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890B1 - 교량해체장치 - Google Patents

교량해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890B1
KR101711890B1 KR1020160101235A KR20160101235A KR101711890B1 KR 101711890 B1 KR101711890 B1 KR 101711890B1 KR 1020160101235 A KR1020160101235 A KR 1020160101235A KR 20160101235 A KR20160101235 A KR 20160101235A KR 101711890 B1 KR101711890 B1 KR 101711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lab
moving
bridge slab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준
이도영
이봉환
이승혁
Original Assignee
이혁준
이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혁준, 이도영 filed Critical 이혁준
Priority to KR1020160101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슬래브를 절단, 파쇄, 절삭 등과 같은 공정을 적용하여 해체할 때 발생하는 각종 오염원을 원활하게 수거하면서 해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교량의 해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면에 시공된 교각(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교량슬래브(100)를 절단하여 해체하도록 된 교량해체장치(1)에 있어서; 상기한 교량슬래브(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절단해체공간을 점유하면서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면을 가지는 공간부를 구비하여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일 부위를 절단하여 해체할 때 발생하는 오염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도록 된 '통' 형상의 수거조(21)를 가지는 수거수단(2)과; 상기 수거조(21)를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도록 된 이동수단(3)과; 상기 이동수단(3)과 상기 수거수단(2)을 연결하는 연결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교량해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량해체장치{Bridge demoli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교량을 구성하는 교량슬래브를 해체할 때 적용되는 교량해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슬래브를 절단, 파쇄, 절삭 등과 같은 공정을 적용하여 해체할 때 발생하는 각종 오염원을 원활하게 수거하면서 해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교량의 해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교량해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호소(湖沼), 해협, 만(灣), 운하, 저지 또는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고가구조물이다.
이러한 교량은, 크게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하부구조물은 상부구조믈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교각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상부구조물은, 상기 교각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로써, 일반적으로 슬래브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교량은 장시간 사용시 노후화 또는 사고에 따른 파손 등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때에는, 별도의 해체장치 및 공정을 통해 해체하게 된다.
한편, 근자에는 교량의 각 구성물을 절단하여 해체하는 해체방법의 하나로, 다이아몬드 와이어쏘 공법(D.W.S)을 이용하는 것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다이아몬드 와이어쏘 공법은, 절단 대상 구조물(교량)에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걸어 연결한 후, 구동도르래 고속회전시키면서 유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도르래를 이송시켜 와이어에 장력을 주어 구조물(교량)을 절단시키는 공법이다.
이와 같은 다이아몬드 와이어쏘 공법은 저소음, 무분진, 무진동공법이며, 구조물의 절단깊이나 절단각도에 제한이 없으며, 기존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밀진단이 가능하며, 또한 수중에서도 시공이 가능하여, 특히 수중에 설치된 교각의 해체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494978호(명칭: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해체공법)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곡면이나 직선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에 절단방향에 따라 고정 설치되는 레일지지대와; 상기 레일지지대 상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밀착 고정되며,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일체로 연결된 절삭날로 구성되는 구조물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물 절단시 이송부에는 체인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체인기어가 맞물려 이송되도록 상기 레일이 체인으로 구성된 절단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31173호(명칭: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 해체 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부위에 감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절단하는 다이아몬드 와이어쏘와, 상기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다이아몬드 와이어쏘가 감긴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부위에 구비되는 제1, 2더스트커버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부위와 상기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냉각하기 위한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지의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 해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 더스트 커버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부위를 밀폐시키도록 잡아당기는 신축에 의해 압착되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하 양단부에 수평상 날개형상의 압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더스트 커버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곡면 및 모서리 면에서도 구부릴 수 있도록 벨로우즈 형태의 반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 양단부에 수평상 날개형상의 압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분사장치는, 소량의 물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면에 존재하는 잔존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고압의 공기를 혼합하기 위하여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와, 공기를 압축하여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와,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상기 에어컴프레서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를 혼합하는 물ㆍ공기 믹싱부와, 상기 물 탱크와 상기 물ㆍ공기 믹싱부 사이를 연결하는 물공급라인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에어컴프레서와 물ㆍ공기 믹싱부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공급라인에 설치되는 공기조절밸브와, 상기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공기조절밸브의 유량과 공기량을 각각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물ㆍ공기 믹싱부와 분사호스로 연결되며, 상기 물ㆍ공기 믹싱부로 부터 혼합되어 공급되는 물과 고압의 공기를 미스트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도록 나사결합방식 또는 원터치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연결설치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더스트 커버 또는 제2 더스트 커버는, 길이방향 양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설치하는 분사노즐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해체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교량의 슬래브를 절단하여 해체하는 장치의 하나로,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05675호(명칭: 교량 슬래브의 횡방향 절단을 통한 슬래브 인양 장치)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노후화된 교량의 슬래브를 인양하기 위해 슬래브에 다수개의 천공홀을 천공하고 그 천공홀에 인양 로프를 연결하여 슬래브를 인양하는 인양 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슬래브를 철거시 슬래브를 2~3m 간격으로 컷팅을 하여 슬래브를 횡방향으로 인양하여 해체하는 한편, 상기의 슬래브에는 상부에 안착 구조물과 유압 장치로 구성되는 인양 장치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의 슬래브에 형성된 천공홀과 안착 구조물의 유압잭 받침 플레이트에 형성된 유압잭 설치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유압 장치의 유압 잭키가 유압잭 설치홀과 천공홀을 통하여 관통되며, 상기의 유압 잭키의 봉 연결부에 인양 받침봉이 삽입되어 슬래브, 안착 구조물 및 유압 장치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의 안착 구조물에 결합된 인양고리에 인양 로프가 체결됨과 아울러 인양 로프에 크레인의 와이어가 체결되어 슬래브가 인양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교량의 해체공법의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39412호(명칭: 교량 해체공법)이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a) 슬래브 역할을 하는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를 포함하는 슬래브거더 하부 사이에 낙하물방지공을 설치하고, (b) 상기 슬래브거더의 상부플랜지를 종방향으로 절삭시켜 횡방향폭을 가진 슬래브거더를 구비하고, (c) 상기 슬래브거더를 함께 인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슬래브거더는 인양보강수단을 이용하여 인양하도록 하되, 상기 인양보강수단은 상기 상부플랜지에 형성된 인양홀을 경유하여 하부플랜지를 감싸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되, 상기 상부플랜지에 형성시킨 인양홀은 하부플랜지를 와이어로프가가 감쌀 수 있도록 하부플랜지 폭 보다는 큰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상부플랜지에 형성시켜 와이어로프가 인양홀을 관통하여 슬래브거더의 양 단부를 감싸도록 하며, 상기 하부플랜지를 감싸도록 배치된 와이어로프는 하부플랜지와 직접 접하는 부위의 위치를 구속시켜 주면서 손상에 의한 불안정 요소를 없애기 위하여 하부플랜지를 감싸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절곡하부보강판을 설치하고, 상기 절곡하부보강판은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강판을 이용하고, 표면에는 서로 이격된 2개의 수직판 사이에 와이어로프가 위치하도록 하여 와이어로프의 안정적인 배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1,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31173호 2,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23154호 3,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05675호 4,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39412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교량의 해체장치 및 방법들은, 해체작업시 발생하는 슬러지를 함유하는 다량의 오염수를 발생시켜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발생된 오염수를 안정적으로 수거하지 못하여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슬래브를 절단, 파쇄, 절삭 등과 같은 공정을 적용하여 해체할 때 발생하는 각종 오염원을 원활하게 수거하면서 해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교량의 해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교량해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해체장치는, 지면에 시공된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교량슬래브를 절단하여 해체하도록 된 교량해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교량슬래브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교량슬래브의 절단해체공간을 점유하면서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면을 가지는 공간부를 구비하여 상기 교량슬래브의 일 부위를 절단하여 해체할 때 발생하는 오염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도록 된 '통' 형상의 수거조를 가지는 수거수단과; 상기 수거조를 상기 교량슬래브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도록 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과 상기 수거수단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이동수단은, 상기 교량슬래브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레일들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안치되는 각각의 이동대차들과; 상기 이동대차에 구비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이동대차가 상기 교량슬래브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동력을 부여하도록 된 각각의 동력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수거수단은, 상단이 상기 연결수단에 고정되는 '틀' 형상의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내부에 배치 고정되는 상기 수거조와, 상기 수거조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오염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펌프하여 수거하도록 된 흡입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수거조는, 평면상 점유하는 공간을 복수 개로 분할하도록 된 다수의 조립블록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블록들의 결합부위에는, 서로 면접촉하는 플랜지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편들에는, 상기 조립블록들이 서로 결합할 때 각각 면접촉하는 밀폐판이 게재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플랜지편들과 밀폐판에는, 볼트가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에 배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된 인양모터들과; 상기 인양모터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각각 회전하며 일단에 상기 수거수단의 상단이 고정되는 와이어가 권취된 인양드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해체장치는, 교량의 슬래브를 절단, 파쇄, 절삭 등을 통해 분리한 후, 인양하여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원이 포함된 오염수를 상기 수거수단을 통해 원활하게 수거하면서 해체를 수행할 수 있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교량의 해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에 적용되는 수거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에 적용되는 이동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에 적용되는 연결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12 내지 도 1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를 통해 교량슬래브를 해체하는 과정을 보인 교량해체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에 적용되는 수거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1)는, 지면에 시공된 교각(10)의 상측에 설치된 교량슬래브(100)를 해체할 때, 발생되는 오염수를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는 친환경적인 해체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특히 적용된다.
이때, 상기 교량슬래브(100)는,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위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면서 분리하여 별도의 미 도시된 인양장치를 통해 인양하여 처리하는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전체 교량슬래브(100)를 해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1)는, 기존에 설치되며 해체하고자하는 상기 교량슬래브(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절단해체공간을 점유하면서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면을 가지는 공간부를 구비하여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일 부위를 절단하여 해체할 때 발생하는 오염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도록 된 '통' 형상의 수거조(21)를 포함하는 수거수단(2)을 가진다.
즉, 상기 교량슬래브(100)를 다이아몬드 와이어쏘 공법(D.W.S) 등과 같은 해체공법을 통해 절단하여 해체할 때, 발생하는 각종 오염수를 상기 수거조(21)로 수거하여 별도로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수거수단(2)은, '틀' 형상의 고정틀(22)과, 상기 고정틀(22)의 내부에 배치 고정되는 상기 수거조(21)와, 상기 수거조(21)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오염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펌프하여 수거하도록 된 흡입펌프(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교량슬래브(100)를 해체하는 중에 투입된 용수와 해체시 발생하는 파편(먼지 등)이 혼합된 오염수가 교량의 주변공간으로 확산하지 않고, 상기 수거조(21)의 공간부를 통해 수거한 후, 상기 흡입펌프(23)를 통해 별도로 운반 및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1)에서, 상기한 수거조(21)는, 평면상 점유하는 공간을 복수 개로 분할하도록 된 다수의 조립블록(24)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시에는, 다수의 조립블록(24)들이 조립되어 상기 수거조(21)를 형성하게 되며, 운반 및 보관시에는 다수의 조립블록(24)들로 분해하여 점유공간을 줄이도록 되어, 공간사용효율을 극대화하게 되어 있다.
상기에서 조립블록(24)들은, 2개 1조로 이루어져 상기 수거조(21)를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수 개가 전후좌우로 각각 연결되면서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1)에서, 상기 조립블록(24)들의 결합부위에는, 서로 면접촉하는 플랜지편(25)이 각각 형성되고; 볼트 등과 같은 체결요소(26)를 통해 결합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편(25)들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요소(26)가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플랜지편(25)들의 사이에는, 상기 조립블록(24)들이 서로 결합할 때 각각 면접촉하는 밀폐판(27)이 게재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조립블록(24)들의 사이 간격으로 오염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밀폐판(27)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요소(26)가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고정틀(22)은, 내부에 상기 수거조(21)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들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수평적으로 연결하면서 고정하는 수평프레임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들은, 강재로 이루어진 벤트블럭(bent block)들의 연결조립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벤트블럭들은, 다양한 길이를 가지면서 제작되어, 시공현장에서 원하는 길이 및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수직지주 및 수평지주들을 형성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벤트블럭들은 나사, 볼트 등을 통해 결합하여 조립되도록 됨으로써, 조립 및 해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1)는, 상기 수거조(21)를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일부위가 해체되는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도록 된 이동수단(3)을 가진다.
즉, 상기 이동수단(3)을 통해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일 부위를 해체하는 방향으로 상기 수거조(21)를 이동시키면서 오염수를 수거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이동수단(3)은,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레일(31)들과; 상기 레일(31)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안치되는 각각의 이동대차(32)들과; 상기 이동대차(32)에 구비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이동대차(32)가 상기 교량슬래브(100)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동력을 부여하도록 된 각각의 동력부재(3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그 하부에 위치된 상기 수거수단(2)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대차(32)들이 상기 레일(31)들의 상부에서 안내되면서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길이방향(절단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레일(31)들은, 강재로 형성된 "에이치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재로 형성된 'ㄷ' 자 형상의 '빔'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이동대차(32)에는, 하중을 가지는 균형추(34)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대차(32)가 상기 수거수단(2)의 하중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균형이 해체되는 것이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동력부재(33)는, 상기 레일(31)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랙기어(rack gear)(35)와, 상기 랙기어(35)와 기어 결합하며 상기 이동대차(32)에 배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된 이동모터(36)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피니언기어(pinion gear)(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동모터(36)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기어(37)에서 각각 전달받아 상기 랙기어(35)를 각각 주행하면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되어 정속으로 이동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1)는, 상기 이동수단(3)과 상기 수거수단(2)을 연결하는 연결수단(4)을 가진다.
즉, 상기 연결수단(4)을 통해 상기 수거수단(2)을 상기 이동수단(3)에 연결 고정하게 된다.
상기에서 연결수단(4)은, 상기 이동수단(3)에 배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된 인양모터(41)들과; 상기 인양모터(41)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각각 회전하며 일단에 상기 수거수단(2)의 상단이 고정되는 와이어(42)가 권취된 인양드럼(4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양모터(41)에 의해 회전하도록 된 상기 인양드럼(43)에 상기 와이어(42)를 권취하거나 풀어주는 과정을 통해 상기 와이어(42)의 종단에 고정된 상기 수거수단(2)이 상기 교량슬래브(100)로 근접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4)은, 상기 와이어(42)의 종단이 고정되며, 하부에 상기 수거수단(2)의 고정틀(22)이 체결되는 인양프레임(4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틀(22)을 상기 인양프레임(44)에 확고히 체결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42)에 의해 승강 고정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1)를 적용하여, 교량슬래브(100)를 해체하는 교량해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1)를 적용하여 교량슬래브(100)를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해체하고자 하는 교량슬래브(100)의 양측부위에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길이방향(일부위가 절단되는 방향)으로 상기 레일(31)들 및 상기 랙기어(35)들을 각각 설치하는 레일설치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일설치단계를 통해 상기 교량슬래브(100)에 상기 레일(31) 및 랙기어(35)가 설치되면, 상기 레일(31)의 상부에 상기 이동대차(32)를 안치함과 동시에 상기 피니언기어(37)를 상기 랙기어(35)와 기어결합시키는 이동대차설치단계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대차설치단계를 통해 상기 레일(31)들에 상기 이동대차(32)들이 각각 설치되면, 상기 이동대차(32)에 상기 연결수단(4)을 고정하는 연결수단고정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고정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연결수단(4)의 인양프레임(44)을 지면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인양프레임(44)에 조립이 완료된 상기 수거수단(2)의 고정틀(22)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수거수단고정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수거수단고정단계를 통해 상기 수거수단(2)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연결수단(4)의 인양모터(41)를 구동하여 상기 수거수단(2)을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저면에 근접되게 상승시켜 배치하는 수거수단배치단계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수거수단배치단계를 통해 상기 수거수단(2)의 배치가 완료되면,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일부위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면서 상기 이동수단(3)을 구동하여 상기 수거수단(2)이 절단해체하는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을 점유하도록 이동시키는 교량슬래브해체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중앙을 절단 시작부위로 하여 양측 방향의 부위를 각각 순차적으로 절단하여 최후에 상기 레일(31)들이 배치된 부위를 인양하여 해체하는 형태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교량슬래브해체단계를 진행하는 중에 상기 수거조(21)로 수거된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염수를 상기 흡입펌프(23)를 통해 흡입하여 별도로 처리하는 오염수처리단계를 수행한다.
도 2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에 적용되는 수거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수거수단(2)의 고정(22)틀에는,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저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8)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틀(22)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교량해체장치(1)는, 교량슬래브(100)를 분리한 후, 인양하여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원이 포함된 오염수를 수거하도록 상기 교량슬래브의 하부에 절단공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수거수단(2)이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교량해체장치 10 : 교각
100 : 교량슬래브 2 : 수거수단
21 : 수거조 22 : 고정틀
23 : 흡입펌프 24 : 조립블럭
25 : 플랜지편 26 : 체결요소
27 : 밀폐판 28 : 가이드부재
3 ; 이동수단 31 : 레일
32 : 이동대차 33 : 동력부재
34 : 균형추 35 : 랙기어
36 : 이동모터 37 : 피니언기어
4 : 연결수단 41 : 인양모터
42 : 와이어 43 : 권취드럼
44 : 인양프레임

Claims (5)

  1. 지면에 시공된 교각(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교량슬래브(100)를 절단하여 해체하도록 된 교량해체장치(1)에 있어서;
    상기한 교량슬래브(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절단해체공간을 점유하면서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면을 가지는 공간부를 구비하여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일 부위를 절단하여 해체할 때 발생하는 오염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도록 된 '통' 형상의 수거조(21)를 가지는 수거수단(2)과;
    상기 수거조(21)를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도록 된 이동수단(3)과;
    상기 이동수단(3)과 상기 수거수단(2)을 연결하는 연결수단(4)을 포함하며,
    상기한 수거조(21)는,
    평면상 점유하는 공간을 복수 개로 분할하도록 된 다수의 조립블록(24)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블록(24)들의 결합부위에는,
    서로 면접촉하는 플랜지편(2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편(25)들에는,
    상기 조립블록(24)들이 서로 결합할 때 각각 면접촉하는 밀폐판(27)이 게재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플랜지편(25)들과 밀폐판(27)에는,
    볼트가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해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수단(3)은,
    상기 교량슬래브(100)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레일(31)들과;
    상기 레일(31)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안치되는 각각의 이동대차(32)들과;
    상기 이동대차(32)에 구비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이동대차(32)가 상기 교량슬래브(100)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동력을 부여하도록 된 각각의 동력부재(3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해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거수단(2)은,
    상단이 상기 연결수단(4)에 고정되는 '틀' 형상의 고정틀(22)과;
    상기 고정틀(22)의 내부에 배치 고정되는 상기 수거조(21)와;
    상기 수거조(21)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오염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펌프하여 수거하도록 된 흡입펌프(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해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수단(4)은,
    상기 이동수단(3)에 배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된 인양모터(41)들과;
    상기 인양모터(41)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각각 회전하며 일단에 상기 수거수단(2)의 상단이 고정되는 와이어(42)가 권취된 인양드럼(4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해체장치.
  5. 삭제
KR1020160101235A 2016-08-09 2016-08-09 교량해체장치 KR101711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235A KR101711890B1 (ko) 2016-08-09 2016-08-09 교량해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235A KR101711890B1 (ko) 2016-08-09 2016-08-09 교량해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890B1 true KR101711890B1 (ko) 2017-03-03

Family

ID=5841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235A KR101711890B1 (ko) 2016-08-09 2016-08-09 교량해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8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8462A (zh) * 2017-06-27 2017-10-20 浙江交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跨线桥静力拆除原位重建的施工方法及其专用防护网
CN110512534A (zh) * 2019-08-27 2019-11-29 中铁大桥局武汉桥梁特种技术有限公司 桥梁翼缘板切割用的污水收集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675Y1 (ko) 2002-11-07 2003-03-03 주식회사 하이테크한상 교량 슬래브의 횡방향 절단을 통한 슬래브 인양 장치
KR100463073B1 (ko) * 2002-09-17 2004-12-23 배석동 교량의 상판 보수 보강용 삼각지주와 이를 이용한 교량의상판 보수 보강 공법
KR20100066161A (ko) * 2008-12-09 2010-06-17 이병주 이동식점검대차를 이용한 교량점검시스템
KR101023154B1 (ko) 2008-10-08 2011-03-18 서정일 레이저를 이용한 대형구조물의 해체방법
KR101469496B1 (ko) * 2014-04-18 2014-12-05 유림건설(주) 교량 보수공사를 위한 일체형 비계조립 및 인상공법
KR101531173B1 (ko) 2014-04-10 2015-06-25 박종협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 해체 장치
KR101539412B1 (ko) 2014-09-16 2015-07-27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교량 해체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073B1 (ko) * 2002-09-17 2004-12-23 배석동 교량의 상판 보수 보강용 삼각지주와 이를 이용한 교량의상판 보수 보강 공법
KR200305675Y1 (ko) 2002-11-07 2003-03-03 주식회사 하이테크한상 교량 슬래브의 횡방향 절단을 통한 슬래브 인양 장치
KR101023154B1 (ko) 2008-10-08 2011-03-18 서정일 레이저를 이용한 대형구조물의 해체방법
KR20100066161A (ko) * 2008-12-09 2010-06-17 이병주 이동식점검대차를 이용한 교량점검시스템
KR101531173B1 (ko) 2014-04-10 2015-06-25 박종협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 해체 장치
KR101469496B1 (ko) * 2014-04-18 2014-12-05 유림건설(주) 교량 보수공사를 위한 일체형 비계조립 및 인상공법
KR101539412B1 (ko) 2014-09-16 2015-07-27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교량 해체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8462A (zh) * 2017-06-27 2017-10-20 浙江交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跨线桥静力拆除原位重建的施工方法及其专用防护网
CN110512534A (zh) * 2019-08-27 2019-11-29 中铁大桥局武汉桥梁特种技术有限公司 桥梁翼缘板切割用的污水收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1111B2 (ja) 後方台車、後方台車の移動方法
JP2006161548A (ja) 仮桟橋及び仮桟橋の架設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台車、仮桟橋を用いた杭打ち工法
KR101711890B1 (ko) 교량해체장치
KR101743420B1 (ko) 교량해체작업용 오염방지장치
JP2009228270A (ja) 超高層建物の解体方法
CN107459001B (zh) 一种人工挖孔桩出土提升装置
CN214658662U (zh) 一种心墙混凝土盖板施工操作平台
JP2004092092A (ja) トンネル拡幅工事用プロテクタと一体の運搬設備
CN209737950U (zh) 新型材料隔墙板综合生产系统
JPH06313364A (ja) 原子力施設の構造物切断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CN215405864U (zh) 码头施工防护结构
CN220092416U (zh) 一种水利工程用水道清淤机构
CN217438740U (zh) 一种箱梁预应力钢筋牵拉作业平台
JP2016003976A (ja) タンクの除染方法
KR102608791B1 (ko) 발전소 취수구 무인 자동 준설시스템
KR101682544B1 (ko)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
CN220036719U (zh) 一种用于矿井提升机的矿井井口防护装置
KR20020039487A (ko) 터널 거푸집 표면 청소장치
CN220364996U (zh) 地下建筑结构的封闭式浇筑装置
CN216840789U (zh) 一种砖混墙封装拆除机构
CN211110735U (zh) 辅助吊运装置
KR100871146B1 (ko) 콘크리트 경사면의 보수공법
JP7477927B1 (ja) 灰バンカの清掃方法
CN109268041B (zh) 一种泥水盾构伸缩泥水管接管台车
CN111794133B (zh) 一种拆除桥梁上混凝土护栏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