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473A - 조립식 이중 컵 - Google Patents

조립식 이중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473A
KR20170043473A KR1020160183086A KR20160183086A KR20170043473A KR 20170043473 A KR20170043473 A KR 20170043473A KR 1020160183086 A KR1020160183086 A KR 1020160183086A KR 20160183086 A KR20160183086 A KR 20160183086A KR 20170043473 A KR20170043473 A KR 20170043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oupled
present
outer cup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경
조소연
Original Assignee
조재경
조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경, 조소연 filed Critical 조재경
Priority to KR1020160183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3473A/ko
Publication of KR2017004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되어 결합 가능하도록 상하 분리되고 하단부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외컵의 내부로 내컵이 결합되며, 외컵과 내컵 사이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는 조립식 이중 컵에 관한 것으로, 상부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홈이 형성된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닥부(120)로 이루어진 외컵(100); 및 끝단부가 몸체부(110)의 절곡홈(111)에 끼워져 외컵(100)에 고정 결합되는 내컵(200)을 포함한다. 이에, 세척시 외컵과 내컵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늘 쾌적한 상태로 이중 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이중 컵{Prefabricated double cup}
본 발명은 조립식 이중 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되어 결합 가능하도록 상하 분리되고 하단부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외컵의 내부로 내컵이 결합되며, 외컵과 내컵 사이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조립식 이중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이란 음료수나 액상의 음식물을 저장하거나 입으로 운반하기 위한 용기의 일종으로서, 통상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방이 개방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컵에는 뜨거운 음료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기도 하고, 차가운 음료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기도 한다.
대부분 이러한 컵들은 음료가 담기는 단일 통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단일 통체로 이루어진 컵들은 보온·보냉의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보온·보냉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이중 통체를 구비한 컵들이 개량 고안되었다.
이중 통체를 구비한 컵들은 보온·보냉의 측면에서는 그 효과가 상승하였으나, 오랜 기간 사용할 경우 이중 통체의 연결부위 등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 틈새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보온·보냉을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머물게 되고, 이로 인해 이물질이 내부 공간에서 부패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뿐만아니라, 내컵과 외컵이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고 컵을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42963 호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66705 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체결되어 결합 가능하도록 상하 분리되고 하단부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외컵의 내부로 내컵이 결합되며, 외컵과 내컵 사이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조립식 이중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컵의 하단면 중심부 내컵으로 함몰되고, 함몰부가 내컵의 하단면에 밀착결합되는 조립식 이중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컵의 몸체부와 바닥부가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는 조립식 이중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이중 컵은 상부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홈이 형성된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닥부(120)로 이루어진 외컵(100); 및 끝단부가 몸체부(110)의 절곡홈(111)에 끼워져 외컵(100)에 고정 결합되는 내컵(2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몸체부 내측 하단부에 제 1 결합부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부 외측 하단부에 제 1 결합부재(112)에 결합되어, 몸체부(110)에 바닥부(120)를 고정시키는 제 2 결합부재(12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바닥부 저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110)에 바닥부(120)가 결합 고정될 때 함몰부(122)가 내컵(200)의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바닥부(120) 저면에는 홈(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123)에 돌출되도록 삽입 고정되는 미끄럼 방지부재(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절곡홈(111)의 절곡 끝단부가 테이퍼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체결되어 결합 가능하도록 상하 분리되고 하단부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외컵의 내부로 내컵이 결합되며, 외컵과 내컵 사이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세척시 외컵과 내컵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늘 쾌적한 상태로 이중 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컵 바닥부의 중심부가 내컵으로 함몰되고, 함몰부가 내컵의 바닥면에 밀착결합됨으로써, 외컵과 내컵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내컵에 담겨있는 음료에 대해 보냉 또는 보온 상태를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컵의 몸체부와 바닥부가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외컵과 내컵을 분리할 때 사용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컵의 조립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몸체부에 형성된 제 1 체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바닥부에 결합되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회전도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진공해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컵의 조립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몸체부에 형성된 제 1 체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바닥부에 결합되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회전도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진공해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컵은 크게 외컵(100), 내컵(200), 손잡이(400)로 이루어진다.
외컵(100)은 상부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홈(111)이 형성된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닥부(120)로 이루어진다.
외컵(100)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넓어져 테이블 등에 올려두었을 때 안정감을 가진다.
또한 몸체부(110)에 형성된 절곡홈(111)의 절곡 끝단부를 라운딩 처리하여 외컵(100)과 내컵(200)을 분리시키지 않고 세척하는 경우에도 손이나, 수세미 등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절곡홈(111)의 절곡 끝단부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을 이루도록 구현하여, 라운딩 처리한 효과와 동일하게 외컵(100)과 내컵(200)을 분리시키지 않고 세척하는 경우에도 손이나, 수세미 등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몸체부(110)와 바닥부(120)는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 내측 하단부에 제 1 결합부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부 외측 하단부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합부재(112)에 결합되어, 몸체부(110)에 바닥부(120)를 고정시키는 제 2 결합부재(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결합부재(112) 및 제 2 결합부재(121)는 암나사산(또는 수나사산) 및 수나사산(또는 암나사산)으로 이루어지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내측면에 4개의 제 1 결합부재(112)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와 대응하여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닥부(120)의 외주면에 4개의 제 2 결합부재(121)가 제 1 결합부재(112)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90도 간격으로 결합부재를 형성시킴으로써, 손목을 약간 트는 정도로 몸체부(110)에 바닥부(120)를 결합시키거나, 결합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바닥부(120) 저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110)에 바닥부(120)가 결합 고정될 때 함몰부(122)가 내컵(200)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내부 공간이 진공을 이루도록 한다.
내컵(200)은 라운딩 형상을 이루고 있는 바닥면을 가지는 일자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끝단부가 몸체부(110)의 절곡홈(111)에 끼워져 외컵(100)에 고정 결합된다. 내컵(200)의 바닥면이 라운딩 형상을 이루고 있어, 세척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바닥부(120) 저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무재질의 미끄럼 방지부재(300)가 홈(123)에 돌출되도록 삽입 고정된다. 이로써 조립식 이중 컵을 테이블 등과 같은 바닥에 올려놓았을 때 놓인 위치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바닥부(120) 저면의 중앙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24)이 형성되어 있고, 홈(124)에 힌지(510)를 이용하여 회전도움부재(500)를 결합시킨다. 회전도움부재(500)의 일단부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힌지(510)를 중심으로 홈(124) 내측으로 인입되었다가 인출된다. 회전도움부재(500)의 일단부가 테이퍼 형상을 이루며, 이 테이퍼 형상은 손가락의 일부가 회전도움부재(500)를 아래로부터 위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데 유용하게 작용한다. 그리고 회전도움부재(500)는 사용자로 하여금 몸체부(110)와 바닥부(120)를 결합시키거나 결합해제시킬 때 유용하게 작용하는데, 바닥부(120)를 잡고 돌리기 어려울 경우 회전도움부재(500)를 잡고 바닥부(120)를 돌려주게 되면 몸체부(110)와 바닥부(120)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외컵(100)은 무독성 ABS로 이루어지고, 내컵(200)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컵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와 바닥부(120)를 끼움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바닥부(120)가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을 이루도록 형성한 후 돌출된 전면을 몸체부(110)에 끼운 후 힘을 가해서 밀어 몸체부(110)에 바닥부(120)가 끼워져서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몸체부(110)는 바닥부(120)의 턱(127)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바닥부(120) 중심부에 진공해제수단(600)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110)에 바닥부(120)를 결합시킬 때 진공해제수단(600)을 개방시키면 용이하게 결합되고, 결합된 후 진공해제수단(600)을 폐쇄시키면 외컵(100)과 내컵(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부(110)로부터 바닥부(120)를 빼내고자 할 때 먼저 진공해제수단(600)을 개방시켜 외컵(100)과 내컵(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의 공기와 외부로 빠지도록 한 후 잡아 당기면 용이하게 상호 분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이중컵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컵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외컵(100) 몸체부(110)의 절곡홈(111)에 내컵(200)의 끝단부를 밀어넣어 고정시킨 후 몸체부(110) 하단에 바닥부(120)를 체결시키면 바닥부(120)의 함몰부(122)가 내컵(200)의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내부 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든다. 이렇게 컵을 조립한 후 차가운 음료나, 또는 뜨거운 음료를 부어서 먹게 된다. 이때 외컵(100)은 무독성 ABS로 이루어지고, 내컵(200)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컵(100)의 상부 끝단부가 내컵(2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어, 입술과 직접 닿는 부분은 무독성 ABS이므로, 음료의 차가운 기운이나, 뜨거운 기운이 입술에 닿을 때는 가지고 있는 온도와 다르게 된다.
한편, 컵을 다 사용하고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몸체부(110)로부터 바닥부(120)를 분리시킨 후 외컵(100)으로부터 내컵(200)을 분리시켜 세척한 후 건조시킨다.
이렇게 외컵(100)과 내컵(200)을 분리시켜 세척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외컵(100)과 내컵(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이물질 유입으로 생성될 수 있는 악취 등을 미연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외컵 110 : 몸체부
111 : 절곡홈 112 : 제 1 체결부재
120 : 바닥부 121 : 제 2 체결부재
122 : 함몰부 123 : 홈
200 : 내컵 300 : 미끄럼 방지부재

Claims (1)

  1. 상부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홈이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닥부(120)로 이루어진 외컵(100); 및
    끝단부가 상기 몸체부(110)의 절곡홈(111)에 끼워져 상기 외컵(100)에 고정 결합되는 내컵(20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내측 하단부에 제 1 결합부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 외측 하단부에 상기 제 1 결합부재(112)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10)에 상기 바닥부(120)를 고정시키는 제 2 결합부재(121)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20) 저면에는 제1 홈(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홈(123)에 돌출되도록 삽입 고정되는 미끄럼 방지부재(300)가 포함되고,
    상기 바닥부(120) 저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110)에 상기 바닥부(120)가 결합 고정될 때 상기 함몰부(122)가 상기 내컵(200)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상기 바닥부(120) 저면의 중앙에 제2 홈(1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홈(124)에 힌지(510)를 이용하여 회전도움부재(500)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도움부재(500)의 일단부가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중 컵.
KR1020160183086A 2016-12-29 2016-12-29 조립식 이중 컵 KR20170043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86A KR20170043473A (ko) 2016-12-29 2016-12-29 조립식 이중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86A KR20170043473A (ko) 2016-12-29 2016-12-29 조립식 이중 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925 Division 2015-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473A true KR20170043473A (ko) 2017-04-21

Family

ID=5870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086A KR20170043473A (ko) 2016-12-29 2016-12-29 조립식 이중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34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89306A1 (en) Stackable baby bottle assembly with nestable cap and method therefor
US10653255B1 (en) Container cap with integrated straw
TWI396650B (zh) 具腮托突出部的飲料容器以及飲料容器用之可分離式腮托突出部裝置
US2013034023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holding an item
KR20170043473A (ko) 조립식 이중 컵
KR20180001244U (ko) 다목적 결합 용기
KR20120015736A (ko) 음료용 용기
JP2010532698A (ja) 分離型哺乳瓶
CN203987333U (zh) 便携纸杯
CN215533439U (zh) 一种防烫耐摔安全茶杯
CN217390382U (zh) 一种儿童注水碗
CN218219825U (zh) 一种便于清洗的保温杯
KR200445835Y1 (ko) 분리형 보온 용기
JP2017128348A (ja) 手で持ち上げやすい大型ペットボトル
JP3222287U (ja) カップ容器補助具
CN202168674U (zh) 一种隔热筒
US9694963B1 (en) Disposable insulating cup sleeve
JP4184005B2 (ja) 包装用缶
CN205697258U (zh) 烹饪器具
KR101905973B1 (ko) 그릇
US20120193321A1 (en) Bottle with gripping mechanism
KR20140002565U (ko)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KR20120006515U (ko) 컵 홀더
TWI552705B (zh) 杯體改良結構
KR20090002090U (ko) 이중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70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05

Effective date: 20200323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