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558B1 -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 - Google Patents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558B1
KR101711558B1 KR1020150101608A KR20150101608A KR101711558B1 KR 101711558 B1 KR101711558 B1 KR 101711558B1 KR 1020150101608 A KR1020150101608 A KR 1020150101608A KR 20150101608 A KR20150101608 A KR 20150101608A KR 101711558 B1 KR101711558 B1 KR 101711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opening
stem
closing port
low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475A (ko
Inventor
박영철
성정현
황영준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5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개폐구에 다공성 디스크를 안착시키므로 개폐 시 유동하는 유량을 단계적으로 증감되게 하여 공동현상을 완화하는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에 관한 기술로서, 유체의 유입로 및 배출로가 내부에서 S자 형상을 갖도록 연통되고, 유입로와 배출로의 중간을 가로막는 시트 및 시트 상에 관통된 개폐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선단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승하강 되고, 후단은 외부에 노출되게 하우징과 결합되는 스템과, 스템의 선단에 결합되어 스템이 하강하면 시트의 개폐구를 폐쇄하는 제2디스크와, 개폐구에 안착되고, 개폐구의 개폐 시 발생하는 공동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된 공극이 형성된 제1디스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THE GLOBE VALVE INCLUDING POROUS DISK}
본 발명은 개폐 시의 공동현상이 완화된 글로브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의 개폐구에 다공성 디스크를 안착시키므로 개폐 시 유동하는 유량을 단계적으로 증감되게 하여 공동현상을 완화하는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글로브밸브의 목적은 유량제어 및 차단을 위한 것이다.
스톱 밸브라고 말하는 밸브는 소형의 글로브형 차단밸브인데, 이는 배관계통의 메인플로우(주관, Main Flow)가 아닌 계장용의 관말(Instrument Root Valve)이나 배기배수관말(Vent & Drain Valve)에 쓰이는 밸브들이 이에 속한다.
이는 유량 차단에 있어 상당히 양호한 대책이 될 수 있으나, 개폐 시 발생하는 공동현상에 따른 손상에 있어 취약한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기존의 기술로는 글로브밸브의 개폐 시 발생하는 공동현상으로 수명이 감소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0740665 : 압력 저감 구조를 갖는 유체용 밸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트의 개폐구에 다공성 디스크를 안착시키므로 개폐 시 유동하는 유량을 단계적으로 증감되게 하여 공동현상을 완화하는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는, 유체의 유입로 및 배출로가 내부에서 S자 형상을 갖도록 연통되고, 상기 유입로와 상기 배출로의 중간을 가로막는 시트 및 상기 시트 상에 관통된 개폐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선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승하강 되고, 후단은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템이 하강하면 상기 시트의 개폐구를 폐쇄하는 제2디스크와, 상기 개폐구에 안착되고, 상기 개폐구의 개폐 시 발생하는 공동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된 공극이 형성된 제1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의 상기 개폐구 둘레에는 상기 제1디스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디스크는 상기 제2디스크의 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딩 될 수 있게 결합되어, 상기 개폐구의 개방 시 상기 제2디스크가 먼저 승강하고, 이어서 상기 제1디스크가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디스크 및 상기 스템에는 상기 제1디스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해 요입된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디스크에는 상기 요입홈으로 삽입되기 위해 돌출된 승강축이 구비되며, 상기 승강축이 삽입되는 상기 요입홈에는 탄성으로 상기 승강축을 밀어내는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구에서의 안착이 해제된 상기 제1디스크를 상기 스템의 승하강 높이와 연동하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스템이 하강하여 상기 제1디스크가 상기 개폐구에 안착되면 상기 제1디스크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결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부는 후단이 상기 스템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디스크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이 상기 제1디스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디스크의 측면에는 상기 결착부 선단의 돌출된 부위가 걸릴 수 있게 요입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의 상기 개폐구가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제1디스크의 고정홈에 걸린 상기 결착부의 선단을 상기 제1디스크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제1디스크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에 따르면,
첫째, 글로브밸브 내에 복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디스크가 개폐구에 안착되어 유동되는 유량을 감소시킨 다음 유로가 완전히 개폐되기 때문에 공동현상이 완화되고, 이로써 글로브밸브의 수명이 증가하게 된다.
둘째, 글로브밸브의 개방 시 개폐구에 안착된 다공성 디스크도 일시적으로 지연된 후 함께 개방되기 때문에 다공성 디스크에 따른 유체의 압력손실이 없게 된다.
셋째, 다공성 디스크가 승강하면 결착부에 의해 스템에 결합되기 때문에 글로브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다공성 디스크가 유체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의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의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가 하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의 결착부의 고정이 해제되어 제1디스크가 개폐구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가 개폐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의 제2디스크가 승강하고 제1디스크는 개폐구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의 제1디스크가 승강하여 개폐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의 개폐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의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100)는 유체의 유입로(111) 및 배출로(112)가 내부에서 S자 형상을 갖도록 연통되고, 유입로(111)와 배출로(112)의 중간을 가로막는 시트(116) 및 시트(116) 상에 관통된 개폐구(114)가 형성된 하우징(110)과, 선단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승하강 되고, 후단은 외부에 노출되게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스템(127)과, 스템(127)의 선단에 결합되어 스템(127)이 하강하면 시트(116)의 개폐구(114)를 폐쇄하는 제2디스크(126)와, 개폐구(114)에 안착되고, 개폐구(114)의 개폐 시 발생하는 공동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복수개의 관통된 공극(122)이 형성된 제1디스크(121)를 포함한다.
스템(127)이 승강되면 개폐구(114)가 개방되어 하우징(110)의 유입로(111)로 유체가 유입되며, 유입된 유체는 시트(116)에 형성된 개폐구(114)를 지나 배출로(112)로 배출된다. 또한, 스템(127)의 하강으로 제2디스크(126)가 개폐구(114)를 폐쇄하면 글로브밸브(100) 내에서 유체의 유통이 차단된다.
제2디스크(126)가 개폐구(114)를 개폐하는 순간, 하우징(110) 내에는 공동현상이 발생하는데, 공동현상의 충격으로 하우징(110)과 디스크 등 글로브밸브(100)의 수명이 단축된다.
공동현상이란, 유체 속에서 압력이 낮은 곳이 생기면 물속에 녹아있던 기체가 모여 공동(기포)을 이루게 되는데, 발생한 기포가 압력이 높은 위치로 이동하면 급격히 부서지게 되어 부피가 축소되고, 큰 압력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공동현상이 발생하는 주변 부품은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큰 압력에 의해 점침식(點侵蝕)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크(121)는 이러한 공동현상을 저감하기 위한 구성으로, 개폐구(114)에 안착되어 개폐구(114)가 완전히 개폐되기 전에 유체가 협소한 복수개의 공극(122)으로 분산되어 유통됨으로 공동현상을 저감시킨다.
공동현상을 저감시키기 위해 제1디스크(121)에는 개폐구(114)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적은양의 유체가 유통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된 공극(122)이 형성된다.
시트(116)에는 제1디스크(121)가 안착될 수 있도록 개폐구(114) 둘레에 안착부(118)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2디스크(126)가 개폐구(114)를 폐쇄하기 위해 제1디스크(121)를 상부에서 압박하더라도 제1디스크(121)가 개폐구(114)의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제1디스크(121)가 상시 개폐구(114)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되면 유체가 협소한 공극(122)으로만 유통되기 때문에 글로브밸브(100)를 통하는 유량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1디스크(121)는 제2디스크(126)의 개방 시 발생하는 공동현상을 완화한 후, 이어서 개방되므로 유체가 정상적으로 유통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디스크(121)도 개방되기 위하여, 제1디스크(121)는 제2디스크(126)의 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딩 될 수 있게 결합되어, 개폐구(114)의 개방 시 제2디스크(126)가 먼저 승강하고, 이어서 제1디스크(121)가 승강되게 구성된다.
상술된 제1디스크(121)와 제2디스크(126)의 구동을 위해, 제2디스크(126) 및 스템(127)에는 제1디스크(121)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해 스템의 축방향으로 요입된 요입홈(128)이 형성되고, 제1디스크(121)에는 요입홈(128)으로 삽입되는 승강축(124)이 구비되며, 승강축(124)이 삽입되는 요입홈(128)에는 탄성으로 승강축(124)을 밀어내는 스프링(129)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밸브(100)의 폐쇄는 제1디스크(121)가 먼저 개폐구(114)의 안착부(118)에 안착되고, 이어서 제2디스크(126)도 하강하여 제2디스크(126)가 개폐구(114) 및 제1디스크(121)의 공극(122)을 폐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1디스크(121)가 개폐구(114)에 안착된 후, 제2디스크(126)가 계속 하강하면, 요입홈(128) 내에 구비된 스프링(129)은 하강하는 스템(127)과 제자리를 유지하는 제1디스크(121)의 승강축(124)에 의해 요입홈(128)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압축된다.
제1디스크(121)가 개폐구(114)에 안착되면 유체가 제1디스크(121)의 공극(122)으로 유통되어 글로브밸브(100)를 유통하는 유량이 감소하게 되고, 복수개로 분산되어 형성된 공극(122) 구조에 의해 폐쇄 시의 공동현상을 크게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글로브밸브(100)의 개방은 스템(127)이 승강을 시작하면 스프링(129)의 밀어내는 탄성에 의해 제1디스크(121)는 개폐구(114)에 안착된 채 제2디스크(126)만 스템(127)과 함께 승강된다. 제2디스크(126)의 승강에 의해 제1디스크(121)의 공극(122)이 개방되면서 유체가 공극(122)을 통해 유통된다.
제2디스크(126)가 일정 높이만큼 승강하여 스프링(129)의 압축이 이완되어 밀어내는 탄성이 감소하면 제1디스크(121)도 유압에 의해 승강하게 되어 개폐구(114)가 완전히 개방되어진다.
이로써, 개폐구(114)가 개방될 때에도 제1디스크(121)의 공극(122)으로 먼저 소정의 유체가 분산되어 유통된 후, 제1디스크(121)의 개방으로 다량의 유체가 유통되기 때문에 개방 시의 공동현상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밸브(100)는 유통되는 유량과 유압에 따라 제1디스크(121)가 받는 압력이 상이한데, 제1디스크(121)의 위치가 스프링(129)의 탄성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유압이 약하면 제1디스크(121)가 과도하게 하강하여 개폐구(114)를 간섭함으로 유체의 유통을 방해하는 원치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제1디스크(121)는 일정 높이 이상 승강하면 스템(127)의 높이에 대응하여 승강하도록 고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스템(127)의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구(114)에서의 안착이 해제된 상기 제1디스크(121)를 스템(127)의 승하강 높이와 연동하도록 고정시키고, 스템(127)이 하강하여 제1디스크(121)가 개폐구(114)에 안착되면 제1디스크(121)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결착부(130)가 더 포함된다.
일 실시예로서, 결착부(130)는 후단이 스템(127)의 측면에 결합되어 제1디스크(121)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이 제1디스크(121)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디스크(121)의 측면에는 결착부(130) 선단의 돌출된 부위가 걸릴 수 있게 요입된 고정홈(123)이 형성되고, 시트(116)의 개폐구(114)가 형성된 부위에는 제1디스크(121)의 고정홈(123)에 걸린 결착부(130)의 선단을 제1디스크(121)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제1디스크(121)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117)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폐쇄상태에 있던 제2디스크(126)가 승강하는 스템(127)을 따라 승강하면, 제1디스크(121)의 공극(122)이 개방되어 유체가 유통되고, 제2디스크(126)가 계속 승강하여 소정의 높이에 이르러 요입홈(128) 내에서 제1디스크(121)를 밀어내던 스프링(129)의 탄성이 유압보다 약화되면, 제1디스크(121)도 승강하여 개폐구(114)가 완전히 개방된다.
제1디스크(121)가 결착부(130)의 고정 범위까지 승강하면 결착부(130)의 선단이 제1디스크(121)의 고정홈(123)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제1디스크(121)가 스템(127)의 승하강에 연동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스템(127)의 승하강은 하우징(110)에 형성된 나사홈(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회전하며 진행됨에 따라, 결착부(130)도 스템(127)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시트(116)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해제부(117)는 결착부(130)가 스템(127)의 둘레에서 어느 방향에 위치해 있든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개폐구(114)의 주변 둘레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100)의 개폐과정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의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가 하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의 결착부의 고정이 해제되어 제1디스크가 개폐구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가 개폐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의 제2디스크가 승강하고 제1디스크는 개폐구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의 제1디스크가 승강하여 개폐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의 개폐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의 글로브밸브(100)는 제2디스크(126)가 승강된 상태이고, 제1디스크(121)도 결착부(130)에 의해 스템(127)에 고정된다.
글로브밸브(100)를 폐쇄하기 위해 스템(127)을 하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디스크(121) 및 제2디스크(126)도 하강하여 시트(116)의 개폐구(114)로 접근하게 된다.
스템(127)의 하강으로 결착부(130)가 시트(116)의 고정해제부(117)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면, 결착부(130)와 제1디스크(121)의 결합이 해제되고, 스프링(129)의 탄성에 의해 제1디스크(121)가 제2디스크(126)보다 더 하강하게 되어 개폐구(114)에 먼저 안착된다.
개폐구(114)에 제1디스크(121)가 안착되면 개폐구(114)를 유통하던 유체는 보다 협소한 제1디스크(121)의 공극(122)으로 분산 유통되어 전체적인 유통량이 감소하게 된다.
스템(127)을 계속 하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디스크(126)가 하강하게 되고, 요입홈(128)의 스프링(129)은 상하방으로 압축되면서 제1디스크(121)와 제2디스크(126)가 인접해지게 된다.
마침내 제2디스크(126)가 제1디스크(121)와 접촉되면 제2디스크(126)가 제1디스크(121)의 공극(122)을 폐쇄하면서 글로브밸브(100)의 유체 유통이 차단된다.
이 때, 개폐구(114)를 유통하는 유량이 제1디스크(121)에 의해 먼저 감소되고 분산된 후, 이어서 제2디스크(126)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글로브밸브(100)의 폐쇄 시 발생하는 공동현상이 저감된다.
또한, 폐쇄된 글로브밸브(100)를 개방하기 위해 스템(127)을 승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디스크(126)는 함께 승강하지만, 스프링(129)의 밀어내는 탄성에 의해 제1디스크(121)는 개폐구(114)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디스크(126)의 승강으로 제1디스크(121)의 공극(122)이 개방되면 유체가 공극(122)을 통해 유통되기 시작한다.
스템(127)이 계속 승강하면 상하방향에서 압축되던 스프링(129)이 이완되면서 제1디스크(121)의 승강축(124)을 밀어내던 탄성력이 감소하게 되고, 감소한 탄성력이 제1디스크(121)를 밀어내는 유체의 압력보다 약해지면 제1디스크(121)도 승강하기 시작한다.
제1디스크(121)가 결착부(130)의 위치까지 승강하면 결착부(130)의 선단이 제1디스크(121)의 고정홈(123)에 결합되어 제1디스크(121) 및 제2디스크(126)는 스템(127)과 함께 승강하게 된다.
제1디스크(121)의 승강으로 개폐구(114)가 완전히 개방되면 보다 많은 유체가 유통된다.
이 때, 제2디스크(126)의 승강으로 공극(122)이 먼저 개방되어 소량이 유체가 공극(122)을 통해 분산되어 유통되기 시작하고, 이어서 제1디스크(121)의 승강으로 개폐구(114)가 완전히 개방되면 보다 많은 유체가 유통되기 때문에 개방 시의 공동현상이 저감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 글로브밸브 110 : 하우징
111 : 유입로 112 : 배출로
114 : 개폐구 116 : 시트
117 : 고정해제부 118 : 안착부
121 : 제1디스크 122 : 공극
123 : 고정홈 124 : 승강축
126 : 제2디스크 127 : 스템
128 : 요입홈 129 : 스프링
130 : 결착부

Claims (5)

  1. 유체의 유입로 및 배출로가 내부에서 S자 형상을 갖도록 연통되고, 상기 유입로와 상기 배출로의 중간을 가로막는 시트 및 상기 시트 상에 관통된 개폐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선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승하강 되고, 후단은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템이 하강하면 상기 시트의 개폐구를 폐쇄하는 제2디스크와,
    상기 개폐구에 안착되고, 상기 개폐구의 개폐 시 발생하는 공동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된 공극이 형성된 제1디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의 상기 개폐구 둘레에는 상기 제1디스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디스크는 상기 제2디스크의 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딩 될 수 있게 결합되어, 상기 개폐구의 개방 시 상기 제2디스크가 먼저 승강하고, 이어서 상기 제1디스크가 승강하며,
    상기 제2디스크 및 상기 스템에는 상기 제1디스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해 요입된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디스크에는 상기 요입홈으로 삽입되는 승강축이 구비되며, 상기 승강축이 삽입되는 상기 요입홈에는 탄성으로 상기 승강축을 밀어내는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구에서의 안착이 해제된 상기 제1디스크를 상기 스템의 승하강 높이와 연동하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스템이 하강하여 상기 제1디스크가 상기 개폐구에 안착되면 상기 제1디스크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결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후단이 상기 스템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디스크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이 상기 제1디스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디스크의 측면에는 상기 결착부 선단의 돌출된 부위가 걸릴 수 있게 요입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의 상기 개폐구가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제1디스크의 고정홈에 걸린 상기 결착부의 선단을 상기 제1디스크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제1디스크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
KR1020150101608A 2015-07-17 2015-07-17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 KR101711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608A KR101711558B1 (ko) 2015-07-17 2015-07-17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608A KR101711558B1 (ko) 2015-07-17 2015-07-17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475A KR20170009475A (ko) 2017-01-25
KR101711558B1 true KR101711558B1 (ko) 2017-03-02

Family

ID=57991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608A KR101711558B1 (ko) 2015-07-17 2015-07-17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613B1 (ko) 2023-08-30 2024-01-10 한국밸브(주) 개방압력을 낮춘 글로브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401B1 (ko) 2018-04-25 2022-01-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4562604B (zh) * 2022-02-28 2024-05-07 开维喜阀门集团有限公司 一种多喷孔鼠笼式高比例减压阀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5034A (ja) * 2001-12-19 2003-07-03 Shimizu Gokin Seisakusho:Kk 大小2弁式の自動圧力調整弁
CN103629375A (zh) * 2013-12-13 2014-03-12 济南玫德铸造有限公司 水力控制阀的双阀瓣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665B1 (ko) 2005-10-05 2007-07-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 저감 구조를 갖는 유체용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5034A (ja) * 2001-12-19 2003-07-03 Shimizu Gokin Seisakusho:Kk 大小2弁式の自動圧力調整弁
CN103629375A (zh) * 2013-12-13 2014-03-12 济南玫德铸造有限公司 水力控制阀的双阀瓣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613B1 (ko) 2023-08-30 2024-01-10 한국밸브(주) 개방압력을 낮춘 글로브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475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558B1 (ko) 다공성 디스크를 포함하는 글로브밸브
KR101096870B1 (ko) 댐퍼 기능을 가지는 체크밸브가 내장된 제어밸브
KR102080603B1 (ko) 스템용 가이드부를 구비한 리플레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EP3153634B1 (en) Min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water inlet valve
JP6406807B2 (ja) 水槽の排水システム
US3002522A (en) Air valves
KR100879059B1 (ko) 컷 밸브
JP2017101684A (ja) 逆止弁
US1937044A (en) Flush valve
CN104879503B (zh) 一种速动料浆截止阀
KR101576752B1 (ko) 벤트기능과 릴리프기능을 갖는 밸브장치 및 그 작동방법
JP2007177913A (ja) 空気弁
JP2014152785A (ja) 空気弁
KR102623613B1 (ko) 개방압력을 낮춘 글로브 밸브
KR20180012998A (ko) 가스 차단 밸브
CN102588635A (zh) 止回截止阀
KR101061244B1 (ko) 안전 방출 밸브
KR101713229B1 (ko) 아이형 디스크로 이중차단 구조를 갖는 글로브밸브
KR200421225Y1 (ko) 압력 조리기의 압력추
JP6244071B1 (ja) ドレントラップ
KR102255168B1 (ko) 솔레노이드 밸브의 영구자석 충격소음 저감구조
JP2003227571A (ja) ポペット弁
KR20180040024A (ko) 역류방지형 긴급 차단 체크 밸브
KR200356533Y1 (ko) 댐퍼 보호판을 갖는 가스실린더
KR20090029606A (ko) 차량용 변속기의 에어브리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