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485B1 -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485B1
KR101708485B1 KR1020150116518A KR20150116518A KR101708485B1 KR 101708485 B1 KR101708485 B1 KR 101708485B1 KR 1020150116518 A KR1020150116518 A KR 1020150116518A KR 20150116518 A KR20150116518 A KR 20150116518A KR 101708485 B1 KR101708485 B1 KR 101708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ct
bracket
steam oven
pist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호
나민희
류동우
정인영
한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신테크
Priority to KR102015011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4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8Draught 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비스팀오븐의 조리실에서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개방되지 않아 프로그래밍된 요리에 맞게 작동하면서 열손실 방지, 제작의 용이성 및 오작동율을 줄일 수 있는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흡입덕트 내부에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캠에 의해 구동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과 맞닿아 흡입덕트를 개폐할 수 있는 차단판을 구성함으로써, 콤비스팀오븐의 조리실 내부에서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개폐가 되지 않기 때문에 열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모터 및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부 및 차단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이 흡입덕트에 용접 결합되어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작동부 및 차단 브라켓의 축중심 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고, 제1, 2 흡입덕트 및 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흡입덕트 연결관을 형성하여 제2 흡입덕트를 수직도를 맞춘 상태에서 제1 흡입덕트와 결합이 가능하여 제작의 용이성 및 제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An air induction pipe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the combination steam oven}
본 발명은 콤비스팀오븐의 조리실에서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개방되지 않아 프로그래밍된 요리법에 맞게 작동하면서 열손실 방지, 제작의 용이성 및 오작동율을 줄일 수 있는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조리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때에는 다량의 수증기가 발생하여 도어의 내측판에 김이 서리거나 벽면에 물방울이 맺혀 흐르는 응축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응축현상이 발생하면, 조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통상의 가열조리기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정량의 공기를 조리실 내부로 유입시킨 후, 배기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구성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은 주로 조리실 후면에 구비된 냉각팬에서 생성된 바람의 일부가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열을 식힌 후 덕트를 통하여 조리실 내부로 유입된 후 조리실에 정체되어 있는 수증기와 함께 조리실 후면부에 뚫려진 배기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열조리기를 통해 음식을 조리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수증기가 배출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다기능 가열조리장치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조리실 내부의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조리실과 연결되어 외측에 구성된 흡입관의 상부에 별도의 캡을 구성한 후, 상기 캡을 승강 동작시킴으로써 흡입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때에, 상기 캡의 승강 방법은 외측에 구성된 흡입관의 외측에 브라켓을 용접설치한 후, 상기 브라켓에 모터를 고정설치하고,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작동하는 캠을 상기 흡입관 내부에 설치한 다음, 흡입관 내부에 설치된 캠과 흡입관 상부에 구성된 캡 사이에 연결링크를 구성하여 캠의 회전에 따라 캡이 승강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과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캡을 승강 시키는 구성에 의하면, 브라켓 설치를 위하여 흡입관의 외측에 용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조립에 있어서 용접을 해야 하는 구조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용접으로 인해 제품의 변형이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흡입관 내부에 회전축과 캠의 설치 몇 연결링크를 설치해야 하는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조립공정이 까다로워 제작시간과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고장발생시 구성품의 분해조립이 어려워 유지보수가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4931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캠이 구성되어 있고, 구동캠에 의해 지렛대와 같은 원리로 회전하는 회전작동부가 구성되며, 이 회전작동부의 일단은 흡입관에 결합되어 있는 폐쇄구를 포함하고 있는 개폐덮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를 흡입하지 않을 때에는 구동캠이 최대 하사점에 도달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작동하게 되고, 공기를 흡입하여야 할 경우에는 구동캠이 최대 상사점에 도달되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허문헌 1) KR10-1024931 B, 콤비스팀오븐의 흡입관 개폐장치
하지만 상술한 등록특허는 구동캠에 의해 작동하는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작동부가 구동캠에 의해 들리거나 내려가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스팀오븐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높을 경우에는 이 압력에 의해 구동캠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개폐덮개가 작동하여 스팀오븐에서의 열원이 외부로 배출되어 열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스팀오븐의 경우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음식을 조리하는 만큼 조리자의 의지보다는 프로그래밍된 작동순서에 따라 구동이 되는바 내부 압력에 의해 개폐덮개가 개방될 경우 설계자가 설정한 프로그램되로 구동되지 않아 제대로 음식의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는 구동캠을 이용한 개폐 작동시 작동부에 의해 개폐장치의 구속이 이루어져 모터의 구동 이외에 콤비스팀오븐의 조리실 내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서는 개폐장치가 가동하지 않는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 및 작동부 일부를 결합하는 브라켓을 흡입덕트에 용접 결합하여 직진도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덕트를 분할하여 형성한 후 이를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흡입덕트 연결관을 이용해 연결하여 가공 및 제작의 용이성, 오작동율을 줄일 수 있는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모터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캠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콤비스팀오븐의 조리실 내부에서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개폐가 되지 않기 때문에 열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부의 피스톤과 차단 브라켓의 차단판 사이에 밀폐부재를 형성해 제1 흡입덕트가 차단된 상태에서 조리실의 스팀 및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열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터 및 작동부의 피스톤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샤프트가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이 제1 흡입덕트에 용접으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콤비스팀오븐의 모터들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작동부 및 차단 브라켓의 축중심 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제1, 2 리미트 센서를 통해 작동부의 구동캠의 최고, 최저 높이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모터의 구동을 적절하게 구동시킬 수 있어 개폐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콤비스팀오븐의 조리실에 결합하는 제1 흡입덕트와 콤비스팀오븐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흡입덕트를 따로 제작한 후 이를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흡입덕트 연결관을 통해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콤비스팀오븐 상판에 제2 흡입덕트 결합을 위한 홀의 형성시 정확하게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제2 흡입덕트를 수직도를 맞춘 상태에서 결합이 가능하여 제작의 용이성 및 제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콤비스팀오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의 개방 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의 개방 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은 콤비스팀오븐(1000)에 결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조리실(510) 내의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조리실(510)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 흡입덕트(2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흡입덕트(210)는 도면에서는 조리실(510)에서 연장되는 제1 수평 흡입덕트(211)와 이 제1 수평 흡입덕트(211)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 흡입덕트(211)로 이루어져 있으나, 꼭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외부의 공기를 원활히 흡입하기 위해서는 콤비스팀오븐(1000)의 상측에 배치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본 명세서의 도 1에서 도시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브라켓(230)은 모터 샤프트(221)를 포함하고 있는 모터(220) 및 다른 구성요소들을 고정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제1 흡입덕트(210) 중 제1 수평흡입덕트(211)에 용접 결합을 통해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브라켓(230)은 제1 흡입덕트(210)와 용접결합하는 고정결합 브라켓(231)과 모터(220)를 결합할 수 있는 모터결합 브라켓(232)과 다른 구성요소들을 결합하기 위한 센서결합 브라켓(233)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동부(240)는 상술한 브라켓(230)의 모터결합 브라켓(233)에 결합되어 있는 모터(220)의 모터 샤프트(221)에 결합되어 모터(22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캠(241)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캠(241)은 모터 샤프트(221)에 결합시 편심된 상태로 결합되어 원운동을 수직방향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 구동캠(241)의 일측에는 구동캠(241)에 의해 수직운동을 하는 피스톤 로드(242)가 회전 가능한 형태 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로드(242)의 상단부에는 피스톤(243)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240)는 모터(220)의 구동시에 구동캠(241)이 회전하여 피스톤 로드(242)가 상, 하 방향으로 수직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 로드(242) 및 피스톤(243)은 제1 흡입덕트(210) 내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 흡입 및 차단 작용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흡입덕트(210)의 제1 수평 흡입덕트(211)에는 제1 수직 흡입덕트(212)의 중심축선상과 동일한 위치에 홀(211a)이 타공되어 작동부(240)의 피스톤 로드(2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특히, 상술한 작동부(2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캠(241)의 회전운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242)가 상, 하로 이동하는 직선운동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피스톤(243) 부분이 일직선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 로드(242)를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이 되기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흡입덕트(210)의 제1 수평 흡입덕트(211)에 형성된 홀(211a)에 가이드 샤프트(260)를 삽입한 후 용접하여, 이 가이드 샤프트(260)가 피스톤 로드(242)를 가이드 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 로드(242)가 일직선으로 수직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에, 상기 가이드 샤프트(260)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피스톤 로드(242)가 가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 로드(242)의 직경보다 조금 큰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가이드 샤프트(260) 중 제1 수평 흡입덕트(211) 내에 삽입된 단부로 조리실(510)의 스팀 및 열풍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동부(240) 중 가이드 샤프트(260)에 삽입하여 직선운동하는 피스톤 로드(242) 부분에는 제2 밀폐부재(E2)를 형성해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차단 브라켓(250)은 제1 흡입덕트(210) 중 제1 수직 흡입덕트(212) 내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상기 차단 브라켓(250)은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에는 로드 삽입홀(252)이 타공되어 있는 차단판(251)이 형성된다.
즉, 상술한 작동부(240)의 피스톤 로드(242)가 이동할 수 있는 로드 삽입홀(252)과 작동부(240)의 피스톤(243)의 하측면과 맞닿아 제1 흡입덕트(210)로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25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단 브라켓(250)은 제1 흡입덕트(210)의 제1 수직 흡입덕트(212)와의 결합시 용접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작동부(240)의 피스톤(243) 하측면과 차단 브라켓(250)의 차단판(251) 상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밀폐성 확보와 가동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면서 열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밀폐부재(E1)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흡입덕트(210)는 일측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여야만 외기를 흡입할 수 있지만, 이럴 경우 제1 흡입덕트(210) 중 제1 수직 흡입덕트(212)가 콤비스팀오븐 상판(501)까지 연장되어야 하고, 또한, 상기 콤비스팀오븐 상판(501)에는 정확한 위치에 제1 수직 흡입덕트(212)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501a)이 가공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제1 흡입덕트(210)를 구성할 경우 제작비용이 상승함은 물론, 작동부(240) 및 차단 브라켓(250)의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콤비스팀오븐 상판(501)에 홀(501a)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못할 경우 제1 수직 흡입덕트(212)의 수평도 및 수직도가 맞지않게 되어 원활한 개폐작용 및 공기 흡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도 4에서와 같이 제1 흡입덕트(210)의 제1 수직 흡입덕트(212)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이에 결합할 수 있는 제2 흡입덕트(270)를 별도로 제작하여 콤비스팀오븐 상판(501)에 결합한 후, 제1, 2 흡입덕트(210, 270)를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흡입덕트 연결관(280)을 이용해 결합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작동부(240)의 구동캠(241)과 맞닿아 모터(2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리미트 센서(S1)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미트 센서(S1)는 작동부(240)의 피스톤(243)이 정확한 위치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모터(2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터(220)에 의해 구동하는 작동부(240)가 정확하게 180°로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모터 샤프트(221)에 결합하는 스위치 캠(290)과 이 스위치 캠(290)의 가동을 센싱하기 위한 제2 리미트 센서(S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2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은 콤비스팀오븐(1000) 내부의 조리실(510)에서 스팀이 과포화상태일 경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스팀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실(510)의 내부 압력이 높아 양압이 형성되었을 경우 공기를 흡입하여야 하는 본 발명이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열림상태가 되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공기의 흡입이 필요할 경우에만 열려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리자가 설정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임의로 조작이 가능할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 콤비스팀오븐(1000) 제작시 탑재된 요리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한 가동순서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우선, 본 발명에서의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200)는 도 4에서와 같이 평상시에는 작동부(240)의 피스톤(243) 및 차단 브라켓(250)의 차단판(251)이 제1 밀폐부재(E1)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가이드 샤프트(260) 내에 삽입되어 있는 작동부(240)의 피스톤 로드(242) 및 이에 결합되어 있는 제2 밀폐부재(E2)도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콤비스팀오븐(1000)의 조리실(510)에서 발생한 열 및 스팀이 제1 흡입덕트(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럴 경우, 작동부(240)의 구동캠(241)은 피스톤 로드(242)가 최대 하사점에 위치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240)의 구동캠(241)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리미트 센서(S1)는 구동캠(241)의 최대 상사점과 최대 하사점 위치에 있는 것을 인지해 열림/닫힘을 판단하고, 제2 리미트 센서(S2)는 단순히 구동캠(241)이 최대 상사점 및 최대 하사점으로 이동한 상태만을 인지하도록 작동하며, 위와 같이 구동캠(241)이 피스톤 로드(242)가 최대 하사점에 있을 경우에는 제1, 2 리미트 센서(S1, S2)에 의해 모터(220)가 구동되지 않도록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한편, 콤비스팀오븐(1000)의 내에 탑재된 프로그램 상 조리실(510) 내부에 스팀이 과포화되는 과정일 경우에는 그에 맞춰 제어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모터(220)가 구동하게 되고, 모터(220)의 구동에 의해 모터 샤프트(221)에 결합되어 있던 작동부(240)의 구동캠(241) 및 스위치 캠(290)이 회전하게 된다.(도 5 참조.)
그러면, 작동부(240)의 구동캠(241)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242)가 상측 방향으로 수직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피스톤 로드(242)는 가이드 샤프트(26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일직선으로 수직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242)에 결합된 피스톤(243)이 상승하여 차단 브라켓(250)의 차단판(251)과 이격됨으로써 공간이 형성되어 제1 흡기덕트(210) 내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동캠(241)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242)가 최대 상사점에 도달하게 되면 제1, 2 리미트 센서(S1, S2)가 이를 인지하여 모터(22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흡기덕트(21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팬이 제1, 2 흡기덕트(210, 270)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흡입된 외부 공기에 의해 조리실(510) 내부에 있던 스팀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조리실(51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발명은 직접적인 개폐가 이루어지는 작동부(240)의 피스톤(243)이 모터(220), 구동캠(241)에 의해서만 작동하는 매커니즘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실(51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외부로 스팀 및 열풍이 배출되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열원의 미배출(스팀 및 열풍 미배출)은 콤비스팀오븐(1000)에 탑재된 요리 프로그래밍에 의해 본 발명이 정확하게 구동되도록 작용함으로써 조리자가 원하는 형태의 요리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230)을 콤비스팀오븐(1000)에 결합하지 않고 제1 흡입덕트(210)에 용접 결합하여 작동부(240) 및 차단 브라켓(250)의 축중심을 일치시킴으로써 작동부(240)의 구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한다.
즉, 상술한 브라켓(230)을 콤비스팀오븐(1000)에 결합할 경우 작동부(240)와의 이격거리가 상당하여 정밀한 가공을 하더라도 브라켓(230)이 열에 의한 변형 또는 콤비스팀오븐(1000)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체결부재(도면에 미도시)들의 체결력의 약화로 인해 작동부(240)의 구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작동 불량이 발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제1 흡입덕트(210)에 용접을 통해 브라켓(230)을 결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2 흡입덕트(210, 270)를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흡입덕트 연결관(280)을 이용하여 연결한 구조를 채택하여 가공의 용이성 및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만약, 상술한 제1 흡입덕트(210) 중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제1 수직 흡입덕트(210)를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제작하면 콤비스팀오븐 상판(501)에 홀(501a)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하여야만 제1 수직 흡입덕트(212)의 수직도를 맞출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제1 흡입덕트(210) 중 제1 수평 흡입덕트(211)의 일측은 콤비스팀오븐(1000)의 조리실(510) 내부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위와 같이 홀(501a)에 정확하게 형성하더라도 제1 수평 흡입덕트(211)의 설치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제1 수직 흡입덕트(270)의 수직도를 맞추기 어렵게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흡입덕트 제작시 조리실(510)에 결합하기 위한 제1 흡입덕트(210)와 콤비스팀오븐 상판(501)에 결합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제2 흡입덕트(270)를 각각 제작한 후 이를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흡입덕트 연결관(280)으로 연결하였다.
따라서, 제1 흡입덕트(210)는 다른 구성요소들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만 결합하고, 제2 흡입덕트(270)는 콤비스팀오븐 상판(501)에 수직도가 맞는 상태로 결합한 후 이를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흡입덕트 연결관(270)으로 연결하게 되면 수직도에 의한 공기흡입 효율성 및 원활한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제작과정이 보다 수월해지고,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감안하여 제작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00 : 콤비스팀오븐 501 : 콤비스팀오븐 상판 510 : 조리실 501a : 홀
200 : 콤비스팀오븐의 공기흡입관 개폐장치
210 : 제1 흡입덕트
211 : 제1 수평 흡입덕트 211a : 홀 212 : 제1 수직 흡입덕트
220 : 모터 221 : 모터 샤프트
230 : 브라켓
231 : 고정결합 브라켓 232 : 모터 결합 브라켓 233 : 센서결합 브라켓
240 : 작동부
241 : 구동캠 242 : 피스톤 로드 243 : 피스톤
250 : 차단 브라켓
251 : 차단판 252 : 로드 삽입홀
260 : 가이드 샤프트
270 : 제2 흡입덕트
280 :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흡입덕트 연결관
290 : 스위치 캠
E1 : 제1 밀폐부재 E2 : 제2 밀폐부재
S1 : 제1 리미트 센서 S2 : 제2 리미트 센서

Claims (5)

  1. 콤비스팀오븐(1000)의 조리실(510) 내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흡입덕트(210);
    상기 제1 흡입덕트(210)의 외측에 용접 결합되어 있으며, 모터 샤프트(221)를 포함하고 있는 모터(220)를 고정 결합하는 브라켓(230);
    상기 모터 샤프트(221)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캠(241)의 구동에 의해 가동하는 피스톤 로드(242) 및 피스톤 로드(242) 단부에 형성된 피스톤(243)으로 이루어진 작동부(240);
    상기 제1 흡입덕트(210) 내에 결합되며 작동부(240)의 피스톤(243)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 차단판(251)과 피스톤 로드(242)가 삽입되어 가동할 수 있는 로드 삽입홀(252)로 이루어진 차단브라켓(250);
    상기 브라켓(230)에는 작동부(240)의 구동캠(241) 하측에 형성되어 구동캠(241)의 최대 상사점과 최대 하사점 위치에 있는 것을 인지해 열림/닫힘을 판단해 모터(2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리미트 센서(S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
    상기 콤비스팀오븐(1000) 내부의 조리실(510)에서의 압력에 의해서는 작동하지 않으면서 모터(220)의 구동시에만 작동부(240)의 피스톤(243)이 차단 브라켓(250)의 차단판(251)과 접촉하거나 비접촉되어 개폐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240)의 피스톤(243) 하측면과 차단 브라켓(250)의 차단판(251) 상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밀폐성 및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밀폐부재(E1)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30)에는 작동부(240)의 피스톤 로드(242)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샤프트(260)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 샤프트(260)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 로드(242)에는 가이드 샤프트(260)의 내경으로 유입될 수 있는 스팀 및 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제2 밀폐부재(E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콤비스팀오븐(1000)에 형성된 콤비스팀오븐 상판(501)에는 제2 흡입덕트(270)가 더 구성되고, 제1, 2 흡입덕트(201, 270)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흡입덕트 연결관(280)에 의해 연결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
KR1020150116518A 2015-08-19 2015-08-19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 KR101708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518A KR101708485B1 (ko) 2015-08-19 2015-08-19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518A KR101708485B1 (ko) 2015-08-19 2015-08-19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485B1 true KR101708485B1 (ko) 2017-02-22

Family

ID=5831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518A KR101708485B1 (ko) 2015-08-19 2015-08-19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4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7279A (ja) * 1997-03-19 1998-10-09 Masahiko Watanabe スチームコンベクション
KR101024931B1 (ko) * 2010-10-26 2011-03-31 주식회사 효신테크 콤비 스팀 오븐의 흡입관 개폐장치
KR20110104276A (ko) * 2010-03-16 2011-09-22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전동제어용 밸브
KR101395839B1 (ko) * 2012-11-23 2014-05-15 주식회사 다에스 보일러 회수관용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7279A (ja) * 1997-03-19 1998-10-09 Masahiko Watanabe スチームコンベクション
KR20110104276A (ko) * 2010-03-16 2011-09-22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전동제어용 밸브
KR101024931B1 (ko) * 2010-10-26 2011-03-31 주식회사 효신테크 콤비 스팀 오븐의 흡입관 개폐장치
KR101395839B1 (ko) * 2012-11-23 2014-05-15 주식회사 다에스 보일러 회수관용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312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558575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
JP5551264B2 (ja) 浴室用暖房換気扇
KR20190077041A (ko) 밸브 조립체 및 조리기기
JP6450011B2 (ja) 空調用コンプレッサ向けの電気制御弁
EP3450857B1 (en) A white good
KR101708485B1 (ko) 콤비스팀오븐의 공기 흡입관 개폐장치
KR20180129593A (ko) 조리 기구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6700057U (zh) 食物料理机
CA2852429C (en) Linear slide damper system
US8158912B2 (en) Fan apparency arrangement for an appliance
JP5210425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チームオーブンの吸入管開閉装置
KR101675418B1 (ko) 환풍기용 전동댐퍼
WO2014003059A1 (ja) ダンパー開閉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熱調理器
CN219866319U (zh) 一种烹饪装置的控流阀及蒸烤烹饪装置和烹饪一体机
KR101218084B1 (ko) 실내 온수난방장치의 유량조절밸브
CN216346455U (zh) 一种吸油烟机的运动机构
KR101796561B1 (ko) 밸브의 직선 움직임을 직접 센싱하는 밸브 센서를 포함하는 egr 밸브
JP7337256B2 (ja) 温度検知装置及び該温度検知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298331Y1 (ko) 히터를 장착한 버터플라이형 스로틀밸브
KR101322717B1 (ko) 이알브이에 채택되는 에어 플랜지
CN219940318U (zh) 一种烹饪器具
KR20190111659A (ko) 리프트 가능한 공기 배출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1482128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5310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