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544B1 -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544B1
KR101682544B1 KR1020160078950A KR20160078950A KR101682544B1 KR 101682544 B1 KR101682544 B1 KR 101682544B1 KR 1020160078950 A KR1020160078950 A KR 1020160078950A KR 20160078950 A KR20160078950 A KR 20160078950A KR 101682544 B1 KR101682544 B1 KR 101682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pace
water
polluted wa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준
이도영
이봉환
이승혁
Original Assignee
이혁준
이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혁준, 이도영 filed Critical 이혁준
Priority to KR102016007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34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of offshor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2Removal or dismantling of offshore structures from their offshore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을 절단, 파쇄, 절삭 등과 같은 공정을 적용하여 해체할 때 발생하는 오염수를 원활하게 수거하면서 해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구조물의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면에 시공된 구조물기둥과 상기 구조물기둥 상측에 설치된 구조물시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물을 절단하여 해체할 때 발생하는 오염수를 처리하는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에 있어서; 평면상 상기 구조물이 점유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공간을 점유하고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면을 가지는 공간부를 구비하여 상기 구조물의 해체시 발생하는 오염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도록 된 '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서 오염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펌프하여 수거하도록 된 흡입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Antipolluution equipment for cutting process of structure}
본 발명은, 교량 등과 같은 구조물을 절단하여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제거하는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을 절단, 파쇄, 절삭 등과 같은 공정을 적용하여 해체할 때 발생하는 오염수를 원활하게 수거하면서 해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구조물의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구조물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지면에 대하여 철근으로 뼈대를 구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공법으로 시공된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구조물은, 구조적으로 크게, 구조물기둥과 상기 구조물기둥 상측에 설치되며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구조물시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물은, 먼저 지면에 철근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구조물기둥을 설치한 후, 상기 구조물기둥 위로 구조물시설을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여 형성된다.
한편, 강이나 하천, 바다 등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구조물 등과 같은 구조물의 하부에는 우물통 형상이나 사각형상으로 기초가 형성된 후, 상기 기초의 상부에 상기 구조물기둥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초는 대부분 물속에 일부 또는 전부가 잠긴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물은, 보수 또는 재시공 등과 같은 필요에 의해 보수 및 해체공사를 수해하고자 할 경우에는, 절단, 절삭, 및 파쇄를 통해 해체하게 되며, 보수를 하고자 할 경에는 취약부분에 대한 보강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수중에 시공된 구조물의 경우에는, 기초의 주변에 제방을 쌓거나 시트파일(sheet pile)을 박는 물막이 공사를 하여, 수중에서 공사공간을 구획하여 공간적으로 분리한 후, 보수작업을 행하게 된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665563호(명칭: 구조물 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구조물을 내장하는 상부와, 상기 상부의 외부에 고정된 부력부와, 상기 상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에 부력부가 고정되며 구조물을 내장하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에 부력부가 고정되며 구조물을 내장하는 하부와, 상기 하부의 내측에 돌출되어 구비된 하부작업지지대의 상부에 위치되어 페인트공사 및 보수공사를 하며 구조물을 내장하는 작업대로 구비된 구조물 보수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근자에는 구조물을 절단하여 해체하는 해체방법의 하나로, 다이아몬드 와이어쏘 공법을 이용하는 것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다이아몬드 와이어쏘 공법은, 절단 대상 구조물에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걸어 연결한 후, 구동도르래 고속회전시키면서 유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도르래를 이송시켜 와이어에 장력을 주어 구조물을 절단시키는 공법이다.
이와 같은 다이아몬드 와이어쏘 공법은 저소음, 무분진, 무진동공법이며, 구조물의 절단깊이나 절단각도에 제한이 없으며, 기존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밀진단이 가능하며, 또한 수중에서도 시공이 가능하여, 특히 수중에 설치된 구조물의 해체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494978호(명칭: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해체공법)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곡면이나 직선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에 절단방향에 따라 고정 설치되는 레일지지대와; 상기 레일지지대 상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밀착 고정되며,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일체로 연결된 절삭날로 구성되는 구조물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물 절단시 이송부에는 체인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체인기어가 맞물려 이송되도록 상기 레일이 체인으로 구성된 절단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31173호(명칭: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 해체 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부위에 감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절단하는 다이아몬드 와이어쏘와, 상기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다이아몬드 와이어쏘가 감긴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부위에 구비되는 제1, 2더스트커버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부위와 상기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냉각하기 위한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지의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 해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 더스트 커버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부위를 밀폐시키도록 잡아당기는 신축에 의해 압착되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하 양단부에 수평상 날개형상의 압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더스트 커버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곡면 및 모서리 면에서도 구부릴 수 있도록 벨로우즈 형태의 반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 양단부에 수평상 날개형상의 압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분사장치는, 소량의 물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면에 존재하는 잔존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고압의 공기를 혼합하기 위하여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와, 공기를 압축하여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와,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상기 에어컴프레서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를 혼합하는 물ㆍ공기 믹싱부와, 상기 물 탱크와 상기 물ㆍ공기 믹싱부 사이를 연결하는 물공급라인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에어컴프레서와 물ㆍ공기 믹싱부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공급라인에 설치되는 공기조절밸브와, 상기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공기조절밸브의 유량과 공기량을 각각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물ㆍ공기 믹싱부와 분사호스로 연결되며, 상기 물ㆍ공기 믹싱부로 부터 혼합되어 공급되는 물과 고압의 공기를 미스트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도록 나사결합방식 또는 원터치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연결설치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더스트 커버 또는 제2 더스트 커버는, 길이방향 양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설치하는 분사노즐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해체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구조물을 절단하여 해체하는 해체방법의 하나로, 레이저를 이용한 해체방법이 있으며,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23154호(명칭: 레이저를 이용한 대형구조물의 해체방법)이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레이저 노즐을 이동하면서 대형구조물의 외주면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제1방향과, 그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다수의 제1커팅라인을 소정 깊이만큼 교차되게 형성하여 대형구조물의 표면을 소정 깊이만큼 잘게 조각내고, 그 조각에 충격을 주어 대형구조물에서 분리한 다음 분리된 조각을 수거하여 절단홈을 형성하며, 상기 절단홈에 노즐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한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절단홈 내측으로 또 다른 절단홈을 레이저빔의 1회 조사만으로 대형구조물의 비절단 부위를 절단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 형성하되, 상기 절단홈에 노즐을 삽입하여 1회 조사만으로 대형구조물의 비절단 부위를 완전히 절단하여 해체하는 해체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665563호 2,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494978호 3,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31173호 4,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23154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물의 보수장치 또는 해체장치를 통한 보수방법 및 해체방법에서는, 슬러지를 함유하는 다량의 오염수를 발생시켜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발생된 오염수를 안정적으로 수거하지 못하여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을 절단, 파쇄, 절삭 등과 같은 공정을 적용하여 해체할 때 발생하는 오염수를 원활하게 수거하면서 해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구조물의 절단 해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는, 지면에 시공된 구조물기둥과 상기 구조물기둥 상측에 설치된 구조물시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물을 절단하여 해체할 때 발생하는 오염수를 처리하는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에 있어서; 평면상 상기 구조물이 점유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공간을 점유하고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면을 가지는 공간부를 구비하여 상기 구조물의 해체시 발생하는 오염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도록 된 '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서 오염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펌프하여 수거하도록 된 흡입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평면상 점유하는 공간을 복수 개로 분할하도록 된 다수의 조립블록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블록은, 상기 구조물기둥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며 타 조립블록과 결합하여 상기 구조물기둥의 외주면을 감싸는 슬리브를 형성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타 조립블록과 결합하여 상기 몸체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구조물기둥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밀폐하도록 되며 타 조립블록들과 결합시에 상기 구조물기둥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관' 형상의 밀폐관을 형성하는 탄성재질의 밀폐편이 배치되고; 상기 조립블록들의 결합부위에는, 서로 면접촉하는 플랜지편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편들에는, 상기 조립블록들이 서로 결합할 때 각각 면접촉하는 밀폐판이 게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편들과 밀폐판에는, 볼트가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몸체는, 평면상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끼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상기 조립블록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몸체의 외측에는, 상기 몸체에 대하여 사이 간격을 형성하면서 수용하여 외부에 대하여 상기 몸체를 폐쇄하는 차단벽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는, 해체하고자 하는 구조물을 절단, 파쇄, 절삭 등과 같은 공정을 적용하여 해체할 때, 투입되는 용수와 구조물의 파쇄물을 함유하는 오염수가 발생하더라도, 구조물의 주변에 설치된 몸체를 통해 용이하게 수거한 후, 흡입펌프를 통해 흡입하여 별도로 처리하도록 됨에 따라,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구조물의 해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에 적용되는 조립블록들의 결합부위를 발췌하여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에 적용되는 조립블록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에 적용되는 조립블록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에 적용되는 조립블록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방법을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1)는, 지면에 시공된 구조물기둥(11)과 상기 구조물기둥(11) 상측에 설치된 구조물시설(12)을 가지는 구조물(10)을 해체할 때, 발생되는 오염수를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는 친환경적인 절단 해체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특히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1)는, 평면상 상기 구조물(10)이 점유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공간을 점유하고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면을 가지는 공간부를 구비하여 상기 구조물(10)의 해체시 발생하는 오염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도록 된 '통' 형상의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공간부에서 오염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펌프하여 수거하도록 된 흡입펌프(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조물(10)을 절단하여 해체하는 중에 투입된 용수와 절단 해체작업시 발생하는 파편(먼지)가 혼합된 오염수가 구조물(10)의 주변공간으로 확산되지 않고, 상기 몸체(2)의 공간부를 통해 수거한 후, 상기 흡입펌프(3)를 통해 별도로 운반 및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1)에서, 상기한 몸체(2)는, 평면상 점유하는 공간을 복수 개로 분할하도록 된 다수의 조립블록(4)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시에는, 다수의 조립블록(4)들이 조립되어 상기 몸체(2)를 형성하게 되며, 운반 및 보관시에는 다수의 조립블록(4)으로 분해하여 점유공간을 줄이도록 되어, 공간사용효율을 극대화하게 되어 있다.
상기에서 조립블록(4)들은, 2개 1조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2)를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1조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2)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조립블록(4)들은, 상기 몸체(2)의 평면상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끼움 결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1)에서, 상기 조립블록(4)은, 상기 구조물기둥(11)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며 타 조립블록(4)과 결합하여 상기 구조물기둥(11)의 외주면을 감싸는 슬리브를 형성하는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타 조립블록(4)과 결합하여 상기 몸체(2)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장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부(41)를 통해 상기 구조물기둥(11)에 고정되며, 상기 연장부(42)를 통해 구조물(11)의 해체시 발생하는 오염수를 자유 낙하를 통해 수거하며 외부와 공간적으로 격리하는 '벽'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고정부(41)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기둥(11)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밀폐하도록 되며 타 조립블록(4)들과 결합시에 상기 구조물기둥(11)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관' 형상의 밀폐관을 형성하는 탄성재질의 밀폐편(5)이 배치되어, 구조물기둥(11)과 상기 고정부(41)의 사이간격을 통해 오염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조립블록(4)들의 결합부위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면접촉하는 플랜지편(43)이 각각 형성되며, 볼트(6) 등과 같은 체결요소를 통해 결합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편(43)들에는, 볼트(6) 등과 같은 체결요소가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플랜지편(43)들의 사이에는, 상기 조립블록(4)들이 서로 결합할 때 각각 면접촉하는 밀폐판(7)이 게재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조립블록(4)들의 사이 간격으로 오염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밀폐판(7)에는, 볼트(6) 등과 같은 체결요소가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1)에서, 상기한 조립블록(4)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1)와 상기 연장부(42)가 분리결합되도록 분할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정부(41)와 연장부(42)의 결합부위에는, 볼트(6) 등과 같은 체결요소들이 체결되는 결합편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편들의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패킹요소가 게재하여 오염수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규모가 큰 구조물(10)의 해체시, 넓은 범위에 오염수을 수거하는 공간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부(41)와 상기 연장부(42)의 결합부위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오염수가 고이는 바닥면을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수거되는 오염수가 요부로 고이면서 모이도록 되어, 추후, 상기 흡입모터(3)에 의한 펌프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연장부(42)의 외측 상단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지면서 결합되는 확장부(44)가 고정되어 구조물(10)의 절단 해체작업시 발생하는 오염수의 수거공간범위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1)에서, 상기한 몸체(2)의 외측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에 대하여 사이 간격을 형성하면서 수용하여 외부에 대하여 상기 몸체(2)를 폐쇄하는 차단벽수단(8)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몸체(2)를 외부공간에 대하여 차단하여 공간적으로 격리한 상태에서 구조물(10)의 해체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조물(10)의 해체작업을 독립적인 공간에서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 해체작업을 외부환경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강이나 하천, 바다 등을 가로질러 설치된 구조물(10)을 해체할 때에, 유체의 흐름에 대한 압력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해체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1)에서, 상기한 몸체(2)의 하부에는 지면에 대하여, 상기 몸체(2)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된 지지부재(9)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면이 고르지 못한 지면환경에서, 상기 몸체(2)를 수평적으로 배치하면서 지지할 수 있어, 몸체(2)의 조립작업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1)를 적용하여 구조물(10)을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해체하고자 하는 구조물(10)을 포함하는 공간을 범위로 하는 바닥에 상기 구조물(10)의 구조물기둥(11)의 외주면을 밀폐하면서 상기 구조물(10)의 해체시 발생하는 오염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도록 된 공간부를 가지는 '통' 형상의 몸체(2)를 설치하는 몸체설치단계(S200)를 수행한다.
삭제
이때, 상기 조립블록(4)들을 상기 구조물기둥(11)의 중심을 중심으로 각각 연결결합하여 상기 몸체(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2)를 조립하여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조립블록(4)들을 구성하는 상기 고정부(41)들을 상기 구조물기둥(11)을 감싸도록 하여 연결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41)들에 상기 연장부(42)들을 체결함과 아울러, 각각의 연장부(42)들을 각각 연결결합하면 상기 몸체(2)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몸체설치단계(S200)를 통해 상기 구조물(10)의 주변에 상기 몸체(2)가 설치되면, 구조물(10)을 절단, 파쇄, 절삭 등과 같은 방법으로 해체할 수 있도록 된 별도의 미 도시된 절단 해체장치를 통해 상기 구조물(10)을 해체하는 구조물해체단계(S30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구조물해체단계(S300)가 진행하는 중에 투입되는 용수와 슬러지가 혼합된 오염수는 자유 낙하하면서 상기 몸체(2)의 공간부에 자유 낙하하여 수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2)에 오염수가 수용되면, 수용된 오염수를 흡입펌프(3)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오염수배출단계(S40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구조물해체단계(S300)와 상기 오염수배출단계(S400)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2)에 수거된 오염수에서 슬러지의 함유비율이 높아 원활하게 펌프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에 사용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P)를 배치하여, 오염수에 함유된 슬러지의 함유비율을 낮춘 후, 흡입펌프(3)를 통해 흡입하여 외부로 펌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구조물해체단계(S300)를 통해 구조물(10)의 해체가 완료되면, 상기 몸체(2)와 상기 흡입펌프(3)를 별도로 수거하여 보관 및 운반하는 후처리단계(S500)를 수행하면, 구조물(10)의 해체가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한 몸체설치단계(S200)에는, 상기 몸체(2)를 상기 구조물(10)에 결합하기 전에, 상기 몸체(2)에 대하여 사이 간격을 형성하면서 수용하여 외부에 대하여 상기 몸체(2)를 폐쇄하는 차단벽수단(8)을 설치하는 차단벽수단설치공정(S100)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강이나 하천, 바다 등을 가로질러 설치된 구조물(10)을 해체할 때에, 유체의 흐름에 대한 압력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해체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차단벽수단(8)을 통해 작업공간과 외부공간을 분리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오염방지장치 10 : 구조물
11 : 구조물기둥 12 : 구조물시설
2 : 몸체 3 : 흡입펌프
4 : 조립블록 41 ; 고정부
42 : 연장부 43 : 플랜지편
44 : 확장부 5 : 밀폐편
6 : 볼트 7 : 밀폐판
8 : 차단벽수단 9 : 지지부재
P : 공급펌프

Claims (5)

  1. 평면상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끼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조립블록(4)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평면상 구조물(10)이 점유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공간을 점유하고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면을 가지는 공간부를 구비하여 상기 구조물(10)의 해체시 발생하는 오염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도록 된 '통' 형상의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공간부에서 오염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펌프하여 수거하도록 된 흡입펌프(3)와, 상기한 몸체(2)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2)에 대하여 사이 간격을 형성하면서 수용하여 외부에 대하여 상기 몸체(2)를 폐쇄하는 차단벽수단(8)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면에 시공된 구조물기둥(11)과 상기 구조물기둥(11) 상측에 설치된 구조물시설(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물(10)을 절단하여 해체할 때 발생하는 오염수를 처리하는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1)에 있어서;
    상기한 조립블록(4)은,
    상기 구조물기둥(11)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관' 형상의 밀폐관을 형성하는 탄성재질의 밀폐편(5)이 배치되며 상기 구조물기둥(11)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타 조립블록(4)과 결합하여 상기 구조물기둥(11)의 외주면을 감싸는 슬리브를 형성하는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타 조립블록(4)과 결합하여 상기 몸체(2)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장부(42)와, 타 조립블록(4)들의 결합부위에 형성되어 서로 면접촉하는 플랜지편(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한 플랜지편(43)들에는,
    상기 조립블록(4)들이 서로 결합할 때 각각 면접촉하는 밀폐판(7)이 게재한 상태에서 볼트(6)가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한 조립블록(4)에서 상기 고정부(41)와 상기 연장부(42)에는,
    볼트(6) 등과 같은 체결요소들이 체결되는 결합편이 구비되어 분리결합되도록 분할구성되되;
    상기한 결합편들의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패킹요소가 게재하고;
    상기한 고정부(41)와 상기 연장부(42)의 결합부위는,
    상향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연장부(42)의 외측 상단에는,
    외측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지면서 결합되는 확장부(44)가 고정되고;
    상기한 몸체(2)의 하부에는,
    지면에 대하여 상기 몸체(2)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된 지지부재(9)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78950A 2016-06-24 2016-06-24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 KR101682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950A KR101682544B1 (ko) 2016-06-24 2016-06-24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950A KR101682544B1 (ko) 2016-06-24 2016-06-24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544B1 true KR101682544B1 (ko) 2016-12-05

Family

ID=5757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950A KR101682544B1 (ko) 2016-06-24 2016-06-24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54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978B1 (ko) 2002-11-26 2005-06-13 인영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해체공법
KR100665563B1 (ko) 2006-09-20 2007-01-09 채상훈 교각 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
KR20070108984A (ko) * 2006-05-09 2007-11-15 남영일 수중파일 보수작업용 챔버
KR100898152B1 (ko) * 2008-10-22 2009-05-19 장은영 차수부재를 구비한 와이어쏘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단방법
KR101023154B1 (ko) 2008-10-08 2011-03-18 서정일 레이저를 이용한 대형구조물의 해체방법
KR101436444B1 (ko) * 2014-03-31 2014-09-02 유창개발 주식회사 수상 및 수중구조물 절단 슬러지 수집장치
KR101531173B1 (ko) 2014-04-10 2015-06-25 박종협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 해체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978B1 (ko) 2002-11-26 2005-06-13 인영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해체공법
KR20070108984A (ko) * 2006-05-09 2007-11-15 남영일 수중파일 보수작업용 챔버
KR100665563B1 (ko) 2006-09-20 2007-01-09 채상훈 교각 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1023154B1 (ko) 2008-10-08 2011-03-18 서정일 레이저를 이용한 대형구조물의 해체방법
KR100898152B1 (ko) * 2008-10-22 2009-05-19 장은영 차수부재를 구비한 와이어쏘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단방법
KR101436444B1 (ko) * 2014-03-31 2014-09-02 유창개발 주식회사 수상 및 수중구조물 절단 슬러지 수집장치
KR101531173B1 (ko) 2014-04-10 2015-06-25 박종협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 해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00113A1 (en) Gravel-or-the-like removing device
US9850637B2 (en) Digging equipment with relative improved hydraulic system
KR100380563B1 (ko) 수중 교각 기초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
KR101682544B1 (ko)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
KR101743420B1 (ko) 교량해체작업용 오염방지장치
JP4975858B2 (ja) 伸縮継手の撤去方法及び道路の切削方法
JP2017071993A (ja) 水中の仮締切構造体内の浚渫工法
KR101711890B1 (ko) 교량해체장치
JP5264978B2 (ja) 締切用止水壁体及びこれを用いた締切工法
CN111155633A (zh) 一种井室自动清污装置
JP2005152899A (ja) 汚染地盤の固化処理工法
KR200232748Y1 (ko) 교량의 구조물 기초 보수공사용 강재 케이슨
CN211246733U (zh) 一种建筑施工用垃圾回收处理装置
US8439648B2 (en) Process water lift station apparatus
JP2005188490A (ja) サンドポンプ
KR200180172Y1 (ko) 수중 교각 기초 보강장치
JP2004011327A (ja) ケーソン及びケーソン構築方法
US20200325054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of dewatering solid/liquid mixtures
CN219711470U (zh) 一种水中桩基施工用装配式泥浆池及泥浆循环系统
JPH0339527A (ja) 浚渫装置
JP4582442B2 (ja) 水槽内部の工事方法
KR100689835B1 (ko) 건식 가물막이 구조, 및 건식 가물막이 공법
JP2019210663A (ja) 止水壁構造体の構築方法、止水壁構造体を構築する中空セグメント、中空セグメントに取り付けられる足場および足場を備えた止水壁構造体
JP2003275563A (ja) 土砂攪拌装置
JP2863882B2 (ja) 可搬式ごみ除け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