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950B1 -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 Google Patents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950B1
KR101121950B1 KR1020110075542A KR20110075542A KR101121950B1 KR 101121950 B1 KR101121950 B1 KR 101121950B1 KR 1020110075542 A KR1020110075542 A KR 1020110075542A KR 20110075542 A KR20110075542 A KR 20110075542A KR 101121950 B1 KR101121950 B1 KR 101121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locking
fixing
winding
wind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한
Original Assignee
김상한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한,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상한
Priority to KR1020110075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실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단에 치실에서 치아의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부분이 걸어지는 헤드가 구비되고, 그 중단에 권취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공 주변에는 락킹폴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권취공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락킹폴의 일부가 걸어져 고정되며, 상기 치실의 일부가 걸어져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치실이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당겨주는 권취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권취휠의 회전/고정에 의해 치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치실의 장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치실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헤드가 케이스에 의해 보호되므로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고, 휴대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Dental Floss Holder which can control the tention}
본 발명은 치아 사이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치실을 고정시키는 치실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시에 늘어지거나 약해질 수 있는 치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력 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에 관한 것이다.
세계 보건기구(WHO) 각국 구강실태조사에 의하면, 한국 12세 아동의 1인당 평균 충치 경험 개수는 3.3개로 세계 평균 1.61개에 비해 두 배 이상 높다. 더군다나 성인의 잇몸 질환 유병률은 70% 이상이 다. 그러나 한국인은 칫솔질을 열심히 하고 있다. 한국의 1인당 연간 치약 사용량은 미국 다음으로 2 위로 조사되었다.(맥킨지2005년 조사). 한국인의 1일 칫솔질 횟수도 2.35회로 일본의 1.97회에 비해 월 등히 높다. 칫솔질을 많이 하는데도 불구하고 잇몸질환 발병률 이 높은 이유는 치실의 사용 에 대한 낮은 정보 때문 이라고 할 수 있겠다.
현재, 유럽국가 및 대부분의 선진국 에서는 식후 치실을 사용하여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몇몇 아시아 국가에서도 치실홀더 및 치실의 사용빈도가 높은 반면 당국 은 인식 및 사용방법의 전달 미흡으로 여전히 식후 이쑤시개를 사용하는 횟수가 치실을 사용하는 횟수보다 빈번하다는 결과를 갖고 있다. 주지하듯이, 치실은 치아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잇몸 질환이 있는 경우 프라그 제거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치실홀더는 이와 같은 치실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도구로 Y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치실홀더는 Y자의 양단에 치실을 원하는 장력을 가지도록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치실홀더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치실홀더는 단순히 치실을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치실이 사용에 의해 느슨해 졌을 때, 오히려 치아 사이의 이물질 제거를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실이 원하는 장력을 유지하지 못하면 사용하던 치실을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치실을 고정하여 사용해야 하는 바, 치실의 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실홀더에서 치실이 걸어지는 부분은 사용자의 구강 안으로 넣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 기술의 경우 이 부분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 오염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어 재사용시 세척이 필요하여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권치휠의 회전 및 고정에 의해 치실의 장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치실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가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치실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선단에 치실에서 치아의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부분이 걸어지는 헤드가 구비되고, 그 중단에 권취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공 주변에는 락킹폴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권취공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락킹폴의 일부가 걸어져 고정되며, 상기 치실의 일부가 걸어져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치실이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당겨주는 권취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권취휠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회전손잡이; 상기 회전손잡이의 일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권취공에 삽입되며, 그 중단에 상기 치실의 일부가 걸어지는 고정슬릿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권취공의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가이드에 걸어져 상기 권취휠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락킹폴은 그 일단을 중심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락킹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휠의 회전손잡이에서 상기 락킹돌기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권취휠의 회전시 상기 락킹돌기와 접하는 궤적 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락킹요홈이 요입 되게 형성되어, 상기 락킹요홈에 상기 락킹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권취휠이 고정된다.
상기 삽입부에서 고정슬릿의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릿으로 분할된 상기 삽입부 중 서로 마주보는 어느 한 쌍에 상기 고정 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돌출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리브의 일면에 치실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바 ; 상기 고정바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가 삽입되어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치실을 보호할 수 있는 헤드안착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치실홀더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하면 치실의 장력의 조절이 권취휠의 회전/고정에 의해 손쉽게 될 수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자신의 치아에 맞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치실홀더의 사용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에 의해 치실의 장력이 약해질 경우 , 권취휠의 회전을 손쉽게 통해 다시 원하는 장력을 갖도록 치실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치실홀더에서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헤드부분이 케이스에 의해 외부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어, 재사용 시 다시 치실홀더를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고, 휴대성도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치실홀더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치실홀더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를 구성하는 권취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를 구성하는 권취휠의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의한 치실홀더가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에 의한 치실홀더에 치실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보인 작업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치실홀더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권취휠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권취휠의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가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치실홀더(100)는 크게 몸체(200)와 권취휠(3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00)는 일정 길이를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단에 치실(L)에서 치아의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부분이 걸어지는 헤드(210)가 구비되고, 그 중단에 권취공(240)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공(240) 주변에는 락킹폴(250)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몸체(200)의 헤드(210)는 대략 'Y'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크게 고정바(220)와 연결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220) 한 쌍이 구비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돌출리브(22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리브(221)의 일면에 치실(L)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가이드슬릿(22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바(220)의 선단에는 치실(L)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홈(22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치실(L)은 상기 고정홈(225)에 걸어지고 상기 가이드슬릿(223)에 삽입되어 상기 권취휠(300)에 걸어져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치실(L)이 고정되는 과정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바(220)는 연결부(230)에 의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고정바(220)의 사이에 위치한 치실(L)이 직접적으로 치아의 사이에 삽입되어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권취공(240)은 상기 권취휠(300)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권취공(240)의 둘레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락킹폴(250)이 구비된다. 상기 락킹폴(250)은 그 일단이 상기 몸체(200)에 연결되고 그 양단이 절결된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몸체(200)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락킹폴(250)은 상기 권취휠(300)과 접하여 상기 권취휠(3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락킹폴(250)의 선단에는 락킹돌기(255)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후술할 상기 권취휠(300)의 회전손잡이(310)에서 상기 락킹돌기(255)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권취휠(300)의 회전시 상기 락킹돌기(255)와 접하는 궤적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락킹요홈(350)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락킹요홈(350)에 상기 락킹돌기(255)가 삽입되어 상기 권취휠(300)이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권취공(240)에서 상기 락킹폴(250)이 구비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상기 권취공(240)을 둘레를 따라 고정가이드(26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가이드(260)는 상기 권취휠(300)과 함께 상기 치실(L)의 일단을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권취휠(300)과 상기 고정가이드(260)의 사이에 상기 치실(L)이 삽입되어 그 압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상기 치실(L)이 고정되는 것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권취휠(3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상기 권취휠(300)은, 크게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회전손잡이(310); 상기 회전손잡이(310)의 일면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권취공(240)에 삽입되며, 그 중단에 상기 치실(L)의 일부가 걸어지는 고정슬릿(33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부(320); 상기 삽입부(320)의 일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권취공(240)의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가이드(260)에 걸어져 상기 권취휠(300)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돌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손잡이(310)는 사용자가 상기 권취휠(300)을 회전시키기 위해 파지되는 부분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와는 달리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손잡이(310)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부(320)는 상기 권취휠(300)이 상기 권취공(2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치실(L)을 고정시키는 역할도 함께 한다. 상기 삽입부(320)는 상기 권취공(240)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공(24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320)에는 고정슬릿(33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슬릿(330)은 상기 치실(L)의 말단부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210)에 상기 치실(L)의 중단부분이 걸어지고 나머지 양단은 함께 상기 고정슬릿(330)을 통해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슬릿(330)을 통해 상기 치실(L)이 양단이 함께 삽입된 후 상기 권취휠(300)을 회전시키면 상기 치실(L)이 상기 고정가이드(260) 및 삽입부(320)의 외면 사이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가이드(260)를 4분할하도록 십자(+)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십자가 아닌 다양한 방향으로,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320)를 5분할, 6분할 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고정슬릿(330)에 의해 4분할된 상기 삽입부(320)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에는 고정돌기(34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340)는 상기 권취휠(300)이 상기 권취공(240)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권취공(240)의 고정가이드(260) 일단에 걸어져 상기 권취휠(300)이 상기 권취공(24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손잡이(310)에서 상기 삽입부(320)가 구비된 면에는 상기 삽입부(320)의 둘레를 따라 락킹요홈(350)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락킹요홈(350)은 상기 락킹폴(250)의 락킹돌기(255)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락킹요홈(350)에 상기 락킹돌기(255)가 삽입되어 상기 권취휠(300)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락킹요홈(350)은 상기 락킹돌기(255)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고,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락킹요홈(350)이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회전손잡이(310)의 회전시 상기 락킹돌기(255)가 접하는 부분의 궤적상에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손잡이(310)를 회전시켰을 때, 상기 락킹돌기(255)가 접하는 궤적은 상기 회전손잡이(310)의 회전 중심과 동심인 원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락킹돌기(255)는 이 원주 상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락킹돌기(255)가 6개가 형성되었는데, 필요에 따라 개수의 변형이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상기 권취휠(300)은 상기 락킹돌기(255)가 상기 락킹요홈(35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락킹돌기(255)가 형성된 상기 락킹폴(250)은 탄성변형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권취휠(300)이 회전하면서 하나의 락킹요홈(350)에서 인접한 락킹요홈(350)으로 이동할 때, 상기 락킹폴(250)이 탄성변형 되는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인접한 락킹요홈(350)으로 이동할 때, 상기 락킹돌기(255)는 상기 락킹요홈(350)에서 이탈하게 되고, 상기 회전손잡이(310)의 바닥면에 접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상기 락킹돌기(255)의 높이만큼 상기 락킹폴(250)이 탄성변형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회전손잡이(3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락킹돌기(255)가 인접한 락킹요홈(350)에 삽입되면 다시 상기 락킹폴(250)이 복원되어 상기 권취휠(300)이 고정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400은 케이스이다. 상기 케이스(400)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210)가 삽입되어 먼지 등의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상기 헤드(210)가 오염되는 것을 막는 헤드안착부(410)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400)의 헤드안착부(410)에 상기 헤드(210)가 삽입되어 청결하게 상기 헤드(210)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 몸체(200)의 권취공(240)에 상기 권취휠(300)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사용자는 상기 권취휠(300)을 상기 권취공(240)에 삽입하는데, 이때, 상기 권취휠(300)의 락킹요홈(350)이 상기 락킹폴(250)의 락킹돌기(255)를 향하도록 삽입시킨다.
상기 삽입부(320)는 상기 고정슬릿(330)에 의해 4분할되어 있어, 상기 삽입부(320)에서 4분할 된 부분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삽입부(320)가 상기 권취공(2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권취휠(300)의 고정돌기(340)가 구비된 삽입부(320)를 탄성변형시켜서 상기 권취공(240)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삽입부(320)를 상기 권취공(240)에 계속 밀어넣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340)가 상기 권취공(240)의 고정가이드(260)와 만나는 동시에 복원되어 걸어지게 된다.
상기 권취휠(300)이 상기 권취공(240)에 결합된 후에도 상기 권취휠(300)의 락킹요홈(350)에 상기 락킹폴(250)의 락킹돌기(255)가 완전히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락킹돌기(255)가 상기 권취휠(300)의 락킹요홈(350)에 삽입되도록 상기 권취휠(300)을 회전시킨다. 상기 락킹폴(250)은 탄성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락킹돌기(255)가 상기 락킹요홈(350)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변형된 상태로 놓이게 되고, 상기 락킹돌기(255)가 상기 락킹요홈(350)에 정확히 삽입되면, 상기 락킹폴(250)은 다시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의 사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에 치실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보인 작업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는 치실(L)을 일정길이로 절단한다. 이때 치실(L)의 절단길이는 헤드(210)의 고정홈(225)에 치실(L)의 중단이 위치하고 양단이 함께 권취휠(300)의 고정슬릿(330)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절단한다.
이 후 사용자는 권취휠(300)을 회전시켜 상기 권취휠(300)의 고정슬릿(330)이 락킹폴(250)을 향하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슬릿(330)의 개방된 부분이 상기 권취공(240)의 고정가이드(26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치실(L)의 일단을 상기 몸체(200)에서 상기 고정슬릿(330) 중 상기 헤드(210)를 향하는 부분의 반대편에 손으로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치실(L)의 일부가 상기 고정슬릿(330)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위치한 후, 상기 헤드(210)의 일측 고정바(220)의 고정홈(225)에 상기 치실(L)을 걸고 다시 타측 고정바(220)의 고정홈(225)에 상기 치실(L)이 걸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치실(L)이 상기 고정바(220)의 가이드슬릿(22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맞추어 건다. 상기 치실(L)이 상기 고정홈(225)에 모두 걸어지면 상기 치실(L)의 타단을 상기 고정슬릿(330)의 사이에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치실(L)의 양단이 함께 모아지도록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권취휠(300)을 회전시킨다. 회전방향을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모두 무방하다. 상기 권취휠(300)이 회전되면, 상기 치실(L)의 일부는 상기 권취휠(300)의 삽입부(320) 외면과 상기 권취공(240) 둘레의 고정가이드(260)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치실(L)은 상기 권취휠(300)의 삽입부(320)와 상기 고정가이드(260) 사이의 압력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치실(L)의 장력은 상기 권취휠(300)의 회전양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권취휠(300)이 많이 회전될수록 상기 치실(L)의 장력은 증가하게 되고, 그만큼 상기 치실(L)의 두께는 얇아지게 된다.
상기 권취휠(300)은 상기 권취휠(300)의 락킹요홈(350)에 상기 락킹폴(250)의 락킹돌기(255)가 삽입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권취휠(300)의 락킹요홈(350)은 다수개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권취휠(300)을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에, 좀 더 상세하게는 치실(L)이 사용자가 원하는 장력을 가질 수 있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치아에 사용하기 적합할 만큼 상기 치실(L)이 장력을 가지도록 또는 그 두께가 조절되도록 치실(L)을 사용할 수 있어, 치실(L)의 활용성이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에 의해 치실(L)의 장력이 감소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기술에 의한 치실홀더(100)의 경우 치실(L)을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치실홀더(100)의 경우 치실(L)의 장력이 감소되었을 때, 상기 권취휠(300)을 회전시켜 다시 원하는 장력을 얻을 수 있어 치실(L)을 더욱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치실(L)의 사용을 완료한 후에 다시 상기 헤드(210)를 물로 세척한 후 상기 헤드(210)를 상기 케이스(400)에 삽입시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헤드(210)는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400)에 의해 상기 헤드(210)가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보호되므로 보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 또한 간편하게 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 치실홀더 200 : 몸체
210 : 헤드 220 : 고정바
221 : 돌출리브 223 : 가이드슬릿
225 : 고정홈 230 : 연결부
240 : 권취공 250 : 락킹폴
260 : 고정가이드 300 : 권취휠
310 : 회전손잡이 320 : 삽입부
330 : 고정슬릿 340 : 고정돌기
350 : 락킹요홈 400 : 케이스
410 : 헤드삽입부

Claims (6)

  1. 선단에 치실에서 치아의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부분이 걸어지는 헤드가 구비되고, 그 중단에 권취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공 주변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락킹폴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권취공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락킹폴의 일부가 걸어져 고정되며, 상기 치실의 일부가 걸어져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치실이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당겨주는 권취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휠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회전손잡이;
    상기 회전손잡이의 일면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권취공에 삽입되며, 그 중단에 상기 치실의 일부가 걸어지는 고정슬릿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권취공의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가이드에 걸어져 상기 권취휠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폴은 그 일단을 중심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락킹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권취휠의 회전손잡이에서 상기 락킹돌기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권취휠의 회전시 상기 락킹돌기와 접하는 궤적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락킹요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락킹요홈에 상기 락킹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권취휠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서 고정슬릿의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릿으로 분할된 상기 삽입부 중 서로 마주보는 어느 한 쌍에 상기 고정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돌출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리브의 일면에 치실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바;
    상기 고정바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가 삽입되어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치실을 보호할 수 있는 헤드안착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KR1020110075542A 2011-07-29 2011-07-29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KR101121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542A KR101121950B1 (ko) 2011-07-29 2011-07-29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542A KR101121950B1 (ko) 2011-07-29 2011-07-29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1950B1 true KR101121950B1 (ko) 2012-03-09

Family

ID=4614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542A KR101121950B1 (ko) 2011-07-29 2011-07-29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9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916B1 (ko) * 2013-11-19 2014-11-19 조현성 치실 홀더
KR101498854B1 (ko) * 2014-02-19 2015-03-05 정만돌 치실 조정 기구
KR101706973B1 (ko) * 2016-10-12 2017-02-15 김상한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WO2018110738A1 (ko) * 2016-12-14 2018-06-21 오봉균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1556A (en) 1999-11-30 2000-12-19 Gutierrez; Gregorio Dental floss holder
KR20110019831A (ko) * 2009-08-21 2011-03-02 조일구 치실 고정 지지대
KR20110004721U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고산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1556A (en) 1999-11-30 2000-12-19 Gutierrez; Gregorio Dental floss holder
KR20110019831A (ko) * 2009-08-21 2011-03-02 조일구 치실 고정 지지대
KR20110004721U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고산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916B1 (ko) * 2013-11-19 2014-11-19 조현성 치실 홀더
KR101498854B1 (ko) * 2014-02-19 2015-03-05 정만돌 치실 조정 기구
KR101706973B1 (ko) * 2016-10-12 2017-02-15 김상한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WO2018070625A1 (ko) * 2016-10-12 2018-04-19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CN108289726A (zh) * 2016-10-12 2018-07-17 东西医保株式会社 能调节张力的牙线棒
EP3326577A4 (en) * 2016-10-12 2018-08-01 Dongseo Medicare Co., Ltd Dental floss holder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JP2018533380A (ja) * 2016-10-12 2018-11-15 トンソ メディケ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Dongseo Medicare Co., Ltd. 張力を調節可能な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
US20190110874A1 (en) * 2016-10-12 2019-04-18 Sang Han Kim Dental floss holder capable of controlling tension
US11246691B2 (en) * 2016-10-12 2022-02-15 Dongseo Medicare Co., Ltd Dental floss holder capable of controlling tension
WO2018110738A1 (ko) * 2016-12-14 2018-06-21 오봉균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US11446126B2 (en) 2016-12-14 2022-09-20 Bong Kyun Oh Dental floss member and dental floss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973B1 (ko)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 홀더
KR101121950B1 (ko)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US5669097A (en) Straddle-type tooth brushing device
US9168115B2 (en) Bristled toothpick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80289648A1 (en) Dental floss holder with improved structure
JPH05506161A (ja) 隣接歯間用ブラシ
KR200182299Y1 (ko) 플로스 케이스를 포함하는 플로스 홀더
KR101462916B1 (ko) 치실 홀더
KR20200052539A (ko) 치실 홀더
US20050160542A1 (en) Electromotion toothbrush rotatable in positive or reverse direction
JP2007105449A (ja) 歯ブラシ
KR101535796B1 (ko) 휴대용 치실장치
US3987806A (en) Dental floss applicator
KR200426835Y1 (ko) 머리부가 회전되는 칫솔
KR200371454Y1 (ko) 치아용 브러싱기구
KR200477996Y1 (ko) 회전식 출몰구조를 갖는 듀얼칫솔
KR20130006386U (ko) 치간 세척구
US20110302736A1 (en) Miswak Toothbrush
KR20110073623A (ko) 치간 세척구
KR200377277Y1 (ko) 칫솔
KR20200110546A (ko) 치아의 이물질 제거에 탁월한 칫솔
KR200461553Y1 (ko) 3면에 솔이 구비된 3면 칫솔
KR101520075B1 (ko) 치아 및 치간 세정 칫솔
JP2018509959A (ja) 回転ヘッドを有する歯ブラシ
KR200442243Y1 (ko) 치아 세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