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973B1 -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 Google Patents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973B1
KR101706973B1 KR1020160132086A KR20160132086A KR101706973B1 KR 101706973 B1 KR101706973 B1 KR 101706973B1 KR 1020160132086 A KR1020160132086 A KR 1020160132086A KR 20160132086 A KR20160132086 A KR 20160132086A KR 101706973 B1 KR101706973 B1 KR 101706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floss
dental floss
winding whee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한
Original Assignee
김상한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한,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상한
Priority to KR102016013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973B1/ko
Priority to US15/735,927 priority patent/US11246691B2/en
Priority to EP17808298.8A priority patent/EP3326577B1/en
Priority to JP2017566004A priority patent/JP6608968B2/ja
Priority to CN201780002026.1A priority patent/CN108289726B/zh
Priority to PCT/KR2017/005073 priority patent/WO20180706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5Threading or knot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Brush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사용 시에 늘어지거나 약해질 수 있는 치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력 조절이 가능하며, 장력 조절부에 설치된 돌기로 인하여 치실을 사용하는 동안 실의 장력이 낮아지지 않는 치실홀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선단에 치실에서 치아의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부분이 걸어지는 헤드가 구비되고, 그 중단에 권취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공 주변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락킹폴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권취공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락킹폴의 일부가 걸어져 고정되며, 상기 치실의 일부가 걸어져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치실이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당겨주는 권취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에 있어서, 상기 락킹폴은 그 일단을 중심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락킹돌기가 락킹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휠의 원통형 삽입부에는 상기 권취휠의 회전시 상기 락킹돌기와 접하는 궤적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락킹요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락킹요홈에 상기 락킹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권취휠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Dental Floss Holder which can control the tention}
본 발명은 치아 사이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치실을 고정시키는 치실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시에 늘어지거나 약해질 수 있는 치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력 조절이 가능하며, 장력 조절부에 설치된 돌기로 인하여 치실을 사용하는 동안 실의 장력이 낮아지지 않는 치실홀더에 관한 것이다.
세계 보건기구(WHO) 각국 구강실태조사에 의하면, 한국 12세 아동의 1인당 평균 충치 경험 개수는 3.3개로 세계 평균 1.61개에 비해 두 배 이상 높다. 더군다나 성인의 잇몸 질환 유병률은 70% 이상이다. 그러나 한국인은 칫솔질을 열심히 하고 있다. 한국의 1인당 연간 치약 사용량은 미국 다음으로 2 위로 조사되었다.(맥킨지2005년조사). 한국인의 1일 칫솔질 횟수도 2.35회로 일본의 1.97회에 비해 월 등히 높다. 칫솔질을 많이 하는데도 불구하고 잇몸질환 발병률이 높은 이유는 치실의 사용에 대한 낮은 정보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현재, 유럽국가 및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식후 치실을 사용하여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몇몇 아시아 국가에서도 치실홀더 및 치실의 사용빈도가 높은 반면 당국은 인식 및 사용방법의 전달 미흡으로 여전히 식후 이쑤시개를 사용하는 횟수가 치실을 사용하는 횟수보다 빈번하다는 결과를 갖고 있다. 주지하듯이, 치실은 치아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잇몸 질환이 있는 경우 프라그 제거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치실홀더는 이와 같은 치실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도구로 Y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치실홀더는 Y자의 양단에 치실을 원하는 장력을 가지도록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치실홀더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치실홀더는 단순히 치실을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치실이 사용에 의해 느슨해 졌을 때, 오히려 치아 사이의 이물질 제거를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실이 원하는 장력을 유지하지 못하면 사용하던 치실을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치실을 고정하여 사용해야 하는 바, 치실의 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35363호에서는 치실홀더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에서는 환형의 치실을 당김레버를 이용하여 치실의 장력을 유지하고 있지만, 치실의 장력이 약해지는 경우 환형의 치실 전체를 교환해야 하므로 치실의 활용도가 낮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치실홀더에서 치실이 걸어지는 부분은 사용자의 구강 안으로 넣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 기술의 경우 이 부분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 오염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어 재사용시 세척이 필요하여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4-0146041호에서는 카드형 치실홀더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에서는 납작한 형상의 치실권취부 및 하우징을 이용하여 휴대가 용이한 치실 홀더를 제공하고 있지만, 치실부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오염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치실의 장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장도로 조절 가능하며, 장력 조절부에 돌기를 설치하여 치실 사용시 장력조절부의 역회전으로 인한 장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치실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단에 치실에서 치아의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부분이 걸어지는 헤드가 구비되고, 그 중단에 권취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공 주변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락킹폴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권취공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락킹폴의 일부가 걸어져 고정되며, 상기 치실의 일부가 걸어져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치실이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당겨주는 권취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에 있어서, 상기 락킹폴은 그 일단을 중심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락킹돌기가 라킹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휠의 원통형 삽입부에는 상기 권취휠의 회전시 상기 락킹돌기와 접하는 궤적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락킹요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락킹요홈에 상기 락킹돌기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권취휠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권취휠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회전손잡이; 상기 회전손잡이의 일면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권취공에 삽입되며, 그 중단에 상기 치실의 일부가 걸어지는 고정슬릿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권취공의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가이드에 걸어져 상기 권취휠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에서 고정슬릿의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릿으로 분할된 상기 삽입부 중 서로 마주보는 어느 한 쌍에 상기 고정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헤드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돌출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리브의 일면에 치실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바; 상기 고정바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권취휠의 회전에 따라 치실의 장력이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며, 사용중 치실의 장력이 약해지는 경우, 권취휠을 추가로 회전시켜 원하는 장력으로 재조절 가능하다. 아울러 권취휠의 원통형 삽입부에 형성된 락킹요홈과 락킹폴의 길이형상으로 설치된 락킹돌기와의 상호작용으로 권취휠의 원하지 않는 회전이 방지되므로, 권취휠의 역회전으로 인한 장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치실 홀더 몸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치실 홀더 몸체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권취휠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발명에 의한 치실홀더에 치실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보인 작업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치실홀더에 있어서 기존의 치실 홀더가 치실의 장력이 약해진 경우 치실을 제거하고 새로운 치실을 사용해야 하거나, 장력조절부의 역회전으로 인하여 치실의 장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문제에 주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을 한 결과, 회전 가능한 권취휠과 락킹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락킹돌기를 포함하는 치실홀더를 사용하는 경우 권취휠을 회전하여 치실의 장력이 간편하게 조절가능하며, 락킹돌기에 의해 권취휠의 역회전이 방지되어 치실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치실홀더(100)는 크게 몸체(200)와 권취휠(3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00)는 일정 길이를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단에 치실(L)에서 치아의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부분이 걸어지는 헤드(210)가 구비되고, 그 중단에 권취공(240)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공(240) 주변에는 락킹폴(250)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0)의 헤드(210)는 대략 'Y'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크게 고정바(220)와 연결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220) 한 쌍이 구비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돌출리브(22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리브(221)의 일면에 치실(L)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가이드슬릿(22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바(220)의 선단에는 치실(L)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홈(22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치실(L)은 상기 고정홈(225)에 걸어지고 상기 가이드슬릿(223)에 삽입되어 상기 권취휠(300)에 걸어져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치실(L)이 고정되는 과정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바(220)는 연결부(230)에 의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고정바(220)의 사이에 위치한 치실(L)이 직접적으로 치아의 사이에 삽입되어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권취공(240)은 상기 권취휠(30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권취공(240)의 둘레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락킹폴(250)이 구비된다. 상기 락킹폴(250)은 그 일단이 상기 몸체(200)에 연결되고 그 양단이 절결된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몸체(200)의 폭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락킹폴(250)은 상기 권취휠(300)과 접하여 상기 권취휠(3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락킹폴(250)의 선단에는 락킹돌기(255)가 락킹폴(25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후술할 상기 권취휠(300)의 회전손잡이(310)에서 상기 락킹돌기(255)와 접촉된 원통형 삽입부(320)의 외주면에는 상기 권취휠(300)의 회전시 상기 락킹돌기(255)와 접하는 궤적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락킹요홈(350)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락킹요홈(350)에 상기락킹돌기(255)가 삽입되어 상기 권취휠(300)이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권취공(240)에서 상기 락킹폴(250)이 구비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상기 권취공(240)을 둘레를 따라 고정가이드(26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가이드(260)는 상기 권취휠(300)과 함께 상기 치실(L)의 일단을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권취휠(300)과 상기 고정가이드(260)의 사이에 상기 치실(L)이 삽입되어 그 압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상기 치실(L)이 고정되는 것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권취휠(3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상기 권취휠(300)은, 크게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회전손잡이(310); 상기 회전손잡이(310)의 일면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권취공(240)에 삽입되며, 그 중단에 상기 치실(L)의 일부가 걸어지는 고정슬릿(33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형 삽입부(320); 상기 원통형 삽입부(320)의 일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권취공(240)의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가이드(260)에 걸어져 상기 권취휠(300)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돌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손잡이(310)는 사용자가 상기 권취휠(300)을 회전시키기 위해 파지되는 부분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와는 달리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손잡이(310)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통형 삽입부(320)는 상기 권취휠(300)이 상기 권취공(2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치실(L)을 고정시키는 역할도 함께 한다. 상기 원통형 삽입부(320)는 상기 권취공(240)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공(24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320)에는 고정슬릿(33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슬릿(330)은 상기 치실(L)의 말단부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210)에 상기 치실(L)의 중단부분이 걸어지고 나머지 양단은 함께 상기 고정슬릿(330)을 통해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슬릿(330)을 통해 상기 치실(L)이 양단이 함께 삽입된 후 상기 권취휠(300)을 회전시키면 상기 치실(L)이 상기 고정가이드(260) 및 삽입부(320)의 외면 사이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가이드(260)를 2분할하도록 일자(-)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일자가 아닌 다양한 방향으로,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320)를 4분할, 5분할 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슬릿(330)은 상기 권취공(240)에 원통형 삽입부(320)가 삽입되는 경우 삽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원통형 삽입부(320)의 일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 삽입부(320)의 일단에는 하기의 고정슬릿(33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시 압착되어 폭이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슬릿(330)에 의해 2분할된 상기 삽입부(320)의 분할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고정돌기(34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340)는 상기 권취휠(300)이 상기 권취공(240)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권취공(240)의 고정가이드(260) 일단에 걸어져 상기 권취휠(300)이 상기 권취공(24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고정슬릿에 의하여 두 개로 각각 분리되어 있어 삽입을 원활하게 하며, 1개가 손상되더라도 정상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손잡이(310)에서 상기 원통형 삽입부(3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통형 삽입부(320)의 둘레를 따라 락킹요홈(350)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락킹요홈(350)은 상기 락킹폴(250)의 락킹돌기(255)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락킹요홈(350)에 상기 락킹돌기(255)가 삽입되어 상기 권취휠(300)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락킹요홈(350)은 상기 락킹돌기(255)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고,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락킹요홈(350)이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회전손잡이(310)의 회전시 상기 락킹돌기(255)가 접하는 부분의 궤적상에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손잡이(310)를 회전시켰을 때, 상기 락킹돌기(255)가 접하는 궤적은 원통형 삽입수(320)의 외주면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락킹돌기(255)가 6개가 형성되었는데, 필요에 따라 개수의 변형이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상기 권취휠(300)은 상기 락킹돌기(255)가 상기 락킹요홈(35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락킹돌기(255)가 형성된 상기 락킹폴(250)은 탄성변형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권취휠(300)이 회전하면서 하나의 락킹요홈(350)에서 인접한 락킹요홈(350)으로 이동할 때, 상기 락킹폴(250)이 탄성변형 되는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인접한 락킹요홈(350)으로 이동할 때, 상기 락킹돌기(255)는 상기 락킹요홈(350)에서 이탈하게 되고, 상기 원통형 삽입부(320)의 외주면 상에 접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상기 락킹폴(250)이 상기 몸체(200)의 폭방향으로 탄성변형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회전손잡이(3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락킹돌기(255)가 인접한 락킹요홈(350)에 삽입되면 다시 상기 락킹폴(250)이 복원되어 상기 권취휠(300)이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락킹돌기(255)는 락킹폴(25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킹돌기(255)가 락킹폴(250)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많은 사용에 의하여 락킹돌기(255)가 닳은 경우 정산적인 위치 고정이 어렵지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락킹돌기(255)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어 어느 정도 마모가 있더라도 상기 권취휠(3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사용이나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고정돌기(340)가 손상되거나 닳은 경우, 권취휠(300)에 상하방향으로 유격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락킹폴(250)에 수직한 방향에 락킹돌기(255)가 설치되어 있으면 권취휠(300)과의 간격이 생겨 고정에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락킹폴(250)의 길이방향으로 락킹돌기(255)가 설치되어 있으면 어느 정도의 유격이 있더라도 문제없이 권취휠(300)의 고정이 가능하다. 다만 좀더 강한 고정을 원하거나 높은 내구성을 위하여 락킹돌기를 권취휠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모두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헤드가 삽입되어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치실을 보호할 수 있는 헤드안착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210)가 삽입되어 먼지 등의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상기 헤드(210)가 오염되는 것을 막는 헤드안착부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헤드안착부에 상기 헤드(210)가 삽입되어 청결하게 상기 헤드(210)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280은 치실용 케이스의 삽입부로, 치실케이스를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경우 권취된 치실을 내부에 포함하는 치실케이스를 삽입하여 사용가능하며, 치실을 사용 완료한 이후 새로운 치실로 교환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하 상기 몸체(200)의 권취공(240)에 상기 권취휠(300)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사용자는 상기 권취휠(300)을 상기 권취공(240)에 삽입하는데, 이때, 상기 권취휠(300)의 락킹요홈(350)이 상기 락킹폴(250)의 락킹돌기(255)를 향하도록 삽입시킨다.
상기 삽입부(320)는 상기 고정슬릿(330)에 의해 2분할되어 있어, 상기 삽입부(320)에서 2분할 된 부분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삽입부(320)가 상기 권취공(2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권취휠(300)의 고정돌기(340)가 구비된 삽입부(320)를 탄성 변형시켜서 상기 권취공(240)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삽입부(320)를 상기 권취공(240)에 계속 밀어넣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340)가 상기 권취공(240)의 고정가이드(260)와 만나는 동시에 복원되어 걸어지게 된다.
상기 권취휠(300)이 상기 권취공(240)에 결합된 후에도 상기 권취휠(300)의 락킹요홈(350)에 상기 락킹폴(250)의 락킹돌기(255)가 완전히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락킹돌기(255)가 상기 권취휠(300)의 락킹요홈(350)에 삽입되도록 상기 권취휠(300)을 회전시킨다. 상기 락킹폴(250)은 탄성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락킹돌기(255)가 상기 락킹요홈(350)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변형된 상태로 놓이게 되고, 상기 락킹돌기(255)가 상기 락킹요홈(350)에 정확히 삽입되면, 상기 락킹폴(250)은 다시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의 사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에 치실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보인 작업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는 치실(L)을 일정길이로 절단한다. 이때 치실(L)의 절단길이는 헤드(210)의 고정홈(225)에 치실(L)의 중단이 위치하고 양단이 함께 권취휠(300)의 고정슬릿(330)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절단한다.
이 후 사용자는 권취휠(300)을 회전시켜 상기 권취휠(300)의 고정슬릿(330)이 락킹폴(250)을 향하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슬릿(330)의 개방된 부분이 상기 권취공(240)의 고정가이드(26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치실(L)의 일단을 상기 몸체(200)에서 상기 고정슬릿(330) 중 상기 헤드(210)를 향하는 부분의 반대편에 손으로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치실(L)의 일부가 상기 고정슬릿(330)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위치한 후, 상기 헤드(210)의 일측 고정바(220)의 고정홈(225)에 상기 치실(L)을 걸고 다시 타측 고정바 (220)의 고정홈(225)에 상기 치실(L)이 걸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치실(L)이 상기 고정바(220)의 가이드슬릿(22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맞추어 건다. 상기 치실(L)이 상기 고정홈(225)에 모두 걸어지면 상기 치실(L)의 타단을 상기 고정슬릿(330)의 사이에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치실(L)의 양단이 함께 모아지도록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권취휠(300)을 회전시킨다. 회전방향을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모두 무방하다. 상기 권취휠(300)이 회전되면, 상기 치실(L)의 일부는 상기 권취휠(300)의 삽입부(320) 외면과 상기 권취공(240) 둘레의 고정가이드(260)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치실(L)은 상기 권취휠(300)의 삽입부(320)와 상기 고정가이드(260) 사이의 압력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치실(L)의 장력은 상기 권취휠(300)의 회전양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권취휠(300)이 많이 회전될수록 상기 치실(L)의 장력은 증가하게 되고, 그만큼 상기 치실(L)의 두께는 얇아지게 된다.
상기 권취휠(300)은 상기 권취휠(300)의 락킹요홈(350)에 상기 락킹폴(250)의 락킹돌기(255)가 삽입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권취휠(300)의 락킹요홈(350)은 다수개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권취휠(300)을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에, 좀 더 상세하게는 치실(L)이 사용자가 원하는 장력을 가질 수 있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치아에 사용하기 적합할 만큼 상기 치실(L)이 장력을 가지도록 또는 그 두께가 조절되도록 치실(L)을 사용할 수 있어, 치실(L)의 활용성이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에 의해 치실(L)의 장력이 감소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기술에 의한 치실홀더(100)의 경우 치실(L)을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치실홀더(100)의 경우 치실(L)의 장력이 감소되었을 때, 상기 권취휠(300)을 회전시켜 다시 원하는 장력을 얻을 수 있어 치실(L)을 더욱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치실(L)의 사용을 완료한 후에 다시 상기 헤드(210)를 물로 세척한 후 상기 헤드(210)를 상기 케이스에 삽입시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헤드(210)는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에 의해 상기 헤드(210)가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보호되므로 보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 또한 간편하게 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3과 동일한 형상으로 치실홀더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권취휠(300)을 상기 권취공(240)에 삽입하는데, 이때, 상기 권취휠(300)의 락킹요홈(350)이 상기 락킹폴(250)의 락킹돌기(255)를 향하도록 삽입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시 몸체(200)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하였으며, 권취휠(300)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로 제작하여 조립하였다. 락킹돌기(255)는 락킹폴(25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였다. 또한 이와 대응되는 락킹요홈(350)을 원통형 삽입부(320)의 외주면에 설치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락킹돌기는 락킹폴의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였으며, 이와 대응되는 라킹요홈을 회전손잡이의 내측 평면에 설치(360)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락킹돌기는 락킹폴의 길이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였으며, 이와 대응되는 라킹요홈을 원통형 삽입부(320)의 외주면 및 회전손잡이의 내측 평면에 설치(360)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락킹돌기와 락킹요홈을 설치하지 않았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비교예1, 비교예2 및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치실홀더의 사용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락킹돌기의 위치에 따른 권취휠의 내구성 실험과 권취휠 회전시 편의성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실험은 훈련된 연구자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내구성 실험 회전 편의성 실험
50회 회전 200회 회전 500회 회전
실시예 1 원하는 위치에
고정됨
원하는 위치에
고정됨
원하는 위치에
고정됨
원활히 회전가능
비교예 1 원하는 위치에
고정됨
원하는 위치에
고정됨
고정되지 않음 원활히 회전가능
비교예 2 원하는 위치에
고정됨
원하는 위치에
고정됨
원하는 위치에
고정됨
회전시 많은
힘 필요
비교예 3 고정되지 않음 고정되지 않음 고정되지 않음 원활히 회전가능
(고정 불가)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락킹폴의 길이방향에 락킹돌기가 설치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경우 권취휠의 500회의 회전에도 원하는 위치에 고정가능하지만, 락킹폴의 수직방향에만 락킹돌기가 설치된 비교예 2의 경우 200회의 회전이후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권취휠의 회전에 의하여 락킹돌기 및 고정돌기가 마모되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락킹돌기가 설치되지 않은 비교예 3과도 동일하다.
또한 회전 편의성 실험에서도, 한 쌍의 락킹돌기가 설치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경우 회전이 무리없이 회전 가능하였지만, 락킹돌기가 추가로 설치된 비교예 2의 경우 회전시 많은 힘이 필요하여 사용시 편의성이 감소하였다. 비교예 3의 경우 회전에 가장 적은 힘이 들었지만, 회전 이후 권취휠이 고정되지 않아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 몸체
220 : 고정바
221 : 돌출리브
223 : 가이드 슬릿
225 : 고정홈
230 : 연결부
240 : 권취공
250 : 락킹폴
255 : 락킹돌기
260 : 고정가이드
280 : 치실용 케이스 삽입부
300 : 권취휠
310 : 회전손잡이
320 : 원통형 삽입부
330 : 고정슬릿
340 : 고정돌기
350 : 락킹요홈
360 : 락킹요홈
400 : 케이스
410 : 헤드 삽입부

Claims (4)

  1. 선단에 치실에서 치아의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부분이 걸어지는 헤드가 구비되고, 그 중단에 권취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공 주변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락킹폴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권취공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락킹폴의 일부가 걸어져 고정되며, 상기 치실의 일부가 걸어져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치실이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당겨주는 권취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에 있어서,
    상기 락킹폴은 그 일단을 중심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락킹돌기가 락킹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휠의 원통형 삽입부에는 상기 권취휠의 회전시 상기 락킹돌기와 접하는 궤적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락킹요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락킹요홈에 상기 락킹돌기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권취휠이 고정되며,
    상기 권취휠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회전 손잡이;
    상기 회전 손잡이의 일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권취공에 삽입되며, 그 중단에 상기 치실의 일부가 걸어지는 고정슬릿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권취공의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에 걸어져 상기 권취휠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에서 고정슬릿의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릿으로 분할된 상기 삽입부 중 서로 마주보는 어느 한 쌍에 상기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돌출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리브의 일면에 치실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바;
    상기 고정바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KR1020160132086A 2016-10-12 2016-10-12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KR101706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086A KR101706973B1 (ko) 2016-10-12 2016-10-12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US15/735,927 US11246691B2 (en) 2016-10-12 2017-05-16 Dental floss holder capable of controlling tension
EP17808298.8A EP3326577B1 (en) 2016-10-12 2017-05-16 Dental floss holder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JP2017566004A JP6608968B2 (ja) 2016-10-12 2017-05-16 張力を調節可能な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
CN201780002026.1A CN108289726B (zh) 2016-10-12 2017-05-16 能调节张力的牙线棒
PCT/KR2017/005073 WO2018070625A1 (ko) 2016-10-12 2017-05-16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086A KR101706973B1 (ko) 2016-10-12 2016-10-12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973B1 true KR101706973B1 (ko) 2017-02-15

Family

ID=5811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086A KR101706973B1 (ko) 2016-10-12 2016-10-12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46691B2 (ko)
EP (1) EP3326577B1 (ko)
JP (1) JP6608968B2 (ko)
KR (1) KR101706973B1 (ko)
CN (1) CN108289726B (ko)
WO (1) WO20180706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625A1 (ko) * 2016-10-12 2018-04-19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CN108403238A (zh) * 2018-05-17 2018-08-17 陈德谦 一种牙间清洁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13643A (ja) * 2018-12-21 2022-02-09 ワールド ワイド デイリ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回転可能な清掃具を有する歯の清掃具
US11963834B2 (en) * 2019-08-20 2024-04-23 Meng Xu Dental flosser with means for adjusting floss tension
USD989402S1 (en) * 2022-10-11 2023-06-13 Changsha Xingbei Electronic Commerce Co., Ltd. Floss stick
KR102567553B1 (ko) * 2023-03-03 2023-08-16 주식회사 오토컴 치실 홀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156U (ko) * 1999-01-26 2000-08-25 장승기 치실 공급 및 고정장치
US20070235057A1 (en) * 2006-04-07 2007-10-11 Nickolas Liu Dental floss holder
KR101121950B1 (ko) * 2011-07-29 2012-03-09 김상한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KR101462916B1 (ko) * 2013-11-19 2014-11-19 조현성 치실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4823A (en) * 1983-05-16 1986-03-11 Uriss Michael B Dental floss instrument
US5038806A (en) * 1988-11-07 1991-08-13 Ewald Howard H Disposable dental flosser and holder
US5301698A (en) * 1992-09-25 1994-04-12 Ballard Larry N Multiple lock dental floss holder and spool enclosure assembly therefor
IL110522A (en) * 1993-08-03 2005-06-19 Kossak Michael Flossing equipment and method of operation
US5819769A (en) * 1997-02-20 1998-10-13 Gutierrez; Gregorio Dental floss system
KR200182299Y1 (ko) * 1999-12-08 2000-05-15 장지일 플로스 케이스를 포함하는 플로스 홀더
US6363949B1 (en) * 2000-10-10 2002-04-02 Thomas W. Brown Dental care device
WO2002030319A1 (en) * 2000-10-13 2002-04-18 Michael Kossak Improvements to manually held dental flossers
US7159596B2 (en) * 2003-06-20 2007-01-09 Chia-Ching Chen Floss dispenser with dynamic tension control
WO2006020670A2 (en) * 2004-08-10 2006-02-23 Sunstar Americas, Inc. Manual advance dental floss holder
CN2798868Y (zh) * 2005-05-09 2006-07-26 刘念湘 牙线叉可转动型牙线器
TWM281601U (en) * 2005-05-10 2005-12-01 Jen-Chiuan Chen Dental floss device
US7305997B2 (en) * 2005-05-27 2007-12-11 Nickolas Liu Dental floss holder
CN2928033Y (zh) * 2006-06-16 2007-08-01 张济 一种可控拉力并可前移换线牙线器
CN201058055Y (zh) * 2007-06-01 2008-05-14 刘念湘 牙线器的改良构造
CN101234039A (zh) * 2008-03-05 2008-08-06 程浩玠 牙线架
US20110041870A1 (en) * 2009-08-19 2011-02-24 Russell Kalbfeld Dental flosser
KR101059860B1 (ko) * 2009-08-21 2011-08-29 조일구 치실 고정 지지대
US20160310246A1 (en) * 2009-10-14 2016-10-27 N. Michelle Borg Orthodontic flosser
US8813763B2 (en) * 2010-05-26 2014-08-26 Sang Sook Lee Interdental cleaner
US20130204234A1 (en) 2011-08-12 2013-08-08 Edward H. Cully Systems for the reduction of leakage around medical devices at a treatment site
KR101635363B1 (ko) 2015-10-22 2016-07-05 오봉균 치실홀더
KR101706973B1 (ko) * 2016-10-12 2017-02-15 김상한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156U (ko) * 1999-01-26 2000-08-25 장승기 치실 공급 및 고정장치
US20070235057A1 (en) * 2006-04-07 2007-10-11 Nickolas Liu Dental floss holder
KR101121950B1 (ko) * 2011-07-29 2012-03-09 김상한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KR101462916B1 (ko) * 2013-11-19 2014-11-19 조현성 치실 홀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625A1 (ko) * 2016-10-12 2018-04-19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CN108403238A (zh) * 2018-05-17 2018-08-17 陈德谦 一种牙间清洁器
CN108403238B (zh) * 2018-05-17 2024-03-19 陈德谦 一种牙间清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46691B2 (en) 2022-02-15
EP3326577B1 (en) 2020-03-11
JP6608968B2 (ja) 2019-11-20
EP3326577A4 (en) 2018-08-01
EP3326577A1 (en) 2018-05-30
CN108289726B (zh) 2020-11-24
JP2018533380A (ja) 2018-11-15
US20190110874A1 (en) 2019-04-18
WO2018070625A1 (ko) 2018-04-19
CN108289726A (zh)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973B1 (ko)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EP3534830A1 (en) Replacement toothbrush head assembly for toothbrushing systems
US20010054211A1 (en) Triple clean toothbrush
US3534745A (en) Dental tape holder for power driven tooth cleaning devices
US10231808B2 (en) Method of using a bristled toothpick assembly
US20080289648A1 (en) Dental floss holder with improved structure
KR101387383B1 (ko) 치실 홀더 및 이를 구비한 칫솔
KR200182299Y1 (ko) 플로스 케이스를 포함하는 플로스 홀더
ES2168738T3 (es) Aparato de limpieza de los dientes con una empuñadura.
KR101121950B1 (ko)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 methods of use thereof
KR101462916B1 (ko) 치실 홀더
JP4038244B2 (ja) デンタル・フロスに張力を掛け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歯を清掃するための装置
EP2299869B1 (en) Oral hygiene device with floss storage capability
KR20200052539A (ko) 치실 홀더
EP0292673A2 (en) Elastic dental floss and holder for elastic dental floss with or without toothbrush
KR102075235B1 (ko) 치실 홀더
KR101966592B1 (ko) 치실 조립체
KR200494722Y1 (ko) 구강 관리 장치
KR20110073623A (ko) 치간 세척구
JP2003319834A (ja) 歯ブラシ
AU2001291510B2 (en) A flossing apparatus
KR20190021898A (ko) 치실 보조 도구
KR101889612B1 (ko) 칫솔
JP4320449B2 (ja) 歯科用具付き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