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565U -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 Google Patents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565U
KR20140002565U KR2020120009538U KR20120009538U KR20140002565U KR 20140002565 U KR20140002565 U KR 20140002565U KR 2020120009538 U KR2020120009538 U KR 2020120009538U KR 20120009538 U KR20120009538 U KR 20120009538U KR 20140002565 U KR20140002565 U KR 201400025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ain body
drinking
body po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정
Original Assignee
이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정 filed Critical 이윤정
Priority to KR2020120009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565U/ko
Publication of KR20140002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5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3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of stackabl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에 관한 것으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외주면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되, 상기 파지홈은 사람의 엄지손가락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파지홈에 엄지손가락을 넣고 엄지손가락 마디와 손등사이 부분을 입술 아래의 턱부분에 지지한 채 입술을 대지않고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외주면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되, 상기 파지홈은 상기 본체부 외주면 일측에 횡방향으로 요입되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직경이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는 높이가 0.5 ~ 1.5㎝이고,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이 상측으로 30°~ 70°각도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컵을 사용하여 음용시에 사람의 입술을 컵에 접촉하지 않아 위생적으로 깨끗한 음용이 가능하고, 음료가 컵 상단부로 급격히 유출되지 않아 불편함이 없으며, 음용중 입술가장자리로 음료가 새어 나오지 않아 청결하고, 컵을 파지하는 부분에 열전도방지 고무패드를 부착하여 손가락 및 손바닥을 직접 접촉해서 컵을 파지하여 음용시에 화상의 염려가 없으며, 컵이 미끄러져 사람의 손으로부터 이탈하는 불편함이 없고, 컵을 사용하지 않을시 다수의 컵을 포개기가 쉬워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Without touching lip, drinking cup available}
본 고안은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의 외주면에 사람의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부분을 형성시켜 컵에 접지된 사람의 엄지손가락 마디와 손등사이 부분을 입술 아래의 턱부분에 지지한 상태에서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은 음료를 담아 손으로 컵을 파지하여 마시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서 종이, 플라스틱, 금속 및 유리 등의 재료로 제조되어 지고, 그 크기나 모양도 각기 다르게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컵(10)은 음료를 마실 때, 컵의 상단부(11)의 가장자리에 사용자의 입술을 대고 밀착시켜 음용을 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컵에는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있는 컵도 있고, 용도나 모양에 따라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컵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컵은, 컵의 상단부에 각종 세균 또는 음료의 이물질이 남아 있어 음용시 사람의 입술이 직접 접촉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청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고, 음용시 사람의 입술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음용을 하게 되면 입가가장자리로 음료가 새어나오거나, 컵 상단부의 테두리에 음료의 잔량이 남아있어 컵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게다가, 유리나 금속의 재료로 제작된 컵으로 음용을 할 경우 컵의 외주면을 사람의 손바닥으로 파지하여 음용을 해야해서 화상 및 미끄러짐으로 컵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가 있었고, 손잡이가 형성된 컵의 경우에도 사람의 손으로 움켜줘서 음용을 해야 하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에 따른 문제는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컵을 사용하여 음용시에 사람의 입술을 컵에 접촉하지 않아 위생적으로 깨끗한 음용이 가능하고, 음료가 컵 상단부로 급격히 유출되지 않아 불편함이 없으며, 음용중 입술가장자리로 음료가 새어 나오지 않아 청결하고, 컵을 파지하는 부분에 열전도방지 고무패드를 부착하여 손가락 및 손바닥을 직접 접촉해서 컵을 파지하여 음용시에 화상의 염려가 없으며, 컵이 미끄러져 사람의 손으로부터 이탈하는 불편함이 없고, 컵을 사용하지 않을시 다수의 컵을 포개기가 쉬워 보관이 용이한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외주면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되, 상기 파지홈은 사람의 엄지손가락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파지홈에 엄지손가락을 넣고 엄지손가락 마디와 손등사이 부분을 입술 아래의 턱부분에 지지한 채 입술을 대지않고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을 제공한다.
또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외주면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되, 상기 파지홈은 상기 본체부 외주면 일측에 횡방향으로 요입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직경이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는 높이가 0.5 ~ 1.5㎝이고,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이 상측으로 30°~ 70°각도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홈은 하측으로 0°~ 40°각도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파지홈 또는 상기 확장부와 상기 본체부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열전도방지가 가능한 분리막;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파지홈 또는 상기 확장부의 내주면에 고무재질의 화상방지 및 미끄럼방지가 가능한 고무패드;가 부착 형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본체부 상측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음용턱;을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상기 파지홈 또는 상기 확장부의 상측에 부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급류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컵을 사용하여 음용시에 사람의 입술을 컵에 접촉하지 않아 위생적으로 깨끗한 음용이 가능하고, 음료가 컵 상단부로 급격히 유출되지 않아 불편함이 없으며, 음용중 입술가장자리로 음료가 새어 나오지 않아 청결하고, 컵을 파지하는 부분에 열전도방지 고무패드를 부착하여 손가락 및 손바닥을 직접 접촉해서 컵을 파지하여 음용시에 화상의 염려가 없으며, 컵이 미끄러져 사람의 손으로부터 이탈하는 불편함이 없고, 컵을 사용하지 않을시 다수의 컵을 포개기가 쉬워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손잡이가 형성된 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의 상부 단면도, 측부 및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의 상부 단면도, 측부 및 정면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의 사시도.
도 7, 도 9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의 상부 단면도, 측부 및 정면 단면도.
도 8, 도 10 및 도 12는 본 고안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의 사시도.
본 고안자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컵으로 음료를 마실 때, 컵의 상단부의 가장자리에 사용자의 입술을 대고 밀착시킨 상태에서 음용을 하였는데, 컵의 상단부에 각종 세균 또는 음료의 이물질이 남아 있어 음용시 사람의 입술이 직접 접촉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청결하지 못하고, 음용시 사람의 입술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음용을 하게 되면 입가가장자리로 음료가 새어나오거나, 컵 상단부의 테두리에 음료의 잔량이 남아있어 컵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불편함이 있으며, 유리나 금속의 재료로 제작된 컵을 사용하여 음용 할 경우 컵의 외주면을 사람의 손바닥으로 파지하여 음용을 해야해서 화상 및 미끄러짐으로 컵을 떨어뜨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컵 손잡이가 형성된 컵의 경우에도 사람의 손으로 움켜줘서 음용을 해야 하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에 따른 문제들이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노력을 거듭한 결과, 컵을 사용하여 음용시에 사람의 입술을 컵에 접촉하지 않아 위생적으로 깨끗한 음용이 가능하고, 음료가 컵 상단부로 급격히 유출되지 않아 불편함이 없으며, 음용중 입술가장자리로 음료가 새어 나오지 않아 청결하고, 컵을 파지하는 부분에 열전도방지 고무패드를 부착하여 손가락 및 손바닥을 직접 접촉해서 컵을 파지하여 음용시에 화상의 염려가 없으며, 컵이 미끄러져 사람의 손으로부터 이탈하는 불편함이 없고, 컵을 사용하지 않을시 다수의 컵을 포개기가 쉬워 보관이 용이한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에 관한 본 고안을 완성시켰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1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 외주면에 형성된 파지홈(200)을 포함하되, 상기 파지홈(200)은 사람의 엄지손가락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파지홈(200)에 엄지손가락을 넣고 엄지손가락 마디와 손등사이 부분을 입술 아래의 턱부분에 지지한 채 입술을 대지않고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측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음용턱(110)과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에서 상기 파지홈(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급류방지턱(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음용턱(110) 내부에는 상기 음용턱(110)이 돌출된 만큼의 크기로 급수출구(111)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급류방지턱(120)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에서 상기 파지홈(200)의 상측에 위치하되, 부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지홈(200)은 사람의 엄지손가락 형상으로 형성되어 컵을 파지시에 엄지손가락을 상기 파지홈(200)에 넣고 파지하여 음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파지홈은 하측으로 0°~ 40°각도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파지홈이 40°각도를 초과하여 하측으로 형성되면 음용시 파지한 컵을 들어올릴 때, 음용자의 손목을 과도하게 꺾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파지홈(200)에 사람의 엄지손가락을 넣고 파지시에 상기 본체부(100)에 담긴 뜨거운 음료로 인한 화상 및 컵이 미끄러져 사람의 손으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지홈(200) 내주면에 고무패드(P)를 부착하여 형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파지홈(200)과 상기 본체부(100) 외주면의 사이에 공기층으로 이루어진 분리막(400)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부(100)에 담긴 뜨거운 음료로 인한 열전도를 방지하는 효과를 유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2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 외주면에 형성된 파지홈(200)을 포함하되, 상기 파지홈(200)은 상기 본체부(100) 외주면 일측에 횡방향으로 요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측 외주면에 1개 또는 복수개의 음용턱(11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에서 상기 파지홈(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급류방지턱(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음용턱(110) 내부에는 상기 음용턱(110)이 돌출된 만큼의 크기로 급수출구(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급류방지턱(120)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에서 상기 파지홈(200)의 상측에 위치하되,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음용턱(1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각각의 대응되는 음용턱(110)의 하측에 위치하여 형성된다.
상기 파지홈(200)은 상기 본체부(100) 외주면의 일측에 횡방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컵을 파지시에 사람의 엄지손가락을 상기 파지홈(200)에 넣고 파지하여 음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고,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의 사용이 한정되지 않는 특징도 있다.
이때, 상기 파지홈(200)에 사람의 엄지손가락을 넣고 파지시에 상기 본체부(100)에 담긴 뜨거운 음료로 인한 화상 및 컵이 미끄러져 사람의 손으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지홈(200) 내주면에 고무패드(P)를 부착하여 형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파지홈(200)과 상기 본체부(100) 외주면의 사이에 공기층으로 이루어진 분리막(400)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부(100)에 담긴 뜨거운 음료로 인한 열전도를 방지하는 효과를 유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3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상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직경이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 확장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는 높이가 0.5 ~ 1.5㎝이고,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이 상측으로 30°~ 70°각도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측 외주면에 1개 또는 복수개의 음용턱(11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에서 상기 음용턱(110)의 하측에 급류방지턱(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음용턱(110) 내부에는 상기 음용턱(110)이 돌출된 만큼의 크기로 급수출구(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급류방지턱(120)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에서 상기 음용턱(110)의 하측에 위치하되,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음용턱(1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각각의 대응되는 음용턱(110)의 하측에 위치하여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300)는 상기 본체부(100) 상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직경이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상기 본체부(100) 외주면의 중간부에서 상측으로 30°~ 70°각도로 비스듬히 형성되되, 상기 확장부(300)의 높이는 0.5 ~ 1.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확장부(300)가 확장되어 지는 각도가 30°미만으로 확장되면 음용시에 음료가 급격히 유출되어 음용중 입술가장자리로 음료가 새어 나오는 불편함이 있고, 70°를 초과한 각도로 확장되면 음용시에 컵을 파지한 손을 과도하게 들어올리거나 음용자의 목을 지나치게 젖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300)의 높이가 0.5㎝ 미만으로 형성되면 음용시 파지한 컵을 들어올릴 때, 음용자의 손목을 과도하게 꺾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1.5㎝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음용시에 음료가 급격히 유출되어 음용중 입술가장자리로 음료가 새어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상기 확장부(300)가 시작되는 지점부터 컵의 바닥부까지의 외주면은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이 가능하여 다수의 컵을 포개기가 편리하여 보관이 용이하다.
게다가, 상기 확장부(300)를 일부 포함하는 상기 본체부(100) 외주면 중심부의 전체 또는 일부에는 파지시에 상기 본체부(100)에 담긴 뜨거운 음료로 인한 화상 및 컵이 미끄러져 사람의 손으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패드(P)를 부착하여 형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300)를 일부 포함하는 상기 본체부(100) 외주면 중심부의 전체 또는 일부와 상기 본체부(100) 외주면의 사이에 공기층으로 이루어진 분리막(400)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부(100)에 담긴 뜨거운 음료로 인한 열전도를 방지하는 효과를 유발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을 사용하여 음용하는 과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본체부(100)에 음료가 담겨져 있는 컵을 파지하되, 상기 파지홈(200) 또는 상기 확장부(300)를 일부 포함하는 상기 본체부(100) 외주면 중심부의 전체 또는 일부에 부착된 고무밴드(P)에 음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접촉하고, 음용자의 나머지 손가락 및 손바닥은 컵을 감싸 파지한다.
다음으로, 파지된 컵을 음용자의 입술에 가까이 들어올리되, 상기 파지홈(200) 또는 상기 확장부(300)를 일부 포함하는 상기 본체부(100) 외주면 중심부의 전체 또는 일부에 부착된 고무밴드(P)에 접촉된 엄지손가락의 마디와 손등사이 부분을 입술 아래의 턱부분에 지지되도록 접촉하고, 음용자의 손목을 얼굴 방향으로 들어올려 음용자의 입술에 컵이 닿지 않고 상기 본체부(100)에 담겨있는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에 담겨져 있는 음료는 컵 밖으로 유출시에 상기 급류방지턱(120)을 타고 넘으며 상기 음용턱(110) 내부의 상기 급수출구(111)를 따라 인출되어 음용자의 입안으로 들어가 음용되게 됨으로써, 음료가 급격히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용중 입술가장자리로 음료가 새어 나오는 불편함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결국, 본 고안은 컵을 사용하여 음용시에 사람의 입술을 컵에 접촉하지 않아 위생적으로 깨끗한 음용이 가능하고, 음료가 컵 상단부로 급격히 유출되지 않아 불편함이 없으며, 음용중 입술가장자리로 음료가 새어 나오지 않아 청결하고, 컵을 파지하는 부분에 열전도방지 고무패드를 부착하여 손가락 및 손바닥을 직접 접촉해서 컵을 파지하여 음용시에 화상의 염려가 없으며, 컵이 미끄러져 사람의 손으로부터 이탈하는 불편함이 없고, 컵을 사용하지 않을시 다수의 컵을 포개기가 쉬워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10 : 종래의 컵 11 : 컵 상단부
12 : 컵 손잡이 100 : 본체부
110 : 음용턱 111 : 급수출구
120 : 급류방지턱 200 : 파지홈
300 : 확장부 400 : 분리막
P : 고무패드

Claims (8)

  1.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외주면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되,
    상기 파지홈은 사람의 엄지손가락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파지홈에 엄지손가락을 넣고 엄지손가락 마디와 손등사이 부분을 입술 아래의 턱부분에 지지한 채 입술을 대지않고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2.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외주면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되,
    상기 파지홈은 상기 본체부 외주면 일측에 횡방향으로 요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3.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직경이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는 높이가 0.5 ~ 1.5㎝이고,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이 상측으로 30°~ 70°각도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홈은 하측으로 0°~ 40°각도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홈 또는 상기 확장부와 상기 본체부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열전도방지가 가능한 분리막;을 포함하는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홈 또는 상기 확장부의 내주면에 고무재질의 화상방지 및 미끄럼방지가 가능한 고무패드;가 부착 형성되는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상측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음용턱;을 더 포함하는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상기 파지홈 또는 상기 확장부의 상측에 부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급류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KR2020120009538U 2012-10-22 2012-10-22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KR201400025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538U KR20140002565U (ko) 2012-10-22 2012-10-22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538U KR20140002565U (ko) 2012-10-22 2012-10-22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565U true KR20140002565U (ko) 2014-05-07

Family

ID=5244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538U KR20140002565U (ko) 2012-10-22 2012-10-22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56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478B1 (ko) 2019-12-09 2021-01-06 장주하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478B1 (ko) 2019-12-09 2021-01-06 장주하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7185B2 (ja) マニキュア液容器ホルダ
CN105682509B (zh) 伸缩式旅行杯
US4001904A (en) Kitchen utensil
US20070125787A1 (en) Thermally-insulating cup holding sleeve
US20080149650A1 (en) Hygiene cup barrier
EP3370577B1 (en) Drip catcher for stemmed drinking vessel
US20150282653A1 (en) Beverage Container
KR20140002565U (ko)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US8875925B2 (en) Teacup cover
US9833089B2 (en) Weaning clip
US20140134311A1 (en) Teabag Holder and Method
JP3174135U (ja) コップ付きペットボトル
JP3180939U (ja) ドリンクホルダー
KR102544430B1 (ko) 컵 홀더
TWM321248U (en) Improvement of kettle structure
KR101750523B1 (ko) 컵 음용 보조구
JP5524031B2 (ja) キャップオープナー
JP2015217988A (ja) 指掛け付紙製コップ
JP2017128348A (ja) 手で持ち上げやすい大型ペットボトル
KR20230127649A (ko) 밴드 부착형 음료용기
JP2015077993A (ja) 飲料を飲む器
KR20130003642U (ko) 띠대가 형성된 일회용 컵
KR20100000153U (ko) 파지부를 가지는 일회용 컵
KR20140066959A (ko) 증기배출이 용이한 즉석음식용기
KR20120006515U (ko)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