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439B1 - 충전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439B1
KR101710439B1 KR1020117018410A KR20117018410A KR101710439B1 KR 101710439 B1 KR101710439 B1 KR 101710439B1 KR 1020117018410 A KR1020117018410 A KR 1020117018410A KR 20117018410 A KR20117018410 A KR 20117018410A KR 101710439 B1 KR101710439 B1 KR 101710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member
hollow space
filler material
static mixer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811A (ko
Inventor
사산 하비비-나이니
플로리안 휘슬러
Original Assignee
술저 믹스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술저 믹스팩 아게 filed Critical 술저 믹스팩 아게
Publication of KR20110128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03Details of the outlet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5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eans allowing the stock of material to consist of at least two different components
    • B05C17/00556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eans allowing the stock of material to consist of at least two different component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proportions of th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A61C5/62Applicators, e.g. syringes or guns
    • A61C5/64Applicators, e.g. syringes or guns for multi-compone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6Syringes or guns for injecting impression material; Mixing impression material for immediate use

Abstract

본 발명은, 정적 혼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정적 혼합기는, 제1 중공 공간(47)을 포함하는 하우징(2)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중공 공간 내에 하나 이상의 혼합 부재(3)가 배치되어 있는, 유체 충전재 재료의 분사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2)은 출구 부재(45)를 가지고 있다. 상기 출구 부재(45)는 제2 중공 공간(48)을 가지고 있고,
상기 유체 충전재 재료가 상기 제1 중공 공간(47)으로부터 상기 제2 중공 공간(48)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중공 공간(48)은 상기 제1 중공 공간(47)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중공 공간(48) 내에 관형 부재(60)가 유지되어 있다.

Description

충전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DISPENSING A FILLING MASS}
본 발명은 유체 충전재 재료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정적 혼합기 내에서 혼합된 충전재 재료를 정확히 목적 위치에 가져 오기 위해 정적 혼합기에 부착될 수 있다.
다중 성분 분배 장치, 다중 성분 카트리지, 및 정적 혼합기로 이루어진 분배 장치는 예를 들면 EP 0 730 913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다중 성분 카트리지는 혼합될 성분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저장 용기를 포함하며, 특히 분배 장치에 의해 비워질 수 있는 분배 카트리지로서 이루어진다. 그러한 분배 장치는 저장 용기의 충전 부피의 감소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장치는 특히 분배 건(gun)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미 공지된 해결방안에 따라, 정적 혼합기는 또한, 카트리지와의 조립을 위해 디자인된 연결편을 포함한다. 정적 혼합기 및 연결편은, 이러한 점에서, 사출성형 프로세스에서 제조될 수 있는 단일 컴포넌트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정적 혼합기의 배출 단부에 위치되는 부착물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부착물은, 충전재 재료를 더욱 정밀하게 사용 위치에, 예를 들면 접착점에 적용하는 작용을 가진다. 또한, 충전재 재료를 중공 공간에 직접 도입하는 그러한 부착물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부착물은 예를 들면, 치과 치료로 인해 발생된 치아 내의 공동을 채우기 위해 사용된다. 시판중인 그러한 부착물은 예를 들면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충전재 재료가 좁고 깊은 공동 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하는 관형 부재를 예상하는 것이 WO2004/105856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관형 부재는, 슬릿이 구비되는 원추형 유지 부재에서 혼합기 출구로 밀려지는 삽입 단부를 가진 전이편(transition piece) 내에 유지된다. 슬릿은 유지 박막을 정의한다. 관형 부재를 유지 박막에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고정 부재는 전이편 위로 밀려진다. 따라서, 슬릿의 폭은, 전이편의 유지 박막이 압착될 때, 감소된다. 따라서, 관형 부재는 전이편 내에 안전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장치 특히 관형 부재의 조립을 단순하게 하는 것이다. 관형 부재는 정적 혼합기의 하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의 조립을 위해 필요한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의 조립을 위해 필요한 단계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조립을 간단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재 재료를 접근하기 어려운 공동 내로 도입할 수 있게 하는 방향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충족된다. 상기 장치는, 정적 혼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정적 혼합기는, 제1 중공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중공 공간 내에 하나 이상의 혼합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은 출구 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출구 부재는 제2 중공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체 충전재 재료가 상기 제1 중공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중공 공간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중공 공간은 상기 제1 중공 공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중공 공간 내에 관형 부재가 유지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형 부재를 위한 고정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형 부재는 최대 3mm, 바람직하게 최대 2.5mm, 특히 바람직하게 최대 1.5mm의 외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약 2.5mm의 최대 내경은 최대 3mm의 외경, 최대 2.5mm의 외경을 위한 약 2mm의 최대 내경, 및 최대 1.5mm의 외경을 위한 최대 약 1mm의 내경이 형성된다.
충전재 재료는 관형 부재의 길이에 따라 증가하는 압력 손실을 극복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관형 부재는 100mm, 바람직하게 50mm, 특히 바람직하게 30mm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상기 출구 부재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원추부를 포함한다. 그러한 원추부는 출구 부재의 재료 소모를 감소시키고, 사출성형 기술을 위한 출구 부재를 최적화시킨다. 따라서 벽 두께는 출구 부재의 개구의 방향으로 감소된다. 감소하는 벽 두께는, 감소하는 벽 두께로 인해 적은 용융물이 냉각되어야 되어, 가장 늦은 순간에 출구 부재에 도달하는 용융물이 더 짧은 냉각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기술적 사출성형의 면에서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용융물을 위한 전체 냉각 시간은 원추부로서의 출구 부재의 디자인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2 중공 공간은, 관형 부재가 용이하게 장착되고 중공 공간 내에 유지될 수 있도록, 원추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형 부재는 특히, 정적 혼합기의 방향으로 정렬되는 단부에서 그러한 원추부에 들어맞을 수 있는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원추부의 가장 작은 내경이, 충전재 재료가 배출될 수 있는 단부에서 관형 부재의 외경보다 작으면, 관형 부재는 끼워맞춤에 의해 원추부 내에 유지된다. 중공 공간은 또한, 관형 부재가 복수의 접촉점에서 유지되는 복수의 단면에서의 원추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출구 부재의 원추부와 원추형 제2 중공 공간의 경사각은 다를 수 있다. 출구 부재의 경사각은 특히 원추형 제2 중공 공간의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원추형으로 형성된 제2 중공 공간은 또한 충전재 재료의 흐름에 이점을 가진다. 혼합기의 배출 단부로부터 오는 충전재 재료는 관형 부재의 입구 단면으로 이송되어야 한다. 제2 중공 공간의 단면만 서서히 연속적으로 감소되면, 이러한 흐름의 압력 손실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의 결과, 분배 장치가 카트리지에 작용하는 필요한 접촉 압력이 낮을 수 있다. 압력 손실은 또한, 제2 원추형 중공 공간을 가지는 중간편 및 출구 부재의 조합에 의해 특히 낮은 압력 손실이 발생하도록, 도 1 또는 도 2에 따른 중간편의 사용에 의해 추가적으로 감소된다.
상기 제2 중공 공간은 또한 적어도 그 길의 일부에 걸쳐, 상기 관형 부재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끼워맞춤을 사용하는 추가적 이점은, 충전재 재료의 통로에 대해 수밀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충전재 재료는 관형 부재의 개방 애퍼처를 통해서만 배출되고, 관형 부재와 출구 부재 사이의 갭을 통해서는 배출되지 않아, 전체 충전재 재료는 필요한 응용 위치에 적용되기 위해 관형 부재를 통과해야 한다.
상기 관형 부재는 바람직하게, 관형 부재의 개방 애퍼처의 위치가 혼합기에 대해 변화될 수 있도록, 굽혀질 수 있다. 관형 부재가 굽혀질 수 있다는 성질은, 관형 부재의 재료 자체가 굽혀질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관형 부재는 하나 이상의 굽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굽힘 부재는 복수의 두꺼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낮은 벽 두께를 가진 영역은 인접 두꺼운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고, 두꺼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인접한 두꺼운 부분들 사이의 벽 두께보다 큰 벽 두께를 가진 관형 부재의 2개의 영역보다 더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두꺼운 부분은 예를 들면 리브 또는 스케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두꺼운 부분은, 이러한 점에서, 벽 두께가 2개의 직접 인접하는 섹션에서보다 큰 섹션으로서 정의된다. 벽 두께는 이러한 점에서 관형 부재의 벽 두께 이상일 수 있고, 벽 두께는 입구 개구 또는 개방 애퍼처의 방향에서 관형 부재의 벽 두께보다 인접 두꺼운 부분들 사이에서 국부적으로 더 작은 것이 중요하다.
또 다른 변경예에 따라, 굽힘 부재는, 관형 벨로우즈 구조 또는 굴곡 구조를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벨로우즈 구조는, 축방향 단면에서 볼 때, 이러한 실시예에서 벨로우즈 구조를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하나 이상의 링 접힘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또는 각각의 링 접힘부는 제1 측면, 제2 측면, 및 2개의 측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에지로 이루어진다. 에지는 이하 업힐 에지(uphill edge)라고 지칭된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이들 접힘부는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로우(row)로 배치되어, 벨로우즈 구조를 형성한다. 인접 접힘부는, 좌측 측면에 배치되는 제1 접힘부의 우측 단부를, 우측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접힘부의 좌측 단부에 연결하는 에지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에지는 이하의 내용에서 다운힐 에지(downhill edge)라고 지칭된다. 따라서, 제1 업힐 에지는 굽힘 부재의 영역에서 제1 다운힐 에지 뒤에 위치되고, 제2 다운힐 에지는 제1 다운힐 에지와 인접한다. 제1 접힘부는 제1 다운힐 에지와 제2 다운힐 에지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2 다운힐 에지 및 제3 다운힐 에지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제2 접힘부는 제1 접힘부 뒤에 위치된다. 제2 접힘부의 제2 업힐 에지는 제2 다운힐 에지와 제3 다운힐 에지 사이에서 상승된다. 관형 부재의 재킷은 각각의 에지를 따라 꼬인다. 에지의 벽 두께는 이러한 점에서 측면의 벽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굽힙 부재가 관형 부재의 제조 동안에 이미 발생되면, 벨로우즈 구조의 벽 두께는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벽 두께는 특히, 접힌 상태에서, 관형 부재가 직선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직선 위치에서 안정하게 유지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제조는 특히, 단일 작업 단계에서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관형 부재를 위해 적합하다.
벨로우즈 구조는 또한,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관형 부재의 소성 변형에 의한 굽힘 부재의 완성 후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관형 부재는 금속 재료로부터 압출에 의해 제조되거나 반완성 부품을 위한 대응 연속적 제조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되며, 그 후에 금속 재료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되고, 벨로우즈 구조는 그 후에, 스탬핑 프로세스 또는 프레싱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는 성형 프로세스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관형 부재를 위해, 벨로우즈 구조는, 관형 부재의 압출 바로 뒤에 적용될 수 있다.
벨로우즈 구조는, 곡률을 발생시키기 위한 힘이 관형 부재에 인가되지 않는 한 관형 부재는 직선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직각으로 정렬되는 굽힘 부재에 굽힘력이 인가되거나, 굽힘력이 길이방향 축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힘 성분을 가지면, 직선 길이방향 축은 굽힘 부재의 영역에서 구부러질 것이다. 굽힘 부재는, 굽힘 부재의 굽힘이 비가역적이고 굽힘 부재가 구부러짐 위치에 유지되도록, 굽힘력의 효과에 의해 접힘부의 에지에서 소성 변형될 수 있다. 꼬임에 대한 안정성은 주변 벨로우즈 구조에 의해 추가적으로 확보된다. 이것은, 굽힘 부재의 영역에서의 관형 부재의 내부 단면 표면이, 굽힘 부재에 인접하는 제1 및 제2 섹션의 내부 단면 표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편차되지 않는 것을 뜻한다.
벨로우즈 구조를 포함하는 굽힘 부재에 대한 상기 설명에 추가하여, 벨로우즈 구조는 예비 응력 하에 유지될 수 있다. 특히 2개의 인접한 측면 사이에 포함된 각도가 작고 즉 영으로 되는 경향이 있으면, 관형 부재의 제조 동안에, 접힘부를 서로에 대해 밀접 접촉 위치에 유지하는 예비인장이 적용될 수 있다. 이것은, 접힘부들이 서로에 대해 지지되도록 인접 접힘부들 사이의 간격이 작은 것을 뜻한다.
곡률이 굽힘 부재에 적용되어야 하고, 충전재 재료의 분배가 이루어지는 한 굽힘 부재의 이러한 곡률이 유지되어야 하면, 예비인장은 인장력의 인가에 의해 극복될 것이다. 인접한 측면 사이에 포함된 각도는 인장력의 인가에 의해 증가된다. 인접 측면들은 이제 더 이상 서로를 지지할 수 없고, 더 이상 곡률을 방해할 수 없다. 그러면, 필요한 곡률을 설정하기 위해 힘이 인가된다. 이러한 힘이 일단 인가되면 굽힘 부재의 곡률이 유지되도록, 재료는 이러한 힘에 의해 에지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소성 변형될 수 있다. 곡률은 특히 적어도 충전재 재료의 분배 동안에 변화되지 않아야 하며, 즉, 곡률은, 굽힘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관형 부재의 2개의 제1 및 제2 섹션이 서로 포함하는 곡률 및 각도이다.
관형 부재는 또한 입구 개구의 영역 내의 통로의 광폭부를 가진다. 이러한 광폭부는 관형 부재를 출구 부재에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관형 부재는 중공 공간에 고정 유지되며, 특히 충전재 재료의 압력에 의해 제2 중공 공간으로부터 밀리지 않는다. 제2 중공 공간의 내경은, 억지끼워맞춤이 발생하도록, 적어도 배출 개구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관형 부재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조립시에, 관형 부재는 혼합기 측으로부터 제2 중공 공간 내로 밀려진다. 그러면, 관형 부재는, 관형 부재의 대부분이 배출 개구로부터 돌출될 때까지, 예를 들면 압축력을 인가하는 동안에 조립 툴에 의해 1회의 타격 또는 일련의 타격에 의해 제2 중공 공간을 통해 구동된다. 광폭부는 이러한 점에서 조립 툴의 중심을 잡고 충격력을 전달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관형 부재는 또한, 앞의 실시예 중 하나에 따라, 출구 부재 또는 혼합기 하우징을 위한 툴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관형 부재는 이러한 경우에 과도성형(overmolded)되어, 사출성형 프로세스 동안에 용융되는 플라스틱에 의해 둘러싸이며, 플라스틱은 그 후에 냉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예에 따라, 혼합기 하우징이 제조될 때 단일 작업 단계에서 삽입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입구 개구에서의 관형 부재의 단면 표면은 이러한 지점에서 제2 중공 공간의 단면 표면과 동일하다.
추가적 변경예에 따라, 관형 부재는, 광폭 작용 없이 혼합기 하우징을 위한 툴 내에 위치된다. 관형 부재의 입구 개구는, 이동 가능한 툴 맨드릴에 의해 결합된다. 제조될 혼합기 하우징의 형상이 얻어지도록 툴 또는 툴 맨드릴이 이동되면, 툴 맨드릴은 관형 부재의 입구 개구 내로 동입된다. 관형 부재의 입구 개구는 툴 맨드릴 또는 툴의 이러한 이동 동안에 신장되어, 관형 부재의 재료는 소성 변형된다. 이러한 변경예는, 광폭 작용이 혼합기 하우징 및 출구 부재의 제조 동안에 이미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광폭 작용의 앞 또는 뒤의 작업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앞의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라, 관형 부재를 스냅 연결, 유지 연결,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제1 중공 공간에 고정 및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앞의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관형 부재는 정적 혼합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형 부재는 금속의 재킷을 포함한다. 금속의 관형 부재는 제조하기 간단하고, 임의의 필요한 위치로 수동으로 굽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한 방식으로 관형 부재의 개방 애퍼처의 위치를 충전재 재료의 필요한 적용 위치에 적응시킬 수 있다. 또한, 앞의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굽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앞의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굽힘 가능 관형 부재를 사용하는 것의 이점은, 관형 부재의 위치가 일단 선택되면 유지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소성 영역의 변형이지 탄성 영역의 변형이 아닌데, 그것은, 탄성 변형의 경우에, 원래의 형상의 복원은, 변형을 발생시킨 인가된 힘의 제거 후에 발생할 것이기 때문이다.
금속의 상기 재킷은 플라스틱 층에 의해 덮일 수 있다. 플라스틱 층의 사용은 특히, 충전재 재료가 부식 환경에 적용되어야 하는 응용에 이점을 가진다. 플라스틱의 사용은 또한, 충전재 재료가 예를 들면 치아 충전재, 또는 치아 크라운의 제조를 위한 인상용 컴파운드(impression compound)이면, 치과 영역에서 이점을 가진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기 관형 부재는 플라스틱의 상기 재킷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관형 부재는, 바람직하게 굽혀질 수 있거나 앞의 변경예들 중 하나에 따른 굽힘 부재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관형 부재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관형 부재는 또한, 상기 관형 부재 내에 배치된 코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부재는 예를 들면 금속 핀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 부재는 특히 관형 부재의 개방 애퍼처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관형 부재의 재킷은 임의의 필요한 변형 가능 재료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재킷의 재료의 변형은 이러한 경우에 탄성 영역 또는 소성 영역에 있을 수 있다. 관형 부재는, 정적 혼합기로부터 배출되는 충전재 재료를 필요한 사용 위치로 전달하기에 적합하여야 한다. 그러나, 개방 애퍼처의 위치의 고정은 코어 부재에 의해 이루어진다. 코어 부재는 관형 부재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연장될 수 있거나, 연결 부재에 의해 관형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부재는 또한 관형 부재 내의 여러 가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기 코어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재킷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코어 부재가 관형 부재 내에 추가적 흐름 저항을 발생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흐름 경로는 충전재 재료의 통과를 위해 매우 자유롭게 유지된다.
상기 코어 부재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 부재는 특히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코어 부재는 또한 관형 부재의 재킷의 벽 내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보강 부재를 형성하는 복수의 코어 부재가 또한 구비될 수 있다. 코어 부재는 또한, 관형 부재의 재킷의 재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섬유, 펠트(felt), 직물 또는 니트웨어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정적 혼합기는 특히 흐름 가능 성분의 경화 혼합 제품의 혼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정적 혼합기의 추가적 가능한 사용은, 치과 분야에서의 인상용 컴파운드의 혼합, 건설 분야에서의 다중 성분 접착제의 혼합, 또는 경화 충전재 컴파운드 예를 들면 화학적 다우웰(chemical dowels) 또는 고정 부재의 혼합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충전재 재료의 주입을 위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충전재 재료의 주입을 위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형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형 부재의 도면이다.
도 5는, A-A 평면을 따른 도 3의 관형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부재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부재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부재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부재의 제6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부착물의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부착물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관형 부재의 도면이다.
도 13은 관형 부재의 제조를 위한 추가적 변경예의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간편(4) 및 관형 부재를 가지는 정적 혼합기(1)의 단면도이다. 하나의 성분 또는 특히 복수의 성분을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를 위한 이러한 정적 혼합기(1)는, 하나 이상의 정적 혼합 부재(3)를 포함하며 특히 복수의 혼합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혼합기 하우징(2)을 포함하여, 유사한 혼합 부재는 바람직하게 혼합 부재의 그룹을 형성한다. 그러한 혼합 부재는 예를 들면 EP 749776 B 또는 EP 1426099 B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거나, 나선형 혼합기를 위해 도시된 나선형 구조를 가진다. 혼합기는 개별 성분을 양호하게 혼합하는 작용을 가져, 실질적으로 균일한 혼합물이 발생한다. 혼합기는 또한 동적 혼합기(도시되지 않음)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적 혼합기는, 혼합 부재가 혼합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적 혼합기와 다르다.
도 1에 도시된 혼합기는 성분의 균일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동일한 방식으로 2개 이상의 성분을 혼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성분은 서로에 대해, 1:1 혼합비와 다른 혼합비로 될 수 있다. 도 1에 따른 정적 혼합기는 링형 결합 부재(5)에 의해 카트리지에 고정된다. 결합 부재(5)는 정적 혼합기의 하우징(2)의 입구 영역, 및 각각의 성분을 정적 혼합기로 안내하는 제1 통로(30) 및 제2 통로(40)를 포함하는 중간편(4)을 포함한다. 2개 이상의 성분이 서로 별개로 정적 혼합기(1)에 공급되어야 하면, 2개 이상의 통로가 또한 자연적으로 중간편(4)에 포함될 수 있다. 결합 부재(5)는 예를 들면 베이어닛 고정 수단(6, 7)에 의해 카트리지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따라, 결합 부재는 또한, 예를 들면 래치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카트리지의 짝을 이루는 부재에 결합되는 연결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정적 혼합기(1)는 따라서 분배 카트리지에 고정될 수 있거나, 중간편(4)과 함께 결합 부재(5)에 의해 분배 디바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결합 부재(5)는 결합 부재(5)를 카트리지에 나사결합되게 할 수 있는 외부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정적 혼합기의 하우징(2)의 입구 영역은, 중간편(4)의 수용을 위한 작용을 하는 입구 단부(10)를 가진다. 중간편(4)은, 유지 플랜지(9)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제1 연결 부재(24)와 제2 연결 부재(25)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부재(24)는 입구 영역의 내부에 수용되고, 입구 단부(10)의 주변 홈(15)과 결합되는 유지 플랜지(14)에 의해 입구 단부(10)에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 부재(24)는 정적 혼합기의 하우징의 수용을 위해 디자인된다. 제1 연결 부재(24)에 인접하는 플랜지(9)는 정적 혼합기의 하우징의 입구 단부(10)를 위한 지지부로서 작용한다. 제1 연결 부재(24) 및 제2 연결 부재(25)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원통형이지만, 또한 관련 입구 단부(10)를 동일한 작동 방식과 매칭시키는 사각형, 다이어몬드형, 직사각형, 둥근, 타원형 또는 다른 단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24)는 연결 부재에 대한 정적 혼합기의 정렬을 위한 위치설정 부재(29)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특히 2개의 위치설정 부재가 또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는 바람직하게, 중간편의 위치에 대해 혼합 부재의 위치에 따라 혼합 품질이 변하는 혼합기에 사용된다. 위치설정 부재(29)는 특히 중간편(4)에 대한 정적 혼합기의 이상적 위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위치설정 부재(29)는, 중간편(4)에 대한 정적 혼합기(1)의 위치를 가시적으로 보여주며 따라서 또한 조립을 위한 보조를 제공하는 돌출부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24)는, 돌출부가 부착되는 재킷 표면을 포함한다. 제2 연결 부재(25)는 플랜지(9)의 반대로 위치되는 측부와 인접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 변경예에 따라, 제1 또는 제2 출구 개구(32, 42)는 정적 혼합기에 대한 매칭 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입구 개구(32, 42) 중 하나 이상의 입구 개구의 단면 표면의 형상은 특히 바람직하게 회전 대칭 특히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이어몬드 형상이 아니다.
제1 연결 부재(24), 플랜지(9), 및 제2 연결 부재(25)는 제1 및 제2 통로(30, 40)를 포함한다. 제2 연결 부재(25)는 엔코딩(encoding)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편(4)은 특히, 제1 통로(30)가 제1 중앙축(33)을 가지고 제2 통로(40)가 제2 중앙축(43)을 가지도록, 디자인된다. 제2 연결 부재(25)는 제1 엔코딩 수단(50), 및 옵션으로서 제2 엔코딩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엔코딩 수단(50)은 특히, 통로(30, 40)의 제1 및 제2 중앙축(33, 43)에 의해 걸쳐지는 평면에 대해 제2 엔코딩 수단에 대해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엔코딩 수단(50)은 특히 암으로서 이루어져, 암은 또한 웨브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암은, 분배 유닛 또는 분배 카트리지의 관련 절결부와 결합하기 위해 디자인되는 핑거 부재(finger element)를 가진다. 핑거 부재는, 카트리지의 관련 홈에 대한 결합을 위해 디자인되는 축방향 레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엔코딩 수단은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2 연결 부재(25)의 외부 재킷 내의 홈으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엔코딩 수단(50)이 구비되면, 엔코딩 수단은 또한 서로에 대해 반대로 배치될 필요는 없다. 2개 이상의 엔코딩 수단이 구비되면, 하나 이상의 엔코딩 수단의 단면 표면은, 특히 엔코딩 수단이 서로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면, 추가적 단일 또는 복수의 엔코딩 수단의 단면 표면과 달라야 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복수의 엔코딩 수단(50)은 또한 입구 측에서 비대칭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분배 카트리지 또는 분배 디바이스에 동일한 방식으로 반영되는 비대칭 배치로 인해, 분배 카트리지 또는 분배 디바이스에 대한 중간편의 분명한 위치 설정 및 따라서 중간편에 연결될 수 있는 정적 혼합기의 분명한 위치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입구 개구(31)의 단면 표면은 제2 입구 개구(41)의 단면 표면과 다를 수 있다. 부재(16)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광학적 엔코딩 수단의 작용을 가진다. 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 특히 사각형 또는 다이어몬드형 단면 표면으로서 이루어지는 부재(16)는 눈으로 명백히 인식할 수 있어서, 정적 혼합기(1)는 조립체 상에 부재(16)에 대해 명백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입구 개구(31, 41) 중 하나 이상의 입구 개구의 단면 표면의 형상은 바람직하게 회전 대칭 특히 타원형, 다각형, 사각형 또는 다이어몬드 형상이 아니다.
중간편(4)은 유지 플랜지(14)를 통해 혼합기의 하우징(2)에 유지된다. 플랜지(9)는 하우징(2)의 입구 단부(10)에 매칭되고, 결합 부재(5)의 내벽의 어깨부(11)와 접촉된다. 중간편(4)은 그 출구측 단부 플레이트에서 단부면(20)을 가진다. 이러한 단부면(20)에 안내 부재가 장착될 수 있고, 안내 부재는 특히, 성분들이 반드시 혼합기의 길이방향 축(27)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또한 분할 에지(8)를 향해 단부면(20)에 대해 평행하게 흐르도록, 성분 흐름의 편향을 위해 분할 에지(17) 및/또는 부분 장벽(18)으로서 이루어진다. 에지(8)는, 중간편(4)을 향하고 2개의 성분과 접촉되는 제1 정적 혼합 부재(3)의 에지이다.
단부면(20)은 통로(30, 40)의 2개의 출구 개구(31, 41)를 포함한다. 분할 에지(17)는 단부면(20)에 부착되어, 2개의 출구 개구(31, 41)를 통해 배출되는 각각의 성분은 이미 분할 에지(17)에 의해 2개의 부분 흐름 특히 2개의 반부 흐름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성분의 부분 흐름은 수집 챔버(23) 내에서 결합된다. 따라서, 수집 챔버 내의 흐름은 정적 혼합기의 분할 에지(8)에 의해 다시 분할된다. 분할 에지(17) 및 분할 에지(8)는 바람직하게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다. 이것은, 분할 에지(17)에 의해 발생되는 부분 흐름과는 그 성분이 다른 2개의 부분 흐름으로 성분 흐름이 분할되는 이점을 가진다. 제1 혼합 스테이지는 이미, 정적 혼합기(1)의 정적 혼합 부재(3) 내로의 성분의 유입 전에도 발생된다. 특히 성분의 혼합비가 1:1 혼합비와 다를 때, 2개 이상의 부분 흐름으로의 각각의 성분의 분할, 및 각각의 부분 흐름의 후속적 결합은 제1 혼합 스테이지에 대응하는데, 그것은 적은 부피를 가진 성분이 동일한 부분으로 정적 혼합기의 제1 혼합 부재(3) 내로 유입되는 것이 확실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각의 부분 흐름은, 혼합비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성분의 일부를 포함한다. 정적 혼합기의 유입 상태는 따라서 이러한 제1 혼합 스테이지에 의해 향상된다. 분할 에지(17)에 더하여, 분할 에지(8)에 의해 분할되는 정적 혼합기의 혼합 공간의 2개의 부분 공간의 방향으로의 흐름의 방향 재설정을 위한 부분 장벽(18) 및 추가적 설치물이 구비될 수 있다.
분할 에지(17)는 도 1에 따라, 단부면(20)으로부터, 수집 공간(23)을 둘러싸는 정적 혼합기의 하우징(2)의 스텝(22)으로 연장된다. 스텝(22)은, 입구 단부(10)로부터 내면(21)으로 연장되는 하우징(2)의 입구 영역을, 정적 혼합 부재(3)를 포함하는 혼합 공간으로 연결한다.
조립되었을 때, 관형 부재는 제1 단계에서 하우징(2)의 출구 부재의 제2 중공 공간으로 밀려진다. 혼합 부재(3)는 다음에는 정적 혼합기(1)의 하우징(2) 내에 위치된다. 중간편(4)은 제2 단계에서 예를 들면, 입구 영역(26)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는 홈(15) 내로의 결합을 위해 디자인되는 유지 플랜지(14)를 통해 하우징(2)의 입구 영역(26)에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부재(16)는 가시적으로 정적 혼합기에 정렬되어, 정적 혼합기(1) 및 중간편(4)은 서로 정밀하게 매칭되는 위치에 조립된다. 그러면, 정적 혼합기(1) 및 중간편(4)은 결합 부재(5) 내로 도입된다. 중간편(4)에, 벽(12)의 내부에 위치되는 홈(13)에 결합되는 플랜지(9)가 장착된다. 결합 부재(5)는 다음에는 베이어닛 고정 수단(6)을 통해 분배 장치 또는 분배 카트리지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엔코딩 수단(50)이 분배 장치 또는 분배 카트리지의 수용 수단에 결합될 때에만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스템은 성분의 혼합을 위해 준비된다.
도 2는,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카트리지와 조립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적 혼합기의 단면도이다. 중간편(4)은 제1 연결 부재(24), 플랜지(9), 및 제2 연결 부재(25)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통로(30, 40)는, 제1 연결 부재(24), 플랜지(9), 및 제2 연결 부재(25)를 통해 연장된다. 혼합될 성분은 분배 장치 또는 분배 카트리지로부터 통로(30, 40)를 통해, 2개의 성분이 만나 혼합되는 정적 혼합기(1)로 향한다. 개별 성분의 저장 및 운반을 위해 작용하는 복수의 다른 분배 장치 또는 분배 카트리지가 있다. 또한, 필요한 혼합비 및 필요한 처리량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정적 혼합기가 사용된다. 이들 정적 혼합기는 설치에 의해 다를 수 있어, 흐름 속도 및 흐름 안내가 변하며 다른 외경을 가질 수 있어, 여러 가지 부피의 흐름이 처리될 수 있어, 정적 혼합기의 형태를 위한 처리량 특성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요구사항에 따라 이용 가능한 다양한 조합 가능성을 가진다. 그러나, 임의의 분배 장치 또는 분배 카트리지를 임의의 필요한 혼합기와 결합시킬 수 있기 위해, 중간편(4)이 사용된다. 중간편(4)의 통로(30, 40)는, 분배 장치 또는 분배 카트리지에 결합될 수 있거나 분배 수단이 결합될 수 있는 입구 개구(31, 41)를 가진다. 제2 연결 부재(25)는 또한, 플랜지(9)의 내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2개의 파이프 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파이프 편은 분배 장치 또는 분배 카트리지와의 조립시에 분배 수단의 대응 출구 개구에 의해 수용되어, 분배 장치 또는 분배 카트리지의 출구 개구에 플러깅되며, 따라서 플러그-인 연결의 실시예를 형성한다. 엔코딩 수단(50)은 분배 장치 또는 분배 카트리지에 대해 올바른 위치에 중간편(4)을 위치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장치는, 정적 혼합기(1), 중간편(4), 및 카트리지(51)를 포함하는 장치의 일부이다. 정적 혼합기(1)는 중간편(4)을 통해 카트리지(51)에 연결된다. 이러한 카트리지는 제1 저장 챔버(52) 및 제2 저장 챔버(53)를 포함한다. 제1 저장 챔버(52)의 충전 부피는 제2 저장 챔버(53)의 충전 부피와 다르다.
이러한 장치는 2개의 성분을 여러 가지 혼합비로 혼합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혼합비는 특히 4:1 또는 10:1에 달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분배 장치는, 제1 및 제2 저장 챔버 내에 포함되는 충전재 재료를 중간편(4)을 통해 정적 혼합기 내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중간편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1 및 제2 통로(30, 40)를 가진다. 제1 통로(30)의 입구 개구(31) 및 제2 통로(40)의 입구 개구(41)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충전재 재료의 성분을 위한 대응하는 제1 및 제2 배출 통로(54, 55)에 결합되는 관형 스터브(stubs)에 배치된다. 제1 배출 통로(54)는 제1 저장 챔버(52)에 배치되고, 제2 배출 통로(55)는 제2 저장 챔버(53) 뒤에 배치된다.
정적 혼합기(1)로부터 배출되는 충전재 재료는 출구 부재(45)로 이동된다. 출구 부재(45)는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원추형부(46)로서 이루어진다. 원추형부(46)는, 제1 중공 공간(47)으로부터 배출되는 충전재 재료를 수용하고 이송할 수 있는 제2 중공 공간(48)을 포함한다. 중공 공간(47)은 혼합기 하우징(2)의 내부 공간에 의해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정적 혼합 부재(3)를 포함한다.
충전재 재료를 목적 위치로 분배하는 작용을 하는 관형 부재(60)는 제2 중공 공간(48)에 배치된다. 관형 부재(60)는 다음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형 부재의 단면도이다. 관형 부재(60)는 출구 부재(45)에 수용된다. 출구 부재(45)는 혼합기 하우징(2) 뒤에 배치되며, 혼합기 하우징(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혼합기 하우징(2)은, 충전재 재료를 위한 폐쇄 통로로서 작용하는 제1 중공 공간(47)을 포함한다. 제1 중공 공간(47)은, 관형 부재(60)를 포함하는 제2 중공 공간(48)에 병합된다. 관형 부재(60)는 부분적으로 제2 중공 공간(48)에 수용되고, 출구 부재(45)의 배출 개구(70)를 넘어 돌출된다. 관형 부재(60)는, 제1 또는 제2 중공 공간(47, 48)으로부터, 충전재 재료의 이송을 위한 통로(56)의 개방 애퍼처(61)로 연장되는 폐쇄 통로(61)를 포함한다.
관형 부재(60)는 굽혀질 수 있고, 도 3의 곡률을 가진다. 관형 부재(60)의 개방 애퍼처(61)의 위치는 따라서 정적 혼합기(1)에 대해 변경될 수 있다. 관형 부재(60)가 굽혀질 수 있다는 성질은 한편으로는, 관형 부재(60)의 재료 자체가 굽혀질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할 수 있다.
관형 부재(60)는 또한 입구 개구(65)의 영역 내의 통로(56)의 광폭부를 가진다. 이러한 광폭부는 조립체 툴의 수용을 위해 작용한다. 조립체 툴은 관형 부재를 제2 중공 공간에 위치시키고 유지하기 위해 광폭부에 결합될 수 있다. 조립체 툴에 의해 관형 부재에 타격을 가할 수 있어, 관형 부재(60)는 중공 공간(48)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제2 중공 공간(48)의 내경은, 적어도 배출 개구(70)에 인접한 영역에서 관형 부재(60)의 외경보다 작다.
조립되었을 때, 관형 부재(60)는 혼합기 측으로부터 제2 중공 공간(48)으로 밀려진다. 그러면, 관형 부재는, 예를 들면 관형 부재의 대부분이 배출 개구(70)로부터 돌출될 때까지, 압축력을 인가하는 동안에 조립체 툴에 의해 1회의 타격 또는 일련의 타격에 의해 제2 중공 공간(48)을 통해 구동된다. 광폭부(57)는 이러한 점에서 조립체 툴의 중심 설정 및 충격력의 전달을 위해 작용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관형 부재(60)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굽힙 부재(6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형 부재(60)를 도시하고 있다. 굽힙 부재(62)는 예를 들면 복수의 두꺼운 부분(63)을 포함할 수 있다. 낮은 벽 두께를 가진 영역, 예를 들면 제한된 부분(64)은 인접 두꺼운 부분(63)들 사이에 배치되고, 두꺼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관형 부재(60)의 2개의 제1 및 제2 단부(71, 72)보다 더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들 제1 및 제2 단부(71, 72)는 제한된 부분(64)보다 큰 벽 두께를 가진다. 단일 제한된 부분(64)은 또한 자연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한된 부분은 또한, 제1 단부(71)와 제2 단부(72) 사이에서 연장되는 감소된 벽 두께를 가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두꺼운 부분(63)은 예를 들면 리브 또는 스케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두꺼운 부분은 또한 파형 섹션을 가질 수 있다. 두꺼운 부분은, 이러한 점에서, 2개의 인접하는 섹션에서보다 벽 두께가 큰 섹션으로서 정의된다. 벽 두께는 이러한 점에서 제1 또는 제2 단부(71, 72)의 영역에서 관형 부재(60)의 벽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벽 두께가, 제1 단부(71)에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제한된 부분(74)으로부터 입구 개구(65)까지, 또는 제2 단부(72)에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제한된 부분(73)으로부터 개방 애퍼처(61)까지의, 관형 부재의 벽 두께보다 인접 두꺼운 부분들 사이에서 국부적으로 작은 것이 중요하다. 제한된 부분의 수 및 프로파일의 선택은 바람직하게, 일정하거나 지속적으로 변하는 반경의 곡률 곡선을 따라 발생하는 관형 부재(60)의 곡률이 발생하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곡률 영역에서의 유체의 흐름이 가능한 한 부드럽게 편향되도록, 관형 부재가 꼬임(kink)을 갖지 않거나 최대로도 복수의 작은 꼬임을 갖지 않으면, 이점을 가진다.
관형 부재(60)는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광폭부(58)를 가진다. 광폭부는 이 경우에, 이러한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통로(56)만 아니라, 관형 부재(60)의 재킷(66)도 포함한다.
도 4의 실시예 또는 도 12에 따라, 광폭부(58)는 출구 부재(45)에 설치되기 전에 이미 관형 부재에 부착될 수 있지만, 그것은 또한 조립체 툴의 결합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도 4 및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광폭부는, 충전재 재료가 입구 개구(65)의 영역에서 덜 정체(backs up)된다는 추가적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정적 혼합기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제2 중공 공간(48)으로부터, 직경이 최대 약 1밀리미터에 달하는 통로(56)로의 전이는, 광폭부(57)가 충전재 재료를 위해 통로 단면이 좁아지기 때문에, 서서히 일어난다. 흐름 방향에서 볼 때, 충전재 재료의 통로 단면의 감소는, 작은 압력 손실 및 따라서 카트리지의 저장 용기로부터 관형 부재의 개방 애퍼처(61)까지의 압력 강하의 감소를 발생시킨다.
도 5는, 도 3의 A-A 평면을 따른 관형 부재(60)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은 관형 부재의 재킷(66), 및 관형 부재(60)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충전재 재료를 위한 통로(56)를 도시하고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관형 부재(60)는 금속의 재킷(66)을 포함한다. 금속의 관형 부재(60)는 제조하기 간단하며, 임의의 필요한 위치로 수동으로 굽혀질 수 있어, 굽힘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한 방식으로, 관형 부재(60)의 개방 애퍼처(61)의 위치를 충전재 재료의 필요한 적용 위치에 적응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부재(60)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금속 또는 굽힘 가능 플라스틱의 재킷(66)은 플라스틱 층(67)에 의해 덮일 수 있다.
관형 부재(60)는 또한, 앞의 변경예 중 하나에 따라 굽힘 부재(62)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관형 부재(60)의 안정을 위해 구비될 수 있는 관형 부재(60) 내에 배치되는 코어 부재(68)를 구비하는 관형 부재(60)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코어 부재(68)는 예를 들면 와이어 형태의 금속 핀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 부재는 관형 부재(60)의 개방 애퍼처(61)의 위치 설정을 위해 사용된다.
관형 부재(60)의 재킷(66)은 임의의 필요한 변형 가능 재료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재킷(66)의 재료의 변형은 탄성 영역 또는 소성 영역에 있을 수 있다. 관형 부재(60)는, 정적 혼합기(1)의 제1 중공 공간(47)으로부터 배출되고, 제2 중공 공간(48)으로 유입되며, 제2 중공 공간(48)으로부터 관형 부재(60)의 통로(56) 내로 필요한 응용 위치로 이동되는, 충전재 재료를 이송하기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방 애퍼처(61)의 위치는 코어 부재(68)에 의해 고정된다. 코어 부재(68)는 도 7에 따라 관형 부재(60)의 내부에 자유롭게 연장되어, 통로(56) 내에 배치된다. 관형 부재가 굽혀지면, 코어 부재(68)도 마찬가지로 굽혀진다. 코어 부재는 굽힘 프로세스에서 소성 변형된다. 관형 부재의 재킷(66)은 마찬가지로 소성 변형될 수 있지만, 또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굽힘은, 탄성 변형된 코어 부재(68)에 의해 유지된다. 관형 부재의 재킷(66)에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은 코어 부재(68)의 소성 변형을 역전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관형 부재는, 추가적 굽힘 프로세스가 초기화되지 않는 한, 굽힘 프로세스에 의해 사전 설정된 위치에 유지된다.
도 8은, 도 7과는 다르게, 연결 부재(69)에 의해 코어 부재(68)에 연결되는 관형 부재(60)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복수의 연결 부재(69)는 또한 자연적으로 관형 부재(60) 내의 여러 가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69)는 따라서 충전재 재료의 흐름의 통로(56) 내에 직접 위치된다. 충전재 재료는, 연결 부재(69) 또는 복수의 연결 부재의 적절한 배치에 의해 추가적으로 교반될 수 있다.
도 9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관형 부재(60)의 재킷(6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코어 부재(68)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 부재(60)의 제6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서, 재킷(66)은 코어 부재(68)를 완전히 둘러싼다. 이러한 변경예는, 코어 부재(68)의 재료의 선택시에, 코어 부재(68)가 충전재 재료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코어 부재(68)의 재료가 충전재 재료와 상보적인가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없다는 특별한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경우에, 코어 부재(68)는 관형 부재(60) 내에 추가적 흐름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 대부분 회피된다. 통로(56)를 통한 충전재 재료를 위한 흐름 경로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상당히 자유롭게 유지된다.
코어 부재(68)는 각각의 경우에 도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 부재(68)는 특히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부재(68)는 또한, 충전재 재료와 상보적이거나, 특히 치과 분야에서 사용시에 양호한 촉각 또는 광학적 성질 또는 양호한 상보성과 같은 응용에 특정한 다른 이점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덮이거나 코팅될 수 있다.
코어 부재(68)는 또한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관형 부재의 재킷의 벽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보강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코어 부재가 또한 구비될 수 있다. 코어 부재는 개별적으로 재킷 내에 위치되거나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코어 부재는 또한, 관형 부재의 재킷의 재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격자 형상 구조, 섬유, 펠트, 직물 또는 니트웨어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라 카트리지(108) 및 부착물에 부착되는 정적 혼합기(101)를 도시하고 있다. 카트리지(108)는 제1 저장 용기(111) 및 제2 저장 용기(112)를 포함한다. 제1 저장 용기(111)는 유체 충전재 재료의 제1 성분을 포함하고, 제2 저장 용기(112)는 유체 충전재 재료의 제2 성분을 포함한다. 제1 성분은 제1 통로(109)를 통해 혼합기 하우징(102)으로 이송될 수 있고, 제2 성분은 제2 통로(110)를 통해 혼합기 하우징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제1 통로(109) 및 제2 통로(110)는, 카트리지(108)의 일부인 관형 스터브(116, 117) 내에서 안내된다.
혼합기 하우징(102)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입구 부재(118)는 관형 스터브에 부착된다. 입구 부재(118)는, 정적 혼합기를 카트리지(108)와 견고한 연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고정 수단(119)과 결합되는 2개의 돌출부(106, 107)를 가진다.
통로(109, 110)로부터의 배출 후에, 2개의 성분은, 유체 충전재 재료를 형성하는 단일 흐름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유체 충전재 재료는 저장 용기(111, 112)에 접촉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통로(109, 110)를 통해 이송되며, 정적 혼합 부재(103)에 의해 혼합기 하우징의 내부로 안내되고, 그 후에 정적 혼합기로부터 부착물(113)로 이동된다. 부착물(113)은 본 도면에서 정적 혼합기의 배출 단부에 위치되고, 따라서 도 11에 단면도로서 도시된 정적 혼합기(101)의 배출 개구(114)에 매칭되는 직경을 가진다.
도 11은 도 10의 부착물(113)의 단면도이다. 부착물(113)은 약 20mm 길이인 원추형 플라스틱 튜브이다. 원추에 팁에서, 원추의 외경은 약 3mm에 달하고, 원추의 내경은 약 1.5mm에 달한다. 정적 혼합기의 배출 개구(114)에 대한 결합점에서의 외경은 적어도 배출 개구(114)의 내경에 대응한다. 직경이 배출 개구(114)의 외경에 대응하는 링형 맞대기부(115)가 도 10에 더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관형 부재의 단면도이다. 관형 부재(60)는 출구 부재(45)에 수용된다. 출구 부재(45)는 혼합기 하우징(2) 뒤에 배치되고, 혼합기 하우징(2)과 일체로 형성된다. 혼합기 하우징(2)은, 충전재 재료를 위한 폐쇄된 통로로서 작용하는 제1 중공 공간(47)을 포함한다. 제1 중공 공간(47)은, 관형 부재(60)를 포함하는 제2 중공 공간(48)에 병합된다. 관형 부재(60)는 제2 중공 공간(48)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출구 부재(45)의 배출 개구(70)를 넘어 돌출된다. 관형 부재(60)는, 제1 또는 제2 중공 공간(47, 48)으로부터, 충전재 재료의 이송을 위한 통로(56)의 개방 애퍼처(61)로 연장되는 폐쇄된 통로(56)를 포함한다.
관형 부재(60)는 굽혀질 수 있고, 도 12에 도시된 곡률을 가진다. 관형 부재(60)의 개방 애퍼처(61)의 위치는 따라서 정적 혼합기(1)에 대해 변경될 수 있다. 관형 부재(60)는 특히, 굽힘 부재가 벨로우즈 구조(75)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굽힘 부재(62)를 포함한다. 벨로우즈 구조(75)는, 축방향 단면에서 볼 때, 이러한 실시예에서 벨로우즈 구조를 형성하는 지그재그 프로파일의 링 접힘부(76)를 포함한다. 이러한 링 접힘부는 제1 측면(77), 제2 측면(78), 및 2개의 측면(77, 78)에 의해 둘러싸이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지(79)로 이루어진다. 에지(79)는 이하 업힐 에지(uphill edge)라고 지칭된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이들 접힘부(76)는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로우(row)로 배치되어, 벨로우즈 구조(75)를 형성한다. 인접 접힘부(76, 86)는, 좌측 측면에 배치되는 제1 접힘부(76)의 우측 단부(81)를, 우측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접힘부(86)의 좌측 단부(82)에 연결하는 에지(80)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점에서 촤측 측면 및 우측 측면이라는 용어는 도 12의 도면과 관련되지만,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지, 결코 도면의 위치에 제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않 된다. 이러한 에지(80)는 이하의 내용에서 다운힐 에지(downhill edge)라고 지칭된다. 따라서, 제1 업힐 에지(79)는 굽힘 부재의 영역에서 제1 다운힐 에지(80) 뒤에 위치되고, 제2 다운힐 에지(83)는 제1 다운힐 에지(80)와 인접한다. 제1 접힘부(76)는 제1 다운힐 에지(80)와 제2 다운힐 에지(83)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2 다운힐 에지(83) 및 제3 다운힐 에지(85)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제2 접힘부(86)는 제1 접힘부(76) 뒤에 위치된다. 제2 접힘부(86)의 제2 업힐 에지(84)는 제2 다운힐 에지(83)와 제3 다운힐 에지(85) 사이에서 상승된다. 관형 부재(60)의 재킷은 각각의 에지(79, 80, 83, 84, 85)를 따라 꼬인다. 에지(79, 80, 83, 84, 85)의 벽 두께는 이러한 점에서 측면(77, 78)의 벽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굽힙 부재가 관형 부재의 제조 동안에 이미 발생되면, 벨로우즈 구조의 벽 두께는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벽 두께는 특히, 접힌 상태에서, 관형 부재가 직선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직선 위치에서 안정하게 유지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제조는 특히, 단일 작업 단계에서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관형 부재를 위해 적합하다.
벨로우즈 구조(75)는 또한,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관형 부재(60)의 소성 변형에 의한 굽힘 부재(62)의 완성 후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관형 부재는 금속 재료로부터 압출에 의해 제조되거나 반완성 부품을 위한 대응 연속적 제조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될 것이며, 그 후에 금속 재료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되고, 벨로우즈 구조는 그 후에, 스탬핑 프로세스 또는 프레싱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는 성형 프로세스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관형 부재를 위해, 벨로우즈 구조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관형 부재(60)의 압출 바로 뒤에 적용될 수 있다.
벨로우즈 구조(75)는, 곡률을 발생시키기 위한 힘이 관형 부재에 인가되지 않는 한 관형 부재(60)는 직선 길이방향 축(87)을 가지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직각으로 정렬되는 굽힘 부재에 굽힘력이 인가되거나, 굽힘력이 길이방향 축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힘 성분을 가지면, 직선 길이방향 축은 굽힘 부재의 영역에서 구부러질 것이다. 굽힘 부재는, 굽힘 부재의 굽힘이 비가역적이고 굽힘 부재가 구부러짐 위치에 유지되도록, 굽힘력의 효과에 의해 접힘부의 에지에서 소성 변형될 수 있다. 꼬임에 대한 안정성은 주변 벨로우즈 구조에 의해 추가적으로 확보된다. 이것은, 굽힘 부재(62)의 영역에서의 관형 부재(60)의 내부 단면 표면이, 굽힘 부재에 인접하는 제1 및 제2 섹션(88, 89)의 내부 단면 표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편차되지 않는 것을 뜻한다.
벨로우즈 구조(75)를 포함하는 굽힘 부재에 대한 상기 설명에 추가하여, 벨로우즈 구조는 예비 응력 하에 유지될 수 있다. 특히 2개의 인접한 측면(77, 78) 사이에 포함된 각도가 작거나 영으로 되는 경향이 있을 때, 관형 부재의 제조 동안에, 접힘부(76, 86)를 서로에 대해 밀접 접촉 위치에 유지하는 예비인장이 적용될 수 있다. 이것은, 접힘부들이 서로에 대해 지지되도록 인접 접힘부들 사이의 간격이 작은 것을 뜻한다. 이것은, 제1 섹션(88)에 직접 인접하는 2개의 접힘부들을 위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곡률이 굽힘 부재에 적용되고, 충전재 재료의 분배가 이루어지는 한 굽힘 부재의 이러한 곡률이 유지되면, 예비인장은 인장력의 인가에 의해 극복될 것이다. 인접한 측면(77, 78) 사이에 포함된 각도는 인장력의 인가에 의해 증가된다. 인접 측면들은 이제 더 이상 서로를 지지할 수 없고, 더 이상 곡률을 방해할 수 없다. 그러면, 필요한 곡률을 설정하기 위해 힘이 인가된다. 이러한 힘이 일단 인가되면 굽힘 부재의 곡률이 유지되도록, 재료는 이러한 힘에 의해 에지(79, 80, 83, 84, 85)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소성 변형될 수 있다. 곡률은 특히 적어도 충전재 재료의 분배 동안에 변화되지 않아야 하며, 즉, 곡률은, 굽힘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관형 부재의 2개의 제1 및 제2 섹션(88, 89)이 서로 포함하는 곡률 및 각도이다.
관형 부재(60)는 또한 입구 개구(65)의 영역 내의 통로(56)의 광폭부(57)를 가진다. 이러한 광폭부(57)는 관형 부재(60)를 출구 부재(45)에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관형 부재(60)는 중공 공간(48)에 고정 유지되며, 특히 충전재 재료의 압력에 의해 제2 중공 공간(48)으로부터 밀려지지 않는다. 제2 중공 공간(48)의 내경은, 억지끼워맞춤이 발생하도록, 적어도 배출 개구(78)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관형 부재(60)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조립시에, 관형 부재(60)는 혼합기 측으로부터 제2 중공 공간(48) 내로 밀려진다. 그러면, 관형 부재는, 관형 부재의 대부분이 배출 개구(70)로부터 돌출될 때까지, 압축력 예를 들면 1회의 타격 또는 일련의 타격을 인가함으로써 조립 툴에 의해 제2 중공 공간(48)을 통해 구동된다. 광폭부(57)는 이러한 점에서 조립 툴의 중심을 잡고 충격력을 전달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관형 부재(60)는 또한, 앞의 실시예 중 하나에 따라, 출구 부재(45) 또는 혼합기 하우징(2)을 위한 툴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관형 부재(60)는 이러한 경우에 과도성형(overmolded)되어, 사출성형 프로세스 동안에 용융되는 플라스틱에 의해 둘러싸이며, 플라스틱은 그 후에 냉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예에 따라, 혼합기 하우징이 제조될 때 단일 작업 단계에서 삽입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입구 개구에서의 관형 부재(60)의 단면 표면은 이러한 지점에서 제2 중공 공간(48)의 단면 표면과 동일하다.
추가적 변경예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관형 부재(60)는, 광폭부(57)를 가지지 않는 혼합기 하우징(2)을 위한 도 13에 도시된 툴(90) 내에 위치된다. 관형 부재(60)의 입구 개구(65)는, 이동 가능한 툴 맨드릴(91)에 의해 결합된다. 제조될 혼합기 하우징의 형상이 얻어지도록 툴(90) 또는 툴 맨드릴(91)이 이동되면, 툴 맨드릴은 관형 부재의 입구 개구(65) 내로 동입된다. 관형 부재의 입구 개구는 툴 맨드릴 또는 툴의 이러한 이동 동안에 신장되며, 즉, 관형 부재의 재료는 소성 변형된다. 이러한 변경예는, 광폭 작용이 혼합기 하우징 및 출구 부재의 제조 동안에 이미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광폭 작용의 앞 또는 뒤의 작업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앞의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라, 관형 부재(60)를 스냅 연결, 유지 연결, 또는 접착제 접착 연결에 의해 제1 중공 공간에 고정 및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앞의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관형 부재(60)는 접착제 접착 연결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 한, 정적 혼합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Claims (15)

  1.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정적 혼합기(1)를 포함하며,
    상기 정적 혼합기는 제1 중공 공간(47)을 포함하는 하우징(2)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중공 공간 내에 유체 충전재 재료를 혼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혼합 부재(3)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2)은 출구 부재(45)를 가지고 있고,
    상기 출구 부재(45)는 제2 중공 공간(48)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체 충전재 재료가 상기 제1 중공 공간(47)으로부터 상기 제2 중공 공간(48)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중공 공간(48)은 상기 제1 중공 공간(47)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중공 공간(48) 내에 관형 부재(60)가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2)은 상기 관형 부재(60)를 위한 고정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관형 부재(60)가 상기 제2 중공 공간(48)에 고정되도록, 상기 관형 부재(60)는 상기 제2 중공 공간(48)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광폭부(57)를 가지는,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60)는 최대 3mm의 외경을 가지고 있는,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60)는 최대 100mm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부재(45)는 원추부(46)를 포함하는,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 공간(48)은 적어도 단면에서 볼 때 원추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 공간(48)은, 상기 관형 부재(6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는,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60)는 상기 정적 혼합기(1)에 대하여 굽힘과 회전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한,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60)는 하나 이상의 굽힘 부재(62)를 포함하는,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60)는 금속의 재킷(66)을 포함하는,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의 재킷(66)은 플라스틱 층(67)에 의해 덮여 있는,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60)는 플라스틱의 재킷(66)을 포함하는,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60)는, 상기 관형 부재(60) 내에 배치된 코어 부재(68)를 포함하는,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재(68)는 연결 부재(69)에 의해 상기 관형 부재(60)에 연결되어 있는,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재(6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관형 부재(60)의 재킷(66)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재(68)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금속을 포함하거나, 또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금속을 포함하는, 유체 충전재 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KR1020117018410A 2009-03-11 2010-03-05 충전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KR101710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54942.8 2009-03-11
EP09154942 2009-03-11
PCT/EP2010/052827 WO2010102955A1 (de) 2009-03-11 2010-03-05 Vorrichtung zum ausbringen einer füllmas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811A KR20110128811A (ko) 2011-11-30
KR101710439B1 true KR101710439B1 (ko) 2017-02-27

Family

ID=4057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410A KR101710439B1 (ko) 2009-03-11 2010-03-05 충전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646662B2 (ko)
EP (2) EP2406017B1 (ko)
JP (2) JP6012180B2 (ko)
KR (1) KR101710439B1 (ko)
CN (1) CN102387871B (ko)
AU (1) AU2010223416B2 (ko)
BR (1) BRPI1013248B8 (ko)
CA (1) CA2755064C (ko)
IL (1) IL214992B (ko)
RU (1) RU2544705C9 (ko)
SG (1) SG174235A1 (ko)
TW (1) TWI524932B (ko)
WO (1) WO20101029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5178A1 (de) * 2011-01-13 2012-07-19 Sulzer Mixpac Ag Vorrichtung zum ausbringen einer füllmasse
EP2527041B1 (de) 2011-05-23 2018-08-29 Sulzer Mixpac AG Zwischenstück für einen statischen Sprühmischer
US9283059B2 (en) 2011-06-22 2016-03-15 Dentsply International Inc. Tissue management impression material and dispensing system
EP2618921B1 (de) * 2011-08-24 2014-06-18 Kettenbach GmbH & CO. KG Mischer
CN102988103A (zh) * 2011-09-14 2013-03-27 南京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用于添加生物活性因子或药物的搅拌注射器
EP2818133A1 (en) * 2013-06-26 2014-12-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 device for dispensing dental material
EP2965825A1 (en) * 2014-07-09 2016-01-13 Sulzer Mixpac AG Dispensing apparatus,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of dispensing
EP3106122A1 (en) * 2015-06-17 2016-1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 system comprising a static mixer and a dispensing device for dental materials
JP2017018506A (ja) * 2015-07-14 2017-01-26 株式会社松風 ノズルの抜け落ちを防止したカートリッジ
US11857994B1 (en) 2015-10-16 2024-01-02 Gary M. Hammerlund Crossover prevention valve
US10639656B1 (en) * 2015-10-16 2020-05-05 Gary M. Hammerlund Crossover prevention valve
US10281074B2 (en) 2016-01-14 2019-05-07 Nordson Corporation Adapters for connecting a separated-outlet fluid cartridge to a single-inlet mixer, and related methods
DE102016216839A1 (de) * 2016-09-06 2018-03-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ustragen von Füllmaterial aus einem in einem Bauteil vorhandenen Hohlraum und Mittel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CN106725915A (zh) * 2017-03-04 2017-05-31 张保银 一种牙科治疗仪
US20220031963A1 (en) * 2018-09-26 2022-02-03 Sulzer Mixpac Ag Dispensing outlet, dispensing system, method of using a dispensing system, injection mold and method of producing a dispensing outlet
EP3628353A1 (en) * 2018-09-26 2020-04-01 Sulzer Mixpac AG Dispensing outlet, dispensing system, method of using a dispensing system, injection mold and method of producing a dispensing outlet
US20220202528A1 (en) * 2020-12-29 2022-06-30 Edward Barton Coffey System and method for engaging beaks and mixing tips
CN114212391B (zh) * 2022-02-21 2022-05-03 河北华油天然气有限责任公司 气体泄漏检测气雾剂罐及气体泄漏检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304B2 (ja) 1997-12-04 2000-06-12 日本電気株式会社 光adm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73165A (en) * 1922-12-04 1923-11-06 Steigmeyer Frederick Seed-conditioning apparatus
SU1162469A1 (ru) * 1984-02-20 1985-06-23 Хмельниц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Бытов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Статический смеситель
US4995540A (en) * 1987-12-07 1991-02-26 Laurence Colin Unit dosage dispenser for dental impression materials
JPH0192247A (ja) * 1987-10-03 1989-04-11 Bridgestone Corp ゴム組成物
EP0319639A1 (en) * 1987-12-07 1989-06-14 Lawrence Dr. Colin Dispensing mixer for the storage and mixing of separate materials
JPH0632204Y2 (ja) * 1987-12-10 1994-08-24 大阪エヤゾール工業株式会社 噴射装置用ノズル
JPH0350304A (ja) * 1989-07-17 1991-03-04 Nissan Motor Co Ltd ロッカアーム
FR2661097A1 (fr) * 1990-04-23 1991-10-25 Fondation Nale Transfusion San Aiguille d'application d'une colle, notamment chirurgicale, comportant plusieurs composants melanges extemporanement.
ES2141143T3 (es) * 1993-10-05 2000-03-16 Sulzer Chemtech Ag Dispositivo para homogeneizar liquidos muy viscosos.
US5397180A (en) * 1993-11-05 1995-03-14 Liquid Control Corporation Motionless mixer tube for resin dispensing equipment
US5413253A (en) * 1993-12-06 1995-05-09 Coltene/Whaledent, Inc. Static mixer
DE9319007U1 (de) * 1993-12-10 1995-04-06 Muehlbauer Ernst Vorratsspritze für zähflüssige Dentalmassen
JP3050304U (ja) * 1994-02-28 1998-07-14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歯科用材料のための二重室カートリッジ分配システム
US5722829A (en) * 1995-02-27 1998-03-03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 Cartridge dispensing system for dental material
ES2195964T3 (es) 1995-03-07 2003-12-16 Wilhelm A Keller Dispositivo de fijacion por bayoneta para la fijacion de un accesorio a un cartucho de multiples componentes o dispositivos distribuidor.
ATE198839T1 (de) 1995-06-21 2001-02-15 Sulzer Chemtech Ag In einem rohr angeordneter mischer
US5916491A (en) * 1997-01-16 1999-06-29 Rhone-Poulenc, Inc. Gas-liquid vortex mixer and method
ES2185893T3 (es) * 1997-06-18 2003-05-01 Wilhelm A Keller Mezclador.
US6802822B1 (en) * 2000-03-31 2004-10-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enser for an adhesive tissue sealant having a flexible link
EP1328338B1 (de) * 2000-10-17 2006-08-23 Sika Technology AG Statikmischer und verfahren zum vermischen einer hauptkomponente mit einer zusatzkomponente
MY133543A (en) * 2002-01-24 2007-11-30 Three Bond Co Ltd Material application apparatus
AU2003245392A1 (en) * 2002-06-04 2003-12-19 Laird Technologies, Inc. Manufacturing method for form-in-place gaskets having complex cross sections
ES2291609T3 (es) 2002-12-06 2008-03-01 Sulzer Mixpac Ag Mezcladora estatica y metodo.
EP1440737A1 (de) * 2003-01-24 2004-07-28 Mixpac Systems AG Austraganordnung mit einem Austraggerät für mindestens zwei Komponenten
WO2004105856A1 (de) * 2003-06-03 2004-12-09 Mixpac Systems Ag Anschluss für ein röhrchen an einen mischer
DE10337790A1 (de) * 2003-08-14 2005-03-17 3M Espe Ag Kapsel für Zwei-Komponenten-Materialien
DE10337789A1 (de) * 2003-08-14 2005-09-15 3M Espe Ag Einzeldosisspritze für ein mehrkomponentiges Material
US7387222B2 (en) * 2005-07-19 2008-06-17 Roy Thompson Bendable caulking nozzle extension device
DE102006001347B3 (de) * 2006-01-09 2007-06-21 Tyco Electronics Raychem Gmbh Auslasstülle für ein Kartuschensystem
JP4682857B2 (ja) * 2006-02-03 2011-05-11 株式会社デンソー 配管シール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7004762A1 (de) * 2007-01-31 2008-02-14 Daimler Ag Vorrichtung zum Auftragen pastöser Werkstoffe wie Klebstoff
KR100959639B1 (ko) * 2007-04-05 2010-05-26 이인환 근관치료기의 니들유닛
JP5178091B2 (ja) * 2007-08-22 2013-04-10 クボタシーアイ株式会社 分岐継手および散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304B2 (ja) 1997-12-04 2000-06-12 日本電気株式会社 光adm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43331A (en) 2010-12-16
BRPI1013248B1 (pt) 2020-11-17
US20110273956A1 (en) 2011-11-10
BRPI1013248A2 (pt) 2016-04-05
IL214992A0 (en) 2011-12-01
SG174235A1 (en) 2011-10-28
US8646662B2 (en) 2014-02-11
RU2544705C2 (ru) 2015-03-20
JP2016116949A (ja) 2016-06-30
CN102387871B (zh) 2015-07-22
TWI524932B (zh) 2016-03-11
CN102387871A (zh) 2012-03-21
BRPI1013248B8 (pt) 2023-03-21
AU2010223416A1 (en) 2011-09-08
IL214992B (en) 2019-01-31
WO2010102955A1 (de) 2010-09-16
CA2755064C (en) 2017-04-25
KR20110128811A (ko) 2011-11-30
CA2755064A1 (en) 2010-09-16
EP2230025A1 (de) 2010-09-22
JP6012180B2 (ja) 2016-10-25
EP2406017B1 (de) 2019-10-30
RU2011141105A (ru) 2013-04-20
RU2544705C9 (ru) 2015-11-10
JP2012520094A (ja) 2012-09-06
EP2406017A1 (de) 2012-01-18
AU2010223416B2 (en) 2014-07-24
JP6324427B2 (ja)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439B1 (ko) 충전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KR101698411B1 (ko) 스태틱 믹서에 저장 용기를 연결시키기 위한 중간 부품
JP6158496B2 (ja) スタティック・ミキサ用の混合要素
CN106943909B (zh) 静态混合器
US20170341041A1 (en) Static mixer
KR20210068421A (ko) 분배 출구, 분배 시스템, 분배 시스템 사용 방법, 사출 금형 및 분배 출구 제조 방법
TW202015748A (zh) 雙聯混合注射器用長噴頭及雙聯混合注射器
TW201200189A (en) Apparatus for the discharge of a filler material
WO2012095178A1 (de) Vorrichtung zum ausbringen einer füllmas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