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654B1 - 차량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654B1
KR101714654B1 KR1020100123913A KR20100123913A KR101714654B1 KR 101714654 B1 KR101714654 B1 KR 101714654B1 KR 1020100123913 A KR1020100123913 A KR 1020100123913A KR 20100123913 A KR20100123913 A KR 20100123913A KR 101714654 B1 KR101714654 B1 KR 101714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amp
carrier
clip
support panel
lamp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959A (ko
Inventor
박성욱
소원섭
김재용
공태윤
권용성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65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램프의 조립 외관 품질 확보를 위한 캐리어의 헤드램프 장착부를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후조립 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충격발생 시 헤드램프 및 헤드램프 클립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어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는 분리형 헤드램프 클립을 적용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헤드램프 클립으로 인해 보행자보호 평가 시 상부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어 차량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충돌 시에도 헤드램프 및 캐리어가 파손 또는 파단 되지 않아 재조립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원가 절감 및 자원 재활용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캐리어{Carrier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램프의 조립 외관 품질 확보를 위한 캐리어의 헤드램프 장착부를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후조립 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충격발생 시 헤드램프 및 헤드램프 클립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어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자동차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공정을 단순화 및 자동화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다수의 부품들을 조립한 집합체를 조립라인에서 조립하는 즉, 모듈화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예로써 쿨링모듈과 헤드램프 및 범퍼 빔을 포함한 범퍼를 조립하여 모듈화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중앙에 배치된 캐리어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캐리어의 쿨링모듈 장착부에 라디에이터와 콘덴서 및 팬 슈라우드를 포함한 쿨링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캐리어의 헤드램프 장착부에는 헤드램프가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의 전면에는 범퍼 빔이 장착되어 모듈화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부품들을 조립하여 모듈화함으로써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도 1은 자동차용 캐리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헤드램프가 장착된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캐리어(C)는 상측 수평지지부(10)와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의 아래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측 수평지지부(20)와 상기 상측 및 하측 수평지지부(10, 20)를 연결하는 좌측 및 우측 수직지지부(30, 40)로 이루어져 쿨링모듈 장착부가 구비된 대략 사각틀 형상의 전면 패널(50)과 상기 전면 패널(50)의 좌측 및 우측에 연장 형성되어 헤드램프(80) 장착을 위한 서포트 패널(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 패널(60)은 헤드램프(80)를 캐리어(C)에 고정시켜, 조립 시에 헤드램프(80)가 차량에 정확히 장착되도록 하여 헤드램프(80)의 조립 외관 품질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패널(60)은 헤드램프(80)가 차량에 조립되기 전까지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이나, 헤드램프(80)가 차량에 고정된 후에는 그 역할을 다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포트 패널(60)은 상기 헤드램프(H)의 하단이 고정되는 하부프레임(62)과 헤드램프(H)의 상단이 고정되는 상부프레임(61)으로 나뉠 수 있는데, 상기 상부프레임(61)의 경우 보행자 보호 시험 시 보행자의 상부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크게 하여 치명적 부상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자 충돌 시험 평가에서 불리하게 적용되고, 차량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램프를 캐리어에 슬라이드 조립이 가능하도록 헤드램프 클립에 레일구조를 적용하고, 보행자 충돌 시 헤드램프 및 캐리어의 파손이나 파단 없이 헤드램프 클립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 보행자를 보호하고, 충돌 후에도 헤드램프를 재사용 할 수 있게 되는 차량용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는 상측 수평지지부(100)와, 하측 수평지지부(200)와, 상기 상측 및 하측 수평지지부(100, 200)를 연결하는 좌측 수직지지부(300)와, 우측 수직지지부(400)로 이루어져 쿨링모듈 장착부가 구비된 사각형태의 전면 패널(500)과, 헤드램프 장착을 위해 상기 전면 패널(500)의 좌측 및 우측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600)로 이루어진 차량용 캐리어(C)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C)는, 헤드램프 장착을 위해 상기 서포트 패널(60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헤드램프클립(700)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은 상기 서포트 패널(600)의 상측에 전후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서포트 패널(600)의 상측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암레일부(611, 621)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에는 상기 암레일부(611, 621)에 대응되도록 수레일부(720)가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패널(600)과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은 전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레일부(720)에는, 상기 수레일부(720)의 후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721)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721)에 대응되도록 상기 암레일부(611)의 후단부에 함몰 형성되는 스토퍼홈(612)에 상기 스토퍼(721)가 끼워져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이 상기 서포트 패널(6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암레일부(621)에는, 후단 양측에 제1 핀홀(622)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의 후단에는 상기 제1 핀홀(622)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제2 핀홀(730)이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패널(600)과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은 상기 제1 핀홀(622)과 제2 핀홀(730)에 끼워지는 핀(630)을 통해 고정되되, 상기 핀(630)에는 노치(Notch, 6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는 분리형 헤드램프 클립을 적용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헤드램프 클립으로 인해 보행자보호 평가 시 상부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어 차량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충돌 시에도 헤드램프 및 캐리어가 파손 또는 파단 되지 않아 재조립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원가 절감 및 자원 재활용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캐리어 사시도
도 2는 헤드램프가 장착된 종래의 캐리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캐리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캐리어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캐리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캐리어 분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캐리어 작동상태 측면도 (평상 시)
도 7b는 본 발명의 캐리어 작동상태 측면도 (충돌 시)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C)는 상측 수평지지부(100)와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0)의 아래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측 수평지지부(200)와, 상기 상측 및 하측 수평지지부(100, 200)를 연결하는 좌측 수직지지부(300)와, 우측 수직지지부(400)로 이루어져 쿨링모듈 장착부가 구비된 대략 사각틀 형상의 전면 패널(500)과, 헤드램프(800)의 장착을 위해 상기 전면 패널(500)의 좌측 및 우측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600)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서포트 패널은 헤드램프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서포트 패널은 헤드램프의 상단이 고정되는 상부프레임과 헤드램프의 하단이 고정되는 하부프레임으로 나뉠 수 있다. 이때 헤드램프의 상단이 고정되는 상부프레임의 경우 보행자 보호 평가 시 강성으로 인해 불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부프레임은 헤드램프가 차체에 고정될 시에만 필요하며 헤드램프가 차체에 고정된 후에는 그 임무를 다하기 때문에 상부프레임의 구성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보행자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였을 경우 자동차에 비하여 보행자가 더 큰 피해를 입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특히 보행자의 허벅지 부분이 상부프레임으로 인해 손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캐리어(C)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안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포트 패널(600)의 상단에는 클립안착부(610, 6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클립안착부(610, 620)의 상단에 헤드램프클립(7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은 헤드램프고정부(710)와 수레일부(720)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램프고정부(710)는 헤드램프의 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통상의 구성이 적용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레일부(720)는 상기 헤드램프고정부(710)의 하측에 형성되며 차량의 전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레일부(720)는 상기 서포트 패널(600)의 클립안착부(610, 620)에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을 전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수레일부(720)는 철부(凸部) 및 돌기부로 구성된다. 상기 철부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램프고정부(710)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부의 외측 끝단에는 상기 서포트 패널(600)상에 끼워졌을 때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레일부(720)는 단면이 'T'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헤드램프클립(700)을 상기 서포트 패널(600)에 고정시키고, 외부에서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을 차량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게 된다.
-실시 예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트 패널(600)의 상면에는 클립안착부(610)가 좌우 대칭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클립안착부(610)는 암레일부(611)와 스토퍼홈(6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암레일부(611)는 상기 수레일부(720)에 대응되도록 전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암레일부(611)는 상기 클립안착부(610)에 헤드램프클립(700)을 전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은 전방에서 충격발생시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차량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켜 상기 서포트 패널(600)에 결합된다. 상기 암레일부(611)는 요부(凹部) 및 함몰돌기부로 구성된다. 상기 요부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클립안착부(610)의 하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부의 외측 끝단에는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이 끼워졌을 때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으로 연장 함몰 형성되는 함몰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암레일부(611)는 단면이 'T'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레일부(611)의 후단 양측에는 후술되는 스토퍼(721)에 대응되도록 스토퍼홈(61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홈(612)의 역할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수레일부(720)에는 스토퍼(7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721)는 상기 수레일부(720)의 후단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721)에는 상기 스토퍼홈(612)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721)와 스토퍼홈(612)은 일정 하중 이상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을 상기 서포트 패널(6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보행자와의 충돌로 인한 외부 충격 발생 시 일정 하중 이상이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에 가해질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721)를 통해 고정되었던 헤드램프클립(700)은 상기 스토퍼홈(612)을 이탈 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며,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헤드램프의 충격을 완화 시키게 된다.
-실시 예2
아울러, 헤드램프클립(700)을 상기 서포트 패널(600)에 고정시키고, 외부에서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을 차량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차량용 캐리어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서포트 패널(600)의 상면에는 클립안착부(620)가 좌우 대칭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클립안착부(620)는 암레일부(621)와 제1 핀홀(622)로 구성된다.
상기 암레일부(621)는 상기 수레일부(720)에 대응되도록 전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암레일부(621)는 상기 클립안착부(620)에 헤드램프클립(700)을 전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은 전방에서 충격발생시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차량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켜 상기 서포트 패널(600)에 결합된다. 상기 암레일부(621)는 요부(凹部) 및 함몰돌기부로 구성된다. 상기 요부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클립안착부(620)의 하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부의 외측 끝단에는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이 끼워졌을 때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으로 연장 함몰 형성되는 함몰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암레일부(621)는 단면이 'T'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레일부(621)의 후단 양측에는 제1 핀홀(6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핀홀(621)의 역할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에는 제2 핀홀(73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핀홀(730)은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의 수레일부(720) 후단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패널(600)과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은 상기 제1 핀홀(621)과 제2 핀홀(730)에 끼워지는 핀(630)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핀(630)은 일정 하중 이상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을 상기 서포트 패널(6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보행자와의 충돌로 인한 외부 충격 발생 시 일정 하중 이상이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에 가해질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630)을 통해 고정되었던 헤드램프클립(700)은 상기 핀(630)이 파손되면서 상기 클립안착부(620)를 이탈 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며,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헤드램프의 충격을 완화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핀(630)에는 외주면에 노치(Notch, 6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치(631)는 상기 핀(630)에 일정 하중이 가해졌을 때 파손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 : 캐리어
100 : 상측 수평지지부 110 : 제 1고정부
200 : 하측 수평지지부
300 : 좌측 수직지지부
400 : 우측 수직지지부
500 : 전면 패널
600 : 서포트 패널 610, 620 : 클립안착부
611, 621 : 암레일부 612 : 스토퍼홈
622 : 제1 핀홀 630 : 핀
631 : 노치
700 : 헤드램프클립 710 : 헤드램프고정부
720 : 수레일부 721 : 스토퍼
730 : 제2 핀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상측 수평지지부(100)와, 하측 수평지지부(200)와, 상기 상측 및 하측 수평지지부(100, 200)를 연결하는 좌측 수직지지부(300)와, 우측 수직지지부(400)로 이루어져 쿨링모듈 장착부가 구비된 사각형태의 전면 패널(500)과, 헤드램프 장착을 위해 상기 전면 패널(500)의 좌측 및 우측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600)로 이루어진 차량용 캐리어(C)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C)는,
    헤드램프 장착을 위해 상기 서포트 패널(60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헤드램프클립(700)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은 상기 서포트 패널(600)의 상측에 전후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서포트 패널(600)의 상측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암레일부(611, 621)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에는 상기 암레일부(611, 621)에 대응되도록 수레일부(720)가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패널(600)과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은 전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수레일부(720)에는,
    상기 수레일부(720)의 후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721)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721)에 대응되도록 상기 암레일부(611)의 후단부에 함몰 형성되는 스토퍼홈(612)에 상기 스토퍼(721)가 끼워져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이 상기 서포트 패널(6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4. 상측 수평지지부(100)와, 하측 수평지지부(200)와, 상기 상측 및 하측 수평지지부(100, 200)를 연결하는 좌측 수직지지부(300)와, 우측 수직지지부(400)로 이루어져 쿨링모듈 장착부가 구비된 사각형태의 전면 패널(500)과, 헤드램프 장착을 위해 상기 전면 패널(500)의 좌측 및 우측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600)로 이루어진 차량용 캐리어(C)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C)는,
    헤드램프 장착을 위해 상기 서포트 패널(60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헤드램프클립(700)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은 상기 서포트 패널(600)의 상측에 전후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서포트 패널(600)의 상측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암레일부(611, 621)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에는 상기 암레일부(611, 621)에 대응되도록 수레일부(720)가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패널(600)과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은 전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고,
    암레일부(621)에는,
    후단 양측에 제1 핀홀(622)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의 후단에는 상기 제1 핀홀(622)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제2 핀홀(730)이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패널(600)과 상기 헤드램프클립(700)은 상기 제1 핀홀(622)과 제2 핀홀(730)에 끼워지는 핀(630)을 통해 고정되되,
    상기 핀(630)에는 노치(Notch, 6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KR1020100123913A 2010-12-07 2010-12-07 차량용 캐리어 KR101714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913A KR101714654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913A KR101714654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959A KR20120062959A (ko) 2012-06-15
KR101714654B1 true KR101714654B1 (ko) 2017-03-09

Family

ID=4668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913A KR101714654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219B1 (ko) * 2012-06-26 2018-10-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FR3068109B1 (fr) * 2017-06-27 2019-10-04 Valeo Vision Dispositif et systeme d'eclairage pour vehicule automobile utilisant une diode electroluminescente organique
CN107512317B (zh) * 2017-06-28 2019-06-04 苏州英利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轻量化可调节汽车前端框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0929A (ja) 2006-09-27 2008-04-10 Toyota Motor Corp 車体前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045A (ko) * 2003-01-09 2004-07-16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착구조
KR20040085401A (ko) * 2003-03-31 2004-10-08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0929A (ja) 2006-09-27 2008-04-10 Toyota Motor Corp 車体前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959A (ko) 201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67838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6131837B2 (ja) 車両の前部構造
KR101714654B1 (ko) 차량용 캐리어
JP5857592B2 (ja) 車体後部構造
KR101824906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WO2009081694A1 (ja) ヘッドランプ取付構造
KR101673977B1 (ko) 차량용 캐리어
KR101674047B1 (ko) 차량용 캐리어
JP5354356B2 (ja) バンパホルダ
KR20080016066A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마운팅구조
KR102256872B1 (ko) 자동차의 범퍼 마운팅구조
KR20100005826A (ko) 캐리어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KR100750312B1 (ko) 차량용 범퍼의 장착구조
KR200357611Y1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756165B1 (ko) 차량용 캐리어
KR20080066323A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373569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20080024689A (ko) 자동차의 범퍼커버 장착구조
JP2020199921A (ja) ヘッドランプ衝撃吸収構造
CN213746563U (zh) 一种车灯组件、车辆照明装置及车辆
KR20120029930A (ko) 헤드램프 고정장치
KR102067677B1 (ko) 차량용 캐리어
JP2008074264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102052441B1 (ko) 차량용 레일 형 스티프너
KR101983535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