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장치를 예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장치의 도르래 고정 베어링을 예시한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장치의 로프 지지 베어링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장치의 로프 지지 베어링을 예시하는 수직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장치에서 기의 연결 구조를 예시하는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장치에 의한 작동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장치를 예시한 측면도로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르레 고정 베어링(30)과 로프 지지 베어링(40) 및 도르래 연결 베어링(5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게양대(10)에 연결되는 게양 로프(2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특히 게양 로프(20)의 기 상승용 로프(21)를 수직으로 가이드하도록 한다.
통상, 게양 로프(20)는 하나의 로프로 이루어지면서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상단과 하단을 상호 일정 텐션을 갖도록 하여 수직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때 게양 로프(20)는 기가 상승되도록 하기 위해 잡아 당기게 되는 기 상승용 로프(21)와 반대로 기가 하강하도록 잡아 당기게 되는 기 하강용 로프(22)를 양측으로 구비하게 된다.
한편, 게양 로프(20)에는 기 상승용 로프(21)와 기 하강용 로프(22)를 구분할 수 있도록 로프에는 서로 다른 색깔이 도색이나 접착 테이프가 부착되게 함으로써 육안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런 게양 로프(20)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게 되는 게양대(10)에는 도르레 고정 베어링(30)과 로프 지지 베어링(40) 및 도르래 연결 베어링(50)은 게양대(10)에 축 결합되면서 볼팅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중 도르레 고정 베어링(30)은 도 2에서와 같이 게양대(10)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면서 일측으로는 상부 도르래(31)가 일체로 고정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르레 고정 베어링(30)은 게양대(10)에 축결합되는 내륜과 이 내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외륜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본체(31)로부터 일측으로 상부 도르래(32)가 돌출되게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도르레 고정 베어링(30)은 베어링 본체(31)에 일측으로 상부 도르래(3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게양대(10)를 축으로 반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도르래 고정 베어링(30)에 형성되는 상부 도르래(32)는 게양 로프(20)의 상단부가 권회하도록 한다.
도르래 고정 베어링(30)이 설치된 게양대(10)에는 일정 높이를 이격하여 로프 지지 베어링(40)이 고정되도록 한다.
로프 지지 베어링(40)은 도 3에서와 같이 게양대(1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내륜과 이 내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외륜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본체(41)의 외륜 일측으로는 외부로 돌출되게 링형 고리(42)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단의 도르래 고정 베어링(30)의 상부 도르래(32)를 권회하여 하향 구비되는 게양 로프(20)에서 기 상승용 로프(21)가 링형 고리(42)를 통과하도록 한다.
따라서,한 로프 지지 베어링(40)은 게양대(10)를 축으로 반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게양대(10)의 하단에는 도르래 연결 베어링(50)이 연결된다.
도르래 연결 베어링(50)은 게양대(10)의 하단에 고정되게 하여 게양대(1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내륜과 이 내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외륜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본체(51)의 외륜 일측에는 스냅 후크 고리(52)가 연결되고, 스냅 후크 고리(52)에는 로프 지지 베어링(40)의 링형 고리(42)를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는 게양 로프(20)의 하단부가 권회하도록 하는 하부 도르래(43)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도르래 연결 베어링(50) 또한 전술한 도르래 고정 베어링(30)과 로프 지지 베어링(40)과 마찬가지로 게양대(10)를 축으로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다만, 도르래 고정 베어링(30)과 로프 지지 베어링(40) 및 도르래 연결 베어링(50)은 도 4에서와 같이 도르래 본체(31)(41)(41)의 외륜에 고정 링(31a)(41a)(51a)이 연결되고, 이 고정 링(31a)(41a)(51a)에는 일측면에 상부 베어링(32) 또는 링형 고리(4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거나 스냅 후크 고리(52)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도르래 고정 베어링(30)과 로프 지지 베어링(40)과 도르래 연결 베어링(50)에는 베어링 본체(31)(41)(51)의 내륜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 높이가 일체로 연장되도록 하여 연장면(31b)(41b)(51b)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연장면(31b)(41b)(51b)을 통해 복수의 볼트 결합으로 게양대(10)에 견고하게 고정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게양 로프(20) 중 기가 연결되는 기 하강용 로프(22)는 도 5에서와 같이 기(60)의 높이보다는 길게 절단되도록 하고, 기 하강용 로프(22)의 절단된 단부와 함께 기(60)의 일단부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인출되는 기 고정 로프(61)의 단부와 연결 수단(70)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다만, 이때의 연결 수단(70)은 기 하강용 로프(22)의 절단된 단부와 기 고정 로프(61)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 고리(71)와 스냅 후크 고리(72)로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기 고정 로프(61)는 기(60)의 일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도록 하거나, 기(60)의 일단부측 상단과 하단에 형성한 각 고리 홀에 고정 결합되게 할 수도 있으며, 기 연결축 로프(22)의 절단한 양단부에 각각 고정한 스탭 후크 고리(72)가 직접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특히, 기(60)의 일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하는 기 고정 로프(61)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기 하강용 로프(22)의 절단된 부위에는 기(6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별도의 연결 로프(8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기 게양장치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 게양장치는 태극기와 같은 국기 뿐만 아니라 학교, 관공서와 같은 다양한 단체에 사용되는 기(60)를 게양대(10)에 게양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게양 로프(20)는 상부 도르래(32)와 하부 도르래(53)간을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중 기(60)가 연결되는 기 하강용 로프(22)와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기 상승용 로프(21)는 게양대(10)에 일정 높이마다 고정 설치한 로프 지지 베어링(40)의 링형 고리(42)를 관통하도록 한다.
상부 도르래(32)를 권회하여 로프 지지 베어링(40)의 링형 고리(42)를 관통하면서 기 상승용 로프(21)가 지지되도록 하면, 기 하강용 로프(22)에 연결된 기(60)가 바람에 의해서 휘날리게 되는데 이때 바람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기(60)는 바뀐 바람의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기(60)의 날리는 위치가 바뀌게 될 때 기(60)가 연결된 기 상승용 로프(21)와 함께 기 하강용 로프(22)도 함께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되며, 이렇게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베어링 본체(31)(41)(51)에 연결한 상부 도르래(32)와 링형 고리(42) 및 스냅 후크 고리(52)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 기(60)가 바람의 방향을 따라 날리게 될 때 기(60)의 날리는 방향이 풍향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이때 기(60)에 연결되는 기 하강용 로프(22)도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기 하강용 로프(22)가 게양대(10)를 축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면 이때의 이동력에 의해 먼저 도르래 고정 베어링(30)의 상부 도르래(32)를 함께 회전시키게 되고, 상부 도르래(32)의 이동에 의해 동시에 기 상승용 로프(21)에 회전 이동력이 전달된다.
상부 도르래(32)의 회전력에 의해 기 상승용 로프(21)에 전달되는 회전 이동력에 의해 도 6에서와 같이 도르래 고정 베어링(30)의 하부에서 게양대(10)에 축고정되도록 한 로프 지지 베어링(40)을 회전시키게 된다.
즉, 기 상승용 로프(21)가 회전하게 되면 이 회전력에 의해 로프 지지 베어링(40)에 형성한 링형 고리(42)를 수직 통과하는 기 상승용 로프(21)가 링형 고리(30)를 회전 이동하게 함으로써 결국 기(60)의 회전 이동 시 기 하강용 로프(22)와 기 상승용 로프(21) 및 로프 지지 베어링(40)과 함께 링형 고리(42)가 순차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게양 로프(20)들의 줄 꼬임이나 기(60)의 말림이 방지되도록 하여 항상 안정된 기의 게양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서는 기(60)가 게양 로프(20)로부터 간단히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 비가 오거나 눈이 내리는 굳은 날씨나 야간에는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60)를 좀더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게양대
20 : 게양 로프
21 : 기 상승용 로프 22 : 기 하강용 로프
30 : 도르래 고정 베어링
31 : 베어링 본체 32 : 상부 도르래
40 : 로프 지지 베어링
41 : 베어링 본체 42 : 링형 고리
50 : 도르래 연결 베어링
51 : 베어링 본체 52 : 스냅 후크 고리
53 : 하부 도르래
60 : 기
61 : 기 고정 로프
70 : 연결 수단
71 : 고정 고리 72 : 스냅 후크 고리
80 : 연결 로프

Claims (6)

  1. 게양대의 상단에 고정되고, 일측으로는 게양 로프가 권회하는 상부 도르래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여 게양대를 축으로 반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도르래 고정 베어링;
    상기 도르래 고정 베어링의 하부에서 게양대를 따라 일정 높이를 이격하여 게양대에 고정되도록 하고, 일측으로는 기 상승용 로프가 통과하도록 링형 고리가 형성되도록 하여 게양대를 축으로 반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로프 지지 베어링;
    상기 게양대의 하단에 고정되면서 일측에는 스냅 후크 고리가 연결되고, 상기 스냅 후크 고리에는 게양 로프가 권회하는 하부 도르래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하며, 게양대를 축으로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도르래 연결 베어링;
    기 하강용 로프의 절단된 단부와 기 고정 로프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 고리와 스냅 후크 고리로서 이루어지는 연결 수단;
    기의 일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 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도르래 고정 베어링과 상기 로프 지지 베어링과 상기 도르래 연결 베어링은 도르래 본체의 외륜에 고정 링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 링의 일측면에는 상부 도드래와 링형 고리가 일체로 연결되며, 스냅 후크 고리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도르래 고정 베어링과 상기 로프 지지 베어링과 상기 도르래 연결 베어링은 베어링 본체의 내륜이 일정 높이 상부 또는 하부가 일체로 연장되도록 한 연장면을 복수의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게양 로프는 기가 연결되는 기 하강용 로프가 기의 높이보다는 길게 절단되도록 하고, 절단된 단부와 상기 기의 일단부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인출되는 기 고정 로프의 단부와 연결 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게양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34643A 2021-10-12 2021-10-12 기 게양장치 KR102379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643A KR102379657B1 (ko) 2021-10-12 2021-10-12 기 게양장치
PCT/KR2022/006282 WO2023063517A1 (ko) 2021-10-12 2022-05-02 기 게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643A KR102379657B1 (ko) 2021-10-12 2021-10-12 기 게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657B1 true KR102379657B1 (ko) 2022-03-28

Family

ID=8099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643A KR102379657B1 (ko) 2021-10-12 2021-10-12 기 게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9657B1 (ko)
WO (1) WO20230635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517A1 (ko) * 2021-10-12 2023-04-20 이인아 기 게양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939U (ko) * 1998-09-22 1998-12-05 우춘영 국기 게양대
KR200237895Y1 (ko) * 2001-04-17 2001-10-26 정진병 국기 말림 방지장치
KR200334443Y1 (ko) 2003-03-26 2003-11-28 차인철 기 게양장치
KR100875086B1 (ko) * 2005-10-18 2008-12-19 정동원 깃발 게양장치
KR102309366B1 (ko) * 2021-05-26 2021-10-05 임장환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1586B2 (ja) * 1999-08-19 2004-09-29 斉藤鉄工有限会社 掲揚装置
KR102379657B1 (ko) * 2021-10-12 2022-03-28 이인아 기 게양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939U (ko) * 1998-09-22 1998-12-05 우춘영 국기 게양대
KR200237895Y1 (ko) * 2001-04-17 2001-10-26 정진병 국기 말림 방지장치
KR200334443Y1 (ko) 2003-03-26 2003-11-28 차인철 기 게양장치
KR200351177Y1 (ko) * 2003-03-26 2004-05-20 차인철 기 게양장치
KR100875086B1 (ko) * 2005-10-18 2008-12-19 정동원 깃발 게양장치
KR102309366B1 (ko) * 2021-05-26 2021-10-05 임장환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517A1 (ko) * 2021-10-12 2023-04-20 이인아 기 게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3517A1 (ko)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9657B1 (ko) 기 게양장치
KR101716094B1 (ko) 국기 게양대
JP5264138B2 (ja) 幟旗掲揚装置
US5402746A (en) Flagstaff for holding the flag unfurled
KR102309366B1 (ko)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CN101832053A (zh) 升降式防缠绕旗杆
US20120067388A1 (en) On-shore sail shade
KR100875086B1 (ko) 깃발 게양장치
US3680526A (en) Tangle free flag rigging
US964035A (en) Flagstaff.
US7231884B1 (en) Pennant display with pole mountable collar
KR20190011149A (ko) 회전식 게양대
CN114246163B (zh) 一种电子信息管理的休闲渔业自动捕捞装置
CN213480063U (zh) 一种应用于机场机位监控的高杆灯
KR101645986B1 (ko)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
JP2017045022A (ja) 旗類掲納装置
KR20160142423A (ko) 갱웨이 지지용 개선된 페데스탈을 구비한 선박
KR101055452B1 (ko) 국기 게양장치
SE465568B (sv) Kabelstyrning foer lyftanordningar
CN109553010B (zh) 一种具有救生驾驶室的施工爬升装置
CN217640610U (zh) 一种旗帜拉升装置
JP3143275U (ja) 旗竿
CN204745678U (zh) 一种双动环形帷幕
JP2015218051A (ja) 鉄塔の解体・組立装置
CN216571533U (zh) 一种双动力舞台吊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