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092B1 - 음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092B1
KR101198092B1 KR1020100078124A KR20100078124A KR101198092B1 KR 101198092 B1 KR101198092 B1 KR 101198092B1 KR 1020100078124 A KR1020100078124 A KR 1020100078124A KR 20100078124 A KR20100078124 A KR 20100078124A KR 101198092 B1 KR101198092 B1 KR 101198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ntainer
container
water
beverag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736A (ko
Inventor
손진산
Original Assignee
손진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진산 filed Critical 손진산
Priority to KR1020100078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0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with dou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6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 G09F23/08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with table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된 차가운 음료에 의해 외면에서 발생되는 물기가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물기가 바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는 메인용기와, 상기 메인용기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메인용기가 삽입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메인용기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용기에서 상기 파지부를 이격시키며, 상기 메인용기의 외면에서 흘러내리는 물기가 수용되는 물기 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수용된 차가운 음료에 의해 외면에서 발생되는 물기가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물기가 바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은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여 조금씩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그 사용처에 따라 여러 가지 재질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종이컵,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테인리스 컵, 주로 커피나 음료용으로 사용되는 머그컵,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유리컵, 커피숍 등에서 테이크-아웃용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컵 등이 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컵에는 디자인이나 광고를 위하여 여러 가지 문양이나 문자가 인쇄될 수도 있고,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커피숍이나 편의점, 휴게소 등에서 테이크-아웃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컵은 그 특성상 따뜻한 음료나 차가운 음료를 수용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라스틱 컵은 내부에 차가운 음료가 수용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외부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외면에 물기가 발생되므로,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부에 수용된 차가운 음료에 의해 외면에서 발생되는 물기가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물기가 바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는,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는 메인용기와, 상기 메인용기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메인용기가 삽입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메인용기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용기에서 상기 파지부를 이격시키며, 상기 메인용기의 외면에서 흘러내리는 물기가 수용되는 물기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용기는 상기 물기 수용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기 수용부는 상기 메인용기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파지부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에 의하면, 내부에 수용된 차가운 음료에 의해 외면에서 발생되는 물기가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이 예방될 뿐만 아니라, 흘러내리는 물기가 물기 수용부에 수용되므로, 바닥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 3의 "A"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100)는,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는 메인용기(110)와, 이 메인용기(110)를 감싸도록 메인용기(110)에 결합되는 파지부(120)와, 메인용기(110)의 외면에서 흘러내리는 물기가 고이는 물기 수용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음료용 용기(100)는 파지부(120)가 메인용기(1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물기 수용부(130)에 의해 메인용기(110)의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된다. 이와 같이 파지부(120)가 메인용기(110)의 외면과 이격되게 결합하는 것은 메인용기(110)에 냉커피와 같은 차가운 음료가 수용되었을 때 외부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외면에 생성되는 물방울이 파지부(120)에 묻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메인용기(110)는 파지부(120)를 하측에서 결합할 때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메인용기(110)는 파지부(120)가 물기 수용부(130)에 의해 보다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물기 수용부(1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부(111)가 하단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메인용기(110)는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플라스틱에 의해 투명하게 제작된다.
메인용기(110)의 걸림부(111)는 메인용기(110)의 내부로 함몰되며, 메인용기(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111)에 의해 메인용기(110)의 외면에 생성되어 흘러내리는 물기가 물기 수용부(130)로 원활하게 투입된다.
즉, 메인용기(110)의 외면에서 생성되어 흘러내리는 물기가 걸림부(111)에 의해 메인용기(110)의 물기가 바닥으로 흐르는 것이 예방됨은 물론 물기 수용부(130)로 용이하게 유도되어 투입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메인용기(110)의 걸림부(111)는 반원 형태를 가지도록 함몰되는데, 이는 물기 수용부(130)가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메인용기(110)에 결합되는 파지부(1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용기(11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부가 개방된다. 이러한 파지부(120)는 메인용기(110)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단부가 메인용기(110)의 외면에 접촉되고 하단부에 물기 수용부(130)가 형성되어 메인용기(110)의 걸림부(11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파지부(120)에 의해 메인용기(110)의 물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예방되어 사용자가 음료용 용기(100)를 파지할 때 쾌적한 상태에서 파지할 수 있다. 더하여, 파지부(120)가 메인용기(1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메인용기(110)의 냉기가 파지부(120)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음료용 용기(100)를 보다 쾌적하고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파지부(12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걸림부(111)에 삽입되는 물기 수용부(130)는 메인용기(110)와 파지부(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메인용기(110)에서 파지부(120)를 이격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물기 수용부(130)는 파지부(120)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그 단부가 걸림부(111)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 물기 수용부(130)는 라운드 형태로 절곡되며, 걸림부(111)에 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걸림부(111)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메인용기(110)에 차가운 음료를 담기 전에 파지부(120)를 메인용기(110)의 하측으로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때, 파지부(120)의 하단에 형성되는 물기 수용부(130)가 메인용기(110)의 걸림부(111)에 삽입되면서 파지부(120)가 메인용기(110)에 결합되므로, 파지부(120)가 메인용기(110)에 보다 안정되게 고정된다.
더하여, 물기 수용부(130)에 의해 파지부(120)가 메인용기(110)에 완전하게 접촉되지 않고 파지부(120)와 메인용기(110)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후, 메인용기(110)에 차가운 음료가 수용되면 외부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메인용기(110)의 외면에 물방울이 생성되어 흘러내리게 된다. 이때, 이 물방울이 파지부(120)와 메인용기(110) 사이의 공간부로 인하여 파지부(120)에 접촉되지는 것이 예방되면서 물기 수용부(130)로 흘러서 유입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손에 물이 묻는 것이 예방될 뿐만 아니라, 물기가 음료용 용기(100)가 놓여진 테이블이나 바닥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음료용 용기(100)가 놓인 자리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음료용 용기 110 : 메인용기
111 : 걸림부 120 : 파지부
130 : 물기 수용부

Claims (3)

  1.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는 메인용기;
    상기 메인용기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메인용기가 삽입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 및
    상기 메인용기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용기에서 상기 파지부를 이격시키며, 상기 메인용기의 외면에서 흘러내리는 물기가 수용되는 물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기 수용부는 상기 메인용기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파지부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메인용기는 상기 물기 수용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2. 삭제
  3. 삭제
KR1020100078124A 2010-08-13 2010-08-13 음료용 용기 KR101198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24A KR101198092B1 (ko) 2010-08-13 2010-08-13 음료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24A KR101198092B1 (ko) 2010-08-13 2010-08-13 음료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736A KR20120015736A (ko) 2012-02-22
KR101198092B1 true KR101198092B1 (ko) 2012-11-09

Family

ID=4583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124A KR101198092B1 (ko) 2010-08-13 2010-08-13 음료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878B1 (ko) * 2016-10-07 2017-10-13 최지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217A (ko) 2017-11-30 2019-06-10 김혜령 오픈 컵홀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468Y2 (ja) * 1990-12-26 1994-06-01 幸雄 児玉 2重筒コップ
JPH11222225A (ja) 1990-11-29 1999-08-17 Toppan Printing Co Ltd 断熱紙容器
JP2002034759A (ja) * 2000-07-27 2002-02-05 Shibaura Mechatronics Corp カッ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225A (ja) 1990-11-29 1999-08-17 Toppan Printing Co Ltd 断熱紙容器
JPH0620468Y2 (ja) * 1990-12-26 1994-06-01 幸雄 児玉 2重筒コップ
JP2002034759A (ja) * 2000-07-27 2002-02-05 Shibaura Mechatronics Corp カッ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878B1 (ko) * 2016-10-07 2017-10-13 최지윤
WO2018066866A1 (ko) * 2016-10-07 2018-04-12 승화피앤피 주식회사
US10478000B2 (en) 2016-10-07 2019-11-19 Seung HWA PNP Co., Ltd. Insulated cup with double wall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736A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0006B1 (en) Tilted grooved beverage drinking container
US20070295738A1 (en) Double rimmed beverage cup and holder
WO2001062614A1 (en) Bottle holder
US8573437B1 (en) Food plate and beverage container holder
US8985379B1 (en) Food plate and beverage container holder
US20220289464A1 (en) Insulated container apparatuses and devices
KR101198092B1 (ko) 음료용 용기
US9919843B2 (en) Detachable handle for a container
KR101243076B1 (ko) 종이컵 홀더
US8875925B2 (en) Teacup cover
US20200087033A1 (en) Clipper Detachable Handle for Disposable Cups
KR20100008331U (ko) 휴대용 종이컵 홀더
US20160296076A1 (en) Grabb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 Lids
JP3185020U (ja) 飲料容器用ジョッキハンドル
KR20210015062A (ko)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액체 흐름방지 머그잔, 퍼그잔
JP7174813B2 (ja) 飲用液を保存するための二重壁ポット
KR20100137828A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KR20090002644U (ko) 원샷 컵 조립체
KR200432612Y1 (ko) 용기용 손잡이
JP3111087U (ja) 飲料水用の器
US10427838B1 (en) Ergonomic bowl that reduces stress on wrists
US20200260889A1 (en) Device for making tea with a teabag or tea infuser
KR20170043473A (ko) 조립식 이중 컵
KR200418918Y1 (ko) 용기
JP6558739B2 (ja) 容器本体と底体とが分離した構造の飲料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