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043B1 - 코어용접물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코어용접물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043B1
KR101708043B1 KR1020160094435A KR20160094435A KR101708043B1 KR 101708043 B1 KR101708043 B1 KR 101708043B1 KR 1020160094435 A KR1020160094435 A KR 1020160094435A KR 20160094435 A KR20160094435 A KR 20160094435A KR 101708043 B1 KR101708043 B1 KR 101708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eldment
fixing
welded
right cylin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치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치피
Priority to KR102016009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7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axis of the st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대(100)와,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용접물(1)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보관되어 있는 투입부(110)와, 상기 투입부(110) 후방에 설치되어 용접물(1)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수평이동실린더(120)와, 상기 투입부(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실린더(120)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온 용접물(1)을 고정하는 고정부(130)로 이루어진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에서 용접물(1)을 고정하는 코어용접물 고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110)에 보관된 용접물(1)을 수평이동실린더(120)로 고정부(130)에 투입시키는 1단계;
상기 고정부(130)에 형성된 좌, 우측실린더(132,133)로 용접물(1)을 고정하는 2단계;
상기 용접물(1)을 용접하는 3단계;
상기 좌, 우측실린더(132, 133)로 고정한 용접물(1)을 고정해제 하는 4단계;
상기 용접물(1)을 배출하는 5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은 자동용접장치에 의해 용접되는 용접물을 투입하고, 투입된 용접물을 고정하여 용접한 후, 용접물을 배출함으로써, 용접물의 불량이 적고, 작업속도가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어용접물 고정방법{Fixing method for core weldment}
본 발명은 코어용접물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용접장치에 의해 용접되는 용접물을 투입하고, 투입된 용접물을 고정하여 용접한 후, 용접물을 배출하는 코어용접물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2821호의 용접물 클램핑장치에 의하면, 용접물을 용접하게 위해서는 클램핑장치 등의 도움을 받아 용접기간과 용접기간을 전.후한 일정기간 동안 용접물이 움직이거나 유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히 잡아주게된다.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2821호의 용접물 클램핑장치에 의하면, 용접공간(64)이 중앙부부에 형성된 지지판(62)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클램프(74)(76)(78)와, 지지판(62)의 저부에 고정되는 연결링(66)에 축설치되는 회전판(70)과, 회전판(70)을 정역회전시키는 에어실린더(130)와, 회전판(70)과 복수 개의 클램프(74)(76)(78)를 연결시켜 회전판(70)의 정역회전 상태에 따라 복수 개의 클램프(74)(76)(78)를 동시에 전.후진 운동시키는 링크(92)(98)와, 복수 개의 클램프(74)(76)(78) 선단에 고정되는 V 블럭(102)과, V 블럭(102)의 선단에 설치되는 아이들롤러 및 접지전극로 구성하여서 된 용접물 클램핑장치라고 공개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80545호의 용접 물 고정장치에 의하면, 통상의 자력장치(5, 5')를 부착한 두 윗판(2, 2')을 두 옆판(1, 1')양쪽 끝에 끼워 넣고 두 고정핀(7, 7')으로 두 윗판(2, 2')와 두 옆판(1, 1')을 일체로 되게 고정한 것에, 나사(8, 8')를 끼울 수 있는 암나사 구멍(12, 12') 2개에 나사(8, 8')가 끼워진 중간판(3)을 두 옆판(1, 1')의 사이에 끼우고 작은나사(14)로 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물 고정장치라고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접물 고정장치들은 용접물의 고정이 불안정하고 용접물을 고정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고정장치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자동용접장치에 의해 용접되는 용접물을 투입하고, 투입된 용접물을 고정하여 용접한 후, 용접물을 배출함으로써, 용접물의 불량이 적고, 작업속도가 향상되는 코어용접물 고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대(100)와,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용접물(1)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보관되어 있는 투입부(110)와, 상기 투입부(110) 후방에 설치되어 용접물(1)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수평이동실린더(120)와, 상기 투입부(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실린더(120)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온 용접물(1)을 고정하는 고정부(130)로 이루어진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에서 용접물(1)을 고정하는 코어용접물 고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110)에 보관된 용접물(1)을 수평이동실린더(120)로 고정부(130)에 투입시키는 1단계;
상기 고정부(130)에 형성된 좌, 우측실린더(132,133)로 용접물(1)을 고정하는 2단계;
상기 용접물(1)을 용접하는 3단계;
상기 좌, 우측실린더(132, 133)로 고정한 용접물(1)을 고정해제 하는 4단계;
상기 용접물(1)을 배출하는 5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용접장치에 의해 용접되는 용접물을 투입하고, 투입된 용접물을 고정하여 용접한 후, 용접물을 배출함으로써, 용접물의 불량이 적고, 작업속도가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의 스토핑장치 사진.
도 5는 본 발명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의 용접물 사진.
도 6은 본 발명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 평면도.
본 발명은 작업대(100)와,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용접물(1)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보관되어 있는 투입부(110)와, 상기 투입부(110) 후방에 설치되어 용접물(1)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수평이동실린더(120)와, 상기 투입부(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실린더(120)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온 용접물(1)을 고정하는 고정부(130)로 이루어진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에서 용접물(1)을 고정하는 코어용접물 고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110)에 보관된 용접물(1)을 수평이동실린더(120)로 고정부(130)에 투입시키는 1단계;
상기 고정부(130)에 형성된 좌, 우측실린더(132,133)로 용접물(1)을 고정하는 2단계;
상기 용접물(1)을 용접하는 3단계;
상기 좌, 우측실린더(132, 133)로 고정한 용접물(1)을 고정해제 하는 4단계;
상기 용접물(1)을 배출하는 5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부는 용접물이 적층되되, 투입부에는 센서가 설치되어 일정높이 이상 용접물이 적층되어 있지 않으면 1단계가 진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실린더(120)와 좌, 우측실린더(132, 133)에는 각각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이동실린더(120)와 좌, 우측실린더(132, 133)가 용접물(1)을 고정시키면, 상기 수평이동실린더(120)와 좌, 우측실린더(132, 133)에 각각 설치된 센서가 메인컨트롤유닛으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메인컨트롤유닛은 3단계를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의 스토핑장치 사진, 도 5는 본 발명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의 용접물 사진, 도 6은 본 발명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작업대(100)와,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용접물(1)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보관되어 있는 투입부(110)와, 상기 투입부(110) 후방에 설치되어 용접물(1)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수평이동실린더(120)와, 상기 투입부(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실린더(120)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온 용접물(1)을 고정하는 고정부(130)로 이루어진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에서 용접물(1)을 고정하는 코어용접물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코어용접물 고정장치로 용접물(1)을 고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투입부에는 용접물을 복수개 적층하여 보관하고, 상기 투입부(110)의 최하단에 보관된 용접물(1)은 수평이동실린더(120)로 고정부(130)에 투입된다.
상기 고정부(130)에는 좌, 우측실린더(132,133)가 형성되고, 상기 좌, 우측실린더로 용접물(1)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수평이동실린더의 로드가 용접물의 후방에서 용접물을 밀어주고, 용접물의 전방에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어, 용접물은 전, 후, 좌, 우측이 모두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용접물은 육면체 형상으로써 후면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용접물의 전, 후, 좌, 우측을 고정할 시, 상기 용접물의 개구부에는 수평이동실린더의 로드가 삽입됨으로써, 용접물의 상, 하부도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에서 용접물이 고정되면, 관용의 자동 용접장치로 용접물(1)을 스팟용접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 용접장치로 용접물을 용접한 후에는 좌, 우측실린더(132, 133) 및 수평이동실린더로 고정한 용접물(1)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때, 상기 수평이동실린더의 로드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부에 위치하던 용접된 용접물은 작업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투입부의 최하단에는 용접되지 않은 용접물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에 의해 용접물을 고정부에 투입하고, 고정부로 투입된 용접물을 고정하여 용접한 후, 용접물을 배출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투입부에는 용접물이 적층되어 있되, 상기 투입부에는 거리센서 또는 위치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투입부에 일정높이 이상 용접물이 적층되어 있지 않으면 수평이동실린더가 작동하지 않아 투입부에 보관된 용접물은 고정부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투입부에 적층되어 있는 용접물이 투입부에서 일정높이 이상 적층되면, 상기 투입부에 설치된 거리센서 또는 위치센서가 메인컨트롤유닛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메인컨트롤유닛은 수평이동신린더에 신호를 전달하여 수평이동실린더를 작동시킨다.
이에, 상기 투입부에 적층되어 있는 용접물은 수평이동실린더에 의해 고정부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실린더(120)와 좌, 우측실린더(132, 133)에는 각각 거리센서 또는 위치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이동실린더(120)와 좌, 우측실린더(132, 133)가 용접물(1)을 고정시키면, 상기 수평이동실린더(120)와 좌, 우측실린더(132, 133)에 각각 설치된 거리센서 또는 위치센서가 메인컨트롤유닛으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메인컨트롤유닛은 자동용접장치에 신호를 보내어 용접물을 용접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수평이동실린더와 좌, 우측실린더가 용접물을 고정하지 못하면, 상기 거리센서 또는 위치센서는 메인컨트롤유닛에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여 자동용접장치는 용접물에 용접을 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코어용접물 고정방법에 사용되는 코어용접물 고정장치는 작업대(100)의 상면에 용접물(1)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보관되는 투입부(110)가 설치되고, 상기 투입부(110)의 후방에는 투입부(110)의 최하단에 적층된 용접물(1)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수평이동실린더(120)가 설치된다.
상기 투입부(110)의 전방에는 수평이동실린더(120)에 의해 밀려온 용접물(1)을 용접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0)가 설치된다.
상기 투입부는 용접물을 복수 개로 적층하여 보관하는 것으로, 상부로 길이가 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투입부의 상부는 개구되어 용접물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투입부의 최하단부의 전, 후면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수평이동실린더의 로드가 투입부를 관통하여 직선이동된다.
이에, 상기 투입부에 보관된 용접물은 수직이동실린더에 의해 고정부로 이송된다.
상기 수직이동실린더는 공기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로서, 0.5∼0.9bar의 공기압이 사용된다.
상기 수직이동실린더에 공급되는 공기압이 0.5bar 미만이면 용접물이 고정부로 완전히 이동되지 못하여 다음 공정을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수직이동실린더로 공급되는 공기압이 0.9bar 초과하면 고정부로 이송된 용접물이 스토퍼에 접촉하는 힘이 과하여 스토퍼 또는 용접물이 파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에는 거리센서 또는 위치센서가 설치되어 투입부에 용접물이 적층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30)는 수평이동실린더(120)에 의해 밀려온 용접물(1)이 전방측으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131)와, 상기 스토퍼(131)에 의해 진행이 멈추어진 용접물(1)의 좌, 우측면을 지지하는 좌, 우측실린더(132, 133)로 구성된다.
상기 좌, 우측실린더는 공기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로서, 0.5∼0.9bar의 공기압이 사용된다.
상기 좌, 우측실린더에 공급되는 공기압이 0.5bar 미만이면 좌, 우측실린더가 용접물을 고정하는 힘이 약하여 용접시 불량품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좌, 우측실린더로 공급되는 공기압이 0.9bar 초과하면 좌, 우측실린더가 용접물을 고정하는 힘이 강하여 용접물이 파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 우측실린더에는 거리센서 또는 위치센서가 설치되어 고정부에 용접물이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30)에는 용접물(1)의 용접작업 완료 후, 수평이동실린더(120)의 로드(121)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용접물(1)이 로드(121)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핑장치(134)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핑장치(134)는 용접물(1)이 진행하는 방향의 일측면에 용접물(1)이 전방으로 진행하면 용접물(1)의 측면에 접촉되어 용접물(1)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걸림부재(134-1)가 작업대(100)의 상면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걸림부재는 작업대의 상면에 힌지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외주연에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용접물에 직접 접촉하는 돌기(32)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기(32)의 후면은 라운드가 형성되어, 용접물의 전진 시 용접물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용접물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돌기(32)의 후면 라운드 각도는 120°∼150°가 적정하다.
상기 돌기(32)의 전면은 용접물이 전진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로드가 후방으로 이동할 시 용접물의 후방에 접촉하여 용접물이 로드를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게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134-1)의 전면에는 스프링(134-2)의 일단이 고정되고, 스프링(134-2)의 타단은 지지부재(134-3)에 고정되어 용접물(1)이 걸림부재(134-1)를 지나치고 나면 스프링(134-2)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부재(134-1)는 원위치로 돌아감으로써 용접물(1)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상기 용접물(1)이 고정되는 고정부가(130) 설치된 작업대(100)에는 용접물(1)의 용접이 완료된 후, 용접물(1)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40)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40)의 하부에는 배출구(140)를 통해 하부로 낙하하는 용접물(1)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141)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 걸림부재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힌지결합된 걸림부재의 몸체(31)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 일측에 돌출형성된 돌기(32)는 후면에 라운드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에 형성된 라운드는 변곡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변곡점(A)을 기준으로 용접물의 이동시 용접물이 먼저 접촉하는 부분을 후단(32-1)이라 하고, 용접물이 나중에 접촉하는 부분을 전단(32-2)이라 지정하며, 상기 돌기의 전단에 형성된 라운드 각도는 돌기의 후단에 형성된 라운드 각도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돌기의 후단에 형성된 라운드 각도는 42~47° 정도이고, 상기 돌기의 전단에 형성된 라운드 각도는 55~65°정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로 다른 곡률이 형성된 돌기는 용접물의 이동속도에 따라 용접물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용접물의 이동속도가 빠르면 돌기의 후단에 형성된 돌기가 용접물에 먼저 접촉하도록 몸체에서 돌출된다.
반대로, 용접물의 이동속도가 느리면 돌기의 후단에 형성된 돌기는 용접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몸체 내부로 이동한다.
즉,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는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는 복수 개의 고정축(40)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에는 돌기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에는 몸체의 상, 하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장홀(31-1)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장홀은 용접물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장홀에는 각각 고정축(40)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에는 돌기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의 양 끝단부는 상기 장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장홈을 관통한 고정축의 양 끝단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축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투입부에서 고정부로 이동되는 용접물의 이동속도에 따라 돌기의 곡률을 변경함으로써 용접물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걸림부재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힌지결합된 걸림부재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 일측에 돌출형성된 돌기는 세 개로 이루어지며 힌지회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세 개의 돌기는 각각 후면에 형성된 라운드의 각도가 서로 다른 것으로, 라운드 각도가 서로 다른 세 개의 돌기는 몸체에 적층되어 결합된 채 각각 회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는 세 개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는 힌지축이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에는 곡률이 서로 다른 세 개의 돌기가 적층되어 결합된다.
상기 몸체는 상면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되, 상기 홀은 몸체에 형성된 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곡률이 서로 다른 세 개의 돌기에도 각각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몸체에 힌지결합된 세 개의 돌기 중 하나를 회동시켜 몸체 밖으로 꺼낸 후,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홀과 몸체 외부로 돌출된 돌기에 형성된 홀을 일치시킨 후 핀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몸체 내부에 삽입된 나머지 돌기는 돌기에 형성된 홈과 몸체에 형성된 홀을 일치시킨 후 핀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라운드 각도가 서로 다른 세 개의 돌기는 용접물이 고정부로 이동되는 이동속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용접물의 이동속도가 빠를 때에는 라운드 각도가 적은 돌기를 사용한다.
반대로, 용접물의 이동속도가 느릴 때에는 라운드 각도가 큰 돌기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몸체에 힌지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세 개의 돌기는 힌지축이 좌, 우로 이동가능한 것으로, 상기 몸체에는 용접물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에는 힌지축이 삽입되어 있어 장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 하를 관통하도록 장홀이 형성되고, 힌지축의 양 끝단부가 상기 장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장홈을 관통한 힌지축의 양 끝단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힌지축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투입부에서 고정부로 이동되는 용접물의 이동속도에 따라 돌기를 교체하여 라운드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용접물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용접장치에 의해 용접되는 용접물을 투입하고, 투입된 용접물을 고정하여 용접한 후, 용접물을 배출함으로써, 용접물의 불량이 적고, 작업속도가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 용접물 A : 변곡점
31 : 몸체 32 : 돌기
31-1 : 장홀 32-1 : 후단
32-2 : 전단 40 : 고정축
50 : 회전축 60 : 핀
100 : 작업대 110 : 투입부
120 : 수평이동실린더 121 : 로드
130 : 고정부 131 : 스토퍼
132 : 좌측실린더 133 : 우측실린더
134 : 스토핑장치 134-1 : 걸림부재
134-2 : 스프링 134-3 : 지지부재
140 : 배출구 141 : 슬라이드

Claims (3)

  1. 작업대(100)와,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용접물(1)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보관되어 있는 투입부(110)와, 상기 투입부(110) 후방에 설치되어 용접물(1)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수평이동실린더(120)와, 상기 투입부(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실린더(120)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온 용접물(1)을 고정하는 고정부(130)로 이루어진 코어용접물 고정장치에서 용접물(1)을 고정하는 코어용접물 고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110)에 보관된 용접물(1)을 수평이동실린더(120)로 고정부(130)에 투입시키는 1단계;
    상기 고정부(130)에 형성된 좌, 우측실린더(132,133)로 용접물(1)을 고정하는 2단계;
    상기 용접물(1)을 용접하는 3단계;
    상기 좌, 우측실린더(132, 133)로 고정한 용접물(1)을 고정해제 하는 4단계;
    상기 용접물(1)을 배출하는 5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투입부(110)는 용접물(1)이 적층되되, 투입부(110)에는 센서가 설치되어 일정높이 이상 용접물(1)이 적층되어 있지 않으면 1단계가 진행되지 않는 것이며,
    상기 수평이동실린더(120)와 좌, 우측실린더(132, 133)에는 각각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이동실린더(120)와 좌, 우측실린더(132, 133)가 용접물(1)을 고정시키면, 상기 수평이동실린더(120)와 좌, 우측실린더(132, 133)에 각각 설치된 센서가 메인컨트롤유닛으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메인컨트롤유닛은 3단계를 진행시키는 것이며,
    또한, 상기 고정부(130)에는 용접물(1)의 용접작업 완료 후, 수평이동실린더(120)의 로드(121)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용접물(1)이 로드(121)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핑장치(134)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스토핑장치(134)는 용접물(1)이 진행하는 방향의 일측면에 용접물(1)이 전방으로 진행하면 용접물(1)의 측면에 접촉되어 용접물(1)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걸림부재(134-1)가 작업대(100)의 상면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재(134-1)의 전면에는 스프링(134-2)의 일단이 고정되고, 스프링(134-2)의 타단은 지지부재(134-3)에 고정되어 용접물(1)이 걸림부재(134-1)를 지나치고 나면 스프링(134-2)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부재(134-1)는 원위치로 돌아감으로써 용접물(1)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걸림부재(134-1)는 작업대의 상면에 힌지결합된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외주연 일측에 돌출형성된 돌기(32)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기(32)는 후면에 라운드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32)에 형성된 라운드는 변곡점(A)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기(32)는 변곡점(A)을 기준으로 용접물(1)의 이동시 용접물(1)이 먼저 접촉하는 부분을 후단(32-1)이라 하고, 용접물(1)이 나중에 접촉하는 부분을 전단(32-2)이라 지정하며, 상기 돌기(32)의 전단(32-2)에 형성된 라운드 각도는 돌기(32)의 후단(32-1)에 형성된 라운드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용접물 고정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60094435A 2016-07-25 2016-07-25 코어용접물 고정방법 KR101708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435A KR101708043B1 (ko) 2016-07-25 2016-07-25 코어용접물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435A KR101708043B1 (ko) 2016-07-25 2016-07-25 코어용접물 고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043B1 true KR101708043B1 (ko) 2017-02-17

Family

ID=5826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435A KR101708043B1 (ko) 2016-07-25 2016-07-25 코어용접물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0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6829A (zh) * 2017-05-03 2017-07-25 郴州金通信息科技有限公司 气缸推料机构
CN110304439A (zh) * 2019-07-26 2019-10-08 大连奥托股份有限公司 一种人工堆叠协作自动上件设备
CN116748680A (zh) * 2023-08-16 2023-09-15 发那驰激光科技(山东)有限公司 一种激光智能焊接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722B1 (ko) * 2014-02-21 2015-05-15 윤희영 파레트 모서리용 보강구에 대한 연결대 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722B1 (ko) * 2014-02-21 2015-05-15 윤희영 파레트 모서리용 보강구에 대한 연결대 용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6829A (zh) * 2017-05-03 2017-07-25 郴州金通信息科技有限公司 气缸推料机构
CN110304439A (zh) * 2019-07-26 2019-10-08 大连奥托股份有限公司 一种人工堆叠协作自动上件设备
CN116748680A (zh) * 2023-08-16 2023-09-15 发那驰激光科技(山东)有限公司 一种激光智能焊接方法及系统
CN116748680B (zh) * 2023-08-16 2023-11-03 傲创激光科技(山东)有限公司 一种激光智能焊接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045B1 (ko) 코어용접물 고정장치
KR101708043B1 (ko) 코어용접물 고정방법
US2850926A (en) Vise
KR20170091205A (ko) 원 웨지 센터링 유압척
CN212665672U (zh) 一种夹持机构及钢管全自动倒角设备
KR101015070B1 (ko) 커넥팅로드의 보링 홀 가공기
CN108994615B (zh) 一种净水机弯管接头自动装配设备
US9937571B2 (en) Shuttle system to move strapped/bundled material for sawing
EP0395421B1 (en) Feed device of welding bolt
TWI606875B (zh) 具有自動裝載系統之彎管機以及用於將管件自動裝載於彎管機的彎曲頭上之方法
CN109926814A (zh) 一种自动对嵌入式电源锁螺丝的设备
JP4010502B2 (ja) 溶接ボルト供給方法と装置
JP2012091244A (ja) 棒状ワーク把持装置及び棒状ワーク把持装置におけるスクロール盤の回転規制解除方法
CN213053745U (zh) 一种用于圆形工件的夹紧装置
KR20180114700A (ko) 소재의 외경치수 및 길이 측정이 가능한 자동 소재공급장치
JPH02279245A (ja) クランプ装置
US10759025B2 (en) Positive interlock network (PIN) vise and mold
CN208083854U (zh) 一种钢管加工系统
JP2564240Y2 (ja) 溶接ナット送給装置
CN216888735U (zh) 一种门板锁扣焊接系统
CN212372023U (zh) 一种重型工件180°辅助翻转机构
CN215699307U (zh) 一种金属加工用自动点焊装置
CN220030091U (zh) 一种快速穿件机
CN115319254B (zh) 焊接机
JP3384147B2 (ja) 位置決め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