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255Y1 - 기 게양대 - Google Patents

기 게양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255Y1
KR200237255Y1 KR2020010010706U KR20010010706U KR200237255Y1 KR 200237255 Y1 KR200237255 Y1 KR 200237255Y1 KR 2020010010706 U KR2020010010706 U KR 2020010010706U KR 20010010706 U KR20010010706 U KR 20010010706U KR 200237255 Y1 KR200237255 Y1 KR 200237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flag
ring
support
ferr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만
Original Assignee
송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용만 filed Critical 송용만
Priority to KR2020010010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255Y1/ko

Link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국기, 군기, 우승기, 신호기등의 각종 기(旗)를 게양하기 위한 게양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구성 각부를 제조공정에서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현장 시공시에는 간단한 조립작업만 수행토록 하여 공수절감 및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중량체에 의해 로우프가 항시 팽팽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서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상부링과 하부링이 소정각도의 범위내에서 회동되도록 함으로서 바람의 방향이 바뀌더라도 기가 지주에 감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 게양대{Shaft for hoist a flag}
본 고안은 국기, 군기, 우승기, 신호기등의 각종 기(旗)를 게양하기 위한 게양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 기 게양대는 도면의 도1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면(1)에 고정브라켓(3)을 매립 설치하고, 이에 고정축(4)가 고정핀(5)으로 지주(2)의 하단부를 고정시켜 직립 설치하되, 지주(2)의 상단부 일측에 도르래(21)를 갖는 고정링(20)을 용접 고정시키고 도르래(21)에 로우프(13)를 걸어서 설치한후 지주(2) 하단부 일측에 용접설치된 돌핀(22)에 로우프(13)의 끝단을 묶어서 고정토록 구성되었는바,
이는 기 (30)를 게양시 사용자가 돌핀(22)으로부터 묶여진 로우프(13)의 끝단을 풀은다음 로우프(13)의 일측 가닥에 기(30)를 묶어서 로우프(13)의 타측 가닥을 잡아 당기게 되는데, 기(30)가 도르레(21)의 위치까지 상승한 후에는 로우프(13)의 양측 가닥을 팽팽히 잡아당겨 지주(2)를 휘감아 돌핀(22)에 묶어주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기(30)가 게양되는 장소가 옥외이니 만치 바람이 많이 불게되고 또 기(30)를 게양하는 목적이 기(30)가 바람에 펄럭이면서 시선을 집중시킬수 있도록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통상의 기 게양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에 대두되었던 것이다.
첫째, 시공시 현장 사정에 맞추어 현장에서 고정링(20)과 돌핀(22)을 지주(2)에 용접시켜야 하는 공정에 의해 현장까지 용접장비를 함께 운반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많은 인력을 필요로하게 되어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으며,
둘째, 기(30)를 게양한 후 기(30)에 가해지는 바람의 압력에 의해 게양시 팽팽히 당겨서 묶여진 로우프(13)가 느슨해 짐으로서 기(30)의 자태가 일그러지게 됨과 동시에 늘어진 로우프(13)가 바람에 휘날리면서 지주(2)를 타격하는 불쾌한 타격음을 발생시키게 됨과 더불어 외관을 조악하게 하는 결점이 있으며,
셋째, 로우프(13)의 상단은 고정링(20)에 의해 고정된 위치를 가짐과 동시에 하단 역시 돌핀(22)에 의해 고정된 위치를 가짐으로써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데 대응하지 못하고, 기(30)의 자락이 바람이 부는 방향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자칫 지주(2)에 두루말이 식으로 감기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됨으로서 제구실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구성 각부를 제조공정에서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현장 시공시에는 간단한 조립작업만 수행토록 하여 공수절감 및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중량체에 의해 로우프가 항시 팽팽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서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상부링과 하부링이 소정 각도의 범위내에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바람의 방향이 바뀌더라도 기가 지주에 감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1은 종래고안의 설치예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설치예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요부의 확대 분리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요부의 확대 분리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 지주 3 : 고정브라켓 4 : 깃봉
7 : 단턱 8 : 안내관 9 : 상부링
10 : 하향돌부 11 : 중량체 12 : 하부링
13 : 로우프 14 : 조임부재 15 : 단관
16a, 16b : 경사면 17a, 17b : 쐐기형 링
30 : 기 T1, T2 :저지턱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면(1)에 고정브라켓(3)의 매립 설치되고, 이에 고정축(4)과 고정핀(5)으로 지주(2)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지주(2)가 직립 설치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지주(2)의 상단부 양측에 저지턱(T1)(T2)이 형성되어 내경에 단턱(7) 및 안내관(8)을 갖는 깃봉(6)이 삽입 설치되고 깃봉(6)의 일측에 하향돌부(10)를 갖는 상부링(9)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지주(2)에는 일측에 하부링(12)이 형성된 중량체(11)가 삽입 설치되어 상부링(9)과 하부링(12)을 걸어서 로우프(13)가 설치된다.
한편, 하부링(12)은 중량체(11)를 대신하여 단관(15)과 나사결합되는 조임부재(14)에 형성할수도 있는바, 단관(15)의 상,하 내경에는 경사면(16a)(16b)이 형성되고 경사면(16a)(16b)과 지주(2) 사이에는 쐐기형링(17a)(17b)이 개재되는 것이다.
그리고, 로우프(13)에는 기(30)가 묶음끈으로 묶여지는 것은 통상의 것과 동일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2에 나타낸바와 같이 상부링(9)과 하부링(12)에 로우프(13)를 걸어서 설치케 되면 중량체(11)의 무게에 의해 로우프(13)가 팽팽히 당겨지는 상태가 되는바, 이때 사용자가 기(30)를 로우프(13)의 일측 가닥에 묶어준 다음 타측 가닥을 하방으로 당겨주게되면 로우프(13)는 상부링(9)과 하부링(12)에 안내되어 당기는 측의 반대측 가닥이 위로 올라가게 되므로 타측 가닥에 묶여진 기(30)가 필요한 높이까지 올라간 다음에는 당김 작업을 그대로 멈춤으로서 기(30)가 게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별도의 로우프(13) 고정행위를 취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편 용이하게 기(30)를 게양케 되는 것이다.
한편, 기(30)가 게양된 상태에서 바람이 다양한 각도로 불게되면 기(30)의 자락이 바람의 방향에 따라 휘날리게 되는데, 이때에는 도3에 나타낸바와 같이 깃봉(6) 하단의 안내관(8)이 지주(2)의 내경에 안내되어 회전하게 됨으로서 기(30)가 지주(2)에 두루말이식으로 감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으로,깃봉(6)은하향돌부(10)가 저지턱(T1)(T2)에 저지됨으로써 소정 각도( 약 ∠ 240°)의 범위안에서만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중량체(11) 또한 로우프(13)에 의해 서서히 깃봉(6)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회전하게 됨으로써, 로우프(13)가 지주(2)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깃봉(6)이 ∠360°로 회전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바람의 방향에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될 수 있겠으나이는 지주(2)가 상당한 높이를 가짐으로서 기(30)가 회전하는 속도에 중량체(11)가 동시에 대응하여 회전하지 못하고 느리게 회전하는 점을 감안할 때 오히려 로우프(13)를 꼬이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깃봉(6)이 ∠360°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은 절대 피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하부링(12)은 도5에 나타낸바와 같이 단관(15)과 나사결합되는 조임부재(14) 일측에 형성 할수도 있는바, 이는 조임부재(14)를 풀어 로우프(13)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기(30)의 게양을 수행한 다음 조임부재(14)를 하방으로 팽팽히 잡아당긴 상태로 단관(15)과 나사결합을 하게 되면 쐐기형링(17a)이 경사면(16a)에 의해 지주(2)와 경사면(16a)사이에 쐐기역활을 하게 됨으로써 조임부재(14)가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어 로우프(13)가 항시 팽팽한 상태를 유지케 되는 것으로, 하방의 쐐기형 링(17b)은 조임부재(14)와 단관(15)을 해체 하였을 때 단관(15)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려는 것을 저지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구조는 사용자가 나사결합 및 해체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불편은 있으나, 지주(2)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케 되므로 지형적으로 바람이 아주 센 장소에 적합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시공은 물론 기의 게양이 간편 용이하고, 바람의 방향이 바뀌더라도 기 또는 로우프가 감기거나 꼬이는 것이 방지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케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지면(1)에 고정브라켓(3)이 매립 설치되고, 이에 하단부가 고정축(4)과 고정핀(5)으로 고정되어 지주(2)가 직립 설치되도록 한것에 있어서,
    지주(2)의 상단부 양측에 저지턱(T1)(T2)이 형성되어 내경에 단턱(7) 및 안내관(8)을 갖는 깃봉(6)이 삽입설치되고, 깃봉(6)의 일측에 하향돌부(10)를 갖는 상부링(9)이 돌출 형성되며, 지주(2)에는 일측에 하부링(12)이 형성된 중량체(11)가 삽입 설치되어 상부링(9)과 하부링(12)을 걸어서 로우프(1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게양대.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링(12)은 중량체(11)를 대신하여 단관(15)과 나사 결합되는 조임부재(14)에 형성되고, 단관(15)의 상,하 내경에는 경사면(16a)(16b)이 형성되어 이의 상,하로 쐐기형링(17a)(17b)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게양대.
KR2020010010706U 2001-04-16 2001-04-16 기 게양대 KR200237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06U KR200237255Y1 (ko) 2001-04-16 2001-04-16 기 게양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06U KR200237255Y1 (ko) 2001-04-16 2001-04-16 기 게양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255Y1 true KR200237255Y1 (ko) 2001-10-11

Family

ID=7306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706U KR200237255Y1 (ko) 2001-04-16 2001-04-16 기 게양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2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157B1 (en) Windproof umbrella having compact folded structure
KR100927443B1 (ko)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AU20182049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 and Installation of a Screen Assembly
KR102309366B1 (ko) 국기의 빗물 면(面)접착 면적을 최소화한 회전방식의 국기게양대
JP5264138B2 (ja) 幟旗掲揚装置
KR200237255Y1 (ko) 기 게양대
CN206158319U (zh) 一种电力线路施工拉线装置
FR2823784A1 (fr) Mat treillis et systeme d'erection et d'abaissement dun tel mat
KR200258109Y1 (ko) 기 게양대
KR200237895Y1 (ko) 국기 말림 방지장치
KR200377590Y1 (ko) 국기가 깃대에 감기지 않는 국기게양대
JP7133529B2 (ja) 日除けの支持構造
CN104712090B (zh) 一种遥控式电动天棚及其工作方法
CN211286894U (zh) 一种防风稳定型水泥电杆
KR102082246B1 (ko) 와이어 또는 가림막 연결을 위한 텐션수단
KR970002464Y1 (ko) 국기 게양대
KR20090126936A (ko) 철탑용 크레인
JP2010158503A (ja) 巻取式ウインチを用いた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吊張体の吊張移動システム
JP4881593B2 (ja) テント、タープまたはシェードの補強構造
KR101155981B1 (ko) 신호등의 유동 방지장치
JPH0236798Y2 (ko)
KR200328280Y1 (ko) 골프 연습장 구조물
KR102185923B1 (ko) 케이싱 인출구조를 갖는 파라솔장치
JPH08280987A (ja) 物干し構造
CN114941424A (zh) 无配重吊篮结构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