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254B1 -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254B1
KR101711254B1 KR1020140066144A KR20140066144A KR101711254B1 KR 101711254 B1 KR101711254 B1 KR 101711254B1 KR 1020140066144 A KR1020140066144 A KR 1020140066144A KR 20140066144 A KR20140066144 A KR 20140066144A KR 101711254 B1 KR101711254 B1 KR 101711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chloride
weight
nano
clay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737A (ko
Inventor
이현민
이광진
김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6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25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1/00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18Suspen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05Reinforced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nanosized materials, e.g. nanoparticles, nanofibres, nanotubes, nanowires, nanorods or nanolayer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1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e.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35Five-membered rings
    • C08K5/1539Cyclic anhyd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기재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화비닐계 수지, 나노 클레이, 나노 클레이 분산제 및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재에 따르면, 고온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점도 상승이 낮으므로 가공성이 향상되고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의 물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VINYL CHLORIDE NANOCOMPOSIT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기재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화비닐계 수지, 나노 클레이, 나노 클레이 분산제 및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고온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점도 변화가 적어서 가공성이 개선되고 인장강도 및 신율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는 건축용 바닥 자재류, 벽지류, 인조가죽, 직포류, 시트, 필름, 장갑, 장난감 등 일상 생활용품 및 산업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범용 수지의 하나이다. 이러한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는 염화비닐 단독 또는 염화비닐과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 혼합물에 유화제, 촉매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한 중합계에서 유화중합을 통하여 라텍스를 제조한 후, 이를 분무·건조하여 분체상의 수지를 얻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렇게 얻어진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는 수지 단독으로 가공이 어려우므로 통상적으로 최종 제품으로 가공하기 전에 여러가지 첨가제와 가소제를 혼합한 후 기계적 교반을 통해 유동성을 갖는 페이스트 졸로 배합하여 사용된다.
플라스티 졸을 이용하여 다양한 물품 중 특히 장갑으로 가공하는 경우, 인장 강도 및 가공성을 위해 고온 점도 안정성이 요구되고 있어 플라스티 졸의 점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량의 가소제 또는 점도저하 효과를 나타내는 유기화합물을 추가로 첨가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첨가되는 물질이 휘발성 물질이며 독성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다양한 무기 물질을 이용한 나노 스케일의 복합재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나노 스케일의 복합재(nanocomposites, 이하 나노복합재라 함)는 2종류 이상의 구조 또는 물질로 구성되고 상(phase) 크기가 나노 규모(10-9m)에 해당하는 것을 지칭한다. 특히 고분자 재료에 1nm 내지 500nm 크기의 나노 클레이를 박리 및 분산시켜 투명성 및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를 크게 향상시킨 고분자 나노복합재는 고분자 자체의 유연성 및 가공성 등과 함께 나노 클레이 자체의 기계적 강도 및 투명성 등의 조합이 가능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나노복합재는 고분자에 나노 무기물질이 균일하게 분산되어야 요구된 물성을 충족시킬 수 있으나, 염화비닐 수지의 경우 나노 무기물질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으므로 인해 원하는 물성을 가진 염화비닐 수지로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3-0076042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기재는 고온 점도안정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기재의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나노 클레이, 나노 클레이 분산제 및 커플링제를 포함한다.
본 기재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기재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기재는 염화비닐계 수지, 나노 클레이, 나노 클레이 분산제 및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기재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나노 클레이, 나노 클레이 분산제, 커플링제, 유화제, 개시제 및 물을 포함하여 현탁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기재에 따르면 나노 클레이, 나노 클레이 분산제 및 커플링제가 포함된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로 제조한 플라스티 졸은 고온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점도 상승이 낮아서 가공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 및 신율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기재에 따른 실시예의 중합 공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기재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을 온도 65℃에서 초기부터 70분까지의 점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는 본 기재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인장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기재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신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기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기재의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나노 클레이, 나노 클레이 분산제 및 커플링제를 포함하고, 이 범위 내에서 고온 점도 안정성이 높아 가공성이 개선되고 인장강도 및 신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의 염화비닐계 수지는 단량체가 염화비닐 뿐인 폴리염화비닐은 물론 염화비닐과 다른 공중합 모노머를 함께 공중합한 공중합 수지 그리고 폴리염화비닐 또는 염화비닐 공중합 수지와 다른 고분자의 고분자 블렌드를 통틀어 일컫는 용어이다.
상기 나노 클레이는 일례로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6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또는 2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되고, 이 범위 내에서 고온 점도 안정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의 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는 일례로 염화비닐계 수지 제조시 사용된 총 단량체 100중량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나노 클레이는 일례로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라포나이트(laponite), 바이델라이트(beidell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사포나이트(saponite), 사우코나이트(sauc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스티브나이트(stibnite), 카올리나이트(kaolinite),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및 세피올라이트(sepioli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나노 클레이는 일례로 판상 간 간격이 1 내지 10nm 또는 3 내지 7nm인 것으로, 이 범위 내에서 나노 클레이가 수상에서 분산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상기 나노 클레이 분산제는 일례로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0.003 내지 0.07중량부, 0.004 내지 0.06중량부, 또는 0.005 내지 0.05중량부로 포함되고, 이 범위 내에서 나노 클레이의 염화비닐계 단량체와의 결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기재의 나노 클레이 분산제는 수분산이 용이한 나노 클레이가 친유성인 염화비닐계 단량체 내부로 투입되지 못하므로 이를 나노 클레이 분산제가 나노 클레이를 염화비닐 단량체 내부로 투입을 용이하게 해 줌으로써 중합 완료 후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의 입자 내부에 나노 클레이가 골고루 분산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나노 클레이 분산제는 일례로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또는 말레산(maleic acid)와 디이소부틸렌 코폴리머 소디움염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이 경우 나노 클레이 분산제가 나노 클레이를 염화비닐 단량체 내부로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나노 클레이 분산제는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디이소부틸렌 코폴리머 및 소디움염(diisobutylene copolymer sodium salt)의 혼합물, 또는 말레산(maleic acid)-디이소부틸렌 코폴리머 및 소디움염의 혼합물이고, 이 경우 나노 클레이 분산제가 나노 클레이를 염화비닐 단량체 내부로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소디움염계는 통상적으로 나노 클레이 분산제에 사용될 수 있는 소디움염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무기 소디움염 또는 유기 소디움염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NaCl 또는 CH3CO2 -Na+ 등 일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는 일례로 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003 내지 0.07중량부, 0.004 내지 0.06중량부, 또는 0.005 내지 0.05중량부로 포함되고, 이 범위 내에서 고온 점도 안정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커플링제는 일례로 티타늄계 커플링제이고, 이 경우 고온 점도 안정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커플링제는 나노 클레이 및 나노 클레이 분산제를 염화비닐계 단량체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일례로 염화비닐계 단량체, 나노 클레이, 나노 클레이 분산제, 커플링제, 유화제, 개시제 및 물을 포함하여 현탁중합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화제는 일례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ammonium laurylsulfate), 소듐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dioctyl sulfosuccinate) 및 검화(saponification) 유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상기 유화제는 일례로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0.2 내지 2.5중량부, 0.25 내지 2.2중량부 또는 0.3 내지 2.0중량부이며, 이 범위 내에서 라텍스 상태에서 고형분이 충분히 안정화가 되고 인장강도, 신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현탁중합시키는 단계는 보조 유화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유화제는 일례로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에틸렌글리콜 모노 라우레이트(ethyleneglycol mono laurate) 및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polyoxyethylene nonylphenyl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상기 보조 유화제는 일례로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0.3 내지 2.3중량부, 0.4 내지 2.0중량부 또는 0.5 내지 1.8중량부이며, 이 범위 내에서 라텍스 상태에서 고형분이 안정화 되고 물성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개시제는 일례로 지용성 개시제이고, 또 다른 예로 과산화디펜틸, 과산화디-3,3,5-트리메틸헥산오일, 과산화디라우로일, 디이소프로필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2급부틸 퍼옥시 디 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및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상기 개시제는 일례로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0.05 내지 0.12중량부, 0.03 내지 0.1중량부 또는 0.02 내지 0.07중량부이며, 이 범위 내에서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고, 중합 반응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염화비닐계 나노복합재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가소제 및 안정제를 포함하여 플라스티 졸로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일례로 프탈산디부틸, 프탈산디이소부틸, 프탈산디헵틸,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디프탈산-n-옥틸, 디노닐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프탈레이드, 디운데실프탈레이트, 디시클로헥실프탈레이트,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디페닐프탈레이트 등의 프탈산 유도체, 이소프탈산 유도체, 아디프산 유도체, 세바스산 유도체, 말레산 유도체, 트리멜리트산 유도체, 피로멜리트산 유도체; 이타콘산 유도체, 올레산 유도체; 인산 유도체, 글리콜 유도체, 글리세린 유도체, 아디프산계 폴리에스테르, 및 세바스산계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일례로 염화비닐계 나노복합재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35내지 95중량부, 또는40 내지 90중량부로 포함되며, 이 범위 내에서 코팅 가공시 유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안정제는 일례로 Ca-Zn계 화합물; Ba-Zn계 화합물; 머캡티드 (Mercaptide)계 화합물, 말레인산계 화합물 또는 카르복실산계 화합물과 같은 유기 Tin계 화합물; Mg-스테아레이트, Ca-스테아레이트, Pb-스테아레이트, Cd-스테아레이트, 또는 Ba-스테아레이트 등과 같은 메탈릭 비누계 화합물; 페놀계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특히 Ca-Zn계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Ca-Zn계 복합 유기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일례로 염화비닐계 나노복합재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부, 또는 1 내지 3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열안정성이 양호하고 경제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장갑용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제조
물 90중량부, 나노 클레이로 Kunifia-F (일본, Kunimine Industries) 1중량부, 나노 클레이 분산제로 Demop-EP(일본, KAO사) 0.005중량부를 투입하여 40℃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25℃로 낮추고 염화비닐 단량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티타늄계 커플링제로 LICA38(Kenrich petrochemicals사) 0.005중량부, 유화제로 SLS(sodium lauric sulfate) 0.5중량부, 보조유화제로 스테아릭 알콜 1.5중량부, 지용성 개시제 BND(한국, 동성하이켐) 0.04중량부로 투입하여 10분간 교반하였다. 교반된 혼합물을 Cavitron에 순환시켜 혼합물 액적 크기를 온도 25℃에서 2시간 동안 균질화시켰다. 균질화된 혼합물을 반응기 내부 온도를 46℃로 승온하여 10시간 동안 중합하였다. 중합된 라텍스는 분무건조로 건조하여 장갑용 페이스트 염화비닐 나노 복합재 수지를 수득하였다.
플라스티 졸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페이스트 염화비닐 나노 복합재 수지 100g, 가소제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90g, 및 Ca/Zn계 안정제 3g을 첨가한 후 mechanical stirrer(IKA사)로 800rpm으로 10분간 교반 후 진공기를 이용하여 10분간 탈포한 다음 항온 항습기에 1시간 보관하여 플라스티 졸을 수득하였다. 플라스티 졸을 레오미터(Rheometer)로 고온에서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플라스티 졸을 유리판 위에 코팅 rod로 두께 0.5mm로 고루 도포한 후 온도 200℃에서 4분간 겔링(gelling)하여 시트로 제작하여 인장강도 및 신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나노 클레이 Kunipia-F를 3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장갑용 페이스트 염화 비닐 나노 복합재 수지를 수득한 후 플라스티 졸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나노 클레이 Kunipia-F를 5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장갑용 페이스트 염화 비닐 나노 복합재 수득한 후 플라스티 졸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장갑용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 제조
염화비닐 단량체 100중량부, 물 90중량부, 유화제로 SLS(sodium lauric sulfate) 0.5중량부, 보조 유화제로 스테아릭 알콜 1.5중량부 및 지용성 개시제 0.04중량부를 투입하여 온도 25℃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교반한 혼합물을 Cavitron에 순환시켜 혼합물 액적 크기를 온도 25℃에서 2시간 동안 균질화시켰다. 균질화 후 반응기 내부 온도를 46℃로 승온하여 10시간 동안 중합하였다. 중합된 라텍스는 분무건조로 건조하여 장갑용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를 수득하였다.
플라스티 졸 제조
상기의 장갑용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플라스티 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장갑용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나노 클레이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나 중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플라스티 졸 제조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로 중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플라스티 졸로 제조할 수 없었다.
비교예 3
장갑용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커플링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나 중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플라스티 졸 제조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로 중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플라스티 졸로 제조할 수 없었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로 제조된 플라스티 졸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도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 점도 측정: Reometer(AR2000, TA사)로 온도 65℃에서 shear rate=10/s로 초기부터 70분까지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 고온 경시 점도율 = 70분 후 점도 / 초기점도
*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638에 의거하여 시트를 속도 50cm/min.로 잡아 당겨 인장강도 및 신율을 측정하였다.
하기 도 2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초기 점도는 비슷하였지만 고온에서 70분이 경과한 후의 점도가 낮아서 고온 경시 점도율이 낮았고 인장강도 및 신율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나노 클레이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 및 커플링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은 중합이 되지 않아 플라스티 졸로 제조할 수 없어서 물성을 측정할 수 없었다.

Claims (15)

  1. 염화비닐계 수지, 나노 클레이, 나노 클레이 분산제 및 커플링제를 포함하되,
    상기 나노 클레이 분산제는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또는 말레산(maleic acid)와 디이소부틸렌 코폴리머 소디움염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클레이는, 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6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클레이는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라포나이트(laponite), 바이델라이트(beidell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사포나이트(saponite), 사우코나이트(sauc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스티브나이트(stibnite), 카올리나이트(kaolinite),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및 세피올라이트(sepioli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클레이는, 판상 간 간격이 1 내지 1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클레이 분산제는, 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003 내지 0.07 중량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0.003 내지 0.07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티타늄계 커플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9. 염화비닐계 단량체, 나노 클레이, 나노 클레이 분산제, 커플링제, 유화제, 개시제 및 물을 포함하여 현탁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나노 클레이 분산제는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또는 말레산(maleic acid)와 디이소부틸렌 코폴리머 소디움염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ammonium laurylsulfate), 소듐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dioctyl sulfosuccinate) 및 검화(saponification) 유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중합시키는 단계는 보조 유화제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유화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에틸렌글리콜 모노 라우레이트(ethyleneglycol mono laurate) 및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polyoxyethylene nonylphenyl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지용성 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개시제는 과산화디펜틸, 과산화디-3,3,5-트리메틸헥산오일, 과산화디라우로일, 디이소프로필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2급부틸 퍼옥시 디 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및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 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계 나노복합재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가소제 및 안정제를 포함하여 플라스티 졸로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40066144A 2014-05-30 2014-05-30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1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144A KR101711254B1 (ko) 2014-05-30 2014-05-30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144A KR101711254B1 (ko) 2014-05-30 2014-05-30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737A KR20150137737A (ko) 2015-12-09
KR101711254B1 true KR101711254B1 (ko) 2017-02-28

Family

ID=5487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144A KR101711254B1 (ko) 2014-05-30 2014-05-30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3304B (zh) * 2018-12-27 2021-03-26 安徽百通高科塑业有限公司 一种煤矿用pvc管材的制备方法
JPWO2020196395A1 (ko) * 2019-03-26 2020-10-01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9085B2 (ja) * 1995-02-20 2004-03-2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プラスチゾル用合成樹脂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76042A (ko) 2002-03-22 2003-09-26 고문배 클레이 분산 고분자 나노복합재의 제조 방법
KR101251727B1 (ko) * 2010-07-14 2013-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입자 균일성과 열 안정성이 뛰어난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방법
KR101641493B1 (ko) * 2011-06-24 2016-07-21 카민 엘엘씨 조성물과 폴리머의 유체-장벽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폴리머 생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737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6906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11254B1 (ko) 염화비닐계 나노 복합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378104B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pastable polymers
KR101770016B1 (ko)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용 가공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품
US10752709B2 (en)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274098B2 (ja) ペースト加工用塩化ビニル系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ペースト加工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JP4036019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ラテックス、ペースト加工用塩化ビニル系樹脂、その製造方法、ペースト加工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用途
KR101892703B1 (ko)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JP4955845B2 (ja) ペースト用塩化ビニル樹脂及びそれよりなるペースト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KR101715450B1 (ko) 페이스트 pvc 중합 방법 및 발포 성형품
JP2021169568A (ja) ペースト加工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5003692B2 (ja) ペースト用塩化ビニル樹脂の製造方法
KR102118075B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조성물
KR101141848B1 (ko) 입자뭉침과 반응기 벽면부착 함량이 적은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JP2019172979A (ja) 塩化ビニル系樹脂複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2006306963A (ja) 塩化ビニル系ペースト樹脂
JP4122835B2 (ja) ペースト塩化ビニル系樹脂、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
KR20130090309A (ko)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용 점도저하제 및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점도조절 방법
JP2009096918A (ja) 塩化ビニル系樹脂
KR20110017740A (ko)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WO2023095825A1 (ja) 塩化ビニル系ペースト樹脂および自動車下塗り用樹脂組成物
JP2007284512A (ja) 塩化ビニル系ペースト樹脂粉末の製造方法
JP4319904B2 (ja) ペースト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JP2022151172A (ja) 塩化ビニル系ペースト樹脂および自動車下塗り用樹脂組成物
JP4962324B2 (ja) ペースト塩化ビニル系樹脂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