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844B1 - 감압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감압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844B1
KR101713844B1 KR1020150019503A KR20150019503A KR101713844B1 KR 101713844 B1 KR101713844 B1 KR 101713844B1 KR 1020150019503 A KR1020150019503 A KR 1020150019503A KR 20150019503 A KR20150019503 A KR 20150019503A KR 101713844 B1 KR101713844 B1 KR 101713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vator
boarding object
boarding
foot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612A (ko
Inventor
조광수
남춘성
최창규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9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8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기의 내부 상황에 대처하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은, 탄성소재로 상부가 마감된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승강기 내부에 위치한 탑승객체들의 감압정보를 획득하는 감압센서부; 상기 감압센서부에서 획득된 감압정보에 따른 탑승객체들의 무게, 면적, 형태, 시간, 좌표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탑승객체들의 종류, 개체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탑승객체 정보 획득부, 상기 탑승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승강기 내부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승강기 내부 상황판단부; 및 승강기 내부의 상황 정보에 따라 음성, 영상, 문자 신호를 승강기에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나, 또는 승강기를 제어하는 승강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탑승객이나 관리자의 수동적인 개입 없이도 자동으로 승강기 내부의 상황을 인지 및 감시하고, 승강기 내부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음성 또는 문제 메시지를 승강기 내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승강기를 제어함으로써, 승강기 내부의 상황에 대처하고 범죄의 목적이 있는 탑승객의 범죄동기를 사전에 억누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압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ELEVATOR USING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승강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기의 내부 상황에 대처하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감시 기술은 승강기에 탑승한 탑승객들의 상태를 감시하고 탑승객의 상황에 따라 관리자가 승강기 내에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특히 근래에 들어 승강기 내에 여성과 노약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증가하고, 소가구 형태의 거주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와 같은 승강기 감시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종래의 승강기 감시 기술로는 CCTV를 통하여 승강기 내부를 촬영하거나, 탑승객이 승강기 내의 긴급버튼을 눌렀을 때 관리자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관리 시스템, 또는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 인원이 초과되었을 경우 경고 메시지를 내보내는 시스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가 계속적으로 승강기를 수동으로 감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범죄예방을 위한 승강기 감시 장치로 탑승자가 불안감을 느껴 버튼을 누를 경우 관리자가 CCTV를 통하여 승강기 내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탑승객이 직접 버튼을 눌러야지만 감시가 시작되는 문제점이 있고, 탑승객이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감시를 당하는 다른 탑승객에게 정서적인 모욕감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들만으로는 승강기 내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서비스 요구, 특히 안전사고나, 범죄 예방들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감압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발자국 정보를 분석하여 승강기에 탑승한 객체들의 종류, 개체수, 상태 등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승강기 내부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황 정보에 따른 음성, 영상, 문자 신호를 승강기에 출력하거나 승강기를 제어함으로써, 탑승객이나 관리자의 수동적인 개입 없이도 자동으로 승강기 내부의 상황을 인지 및 감시하고, 승강기 내부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음성 또는 문제 메시지를 승강기 내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승강기를 제어함으로써, 승강기 내부의 상황에 대처하고 범죄의 목적이 있는 탑승객의 범죄동기를 사전에 억누를 수 있는 승강기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유형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은, 승강기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기에 탑승하는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을 감지하는 감압 센서부; 상기 감압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에 관한 정보인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에 대한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탑승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을 판단하는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 상기 감압 센서부와 함께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탄성 바닥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에 관한 정보인 상기 감압 정보를 상기 감압 센서부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자국 정보는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의 모양 또는 크기 또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좌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승강기에 진입하는 각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발자국 정보 중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의 모양 또는 크기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 별 발자국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서 이동 또는 정지함에 따른 걸음걸이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발자국 정보 또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음걸이 정보는 시간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 상에서 이동 또는 정지함에 따르는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을 추적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시간 별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간격 별로 상기 감압 정보를 상기 감압 센서부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걸음걸이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걸음걸이 패턴을 찾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걸음걸이 패턴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종류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의 종류 정보는 상기 탑승 객체의 생물학적 종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탑승 객체의 연령대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탑승 객체의 성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 객체의 상태 정보는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에 들어오는 상태, 나가는 상태, 내부 이동 중인 상태, 정지 중인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한 상기 탑승 객체의 개체 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승강기의 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와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승강기의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발자국 정보 또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한 상기 탑승 객체의 개체 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는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을 위험 상황, 정상 상황, 정보 제공 상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또는 상기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가 판단한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또는 상기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가 판단한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에 따라, 상기 승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승강기에 진입하는 각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인식하는 발자국 인식부;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서 이동 또는 정지함에 따른 걸음걸이 정보를 인식하는 걸음걸이 정보 인식부; 및 상기 발자국 정보 또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탑승 객체 정보 파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은, 승강기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기에 탑승하는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을 감지하는 감압 센서부; 및 상기 감압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에 관한 정보인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에 대한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간격 별로 상기 감압 정보를 상기 감압 센서부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진입하는 각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인식하는 발자국 인식부;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서 이동 또는 정지함에 따른 걸음걸이 정보를 인식하는 걸음걸이 정보 인식부; 및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한 상기 탑승 객체의 개체 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걸음걸이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걸음걸이 패턴을 찾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걸음걸이 패턴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종류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탑승 객체 정보 파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음걸이 정보는 시간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에 따른 승강기 관리 방법은, 승강기의 바닥면에 구비된 감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하는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에 관한 정보인 감압 정보를 획득하는 감압 정보 획득 단계; 상기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에 대한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탑승 객체 정보 획득 단계; 상기 획득된 탑승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을 판단하는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 단계; 및 상기 획득한 탑승 객체 정보 또는 상기 판단한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승강기에 진입하는 각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인식하는 발자국 인식 단계;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서 이동 또는 정지함에 따른, 시간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인 걸음걸이 정보를 인식하는 걸음걸이 정보 인식 단계; 및 상기 발자국 정보 또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개체 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탑승 객체 정보 파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고층화 아파트 및 빌딩의 증가로 인해서 이를 안전하게 이용하길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어린 아이, 노인, 여자 등과 같이 물리적인 힘이 적은 사용자가 더욱 그러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승강기 이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탑승객이나 관리자의 수동적인 개입 없이도 자동으로 승강기 내부의 상황을 인지 및 감시하고 상황에 맞게 승강기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승강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은 탄성소재를 이용한 감압센서를 구비함으로써, 탑승객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하고, 동시에 감압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탑승객 정보와 그에 따른 승강기 내부의 상황 정보를 인지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음성 또는 문제 메시지를 승강기 내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승강기를 제어함으로써, 승강기 내부의 상황에 대처하고, 범죄의 목적이 있는 탑승객의 범죄동기를 사전에 억누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적이 드문 시간에 운영되는 승강기에 자동적인 감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승강기내 범죄 행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의 감압 센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음걸이 정보 인식부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 객체 정보 파악부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은 감압 센서부(100),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은 감압 센서부(100),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3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감압 센서부(100),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300)의 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감압 센서부(100)는 승강기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기에 탑승하는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을 감지한다.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감압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에 관한 정보인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에 대한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한다.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300)는 상기 획득된 탑승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을 판단한다.
먼저 감압 센서부(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감압 센서부(100)는 승강기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탑승 객체가 승강기에 탑승하여 바닥면 위에 위치하게 될 경우, 탑승 객체의 무게로 인하여 바닥면에 압력이 가해지는 특정 부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의 감압 센서부(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예를 들어 성인 1명이 승강기에 탑승하여 바닥면에 서 있는 경우 감압 센서부(100)가 감지하는 상기 특정 부분은 성인 1명의 두 발이 바닥면에 압력을 가하는 두 개의 발자국 부분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는 사람 이외에도 사물이나 동물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탑승 객체의 개수도 1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감압 센서부(100)는 각 탑승 객체가 압력을 가하는 바닥면의 특정 부분을 감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 상기 감압 센서부(100)와 함께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탄성 바닥면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감압 센서부(100)는 승강기의 바닥 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탄성 바닥면이 감압 센서부(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탄성 바닥면의 내부에 감압 센서부(10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탄성 바닥면을 구비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는 탑승객에게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제공하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에 관한 정보인 상기 감압 정보를 감압 센서부(100)로부터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감압 정보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와 각 위치 별 압력이 가해지는 모양 또는 면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 정보는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감압 센서부(100)에서 측정되어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에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압 정보는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발자국(Footprint) 정보는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의 모양 또는 크기 또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좌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발자국이 감압 센서부(100)에 압력을 가하는 정도인 감압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에 대하여 일정한 모양과 크기를 가지는 발자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발자국의 모양 또는 무게 또는 크기 또는 승강기 바닥면에서의 좌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승강기에 진입하는 각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발자국 정보 중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의 모양 또는 크기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 별 발자국을 식별할 수 있다.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위와 같이 각 탑승 객체 별 발자국을 식별하여 각 객체의 발자국 별로 아이디를 부여하고, 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처리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성인 남성 탑승객의 발자국을 식별하여 이에 ID 1을 부여하고, 성인 여성 탑승객의 하이힐 발자국을 식별하여 이에 ID 2를 부여하여, 각 ID 별 발자국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발자국 정보는 사람의 발자국 이외에 동물의 발자국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승강기에 탑재된 사물이 승강기의 바닥면에 압력을 가하는 부분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상기 발자국 정보를 정의한다. 즉 상기 발자국 정보는 승강기에 탑승 또는 탑재되는 생물 또는 사물을 포함하는 모든 탑승 객체에 의하여 승강기의 바닥면에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획득되는 마크의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그와 같은 의미로 이하에서 사용한다.
여기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시간 별로 처리 또는 관리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감압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른 상기 발자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자국 정보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자국 정보는 상기 탑승 객체가 해당 발자국에 따른 압력을 가한 시간 또는 상기 발자국 정보가 획득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시간 별로 상기 발자국 정보를 획득 및 관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서 이동 또는 정지함에 따른 걸음걸이(Stride) 정보를 인식한다.
여기서 걸음걸이 정보는 시간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걸음걸이 정보는 각 탑승 객체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고 시간에 따라 배열된 발자국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 객체 ID 1에 대하여 시간 1s에 발자국 정보 #1이 ,시간 2s에 발자국 정보 #2, ,시간 3s에 발자국 정보 #3이 각 획득되었다면, 상기 걸음걸이 정보는 탑승 객체 ID 1의 시간 별 발자국 정보인 {(1s, 발자국 정보 #1), (2s, 발자국 정보 #3), (3s, 발자국 정보 #3)}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걸음걸이 정보는 탑승 객체 별 시간에 따른 발자국의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걸음걸이 정보는 상술한 발자국 정보와 같이 사람의 걸음걸이 이외에 동물의 걸음걸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승강기에 탑재된 사물의 시간에 따른 발자국 정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바퀴가 2개 달린 수레가 승강기에 탑재된 경우, 시간에 따른 수레의 바퀴의 발자국 정보가 상기 걸음걸이 정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 상에서 이동 또는 정지함에 따르는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을 추적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시간 별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식별된 발자국이 시간에 따라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 상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트래킹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을 추적할 수 있다. 그리고 추적된 발자국에 대한 시간 별 발자국 정보를 시간이 흐름에 따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획득된 시간 별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간격 별로 상기 감압 정보를 상기 감압 센서부(100)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발자국 정보 또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는 탑승 객체에 관한 정보를 지칭하는 개념이다.
여기서 탑승 객체 정보는 탑승 객체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승 객체 정보는 탑승 객체가 사물인지 생물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 생물이면 동물인지 사람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 동물이면 어떠한 종류의 동물인지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탑승 객체가 사람인 경우 탑승 객체의 연령대에 따른 분류 정보 또는 성별에 따른 분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인, 유소년, 노인 등의 연령대에 따른 분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남성, 여성과 같은 성별에 따른 분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한 상기 탑승 객체의 종류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자국의 모양 또는 무게가 대칭인 경우, 상기 발자국은 사람의 발자국으로 판단할 수 있따. 만일 그렇지 않다면, 상기 발자국의 모양이 미리 정해진 사람의 발자국 모양과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대응되는 경우, 상기 발자국을 사람의 발자국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만일 사람의 발자국이 아닌 경우 이를 사물의 발자국으로 분류할 수 있다.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걸음걸이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걸음걸이 패턴을 찾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걸음걸이 패턴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종류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걸음걸이 패턴은, 탑승 객체의 종류 및 상태를 대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음걸이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걸음걸이 패턴은, 성인 여성의 걸음걸이 패턴 또는 유소년 사람의 걸음걸이 패턴이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걸음걸이 패턴은, 위험 상황에 있는 성인의 걸음걸이 패턴 또는 정상 상황에 있는 성인의 걸음걸이 패턴이 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걸음걸이 패턴은, 성인이 승강기에 들어오는 상태의 걸음걸이 패턴 또는 여성이 승강기에서 나가는 상태의 걸음걸이 패턴이 될 수도 있다.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탑승 객체의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걸음걸이 정보와 위와 같이 미리 정해진 걸음걸이 패턴을 이용하여, 탑승 객체의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걸음걸이 패턴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걸음걸이 패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에 따라 상기 탑승 객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획득된 걸음걸이 정보에 대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걸음걸이 패턴들과 같은 형식을 가지는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패턴과 상기 걸음걸이 패턴들 간의 각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거리가 가장 가까운 걸음걸이 패턴을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걸음걸이 패턴으로 선택하여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을 가지는 행렬 또는 좌표로 표현되는 패턴 간의 다양한 종류의 거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거리는 N차 놈(Norm) 거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의 종류 정보는 상기 탑승 객체의 생물학적 종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탑승 객체의 연령대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탑승 객체의 성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 객체의 상태 정보는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에 들어오는 상태, 나가는 상태, 내부 이동 중인 상태, 정지 중인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탑승 객체가 승강기로 들어오고 있는 경우 상기 탑승 객체의 상태 정보를 승강기에 들어오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탑승 객체의 상태 정보는 탑승 객체가 이동 중인 경우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 또는 이동 속도에 관한 정보, 또는 이동에 따른 감압 정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한 상기 탑승 객체의 개체 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개체 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상기 발자국 정보와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개체 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특정 시간에 획득된 상기 발자국 정보에 따른 발자국의 수를 계수하여 탑승 객체의 개체 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시간에 획득된 상기 발자국 정보들을 이용하여 식별한 상기 탑승 객체 별 발자국을 계수하여 탑승 객체의 개체 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시간에 따른 발자국 정보인 걸음걸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발자국의 경로가 정상적으로 트래킹이 안되는 발자국을 제외한 나머지 발자국을 계수하여 탑승 객체의 개체 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승강기의 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와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승강기의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발자국 정보 또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한 상기 탑승 객체의 개체 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승강기에 탑승한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 정보 또는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가 정지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탑승 객체가 정지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한 상기 탑승 객체의 개체 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탑승 객체가 정지된 상태에 있는 것은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 모두가 이동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의 이동 정도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정도 이하가 되는 경우를 상기 탑승 객체가 정지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의 세부 블록도이다.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발자국 인식부(210), 걸음걸이 정보 인식부(220), 탑승 객체 정보 파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자국 인식부(210), 걸음걸이 정보 인식부(220), 탑승 객체 정보 파악부(230)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의 각 세부 동작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고, 아래에서는 여기서 발자국 인식부(210), 걸음걸이 정보 인식부(220), 탑승 객체 정보 파악부(230)의 주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한다.
발자국 인식부(210)는 상기 승강기에 진입하는 각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인식한다.
걸음걸이 정보 인식부(220)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서 이동 또는 정지함에 따른 걸음걸이 정보를 인식한다.
탑승 객체 정보 파악부(230)는 상기 발자국 정보 또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음걸이 정보 인식부(220)의 세부 블록도이다.
걸음걸이 정보 인식부(220)는 걸음걸이 정보 획득부(221), 발자국 추적부(222), 걸음걸이 정보 갱신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걸음걸이 정보 획득부(221), 발자국 추적부(222), 걸음걸이 정보 갱신부(223)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의 각 세부 동작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고, 아래에서는 걸음걸이 정보 획득부(221), 발자국 추적부(222), 걸음걸이 정보 갱신부(223)의 주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한다.
걸음걸이 정보 획득부(221)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서 이동 또는 정지함에 따른 걸음걸이 정보를 획득한다.
발자국 추적부(222)는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 상에서 이동 또는 정지함에 따르는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을 추적한다.
걸음걸이 정보 갱신부(223)는 상기 추적된 발자국을 이용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시간 별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갱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 객체 정보 파악부(230)의 세부 블록도이다.
탑승 객체 정보 파악부(230)는 탑승 객체 종류 정보 획득부(231), 탑승 객체 개체 수 정보 획득부(232), 탑승 객체 상태 정보 획득부(2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 객체 종류 정보 획득부(231), 탑승 객체 개체 수 정보 획득부(232), 탑승 객체 상태 정보 획득부(233)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의 각 세부 동작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고, 아래에서는 탑승 객체 종류 정보 획득부(231), 탑승 객체 개체 수 정보 획득부(232), 탑승 객체 상태 정보 획득부(233)의 주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한다.
탑승 객체 종류 정보 획득부(231)는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걸음걸이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걸음걸이 패턴을 찾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걸음걸이 패턴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종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탑승 객체 개체 수 정보 획득부(232)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한 상기 탑승 객체의 개체 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탑승 객체 상태 정보 획득부(233)는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걸음걸이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걸음걸이 패턴을 찾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걸음걸이 패턴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3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300)는 상기 획득된 탑승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을 판단한다.
여기서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300)는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에서 획득된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을 위험 상황, 정상 상황, 정보 제공 상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발자국 정보 중 발자국의 감압치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기준 이상의 감압치를 보이는 경우,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을 위험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따른 탑승 객체의 발자국의 이동 패턴을 미리 정해진 일정한 걸음걸이 정상 패턴과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한 정도 이상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 상기 승강기 내부 상황을 위험 상황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은 신호 출력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신호 출력부(410)는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가 획득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또는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300)가 판단한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나 음성 또는 음악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탑승 객체 정보에 의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한 탑승 객체가 3명인 경우, 신호 출력부(410)는 승강기에 탑승객이 3명이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음성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출력부(410)는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이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그에 따른 일정한 경고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출력부(410)는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이 정상 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그에 따른 일정한 광고 또는 안내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 객체 정보 또는 승강기 내부 상황에 따른 신호는 미리 정해진 신호들이 될 수 있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은 승강기 제어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승강기 제어부(420)는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가 획득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또는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300)가 판단한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에 따라, 상기 승강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승강기 제어부(420)는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이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그에 따라 승강기의 출입문을 여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 객체 정보 또는 승강기의 내부 상황에 따른 승강기의 동작은 미리 정해진 동작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은 감압 센서부(100),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의 감압 센서부(100),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의 감압 센서부(100),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간략히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감압 센서부(100)는 승강기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기에 탑승하는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을 감지한다.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상기 감압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에 관한 정보인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에 대한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200)는 발자국 인식부(210), 걸음걸이 정보 인식부(220), 탑승 객체 정보 파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자국 인식부(210)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간격 별로 상기 감압 정보를 상기 감압 센서부(100)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진입하는 각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걸음걸이 정보 인식부(220)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서 이동 또는 정지함에 따른 걸음걸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탑승 객체 정보 파악부(230)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한 상기 탑승 객체의 개체 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걸음걸이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걸음걸이 패턴을 찾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걸음걸이 패턴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종류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음걸이 정보는 시간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방법은 감압 정보 획득 단계(S100), 탑승 객체 정보 획득 단계(S200),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 단계(S300), 신호 출력 단계(S4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관리 방법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관리 시스템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간략히 서술한다.
감압 정보 획득 단계(S100)는 승강기의 바닥면에 구비된 감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하는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에 관한 정보인 감압 정보를 획득한다.
탑승 객체 정보 획득 단계(S200)는 상기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에 대한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한다.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 단계(S300)는 상기 획득된 탑승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을 판단한다.
신호 출력 단계(S410)는 상기 획득한 탑승 객체 정보 또는 상기 판단한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탑승 객체 정보 획득 단계(S200)는 발자국 인식 단계(S210), 걸음걸이 정보 인식 단계(S220), 탑승 객체 정보 파악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자국 인식 단계(S210)는 상기 승강기에 진입하는 각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인식한다.
걸음걸이 정보 인식 단계(S220)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서 이동 또는 정지함에 따른, 시간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인 걸음걸이 정보를 인식한다.
탑승 객체 정보 파악 단계(S230)는 상기 발자국 정보 또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개체 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감압 센서부
200 :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
210 : 발자국 인식부
220 : 걸음걸이 정보 인식부
221 : 걸음걸이 정보 획득부
222 : 발자국 추적부
223 : 걸음걸이 정보 갱신부
230 : 탑승객체 정보 파악부
231 : 탑승객체 종류 정보 획득부
232 : 탑승객체 개체 수 정보 획득부
233 : 탑승객체 상태 정보 획득부
300 :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
410 : 신호 출력부
420 : 승강기 제어부

Claims (21)

  1. 승강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기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기에 탑승하는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을 감지하는 감압 센서부;
    상기 감압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에 관한 정보인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 정보를 인식하고, 각 상기 탑승 객체 별 발자국을 식별하여 각 객체의 발자국 별로 아이디를 부여하고, 시간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 정보인 걸음걸이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발자국 정보 또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에 대한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탑승 객체 정보는 상기 탑승 객체가 이동 중인 경우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 이동 속도에 관한 정보, 및 이동에 따른 감압 정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식별된 발자국이 시간에 따라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 상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트래킹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을 추적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간 별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승강기의 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 및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승강기의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발자국 정보 또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한 상기 탑승 객체의 개체 수 정보를 획득하는,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탑승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을 위험 상황, 정상 상황, 정보 제공 상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판단하며, (i)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따른 탑승 객체의 발자국의 이동 패턴을 미리 정해진 일정한 걸음걸이 정상 패턴과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한 정도 이상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 상기 승강기 내부 상황을 상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ii) 상기 발자국 정보 중 발자국의 감압치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기준 이상의 감압치를 보이는 경우,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을 상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는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 상기 감압 센서부와 함께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탄성 바닥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에 관한 정보인 상기 감압 정보를 상기 감압 센서부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자국 정보는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의 모양 또는 크기 또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좌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승강기에 진입하는 각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발자국 정보 중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의 모양 또는 크기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 별 발자국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서 이동 또는 정지함에 따른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발자국 정보 또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간격 별로 상기 감압 정보를 상기 감압 센서부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관리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종류의 걸음걸이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걸음걸이 패턴을 찾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걸음걸이 패턴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종류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객체의 종류 정보는 상기 탑승 객체의 생물학적 종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탑승 객체의 연령대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탑승 객체의 성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 객체의 상태 정보는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에 들어오는 상태, 나가는 상태, 내부 이동 중인 상태, 정지 중인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관리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또는 상기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가 판단한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관리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또는 상기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부가 판단한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에 따라, 상기 승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관리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객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승강기에 진입하는 각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인식하는 발자국 인식부;
    상기 발자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가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에서 이동 또는 정지함에 따른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인식하는 걸음걸이 정보 인식부; 및
    상기 발자국 정보 또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탑승 객체 정보 파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관리 시스템.
  18. 삭제
  19. 삭제
  20. 승강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승강기의 바닥면에 구비된 감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하는 탑승 객체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의 특정 부분에 관한 정보인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압 정보를 획득하는 감압 정보 획득 단계;
    상기 감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 정보를 인식하고, 각 상기 탑승 객체 별 발자국을 식별하여 각 객체의 발자국 별로 아이디를 부여하고, 시간에 따른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 정보인 걸음걸이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발자국 정보 또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 객체에 대한 탑승 객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탑승 객체 정보는 상기 탑승 객체가 이동 중인 경우 이동 경로에 관한 정보, 이동 속도에 관한 정보, 및 이동에 따른 감압 정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탑승 객체 별로 식별된 발자국이 시간에 따라 상기 승강기의 바닥면 상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트래킹하여 상기 탑승 객체의 발자국을 추적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간 별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승강기의 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탑승 객체의 상기 발자국 정보 및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승강기의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발자국 정보 또는 상기 걸음걸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에 탑승한 상기 탑승 객체의 개체 수 정보를 획득하는, 탑승 객체 정보 획득 단계;
    상기 획득된 탑승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을 위험 상황, 정상 상황, 정보 제공 상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판단하며, (i) 상기 걸음걸이 정보에 따른 탑승 객체의 발자국의 이동 패턴을 미리 정해진 일정한 걸음걸이 정상 패턴과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한 정도 이상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 상기 승강기 내부 상황을 상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ii) 상기 발자국 정보 중 발자국의 감압치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기준 이상의 감압치를 보이는 경우,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을 상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는 승강기 내부 상황 판단 단계; 및
    상기 획득한 탑승 객체 정보 또는 상기 판단한 상기 승강기의 내부 상황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관리 방법.
  21. 삭제
KR1020150019503A 2015-02-09 2015-02-09 감압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3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503A KR101713844B1 (ko) 2015-02-09 2015-02-09 감압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503A KR101713844B1 (ko) 2015-02-09 2015-02-09 감압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612A KR20160097612A (ko) 2016-08-18
KR101713844B1 true KR101713844B1 (ko) 2017-03-09

Family

ID=5687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503A KR101713844B1 (ko) 2015-02-09 2015-02-09 감압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8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849A (ko) * 2017-09-29 2019-04-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발동작 패턴 분석을 통한 스마트 홈 시스템 및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675B1 (ko) * 2017-10-26 2018-08-02 에스트래픽(주) 솔라 로드를 이용한 도로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095496B1 (ko) * 2017-12-28 2020-03-31 주식회사 젠스템 가상 현실 캐릭터의 이동 제어를 위한 이동 감지 장치
KR102436795B1 (ko) * 2022-05-24 2022-08-29 주식회사 아이윈 비접촉식 승강기버튼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7501A (ja) * 2007-09-11 2009-04-0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0150031A (ja) * 2008-12-26 2010-07-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7501A (ja) * 2007-09-11 2009-04-0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0150031A (ja) * 2008-12-26 2010-07-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849A (ko) * 2017-09-29 2019-04-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발동작 패턴 분석을 통한 스마트 홈 시스템 및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방법
KR101972662B1 (ko) * 2017-09-29 2019-04-2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발동작 패턴 분석을 통한 스마트 홈 시스템 및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612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844B1 (ko) 감압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3421401B1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intent deduction for an elevator system
JP5917327B2 (ja) エスカレータ監視システム
CN109649270A (zh) 用于车辆乘客的实时分析和增强路径预测
JP6029617B2 (ja) 群管理エレベータ装置
JP2009120327A (ja) エスカレータ制御装置
US95479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se of rail on a footpath
CN111344245B (zh) 电梯的监视图像发送装置
CN111062238B (zh) 基于人体骨架信息及多目标跟踪的扶梯流量监测方法及系统
US20230154307A1 (en) Accident sign detection system and accident sign detection method
KR101349543B1 (ko) 신호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805759B (zh) 用于乘客移动设施的风险检测系统
US20240013546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7030894A (ja) 群管理エレベータ装置
CN109153532B (zh) 电梯的防范运转控制装置及防范运转控制方法
JP2010238186A (ja) 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KR101238788B1 (ko) 엘리베이터 방범시스템 및 방법
JP5082897B2 (ja) 類型判別ユニット、自動改札機、および保全装置
JP6971631B2 (ja) 駅の警報装置
KR101483957B1 (ko)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
JP6821514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63065A (ja) 乗客コンベアの案内放送システム
JP6633158B1 (ja) エレベータの段差補正装置及び段差補正方法
KR102252618B1 (ko) 맞춤형 엘리베이터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WO2019012618A1 (ja) エレベーターの異常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