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930A - 헤드램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램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930A
KR20120029930A KR1020100092074A KR20100092074A KR20120029930A KR 20120029930 A KR20120029930 A KR 20120029930A KR 1020100092074 A KR1020100092074 A KR 1020100092074A KR 20100092074 A KR20100092074 A KR 20100092074A KR 20120029930 A KR20120029930 A KR 20120029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headlamp
support bracket
fixing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840B1 (ko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8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헤드램프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헤드램프 고정장치는: 충돌시 헤드램프에 전달되는 충돌 변형량을 전달받아 휘어짐으로써, 캐리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캐리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 및 지지브라켓의 전면에 형성되어 헤드램프가 안착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드램프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HEAD LAMP}
본 발명은 헤드램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에 별물로 이루어져 헤드램프를 고정하고, 충돌시 헤드램프에 전달되는 충돌 변형량을 전달받아 휘어짐으로써, 캐리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헤드램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개발은 부품과 공정의 수를 감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자동차 개발에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중 다수의 부품을 각각 조립하여 집합체를 형성시켜 조립라인에서 조립하는 즉, 모듈화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예로서 프런트 엔드 모듈(Front end codule)이 있다.
프런트 엔드 모듈은 쿨링모듈과 헤드램프 및 범퍼빔을 포함한 범퍼를 조립하여 모듈화한 것으로, 프런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Carrier) 내부에는 라디에이터 등과 같은 부품들이 탑재되고, 이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캐리어의 상부에는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캐리어는 라디에이터와 같은 부품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과 내구성을 가져야 하며, 후드의 하부에 위치되되, 후드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의 충돌 에너지 흡수공간이 형성되도록 후드와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위치된다.
최근에는 보행자 보호 성능 향상을 위해 캐리어에 헤드램프를 지지하는 헤드램프 지지맴버 구조가 삭제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헤드램프를 캐리어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단차 whjd 및조립성 향상을 위해 스냅피트 구조가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스냅피트 구조는 캐리어에 일체 사출 형성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 따른 헤드램프 고정구조에 의하면, 헤드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스냅피트 구조의 지지브라켓이 캐리어의 상단에 일체 사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차량 충돌시 파손에 의해 캐리어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충돌시 헤드램프에 전달되는 충돌변형량이 헤드램프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의 변형으로 유도되어 캐리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헤드램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 고정장치는: 캐리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 및 지지브라켓의 전면에 형성되어 헤드램프가 안착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브라켓은 충돌시 헤드램프에 의해 전달되는 충돌 변화량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브라켓은 캐리어의 후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체결부와, 체결부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후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외부충격시 후측으로 절곡되는 굴절부 및 굴절부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고정클립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 고정장치는 캐리어에 헤드램프를 고정하는 지지브라켓이 차량의 충돌시 헤드램프에 전달되는 충돌변형량에 의해 휘어짐에 따라 캐리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고정장치의 결속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고정장치에 의해 헤드램프의 고정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고정장치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고정장치의 결속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고정장치에 의해 헤드램프의 고정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고정장치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고정장치(100)는 크게, 지지브라켓(110) 및 고정클립(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캐리어(10)는 강성을 높이고 무게는 줄이기 위해서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은 금속판으로 구성하고, 적은 부분은 플라스틱 복합재료로 구성되는데, 금속판과 플라스틱 재료를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제작된다.
이러한 캐리어(10)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및 좌우 양측의 사이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각 프레임에 의해 마련된 중앙 공간부에는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와 같을 클링 패키지가 장착되고, 캐리어의 상단 양측에는 헤드램프(20)가 장착된다.
캐리어(10)의 상단 양측에는 헤드램프(20)가 고정되도록 지지브라켓(110)이 형성된다.
지지브라켓(110)은 캐리어(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차량의 충돌시 헤드램프(20)에 의해 전달되는 충돌 변형량에 의해 휘어진다.
지지브라켓(110)은 스틸재질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 가장자리가 라운딩되어 자체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110)은 길이방향으로 3등분되어 형성된다.
지지브라켓(110)은 캐리어(10)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캐리어(10)의 후면에 접하는 체결부(112)와, 체결부(112)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후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외부 충격시 후측으로 절곡되는 굴절부(114) 및 굴절부(114)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고정클립(120)이 고정되는 지지부(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체결부(112)와 지지부(116)는 나란하게 형성되며, 체결부(112)와 지지부(116) 사이에 경사지게 굴절부(114)가 형성되어 전방에서 전달되는 충돌 변형량에 의해 후측으로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지닌다.
이때,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부(114)는 폭방향으로 요철형상의 보강구조를 지니므로 헤드램프의 무게에 의해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112)에는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캐리어(10)의 후면에 고정되도록 체결공(112a)이 형성된다.
체결부재는 볼트로 이루어져, 지지브라켓(110)을 캐리어(1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그리고, 고정클립(120)은 전면에 헤드램프(20)가 안착되도록 'ㄷ'자 형상의 안착부(122)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리어(10)에 지지브라켓(110)과 고정클립(120)에 의해 헤드램프(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충돌이 발생하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램프(20)에 전달되는 충돌 변형량은 지지브라켓(110)으로 전달되어 굴절부(114)가 후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후측으로 휘어지는 굴절부(114)에 의해 충돌 변형량이 캐리어(10)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캐리어(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를 분리하여 별물인 지지브라켓(110)만 교체할 수 있어 수리비 산정 시 저감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헤드램프 고정장치 110 : 지지브라켓
112 : 체결부 114 : 굴절부
116 : 지지부 120 : 고정클립

Claims (3)

  1. 캐리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의 전면에 형성되어 헤드램프가 안착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충돌시 상기 헤드램프에 의해 전달되는 충돌 변화량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캐리어의 후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후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외부충격시 후측으로 절곡되는 굴절부; 및
    상기 굴절부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클립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고정장치.
KR1020100092074A 2010-09-17 2010-09-17 헤드램프 고정장치 KR101638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74A KR101638840B1 (ko) 2010-09-17 2010-09-17 헤드램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74A KR101638840B1 (ko) 2010-09-17 2010-09-17 헤드램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30A true KR20120029930A (ko) 2012-03-27
KR101638840B1 KR101638840B1 (ko) 2016-07-12

Family

ID=4613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074A KR101638840B1 (ko) 2010-09-17 2010-09-17 헤드램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8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4668A (ko) * 2013-03-19 2014-09-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헤드램프 고정 장치
KR20200028130A (ko) * 2018-09-06 2020-03-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램프용 마운트 클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162Y1 (ko) * 1991-03-21 1995-11-2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미등 사이드 마커 램프홀더 고정장치
KR970061565U (ko) * 1996-05-15 1997-12-10 대우자동차주식회사 파손 방지 조명램프 구조
KR20030025742A (ko) * 2001-09-24 2003-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162Y1 (ko) * 1991-03-21 1995-11-2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미등 사이드 마커 램프홀더 고정장치
KR970061565U (ko) * 1996-05-15 1997-12-10 대우자동차주식회사 파손 방지 조명램프 구조
KR20030025742A (ko) * 2001-09-24 2003-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헤드램프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4668A (ko) * 2013-03-19 2014-09-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헤드램프 고정 장치
KR20200028130A (ko) * 2018-09-06 2020-03-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램프용 마운트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840B1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8348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6131837B2 (ja) 車両の前部構造
JP6224466B2 (ja) 衝撃吸収ブラケット
JP6304505B2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KR20160090154A (ko) 차량용 스티프너
JP2012101697A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KR20120029930A (ko) 헤드램프 고정장치
KR102103246B1 (ko) 차량용 캐리어
WO2017069015A1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017171134A (ja) 車両用バンパ構造
KR101824906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JP5737717B2 (ja) 車両衝突時の緩衝構造
JP7388122B2 (ja) 車両の前部構造
CN102862534A (zh) 车辆的保险杠装置
CN102923050B (zh) 汽车后雾灯防护吸能结构
JP2021142815A (ja) 車両前部構造
US11305711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KR102136535B1 (ko) 차량용 로어 스티프너 유닛
KR101272034B1 (ko) Fem캐리어의 보강구조
JP2008074264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101417118B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마운팅구조
KR102621264B1 (ko) 차량용 스티프너
KR20090079127A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JP2017124782A (ja) 車両用フード
KR102083414B1 (ko) 차량용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