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207A - 컵 홀더 - Google Patents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207A
KR20130080207A KR1020120001001A KR20120001001A KR20130080207A KR 20130080207 A KR20130080207 A KR 20130080207A KR 1020120001001 A KR1020120001001 A KR 1020120001001A KR 20120001001 A KR20120001001 A KR 20120001001A KR 20130080207 A KR20130080207 A KR 20130080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opening
cup holder
body por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지
Original Assignee
김현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지 filed Critical 김현지
Priority to KR102012000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0207A/ko
Publication of KR2013008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상기 몸체부의 중앙에는 관통 개구부가 형성된다); 및 상기 관통 개구부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관통 개구부의 중심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관통 개구부를 폐쇄하는 패드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 개구부에 컵이 삽입될 때, 상기 패드부들이 상기 컵의 삽입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컵 홀더는 컵과 결합되어 컵이 사용자에 의해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크기의 컵과 결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파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컵 홀더{CUP HOLDER}
본 발명은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료에 의한 열기나 온기가 차단되지 않는 컵이 안정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하는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컵은 물, 커피, 차, 주스, 맥주 등과 같은 음료를 담는 데에 사용된다. 일반적인 컵은 유리, 세라믹, 플라스틱 등과 재료로 제조된다. 이로 인해, 컵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한다.
한편, 컵은 일회용으로 사용한 후에, 손쉽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이로 제조되기도 한다. 이때, 종이컵은 얇은 편인 종이를 성형하여 제작되기에, 종이컵에 차갑거나 뜨거운 음료가 담기면, 음료의 냉기나 열기가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사용자는 종이컵을 파지하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음료가 종이컵의 내부로부터 벗어나 사용자의 손이나 바닥에 떨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음료의 냉기나 온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종이나 손수건을 사용하여 종이컵을 파지하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도 음료의 냉기나 온기가 효과적으로 차단되지 않아, 사용자가 종이컵을 안정적으로 파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컵과 결합되어 컵이 안정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하는 컵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컵과 결합될 수 있는 컵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파지될 수 있는 컵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상기 몸체부의 중앙에는 관통 개구부가 형성된다); 및 상기 관통 개구부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관통 개구부의 중심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관통 개구부를 폐쇄하는 패드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 개구부에 컵이 삽입될 때, 상기 패드부들이 상기 컵의 삽입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상호 간에 마주하고,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 상에서 회전하는 한 쌍의 손잡이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는 손가락이 삽입가능한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1)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는 몸체부 및 패드부들을 포함한다. 몸체부에는 관통 개구부가 형성되고, 패드부들은 관통 개구부의 내측벽으로부터 관통 개구부의 중심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컵이 관통 개구부에 삽입될 때, 패드부들은 컵의 삽입방향을 따라 구부러지고 컵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이때, 사용자는 컵에 담긴 음료의 냉기나 온기가 차단된 몸체부를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는 컵과 결합되어 컵이 안정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에서 구부러진 패드부들이 관통 개구부에 삽입된 컵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컵을 컵 홀더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한다. 이로 인해, 컵의 바닥면이 관통 개구부에 삽입가능하기만 하면, 어떠한 크기의 컵도 관통 개구부에 삽입되어 컵 홀더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는 다양한 크기의 컵과 결합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3) 본 발명에 다른 컵 홀더는 손잡이부들을 더 포함한다. 손잡이부들은 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상호 간에 마주하고 회전가능하다. 또한, 손잡이부들에는 각각 손가락이 삽입가능한 삽입구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손잡이부를 회전시켜 몸체부에 대한 삽입구의 형성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컵 홀더를 머그잔이나 냄비 등의 형태로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는 다양한 형태로 파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홀더에 컵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홀더(100)에 컵(10)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100)는 몸체부(101), 패드부(102)들 및 손잡이부(103)들을 포함하여, 컵(10)과 결합되어 컵(10)의 사용자가 컵(10)을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컵(10)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담기는 음료의 냉기나 온기가 제대로 차단되지 않는 컵이고, 예를 들어, 종이컵 등이다.
몸체부(101)에는 관통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컵(10)은 몸체부(101)와 결합되기 위하여 관통 개구부(111)에 삽입된다.
패드부(102)들은 관통 개구부(111)의 내측벽으로부터 관통 개구부(111)의 중심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이때, 패드부(102)들은 관통 개구부(111)를 폐쇄시킨다.
또한, 컵(10)이 관통 개구부(111)에 삽입될 때, 패드부(102)들은 컵(10)의 삽입 방향을 따라 구부러진다. 이때, 패드부(102)들은 컵(10)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컵(10)을 관통 개구부(111)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패드부(102)들은 각각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고, 컵(10)을 몸체부(101)로부터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또한, 패드부(102)들은 양호한 단열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컵(10)에 담긴 음료의 냉기나 열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컵(10)의 사용자는 몸체부(101)를 파지하여 컵(1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컵(10)은 입구로부터 바닥면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단면적을 갖기도 한다. 컵(10)이 관통 개구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패드부(102)들과 접촉되기에, 컵(10)은 바닥면부터 관통 개구부(111)에 삽입되어, 컵(10)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위치까지 관통 개구부(111)에 삽입될 수 있고, 컵(10)의 입구에 상응하는 위치까지 관통 개구부(1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컵(10)의 바닥면이 관통 개구부(111)에 삽입가능하기만 하면, 어떠한 크기의 컵(10)도 관통 개구부(111)에 삽입되어 패드부(102)들에 의해 몸체부(101)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손잡이부(103)들은 몸체부(10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호 간에 마주한다. 또한, 손잡이부(103)들은 각각 몸체부(101)의 외측면 상에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손잡이부(103)들을 파지하여, 컵 홀더(100)에 결합된 컵(10)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손잡이부(103)들은 몸체부(101)의 외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어린이들도 양손으로 손잡이부(103)들을 파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컵(1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03)들에는 각각 삽입구(131)가 형성된다. 삽입구(131)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03)들이 몸체부(101)의 외측면 상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몸체부(101)에 대한 삽입구(131)의 형성 방향은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로 컵 홀더(100)에 결합된 컵(10)을 파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103)들이 회전하여 삽입구(131)가 관통 개구부(111)와 동일면을 이룰 때, 사용자는 냄비처럼 컵 홀더(100)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03)들이 세워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머그잔처럼 컵 홀더(100)를 파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컵 홀더(100)를 파지하여 컵(1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0: 컵 홀더
101: 몸체부
111: 관통 개구
102: 패드부
103: 손잡이부
131: 삽입구

Claims (3)

  1. 몸체부(상기 몸체부의 중앙에는 관통 개구부가 형성된다); 및
    상기 관통 개구부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관통 개구부의 중심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관통 개구부를 폐쇄하는 패드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 개구부에 컵이 삽입될 때, 상기 패드부들이 상기 컵의 삽입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상호 간에 마주하고,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 상에서 회전하는 한 쌍의 손잡이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손가락이 삽입가능한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KR1020120001001A 2012-01-04 2012-01-04 컵 홀더 KR20130080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001A KR20130080207A (ko) 2012-01-04 2012-01-04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001A KR20130080207A (ko) 2012-01-04 2012-01-04 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207A true KR20130080207A (ko) 2013-07-12

Family

ID=4899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001A KR20130080207A (ko) 2012-01-04 2012-01-04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02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6302A (zh) * 2016-12-26 2018-07-03 天津胜鑫合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整高度的水杯架装置
KR20180081958A (ko) * 2017-01-09 2018-07-18 강호정 극장용 의자의 팝콘 거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6302A (zh) * 2016-12-26 2018-07-03 天津胜鑫合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整高度的水杯架装置
KR20180081958A (ko) * 2017-01-09 2018-07-18 강호정 극장용 의자의 팝콘 거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56730S1 (en) Combination portable beverage brewer and insulating beverage container
KR101456387B1 (ko) 식품 및 음료 용기
US20160309931A1 (en) Method of Using a Mouth Contoured Drinking Vessel
US20180014674A1 (en) Assembled cup structure
KR20130080207A (ko) 컵 홀더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WO2006126197A1 (en) Mug
KR101243076B1 (ko) 종이컵 홀더
WO2022153172A1 (en) Insulated container apparatuses and devices
TWI598066B (zh) Drink can holder
JP2013081724A (ja) 箸入れシート付きコップホルダー
KR101951722B1 (ko) 컵 손잡이 및 컵 손잡이가 구비된 컵
KR20170099483A (ko) 자석을 이용한 컵 고정 트레이
JP3197687U (ja) カップ等の取っ手部に着脱できるスプーンおよびマドラー。
KR200322230Y1 (ko) 컵홀더
JP3104605U (ja) テイースプーンの保持具
KR101356090B1 (ko) 머그컵 홀더
KR20170004338U (ko) 손잡이의 위치 변환이 가능한 컵
JP3211430U (ja) マグカップ
JP3047470U (ja) 注ぎ口が2箇所に付いた急須状容器
KR200185591Y1 (ko) 손잡이를 부설한 종이컵
KR200310069Y1 (ko) 미끄럼방지 턱이 있는 뚝배기 받침대
KR200405664Y1 (ko) 종이컵용 자기 찻잔세트
JP3134152U (ja) ストロ−ホルダ−
KR101209942B1 (ko) 종이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