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563B1 - 교각 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교각 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563B1
KR100665563B1 KR1020060090974A KR20060090974A KR100665563B1 KR 100665563 B1 KR100665563 B1 KR 100665563B1 KR 1020060090974 A KR1020060090974 A KR 1020060090974A KR 20060090974 A KR20060090974 A KR 20060090974A KR 100665563 B1 KR100665563 B1 KR 100665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
buoyancy
work
locking device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상훈
Original Assignee
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상훈 filed Critical 채상훈
Priority to KR1020060090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각을 내장하는 상부(100)와, 상기 상부(100)의 외부에 고정된 부력부(500)와, 상기 상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에 부력부(500)가 고정되며 교각을 내장하는 중간부(200)와, 상기 중간부(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에 부력부(500)가 고정되며 교각을 내장하는 하부(300)와, 상기 하부(300)의 내측에 돌출되어 구비된 하부작업지지대(380)의 상부에 위치되어 페인트공사 및 보수공사를 하며 교각을 내장하는 작업대(400)로 구비된 교각 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교각보수장치. 상부. 하부. 중간부. 작업대.

Description

교각 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Apparatus of mending for pier}
도1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상부 상세도
도3 및 도4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후면 상세도
도5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중간부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하부 상세도
도7 및 도8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하부 저면 상세도
도9 및 도10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작업대 상세도
도11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부력부 상세도
도12 본 발명의 교각보수장치 설치 상태도
도면의 부호설명
상부(100),작업대줄제어장치(110), 권취롤모터(111), 권취롤(112), 에어호스(115), 제1잠금장치(135), 제2잠금장치(136), 가로대(137), 상,하부고정대제어장치(140), 상,하부고정판(141,341), 상,하부고정판 유압모터 및 실린더(142,342), 유압호스(145), 흰지(170), 개폐실린더 (180), 중간부(200), 하부(300), 연결홈부(320,330), 밀폐튜브(350), 밀폐튜브노즐(351), 하부지지대(380), 체크밸브(381), 밸브(382), 진공펌프(388), 진공펌프밸브(389), 작업대(400), 에어청소장 치(410), 작업용에어노즐(411), 공기공급관(412), 그라인더(421), 그라인더구동모터 (422), 외측난간(460), 내측난간(470), 작업대몸체(480), 작업대바닥부(481), 작업몸체커버(485), 강관파일가이드바퀴(490), 작업대고정부(495), 부력부(500), 부력부격판(510), 부력부공기유입노즐(520), 부력부배출부(530), 부력부고정부(540), 교각(A).
본 발명은 교각 및 항만의 강관파일페인트공사등의 보수공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발포폼으로 구성된 작업대와, 작업대를 지지하는 하부의 외부에 다수개의 부력부로 감싸, 신속하고 쉽게 교각에 위치시켜 작업하도록 구조를 개량하였고, 교각의 높이에 따라 여러개의 중간부를 설치하였으며, 상부에는 교각지지대 및 작업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권취롤을 설치한 교각 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각은 차량, 사람이 통행하는 구조로서, 하부에는 다수개의 기둥으로 설치되어 교각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여 소멸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교각의 하측에는 상측보다 지름이 넓고 상당부분이 물에 잠겨져 있으며, 이를 일명 우물통이라고 한다.
상기 우물통은 물속에 일정부분이 잠겨져 있기 때문에 물의 유속과 수중에 서식하 는 이물질 등에 의해 부식되어 우물통 주변에 와류가 생겨 지반이 세굴되는 등 쉽게 파손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와 같은 우물통을 보수하기 위하여 많은 장치와 공법이 개발되어 왔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205-118635호에는 상부면과 부착면이 개방되고 철구조물과 부착이 개방되고 철구조물과 부착이 될 선에 단락 자석을 설치한 중공체를 작업대상체인 철구조물에 접근한 후, 자석을 작동시켜 철구조물에 거취한 뒤 내부의 물을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배수하면, 외부수압의 증가에 의하여 구조물과 중공체의 밀착이 증가되어 부착선이 수밀이 이루어짐으로서 수면이하에 있는 외부의 물의 유입을 차단하고 건조상태의 공간에서 육상과 같은 조건에서 작업이 가능한 단란자석을 이용한 수밀장치로 수면하에서 건조상태에서 작업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제20-2006-26529호에는 케이슨 벽체 내부에 채워진 차수층이 외부에서 유입되는 해수를 차단함과 동시에 해수에 의해 벽체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벽체 내부에 마련되는 건식환경에서 작업이 수행되는 건식가물막이 구조, 건식 가물막이 공법 및 이를 위한 벽체가 공개되어 있으며,
동공보 공개번호 제10-2004-33910호에는 조립식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조립식 패널을 연결하며 보강하는 보강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실링하는 패킹재와, 상기 조립식패널은 장공이 형성된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과 결합되어 상기 장공에 의해 이동되어 가변되는 구조인 조립식 패널과 패킹재를 이용한 물막이 구조가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제10-2006-9754호에는 우물통선단 차수 그라우팅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주입관이 내장되는 단계; 상기 우물통을 설치대상 지반에 침설시키는 단계; 상기 침설된 우물통의 주입관을 통해 1차로 우지스방수 몰탈주입재를 주입하여 우물통의 배면을 그라우팅처리하는 단계; 상기 우물통내의 유입수를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양수하는 단계; 상기 우물통의 선단부를 패칭함과 동시에 상기 우물통의 선단부에 주입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입관을 통해 2차로 우지스방수 몰탈주입재를 주입하여 우물통의 선단부 전면을 그라우팅하는 단계로 구성된 우물통선단 차수 그라우팅 장치 및 공법이 기술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368604호에는 교각의 우물통 보수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팽창되는 튜브를 갖는 수밀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수밀케이션의 하단에는 하측에 튜브가 위치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의 내,외측에는 각각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가이드구멍을 갖는 수평유지편이 설치된 교각 보수용 수밀케이션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대형장치로서 교각의 접근이 용이하지 못하고, 설치가 복잡하여, 보수공사기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교각의 페인트공사등의 보수공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발포폼으로 구성된 작업대와, 작업대를 지지하는 하부의 외부에 다수개의 부력부로 감싸, 신속하고 쉽게 교각에 위치시켜 작 업하도록 구조를 개량하였고, 교각의 높이에 따라 여러개의 중간부를 설치하였으며, 상부에는 교각지지대 및 작업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권취롤을 설치한 교각 보수장치 및 유압, 공압, 부력밀폐 에어튜브를 이용한 보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각을 내장하는 상부(100)와, 상기 상부(100)의 외부에 고정된 부력부(500)와, 상기 상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에 부력부(500)가 고정되며 교각을 내장하는 중간부(200)와, 상기 중간부(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에 부력부(500)가 고정되며 교각을 내장하는 하부(300)와, 상기 하부(300)의 내측에 돌출되어 구비된 하부작업지지대(380)의 상부에 위치되어 페인트공사 및 보수공사를 하며 교각을 내장하는 작업대(400)로 구비된 교각 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각이 짧은 경우 또는 간만의 차이가 작은 바다(남해, 동해)에 설치된 교각인 경우에는 두 개의 1/2원형체가 합체한 형태인 하부와 두 개의 1/2원형체가 합체한 형태인 작업대만으로도 작업을 할 수 있고,
교각이 길 경우 또는 간만의 차이가 큰 바다(서해)에 설치된 교각인 경우에는 두 개의 1/2원형체가 합체한 형태인 하부, 두 개의 1/2원형체가 합체한 형태인 작업대, 두 개의 1/2원형체가 합체한 형태인 상부 가 각각 한 개 및 두 개의 1/2원형체가 합체한 형태인 다수개의 중간부를 이용하여 보수공사를 할 수 있도록 개량한 발명인 것이다.
하부에는 작업지지대를 설치하여, 작업지지대의 상부에 작업대를 안치하여 보수작업을 실시하되, 작업지지대 일측에 진공펌프가 위치되어 이물질을 하부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였다.
도1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전체도로서, 교각(A)을 중심으로 2개로 구분된 원통형의 상부(100), 중간부(200), 하부(300)가 순차적으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하부(300)는 두 개의 1/2의 원통형체가 맞닿는 외벽과 하부작업지지대(380)의 내측벽의 연결홈부(320,330)에 설치된 밀폐튜브(35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두 개의 원통형체를 합체할 경우 상기 밀폐튜브(35)와, 상기 연결홈부(320,330)에 의해 내측은 완전 방수되며,
내부에 물은 체크밸브(38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외부의 물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이다.
도3은 개폐실린더를 작동시켜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4는 개폐실린더를 원위치시켜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8은 하부고정대제어장치(340)를 작동시켜 교각(A)에 하부고정판(341)을 밀착시켜 하부(300)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7은 하부고정대제어장치(340)를 원위치 시켜 하부(300)를 교각(A)로부터 자유롭게 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9는 작업대가 결착된 상태이며, 도10은 작업대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12는 하부(300)에 작업대(400)를 안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교각이 수면위에 짧게 노출됨;밀물)
제1공정(준비공정)
교각의 상부에 발전기 및 컴퓨레샤 및 유압장치를 준비하여 구동시킨 다음,
하부(300)의 외측테두리에 설치된 부력부(500)와 하부(300)에 상기 컴퓨레샤에 연결된 공기호스(115)를 연결하여 부력부공기유입노즐(540) 및 밀폐튜브(350)의 밀폐튜브노즐(351)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시킨 다음, 하부(300)를 교각(A)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2공정(하부 및 작업대설치)
교각(A)의 상부에 발전기 및 컴퓨레샤 및 유압장치와 하부(300)를 연결시킨 다음,
하부(300)의 후면에 설치된 개폐실린더(180)를 작동시켜, 두 개로 구분되어 결합된 1/2 원통형체의 하부(300)를 개방(도4참조)한 후에,
작업대(400)를 하부(300)내측으로 유입시킨 다음, 하부(300)내측에 구비된 하부지 지대(380)에 위치시킨 후에,(이때, 교각(A)의 상부에서 작업대(400)의 내외측난간(470,460)에 줄을 매어 위치시키던가, 수동으로 위치시킴)
하부(300)와 작업대(400)가 교각(A)을 감싼 후에 다시 개폐실린더(180)를 작동시켜 닫음과 동시에 전면에 설치된 제1잠금장치(135)와 제2잠금장치(136)을 결합시킨 다음 가로대(137)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닫은 다음(도3참조), 작업대(400)도 동시에 결착시켜 작업대고정부(495)로 작업대를 도9와 같이 결착시킨 후에,
(이때, 상기 두 개의 1/2의 원통형체가 맞닿는 외벽과 하부작업지지대(380)의 내측벽의 연결홈부(320,330)에 설치된 밀폐튜브(350)에 의해 두 개의 1/2원통형체가 닫힐 경우 하부(300)의 내측은 완전 방수되어,
내부에 물은 체크밸브(38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외부의 물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이다.)
하부(300)의 하부작업지지대(38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상부고정대제어장치(340)를 작동시켜 하부고정판유압모터 및 실린더(342)의 전면에 설치된 하부고정판(341)을 전진시켜 교각(A)에 밀착시켜 고정시킨 다음,
제3공정(작업실시)
교각(A)의 상부에 발전기 및 컴퓨레샤 및 유압장치와 작업대(400)를 연결시킨 다음, 작업대(400)의 내측난간(470)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그라인더구동모터(422)를 작동시켜 그라인더(421)를 회전시켜 교각(A)의 표면을 청소함과 동시에,
작업대몸체(480)의 내측 하부에 테두리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작업용에어노즐(411) 과 작업용에어노즐(411)에 연결된 공기공급관(412)으로 구비된 에어청소장치(410)를 작동시켜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서는 교각(A)에 방청제 페인트를 칠하며,
작업대몸체바닥부(481)와, 하부지지대(380)에 안치된 이물질은 하부지지대(380)의 일측에 설치된 진공펌프(388)를 이용하여 진공펌프밸브(389)를 이용하여 외부의 청소바지선(미도시)으로 배출시켜
교각의 보수공사를 완료하였다. 해체시에는 상기 역순으로 하여 해체하였다.
실시예 2(교각이 수면위에 길게 노출됨;썰물)
제1공정(준비공정)
교각의 상부에 발전기 및 컴퓨레샤 및 유압장치를 준비하여 구동시킨 다음,
상부,중간부,하부(100,200,300)의 외측테두리에 설치된 부력부(500)와 상부,중간부,하부(100,200,300)에 상기 컴퓨레샤에 연결된 공기호스(115)를 연결하여 부력부공기유입노즐(540) 및 밀폐튜브(350)의 밀폐튜브노즐(351)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시킨 다음, 상부,중간부하부(100,200,300)를 교각(A)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2공정(하부설치)
교각(A)의 상부에 발전기 및 컴퓨레샤 및 유압장치와 하부(300)를 연결시킨 다음,
하부(300)의 후면에 설치된 개폐실린더(180)를 작동시켜, 두 개로 구분되어 결합된 1/2 원통형체의 하부(300)를 개방(도4참조)한 후에,
(이때, 상기 두 개의 1/2의 원통형체가 맞닿는 외벽과 하부작업지지대(380)의 내측 벽의 연결홈부(320,330)에 설치된 밀폐튜브(350)에 의해 두 개의 1/2원통형체가 닫힐 경우 하부(300)의 내측은 완전 방수되어, 내부에 물은 체크밸브(38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외부의 물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이다.)
하부(300)와 작업대(400)가 교각(A)을 감싼 후에 다시 개폐실린더(180)를 작동시켜 닫음과 동시에 제1잠금장치(135)와 제2잠금장치(136)을 결합시킨 다음 가로대(137)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닫은 다음(도3참조), 작업대(400)도 동시에 결착시켜 작업대고정부(495)로 작업대를 도9와 같이 결착시킨 후에,
하부(300)의 하부작업지지대(38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상부고정대제어장치(340)를 작동시켜 하부고정판유압모터 및 실린더(342)의 전면에 설치된 하부고정판(341)을 전진시켜 교각(A)에 밀착시켜 고정시킨 다음,
제3공정(중간부, 상부, 작업대설치)
하부(300)의 위쪽에 중간부(300)를 위치시킨 후에, 교각(A)의 상부의 유압장치와 중간부(200)를 연결시키고, 교각(A)의 중간부를 감싸도록 중간부(200)를 위치시킨 다음, 후면에 설치된 개폐실린더(18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전면에 설치된 제1잠금장치(135)와 제2잠금장치(136)을 결합시킨 다음 가로대(137)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닫아, 두 개로 구분되어 결합된 1/2 원통형체의 중간부(200)를 설치한 다음,
(이때, 교각(A)의 상부에서 중간부(200)에 줄을 매어 위치시킴)
중간부(200)의 위쪽에 상부(100)를 위치시킨 후에, 교각(A)의 상부에 발전기 및 컴퓨레샤 및 유압장치와 상부(100)를 연결시킨 다음, 교각(A)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부(100)를 위치시킨 다음, 후면에 설치된 개폐실린더(18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전면에 설치된 제1잠금장치(135)와 제2잠금장치(136)을 결합시킨 다음 가로대(137)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닫아, 두 개로 구분되어 결합된 1/2 원통형체의 상부(100)를 설치한 다음,
(이때, 교각(A)의 상부에서 상부(100)에 줄을 매어 위치시킴)
상부(100)의 권취롤(112)과 도9와 같이 결착시킨 작업대(400)의 외측난간(460)에 와이어로 연결시킨 다음, 권취롤모터(111)를 작동시켜, 작업대(400)를 상부(100), 중간부(200)를 관통하여, 하부(300)내측으로 유입시킨 다음, 하부(300)내측에 구비된 하부지지대(380)에 위치시키고,
제4공정(작업실시)
작업대(400)의 내측난간(470)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그라인더구동모터(422)를 작동시켜 그라인더(421)를 회전시켜 교각(A)의 표면을 청소함과 동시에,
작업대몸체(480)의 내측 하부에 테두리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작업용에어노즐(411)과 작업용에어노즐(411)에 연결된 공기공급관(412)으로 구비된 에어청소장치(410)를 작동시켜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서는 교각(A)에 방청제 페인트를 칠하며, 작업대몸체바닥부(481)와, 하부지지대(380)에 안치된 이물질은 하부지지대(380)의 일측에 설치된 진공펌프(388)를 이용하여 진공펌프밸브(389)를 이용하여 외부의 청소바지선(미도시)으로 배출시켜 교각의 보수공사를 완료하였다. 해체는 상기 역순으 로 하여 해체하였다.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구조를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상부 상세도, 도3 및 도4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후면 상세도, 도5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중간부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하부 상세도, 도7 및 도8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하부 저면 상세도, 도9 및 도10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작업대 상세도, 도11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 부력부 상세도, 도12 본 발명의 교각보수장치 설치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며, 상부(100),작업대줄제어장치(110), 권취롤모터(111), 권취롤(112), 에어호스(115), 제1잠금장치(135), 제2잠금장치(136), 가로대(137), 상,하부고정대제어장치(140), 상,하부고정판(141,341), 상,하부고정판 유압모터 및 실린더(142,342), 유압호스(145), 흰지(170), 개폐실린더 (180), 중간부(200), 하부(300), 연결홈부(320,330), 밀폐튜브(350), 밀폐튜브노즐(351), 하부지지대(380), 체크밸브(381), 밸브(382), 진공펌프(388), 진공펌프밸브(389), 작업대(400), 에어청소장치(410), 작업용에어노즐(411), 공기공급관(412), 그라인더(421), 그라인더구동모터 (422), 외측난간(460), 내측난간(470), 작업대몸체(480), 작업대바닥부(481), 작업몸체커버(485), 강관파일가이드바퀴(490), 작업대고정부(495), 부력부(500), 부력부격판(510), 부력부공기유입노즐(520), 부력부배출부(530), 부력부고정부(540), 교각(A)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각 보수장치는 교각을 내장하는 상부(100)와, 상기 상부(100)의 외부에 고정된 부력부(500)와, 상기 상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에 부력부(500)가 고정되며 교각을 내장하는 중간부(200)와, 상기 중간부(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에 부력부(500)가 고정되며 교각을 내장하는 하부(300)와, 상기 하부(300)의 내측에 돌출되어 구비된 하부작업지지대(380)의 상부에 위치되어 페인트공사 및 보수공사를 하며 교각을 내장하는 작업대(400)로 구비된 교각 보수장치의 구조인 것이다.
상기 상부(100)는 도1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이며, 두 개의 1/2 원통형이 결합된 형태로, 두 개의 1/2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100)를 감싸도록 부력부고정부(540)에 의해 상부(100)에 고정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부력부(500)와, 후면에 설치되어 두 개의 1/2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흰지(170)와, 상기 다수개의 흰지(170)사이에 위치되며 두 개의 1/2의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개폐실린더(180)와,
상부(100)의 전면에 두 개의 1/2의 원통형이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제1잠금장치(135) 및 제2잠금장치(136)와,
상기 제1잠금장치(135) 및 제2잠금장치(136)의 통공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가로대(137)와,
상부(100)의 위쪽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작업대(400)의 승하강을 작 동시키며, 권취롤(112) 및 권취롤(112)을 구동시키는 권취롤모터(111)로 구비된 다수개의 작업대줄제어장치(100)와,
상기 상부(100)의 위쪽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교각(A)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며 상부고정판(141)과, 상기 상부고정판(141)을 전후진시키는 상부고정판유압모터 및 실린더(142)로 구비된 다수개의 상부고정대제어장치(1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부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이며, 두 개의 1/2의 원통형이 결합된 형태로, 두 개의 1/2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중간부(200)를 감싸도록 부력부고정부(540)에 의해 중간부(200)에 고정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부력부(500)와, 후면에 설치되어 두 개의 1/2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흰지(170)와, 상기 다수개의 흰지(170)사이에 위치되며 1/2의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개폐실린더(180)와,
중간부(200)의 전면에 두 개의 1/2 원통형이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제1잠금장치(135) 및 제2잠금장치(136)와,
상기 제1잠금장치(135) 및 제2잠금장치(136)의 통공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가로대(137)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300)는 도6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이며, 두 개의 1/2 원 통형이 결합된 형태로, 두 개의 1/2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부(300)를 감싸도록 부력부고정부(540)에 의해 하부(300)에 고정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부력부(500)와, 후면에 설치되어 두 개의 1/2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흰지(170)와, 상기 다수개의 흰지(170)사이에 위치되며 1/2의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개폐실린더(180)와,
하부(300)의 전면에 두 개의 1/2 원통형이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제1잠금장치(135) 및 제2잠금장치(136)와, 상기 제1잠금장치(135) 및 제2잠금장치(136)의 통공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가로대(137)와, 하부(300)의 내측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하부작업지지대
(380)과, 상기 하부작업지지대(38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를 관통하여 진공펌프밸브(389)와 연결되어 설치된 진공펌프(388)와,
하부작업지지대(380)의 중간 일측에 다수개 설치된 체크밸브(381) 및 밸브(382)와,
상기 두 개의 1/2 원통형체가 맞닿는 외벽과 하부작업지지대(380)의 내측벽에 연결시 밀폐튜브의 고정을 위하여 연결홈부(320,3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홈부(320,330)중 일측의 연결홈부(330)에 설치되며 밀폐튜브노즐(351)이 구비된 밀폐튜브(350)와,
상기 하부작업지지대(38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교각(A)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며 하부고정판(341)과,
상기 하부고정판(341)을 전후진시키는 하부고정판유압모터 및 실린더 (342)로 구비된 다수개의 상부고정대제어장치(3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업대(400)는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폼의 몸체로 구성된 도넛형상이 두 개로 구분되어 결합된 형태로서
두 개의 1/2개 도넛 형상으로 발포폼으로 형성된 작업대몸체(480)와,
상기 작업대몸체(480)의 후면에 설치된 작업대흰지(미도시)와, 상기 작업대 몸체(480)의 전면에 설치된 작업대고정부(495)와,
상기 작업대몸체(480)의 상부에 비닐시트 또는 나무로 설치된 작업대바닥부(481)와,
상기 작업대몸체(480)의 외측 및 내측에 설치된 외측난간(460) 및 내측난간(470)과,
상기 작업대몸체(480)의 외측 및 내측을 감싸는 작업몸체커버(485)와,
상기 작업대몸체(48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 강관파일가이드바퀴(490)와,
상기 내측난간(470)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그라인더(421)와 상기 그라인더(421)를 구동시키는 그라인더구동모터(422)와,
상기 작업대몸체(480)의 내측 하부에 테두리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작업용에어노즐(411)과 작업용에어노즐(411)에 연결된 공기공급관(412)으로 구비된 에어청소장치(410)와,
상기 외측난간(460)과 상부(100)의 권취롤(112)에 연결된 줄(미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력부(500)는 파이프 형상이며, 양쪽끝단부는 부력부격판(510)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며, 상부 일측에 설치된 부력부공기유입노즐(520)과, 하부 일측에 설치된 부력부배출부(530)와, 부력부(500)를 고정시키는 부력부고정부(540)로 구성된 교각 보수장치의 구조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교각의 페인트공사등의 보수공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발포폼으로 구성된 작업대와, 작업대를 지지하는 하부의 외부에 다수개의 부력부로 감싸, 신속하고 쉽게 교각에 접근함과 동시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설치가 복잡하여, 보수공사기간을 단기화시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8)

  1. 교각 보수장치에 있어서,
    교각을 내장하는 상부(100)와, 상기 상부(100)의 외부에 고정된 부력부(500)와, 상기 상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에 부력부(500)가 고정되며 교각을 내장하는 중간부(200)와, 상기 중간부(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에 부력부(500)가 고정되며 교각을 내장하는 하부(300)와, 상기 하부(300)의 내측에 돌출되어 구비된 하부작업지지대(380)의 상부에 위치되어 페인트공사 및 보수공사를 하며 교각을 내장하는 작업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보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100)는 원통형상이며, 두 개의 1/2 원통형이 결합된 형태로, 두 개의 1/2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100)를 감싸도록 부력부고정부(540)에 의해 상부(100)에 고정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부력부(500)와, 후면에 설치되어 두 개의 1/2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흰지(170)와, 상기 다수개의 흰지(170)사이에 위치되며 두 개의 1/2의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개폐실린더(180)와,
    상부(100)의 전면에 두 개의 1/2의 원통형이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제1잠금장치(135) 및 제2잠금장치(136)와, 상기 제1잠금장치(135) 및 제2잠금장치(136)의 통공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가로대(137)와,
    상부(100)의 위쪽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작업대(400)의 승하강을 작동시키며, 권취롤(112) 및 권취롤(112)을 구동시키는 권취롤모터(111)로 구비된 다수개의 작업대줄제어장치(100)와,
    상기 상부(100)의 위쪽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교각(A)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며 상부고정판(141)과, 상기 상부고정판(141)을 전후진시키는 상부고정판유압모터 및 실린더(142)로 구비된 다수개의 상부고정대제어장치(140)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보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원통형상이며, 두 개의 1/2의 원통형이 결합된 형태로, 두 개의 1/2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중간부(200)를 감싸도록 부력부고정부(540)에 의해 중간부(200)에 고정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부력부(500)와, 후면에 설치되어 두 개의 1/2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흰지(170)와, 상기 다수개의 흰지(170)사이에 위치되며 1/2의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개폐실린더(180)와,
    중간부(200)의 전면에 두 개의 1/2 원통형이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제1잠금장치(135) 및 제2잠금장치(136)와, 상기 제1잠금장치(135) 및 제2잠금장치(136)의 통공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가로대(1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보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300)는 원통형상이며, 두 개의 1/2 원통형이 결합된 형태로, 두 개의 1/2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부(300)를 감싸도록 부력부고정부(540)에 의해 하부(300)에 고정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부력부(500)와, 후면에 설치되어 두 개의 1/2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흰지(170)와, 상기 다수개의 흰지(170)사이에 위치되며 1/2의 원통형체가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개폐실린더(180)와,
    하부(300)의 전면에 두 개의 1/2 원통형이 개폐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제1잠금장치(135) 및 제2잠금장치(136)와, 상기 제1잠금장치(135) 및 제2잠금장치(136)의 통공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가로대(137)와, 하부(300)의 내측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하부작업지지대(380)과, 상기 하부작업지지대(38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를 관통하여 진공펌프밸브(389)와 연결되어 설치된 진공펌프(388)와,
    하부작업지지대(380)의 중간 일측에 다수개 설치된 체크밸브(381) 및 밸브(382)와,
    상기 두 개의 1/2 원통형체가 맞닿는 외벽과 하부작업지지대(380)의 내측벽에 연결시 밀폐튜브의 고정을 위하여 연결홈부(320,3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홈부(320,330)중 일측의 연결홈부(330)에 설치되며 밀폐튜브노즐(351)이 구비된 밀폐튜브(350)와,
    상기 하부작업지지대(38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교각(A) 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며 하부고정판(341)과,
    상기 하부고정판(341)을 전후진시키는 하부고정판유압모터 및 실린더 (342)로 구비된 다수개의 상부고정대제어장치(340)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보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400)는 발포폼의 몸체로 구성된 도넛형상이 두 개로 구분되어 결합된 형태로서
    두 개의 1/2개 도넛 형상으로 발포폼으로 형성된 작업대몸체(480)와,
    상기 작업대몸체(480)의 후면에 설치된 작업대흰지(미도시)와, 상기 작업대 몸체(480)의 전면에 설치된 작업대고정부(495)와,
    상기 작업대몸체(480)의 상부에 비닐시트 또는 나무로 설치된 작업대바닥부(481)와,
    상기 작업대몸체(480)의 외측 및 내측에 설치된 외측난간(460) 및 내측난간(470)과,
    상기 작업대몸체(480)의 외측 및 내측을 감싸는 작업몸체커버(485)와,
    상기 작업대몸체(48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 강관파일가이드바퀴(490)와,상기 내측난간(470)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그라인더(421)와 상기 그라인더(421)를 구동시키는 그라인더 구동모터(422)와, 상기 작업대몸체(480)의 내측 하부에 테두리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작업용에어노즐(411)과 작업용에어노즐(411)에 연결된 공기공급관(412)으로 구비된 에어청소장치(410) 와,
    상기 외측난간(460)과 상부(100)의 권취롤(112)에 연결된 줄(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보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500)는 파이프 형상이며, 양쪽끝단부는 부력부격판(510)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며, 상부 일측에 설치된 부력부공기유입노즐(520)과, 하부 일측에 설치된 부력부배출부(530)와, 부력부(500)를 고정시키는 부력부고정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보수장치.
  7. 교각의 보수공법에 있어서,
    제1공정(준비공정)
    교각의 상부에 발전기 및 컴퓨레샤 및 유압장치를 준비하여 구동시킨 다음,
    하부(300)의 외측테두리에 설치된 부력부(500)와 하부(300)에 상기 컴퓨레샤에 연결된 공기호스(115)를 연결하여 부력부공기유입노즐(540) 및 밀폐튜브(350)의 밀폐튜브노즐(351)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시킨 다음, 하부(300)를 교각(A)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2공정(하부 및 작업대설치)
    교각(A)의 상부에 발전기 및 컴퓨레샤 및 유압장치와 하부(300)를 연결시킨 다음,
    하부(300)의 후면에 설치된 개폐실린더(180)를 작동시켜, 두 개로 구분되어 결합된 1/2 원통형체의 하부(300)를 개방시킨 후에,
    작업대(400)를 하부(300)내측으로 유입시킨 다음, 하부(300)내측에 구비된 하부지지대(380)에 위치시킨 후에,
    하부(300)와 작업대(400)가 교각(A)을 감싼 후에 다시 개폐실린더(180)를 작동시켜 닫음과 동시에 전면에 설치된 제1잠금장치(135)와 제2잠금장치(136)을 결합시킨 다음 가로대(137)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닫은 다음, 작업대(400)도 동시에 결착시켜 작업대고정부(495)로 작업대를 결착시킨 후에,
    (이때, 상기 두 개의 1/2의 원통형체가 맞닿는 외벽과 하부작업지지대(380)의 내측벽의 연결홈부(320,330)에 설치된 밀폐튜브(350)에 의해 두 개의 1/2원통형체가 닫힐 경우 하부(300)의 내측은 완전 방수되어,
    내부에 물은 체크밸브(38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외부의 물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이다.)
    하부(300)의 하부작업지지대(38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상부고정대제어장치(340)를 작동시켜 하부고정판유압모터 및 실린더(342)의 전면에 설치된 하부고정판(341)을 전진시켜 교각(A)에 밀착시켜 고정시킨 다음,
    제3공정(작업실시)
    교각(A)의 상부에 발전기 및 컴퓨레샤 및 유압장치와 작업대(400)를 연결시킨 다음, 작업대(400)의 내측난간(470)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그라인더구동모터(422)를 작동시켜 그라인더(421)를 회전시켜 교각(A)의 표면을 청소함과 동시에,
    작업대몸체(480)의 내측 하부에 테두리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작업용에어노즐(411) 과 작업용에어노즐(411)에 연결된 공기공급관(412)으로 구비된 에어청소장치(410)를 작동시켜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서는 교각(A)에 방청제 페인트를 칠하며,
    작업대몸체바닥부(481)와, 하부지지대(380)에 안치된 이물질은 하부지지대(380)의 일측에 설치된 진공펌프(388)를 이용하여 진공펌프밸브(389)를 이용하여 외부의 청소바지선(미도시)으로 배출시켜 보수공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의 보수공법.
  8. 교각의 보수공법에 있어서,
    제1공정(준비공정)
    교각의 상부에 발전기 및 컴퓨레샤 및 유압장치를 준비하여 구동시킨 다음,
    상부,중간부,하부(100,200,300)의 외측테두리에 설치된 부력부(500)와 상부,중간부,하부(100,200,300)에 상기 컴퓨레샤에 연결된 공기호스(115)를 연결하여 부력부공기유입노즐(540) 및 밀폐튜브(350)의 밀폐튜브노즐(351)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시킨 다음, 상부,중간부하부(100,200,300)를 교각(A)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2공정(하부설치)
    교각(A)의 상부에 발전기 및 컴퓨레샤 및 유압장치와 하부(300)를 연결시킨 다음,
    하부(300)의 후면에 설치된 개폐실린더(180)를 작동시켜, 두 개로 구분되어 결합된 1/2 원통형체의 하부(300)를 개방시킨 후에,
    (이때, 상기 두 개의 1/2의 원통형체가 맞닿는 외벽과 하부작업지지대(380)의 내측벽의 연결홈부(320,330)에 설치된 밀폐튜브(350)에 의해 두 개의 1/2원통형체가 닫 힐 경우 하부(300)의 내측은 완전 방수되어, 내부에 물은 체크밸브(38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외부의 물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이다.)
    하부(300)와 작업대(400)가 교각(A)을 감싼 후에 다시 개폐실린더(180)를 작동시켜 닫음과 동시에 제1잠금장치(135)와 제2잠금장치(136)을 결합시킨 다음 가로대(137)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닫은 다음, 작업대(400)도 동시에 결착시켜 작업대고정부(495)로 작업대를 결착시킨 후에,
    하부(300)의 하부작업지지대(38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상부고정대제어장치(340)를 작동시켜 하부고정판유압모터 및 실린더(342)의 전면에 설치된 하부고정판(341)을 전진시켜 교각(A)에 밀착시켜 고정시킨 다음,
    제3공정(중간부, 상부, 작업대설치)
    하부(300)의 위쪽에 중간부(300)를 위치시킨 후에, 교각(A)의 상부의 유압장치와 중간부(200)를 연결시키고, 교각(A)의 중간부를 감싸도록 중간부(200)를 위치시킨 다음, 후면에 설치된 개폐실린더(18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전면에 설치된 제1잠금장치(135)와 제2잠금장치(136)을 결합시킨 다음 가로대(137)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닫아, 두 개로 구분되어 결합된 1/2 원통형체의 중간부(200)를 설치한 다음,
    중간부(200)의 위쪽에 상부(100)를 위치시킨 후에, 교각(A)의 상부에 발전기 및 컴퓨레샤 및 유압장치와 상부(100)를 연결시킨 다음, 교각(A)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부(100)를 위치시킨 다음, 후면에 설치된 개폐실린더(18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전면에 설치된 제1잠금장치(135)와 제2잠금장치(136)을 결합시킨 다음 가로대(137) 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닫아, 두 개로 구분되어 결합된 1/2 원통형체의 상부(100)를 설치한 다음,
    상부(100)의 권취롤(112)과 도9와 같이 결착시킨 작업대(400)의 외측난간(460)에 와이어로 연결시킨 다음, 권취롤모터(111)를 작동시켜, 작업대(400)를 상부(100), 중간부(200)를 관통하여, 하부(300)내측으로 유입시킨 다음, 하부(300)내측에 구비된 하부지지대(380)에 위치시키고,
    제4공정(작업실시)
    작업대(400)의 내측난간(470)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그라인더
    구동모터(422)를 작동시켜 그라인더(421)를 회전시켜 교각(A)의 표면을 청소함과 동시에,
    작업대몸체(480)의 내측 하부에 테두리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작업용에어노즐(411)과 작업용에어노즐(411)에 연결된 공기공급관(412)으로 구비된 에어청소장치(410)를 작동시켜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서는 교각(A)에 방청제 페인트를 칠하며, 작업대몸체바닥부(481)와, 하부지지대(380)에 안치된 이물질은 하부지지대(380)의 일측에 설치된 진공펌프(388)를 이용하여 진공펌프밸브(389)를 이용하여 외부의 청소바지선(미도시)으로 배출시켜 보수공사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의 보수공법.
KR1020060090974A 2006-09-20 2006-09-20 교각 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0665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974A KR100665563B1 (ko) 2006-09-20 2006-09-20 교각 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974A KR100665563B1 (ko) 2006-09-20 2006-09-20 교각 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563B1 true KR100665563B1 (ko) 2007-01-09

Family

ID=3786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974A KR100665563B1 (ko) 2006-09-20 2006-09-20 교각 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56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578B1 (ko) 2009-06-02 2009-11-23 우경건설 주식회사 쉬트파일을 이용한 교각기초 보강공법
CN102966117A (zh) * 2012-11-28 2013-03-13 华南理工大学 一种桥梁水下桩柱外包混凝土的装置
KR101259932B1 (ko) 2011-12-13 2013-05-02 라혜영 수중 설치 구조물 보강용 구조체 및 보강 방법
KR101682544B1 (ko) 2016-06-24 2016-12-05 이혁준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
KR102184568B1 (ko) * 2019-06-10 2020-11-30 현대건설(주) 탑다운 공법 시행용 브래킷 설치 장치
CN112301876A (zh) * 2020-11-13 2021-02-02 湘潭大学 一种基于撞击水动力的桥墩主动避撞装置
CN114922099A (zh) * 2022-06-20 2022-08-19 东南大学 包覆frp-塑管-铁基sma及橡胶混凝土的墩柱加固方法
KR102436783B1 (ko) * 2021-11-05 2022-08-26 김지완 콘크리트 수중교각 보수보강 마그네틱 케이슨 공법 구조
KR102546771B1 (ko) 2022-06-21 2023-06-26 한국수자원공사 차수부재를 이용한 물막이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12301876B (zh) * 2020-11-13 2024-05-28 湘潭大学 一种基于撞击水动力的桥墩主动避撞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578B1 (ko) 2009-06-02 2009-11-23 우경건설 주식회사 쉬트파일을 이용한 교각기초 보강공법
KR101259932B1 (ko) 2011-12-13 2013-05-02 라혜영 수중 설치 구조물 보강용 구조체 및 보강 방법
CN102966117A (zh) * 2012-11-28 2013-03-13 华南理工大学 一种桥梁水下桩柱外包混凝土的装置
KR101682544B1 (ko) 2016-06-24 2016-12-05 이혁준 구조물 절단작업의 오염방지장치
KR102184568B1 (ko) * 2019-06-10 2020-11-30 현대건설(주) 탑다운 공법 시행용 브래킷 설치 장치
CN112301876A (zh) * 2020-11-13 2021-02-02 湘潭大学 一种基于撞击水动力的桥墩主动避撞装置
CN112301876B (zh) * 2020-11-13 2024-05-28 湘潭大学 一种基于撞击水动力的桥墩主动避撞装置
KR102436783B1 (ko) * 2021-11-05 2022-08-26 김지완 콘크리트 수중교각 보수보강 마그네틱 케이슨 공법 구조
CN114922099A (zh) * 2022-06-20 2022-08-19 东南大学 包覆frp-塑管-铁基sma及橡胶混凝土的墩柱加固方法
CN114922099B (zh) * 2022-06-20 2024-03-08 东南大学 包覆frp-塑管-铁基sma及橡胶混凝土的墩柱加固方法
KR102546771B1 (ko) 2022-06-21 2023-06-26 한국수자원공사 차수부재를 이용한 물막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230175092A (ko) 2022-06-21 2023-12-29 한국수자원공사 차수부재 및 이를 이용한 물막이 구조물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563B1 (ko) 교각 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0380563B1 (ko) 수중 교각 기초 보강장치 및 보강공법
KR100886461B1 (ko) 하수관거 차수로봇용 가물막이 수밀패널
KR100818248B1 (ko) 수중구조물용 조립식 임시 물막이장치와 이를 이용한수중구조물 방식 및 보수 보강공법
KR100368604B1 (ko) 교각 보수용 수밀 케이션
JP2019183570A (ja) 橋脚補修・補強工事に用いる仮締切り構造体の止水工法
KR100366252B1 (ko) 교각 보수용 케이션
JP2926475B2 (ja) ドライ作業函
KR100915218B1 (ko) 해상구조물 작업용 가물막이 장치
CN113638377B (zh) 一种围挡装配式水下混凝土破损干地修复方法
US20020110421A1 (en) Portable cofferdam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structural integrity of box culvert bridges
RU17022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ремонтных работ на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м сооружении
KR200420659Y1 (ko) 강관파일의 염해 방식용 외벽 설치에 사용되는 케이슨조립체
CN111335269A (zh) 一种水利工程垂直止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589130B1 (ko) 교량의 교각 구조물 시공용 가물막이 구조
KR100542658B1 (ko) 자주식 가물막이 수밀재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가물막이 공법
AU8158587A (en) Diving bell to be used when working in the wave affecting zone at one in water standing cylindrical element like a leg of a drilling platform or a bridge pillar
RU2140594C1 (ru) Камера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ремонтных работ на болотах
KR20000012647A (ko) 교량 기초 우물통 보수 공법 및 그 구조물
CN215977163U (zh) 一种围挡装配式水下混凝土破损干地修复装备
KR102572245B1 (ko) 배수갑문 보수용 바지선
KR100617954B1 (ko) 수밀케이슨의 굴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수밀케이슨의침설방법
CN214108200U (zh) 一种智能高压冲洗清污机
KR100689835B1 (ko) 건식 가물막이 구조, 및 건식 가물막이 공법
US9290902B2 (en) Mobile dry setting element and installation, process for using same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