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466B1 - 일회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일회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466B1
KR101707466B1 KR1020160066970A KR20160066970A KR101707466B1 KR 101707466 B1 KR101707466 B1 KR 101707466B1 KR 1020160066970 A KR1020160066970 A KR 1020160066970A KR 20160066970 A KR20160066970 A KR 20160066970A KR 101707466 B1 KR101707466 B1 KR 101707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cup
width
disposable
disposabl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훈
박미애
Original Assignee
박일훈
박미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훈, 박미애 filed Critical 박일훈
Priority to KR102016006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466B1/ko
Priority to PCT/KR2017/000348 priority patent/WO201720936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7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insulating sleeves or jackets for cans, bottles, barrels, et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023/0275Glass or bottle hold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47G2023/0283Glass or bottle hold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for one glass or cup
    • A47G2023/0291Glass or bottle hold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for one glass or cup flexible sleeves or j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뜨겁거나 차가운 내용물인 음료가 담기어진 컵을 간단히 컵홀더에 끼운 다음 손가락으로 안전하게 들고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개된 상태에서 부채꼴형상으로 이루어진 판형부재(110)의 일측단부에 접착부(111)가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111)에 접착되어 결합되는 결합부(112)가 판형부재(110)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2)에 접착부(111)를 접착시킨 상태에서 접혀지도록 유도하는 제1절취선(113)과 제2절취선(114)이 각각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11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12)의 단부 외측으로 연장편(120)이 연장되고, 상기 연장편(120)의 일측부가 삽입되는 인입출공(130)이 접착부(111)가 형성된 판형부재(110)의 일측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일회용 컵홀더{Disposable cup holder}
본 발명은 일회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뜨겁거나 차가운 내용물인 음료가 담기어진 컵을 간단히 컵홀더에 끼운 다음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손잡이가 없는 예컨대 일회용 종이컵 또는 일회용 플라스틱 컵은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일회용 종이컵은 길거리나 휴게소 등에서 커피나 음료수 등을 판매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자동 판매기에서는 모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한 일회용 종이컵은 음료를 담기 위해 그 내면에 비닐이 코팅되어 있고, 상부가 넓은 직경을 갖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일회용 종이컵 또는 플라스틱 컵은 그 외주면에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음료를 마실 때에는 직접 손으로 컵을 잡아야 한다.
이에 따라 음료가 예컨대 커피와 같이 뜨거운 음료인 경우에는 손잡이가 없어 컵을
직접 들고 있기 어려워 음료의 온도가 어느 정도 떨어질 때까지 기다린 후에 음료를 섭취하는 경우도 있어 음료 고유의 맛을 즐기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일회용 종이컵 및 플라스틱 컵은 그 소재의 특성상 변형이 잘 되기 때문에 이들 컵을 직접 손으로 잡을 경우 손의 힘으로 이들 컵을 압축함에 따라 음료가 넘쳐 흘리는 경우가 있고, 약간의 흔들림에도 음료가 넘쳐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손, 옷, 또는 지면 등이 음료에 의해 오염 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뜨거운 음료의 경우에는 음료를 마실 때 직접 입이 닿는 컵의 상단을 손으로 직접 잡게 되므로 비위생적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음료수가 담긴 컵의 외주연부에 열기를 차단할 수 있는 보조수단을 장착하여 제공하고 있다.
상기한 뜨거운 음료수를 마시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컵홀더가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컵홀더는 두터운 종이를 원통형으로 권취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원통형으로 권취한 컵홀더의 경우, 손잡이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안정적인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44745호에 기재되어있는 바와 같이, 상광하형 형상의 삽입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홀더본체와, 상기 홀더본체의 일측면에 절첩가능하게 절개 형성된 제1고리와, 상기 제1고리와 대향되게 홀더본체의 일측면에 절첩가능하게 절개 형성된 제2고리로 형성된 손잡이가 내장된 컵홀더를 개발하여, 상기 홀더본체 일측면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뜨겁거나 차가운 내용물이 담겨진 컵을 안정적으로 들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도 홀더본체의 일측면에 손잡이를 형성시켜 사용시,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고 있는 손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컵홀더의 외측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엄지손가락을 삽입시켜 안정적으로 음료와 같은 내용물이 담기어진 컵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에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손가락과 손바닥을 자유 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회용 컵홀더는 전개된 상태에서 부채꼴형상으로 이루어진 판형부재(110)의 일측단부에 접착부(111)가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111)에 접착되어 결합되는 결합부(112)가 판형부재(110)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2)에 접착부(111)를 접착시킨 상태에서 접혀지도록 유도하는 제1절취선(113)과 제2절취선(114)이 각각 형성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발명은 상기 판형부재(11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12)의 단부 외측으로 연장편(120)이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120)의 일측부가 삽입되는 인입출공(130)이 접착부(111)가 형성된 판형부재(110)의 일측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연장편(120)은 결합부(112)에 위치하는 방향의 폭(P1)이 결합부(112)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폭(P2)보다 길게 되도록 테이퍼진 경사진 상태로 연장 형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접착부(111)가 형성된 판형부재(110)의 일측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인입출공(130)으로 연장편(120)의 일측부가 삽입되다가 상기 연장편(120)의 폭이 상기 인입출공(130)의 폭(P3)과 동일한 위치에서 멈추면서 상기 연장편(120)과 판형부재(110)사이의 공간부가 상, 하부로 뚫린 상태로 엄지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삽입공(140)이 형성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인입출공(130)에 일측부가 인입되는 연장편(120)의 하부에는 손가락의 상부면에 안전하게 놓여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복 수개의 안착홈(1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장편(120)의 일측부를 인입출공(130)으로 삽입시켜 삽입공(140)이 형성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도 8에서와 같이 삽입공(140)에 엄지 손가락을 삽입시키지 않고 손가락의 상면의 지지를 받으며 컵(200)을 협지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뜨겁거나 차가운 내용물이 담겨지는 컵을 간단히 컵홀더에 끼운 상태에서 손가락을 끼워 파지할 수 있는 삽입공을 컵홀더의 외측부에 형성하여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컵홀더의 외측부에 형성시킨 삽입공에 엄지 손가락을 삽입시켜 안정적으로 음료와 같이 뜨겁거나 차가운 내용물이 담기어진 컵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에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다른 손가락과 손바닥을 자유 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일회용 컵홀더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일회용 컵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일회용 컵홀더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인 일회용 컵홀더에 컵이 결합된 사용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일회용 컵홀더에 컵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회용 컵홀더에 컵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회용 컵홀더의 실시예를 보인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회용 컵홀더의 실시예에 컵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일회용 컵홀더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일회용 컵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일회용 컵홀더의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일회용 컵홀더에 컵이 결합된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일회용 컵홀더에 컵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회용 컵홀더에 컵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회용 컵홀더의 실시예를 보인 전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회용 컵홀더의 실시예에 컵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다.
본 발명의 일회용 컵홀더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부채꼴형상으로 이루어진 판형부재(110)의 일측단부에 접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111)에 접착되어 결합되는 결합부(112)가 판형부재(110)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2)에 접착부(111)를 접착시킨 상태에서 접혀지도록 유도하는 제1절취선(113)과 제2절취선(114)이 간격을 유지하며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판형부재(11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12)의 단부 외측으로 연장편(120)이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120)의 일측부가 삽입되는 인입출공(130)이 접착부(111)가 형성된 판형부재(110)의 일측부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편(120)은 결합부(112)에 위치하는 방향의 폭(P1)이 결합부(112)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폭(P2)보다 길게되도록 테이퍼진 상태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접착부(111)가 형성된 판형부재(110)의 일측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인입출공(130)으로 연장편(120)의 일측부가 삽입되다가 상기 연장편(120)의 폭이 상기 인입출공(130)의 폭(P3)과 동일한 위치에서 멈추면서 상기 연장편(120)과 판형부재(110)사이의 공간부가 상, 하부로 뚫린 상태로 엄지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삽입공(140)이 형성됨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부채꼴형상으로 이루어진 판형부재(110)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접착부(111)를 판형부재(11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12)에 접착시키는 것에 의해 컵홀더(10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판형부재(110)의 결합부(112)에 접착부(111)가 접착되는 것에 의해 상단 내측부분과 하단 내측부분이 연통되고 상광하협 형상의 개방구(150)가 형성되어 지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12)의 단부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편(120)은 접착부(111)가 결합부(112)에 접착되어 지는 것에 의해 판형부재(110)의 일측 외측면에 위치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이 완료된 컵홀더(100)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과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112)에 접착부(111)가 접착된 원통형 형상의 판형부재(110)를 제1절취선(113)과 제2절취선(114)을 따라 접어주는 것에 의해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로 보관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절취선(113)과 제2절취선(114)을 따라 접혀지면서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로 컵홀더(100)에 컵을 결합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와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판형부재(110)를 제1절취선(113)과 제2절취선(114)을 따라 펼쳐 개방구(150)가 벌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개방구(150)를 벌린 후에는 결합부(112)의 단부 외측으로 연장 되어있는 연장편(120)의 일측부를 판형부재(110)의 일측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인입출공(130)을 통해 개방구(150)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시켜 잡아당기면 컵홀더(100)의 외측부에 엄지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하는 삽입공(1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인입출공(130)을 통해 개방구(150)에 삽입되는 연장편(120)의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판형부재(110)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삽입공(140)의 내경이 변화되어 지게 됨으로써, 컵홀더(100)를 사용하고자는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 크기에 알맞은 크기의 삽입공(140)이 형성되도록 인입출공(130)을 통해 개방구(150)의 내부로 연장편(120)의 일측부를 잡아당기면 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출공(130)을 통해 개방구(150)의 내부로 연장편(120)을 삽입시킨 후에는 개방구(15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용물이 들어있는 컵(200)을 컵홀더(100)의 내측에 삽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방구(150) 내측으로 삽입이 이루어진 연장편(120)의 일측면은 개방구(150)의 내측 벽면에, 타측면은 개방구(150)의 내측으로 삽입이 이루지면서 수용되는 컵(20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인입출공(130)을 통해 개방구(150) 내측으로 삽입이 이루어진 연장편(120)은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컵홀더(100)에 컵(200)을 결합시킨 후에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삽입공(140)에 엄지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손바닥과 나머지 손가락으로 컵홀더(100)의 외측면을 전체적으로 파지하면서 뜨겁거나 차가운 내용물의 음료가 담기어진 컵(200)을 엄지손가락만의 힘으로도 안전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손가락과 손바닥을 컵홀더(100)의 외측면에 접촉시키면서 컵(200)을 들고 다니던 중, 상기 컵(200)을 들고 있는 손을 이용하여 휴대전자기기와 같은 휴대중인 물건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컵(200)이 결합 되어있는 컵홀더(100)가 손등방향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컵홀더(100)의 외측부에 형성되어있는 삽입공(140)에 엄지손가락을 끼워주는 것에 의해, 상기 컵(200)이 결합되어 있는 컵홀더(100)가 손등에 위치된 상태로 들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컵홀더(100)의 삽입공(140)에 삽입이 이루어진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네개의 손가락과 손바닥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휴대전자기기등과 같은 휴대중인 물건을 들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컵홀더(100)를 파지하고있는 손을 자유스럽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컵홀더(100)의 판형부재(110)에 형성된 연장편(120)의 하부에는 도 7과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손가락의 상부면에 안전하게 놓여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안착홈(12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장편(120)의 일측부를 인입출공(130)에 삽입시켜 삽입공(140)이 형성되도록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장편(120)의 하부에 형성된 안착홈(121)에 손가락의 등부분이 접촉되도록 한 후 나머지 손가락으로 컵홀더(100)의 외측면을 잡아주는 것에 의해 컵(200)이 수용되어있는 컵홀더(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접착부(111)가 형성된 판형부재(110)의 일측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인입출공(130)은 연장편(120)의 일측부가 삽입되다가 상기 연장편(120)의 폭이 상기 인입출공(130)의 폭(P3)과 동일한 위치에서 멈추면서 상기 연장편(120)과 판형부재(110)의 인입출공(130)사이의 공간부가 상, 하부로 뚫린 상태로 엄지손가락을 끼울수 있는 삽입공(140)이 형성되기 때문에 누구나 손쉽게 엄지손가락 삽입공(140)이 컵홀더(100)의 외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컵홀더(100)의 외측부에 형성된 삽입공(140)에 엄지 손가락을 끼워넣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용물이 담겨있는 컵(200)이 개방구(150)에 인입된 상태에서 컵홀더(100)를 쉽게 파지하면서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100 : 컵홀더 110 : 판형부재
111 : 접착부 112 : 결합부
113 : 제1절취선 114 : 제2절취선
120 : 연장편 121 : 안착홈
130 : 인입출공 140 : 삽입공
P1,P2 : 폭 P3 : 인입출공의 폭

Claims (4)

  1. 전개된 상태에서 부채꼴형상으로 이루어진 판형부재(110)의 일측단부에 접착부(111)가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111)에 접착되는 결합부(112)가 판형부재(110)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2)에 접착부(111)를 접착시킨 상태에서 접혀지도록 유도하는 제1절취선(113)과 제2절취선(114)을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판형부재(11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12)의 단부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편(120)이 접착부(111)가 형성된 판형부재(110)의 일측부에 관통된 인입출공(130)으로 삽입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연장편(120)은 결합부(112)에 위치하는 방향의 폭(P1)이 결합부(112)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폭(P2)보다 길게 되도록 테이퍼지게 하여 상기 인입출공(130)으로 연장편(120)의 일측부가 삽입되다가 상기 연장편(120)의 폭이 상기 인입출공(130)의 폭(P3)과 동일한 위치에서 멈추면서 상기 연장편(120)과 인입출공(130)사이의 공간부가 상, 하부로 뚫린 엄지손가락 삽입공(14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홀더.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입출공(130)에 일측부가 인입되는 연장편(120)의 하단에 복 수개의 안착홈(121)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홀더.
KR1020160066970A 2016-05-31 2016-05-31 일회용 컵홀더 KR101707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970A KR101707466B1 (ko) 2016-05-31 2016-05-31 일회용 컵홀더
PCT/KR2017/000348 WO2017209369A1 (ko) 2016-05-31 2017-01-11 일회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970A KR101707466B1 (ko) 2016-05-31 2016-05-31 일회용 컵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466B1 true KR101707466B1 (ko) 2017-02-16

Family

ID=5826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970A KR101707466B1 (ko) 2016-05-31 2016-05-31 일회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4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713U (ko) * 2009-10-08 2011-04-14 김세훈 컵 홀더
KR20130006673U (ko) * 2012-05-11 2013-11-20 주식회사 다온에프앤씨 일회용 컵슬리브
KR20150010423A (ko) * 2013-07-19 2015-01-2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컵 슬리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713U (ko) * 2009-10-08 2011-04-14 김세훈 컵 홀더
KR20130006673U (ko) * 2012-05-11 2013-11-20 주식회사 다온에프앤씨 일회용 컵슬리브
KR20150010423A (ko) * 2013-07-19 2015-01-2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컵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467B1 (ko) 일회용 컵홀더
KR101456387B1 (ko) 식품 및 음료 용기
KR101707466B1 (ko) 일회용 컵홀더
JP7104990B2 (ja) 熱伝導防止板が備えられた紙コップ
KR200382710Y1 (ko) 컵 홀더
KR200258661Y1 (ko) 휴대용 종이컵 홀더
TW201717817A (zh) 啜飲吸管系統及使用方法
TW200925065A (en) Holder
US20040070224A1 (en) Hand-held magnetic coin-retrieval tool
WO2017209369A1 (ko) 일회용 컵홀더
JP3223007U (ja) ホルダー兼用キャップオープナー
KR101951722B1 (ko) 컵 손잡이 및 컵 손잡이가 구비된 컵
US2994438A (en) Universal beverage holder
KR101775646B1 (ko) 열전도 방지판이 구비된 종이컵
KR101812504B1 (ko)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KR20180092252A (ko) 4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KR101198092B1 (ko) 음료용 용기
KR200486358Y1 (ko) 컵 손잡이
KR200285420Y1 (ko) 종이컵 홀더
JP2006232367A (ja) 液体用包装袋
KR20130080207A (ko) 컵 홀더
KR200390158Y1 (ko) 컵 홀더
JP3199190U (ja) コーヒーカップ等ホルダー
US11198552B2 (en) Flexible insulated beverage holder with rigid plate and handle
KR102238587B1 (ko) 절첩식 다용도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