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243Y1 - 치아 세정기 - Google Patents

치아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243Y1
KR200442243Y1 KR2020070007377U KR20070007377U KR200442243Y1 KR 200442243 Y1 KR200442243 Y1 KR 200442243Y1 KR 2020070007377 U KR2020070007377 U KR 2020070007377U KR 20070007377 U KR20070007377 U KR 20070007377U KR 200442243 Y1 KR200442243 Y1 KR 200442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handle
case
support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616U (ko
Inventor
이팔형
이혜정
이재헌
Original Assignee
이팔형
이혜정
이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팔형, 이혜정, 이재헌 filed Critical 이팔형
Priority to KR2020070007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243Y1/ko
Publication of KR20070000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6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2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실고정편이 치실을 고정시키는 역할과 동시에 치실을 끊는 커터의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치실을 보관하는 케이스와 치실이 고정되는 치실지지대를 가진 손잡이가 전개수단에 의해 전개 및 절첩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치실을 적량 감겨진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고, 손잡이는 사용 시 케이스에서 전개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휴대, 수납상의 편익을 제공함은 물론, 치실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가 있어 치아 세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며, 케이스 내에 감겨진 상태로 보관된 치실을 손잡이 단부에 간단하게 절단, 리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의 극대화 및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토록 한 치아 세정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여 있는 음식물찌꺼기를 세정하기 위한 치아 세정기(1)를 구성하되, 이는 치실(4)을 감겨진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와 전개수단(5)으로 연결되어 전개 및 절첩이 가능한 손잡이(3)와, 상기 손잡이(3)와 일체로 형성되어 치실(4)이 지지되는 치실지지대(18)와, 상기 손잡이(3)에 치실지지대(18)를 경유한 치실(4)의 단부를 고정 및 커팅할 수 있는 치실고정편(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치아 세정기(1)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여 있는 음식물찌꺼기 등을 제거할 때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치실(4)을 다량 감겨진 상태로 수납한 케이스(2)와 전개수단(5)을 사용하여 치실지지대(18)가 일체 형성된 손잡 이(3)를 전개 및 절첩이 가능토록 하여 최소 부피로 휴대 및 보관이 가능하고, 구강내의 상하치아의 배열 각도에 맞출 수 있도록 치실지지대(18) 뒷쪽에 고무링(29), 볼트형힌지(30)를 설치하여 치아 맞도록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치아 세정을 행할 수 있으며, 손잡이(3)에서 치실고정편(20) 에 이르는 치실(4)을 드러내지 않도록 하고 치실(4)이 치실고정편(20)에 탄성있게 끼워져 있는 고무링(26)을 통과하도록 하여, 치실(4)을 사용할 때에 고무링(26)의 탄성작용으로 입안의 침이 치실(4)을 타고 손잡이 안으로 옮겨가지 않도록 방지하여 위생적이며, 사용한 치실(4)을 제거하고 새것으로 교환코자 할 때는 커터(23)를 가진 치실고정편(20)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치실 제거 및 교환과 고정을 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치아 세정기, 케이스, 손잡이, 치실, 전개수단, 힌지, 치실지지대, 치실고정편

Description

치아 세정기{A dental cleaner}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절첩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전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절첩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전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전개 및 절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전개 및 절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에 있어서, 전개수단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절첩 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에 있어서, 전개수단의 일 실시예 를 보인 전개 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에 있어서, 전개수단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절첩 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에 있어서, 손잡이에 설치되는 치실고정편의 분해 상태 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에 있어서, 전개수단에 영구자석을 설치한 경우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에 있어서, 전개수단과 치실지지대 각도조절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발췌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에 있어서, 전개수단과 치실지지대의 각도조절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발췌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에 있어서, 치실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발췌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치아 세정기 2: 케이스
3: 손잡이 4: 치실
5: 전개수단 6: 힌지
7: 힌지핀 8: 연결편
9: 힌지결합홈 10: 돌기
11: 요홈 12: 영구자석
13,14: 암수나사 15: 오링
16: (반구형)환홈 17: 로울러
18: 치실지지대 19: 사도
20: 치실고정편 21: 수나사
22: 헤더 23: 커터
24: 결합홈 25: 경유공
26: 고무링 27: 힌지편
28: 힌지편 29: 고무링
30: 볼트형 힌지 31: 볼
32: 스프링 33: 요입홈
본 고안은 치아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치실고정편이 치실을 고정시키는 역할과 동시에 치실을 끊는 커터의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치실을 보관하는 케이스와 치실이 고정되는 치실지지대를 일체로 가진 손잡이가 전개수단에 의해 전개 및 절첩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치실을 적량 감겨진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고, 손잡이는 사용 시 케이스에서 전개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 도록 하여 휴대, 수납상의 편익을 제공함은 물론, 구강내의 상하 치아의 배열 각도에 맞출 수 있도록 치실지지대의 각도조절이 용이토록 하여 치아 세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며, 케이스 내에 감겨진 상태로 보관된 치실을 인출하여 치아 사이에 끼여 있는 음식물 제거에 사용한 후 사용된 치실 제거 및 새것으로 교환을 할 때에는 손잡이 단부에 붙어 있는 치실고정편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절단과, 리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에서 치실고정편 사이에 이르는 치실을 안으로 감추어서 치실고정편의 둘레에 탄성있게 끼여 있는 고무링을 통과하도록 하여 치실을 사용할 때 고무링의 탄성작용으로 입안의 침이 치실을 타고 손잡이 안으로 옮겨가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이며, 사용 편의성의 극대화 및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토록 한 치아 세정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치아 사이에 개재된 음식물 등을 인출할 시에 사용하는 치아 세정기는 케이스 내부에 치실을 수납하여 필요시 케이스에 장착된 커터를 이용하여 치실을 일정 길이 절단하여 사용토록 한 것과,
손잡이 선단부에 개략 U형이나 V형 등으로 치실지지대를 형성하고 케이스 내부에 치실을 수납하여 필요시 치실을 인출하여 치실지지대에 걸어서 사용을 하고 사용한 치실은 케이스에 장착된 커터를 이용하여 절단토록 한 것과,
손잡이 선단부에 개략 U형이나 V형 등으로 치실지지대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 상간에 치실을 고정시킨 일명 1회용 치아 세정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치실의 양단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후 치아 상간에 치 실을 개재시켜 사용하여야 하므로 어금니 등에 개재된 음식물을 인출하기란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치실을 잡은 손을 직접 입안에 넣는 등 위생성도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후자 중 첫 번째는 손잡이 선단부에서 직각방향으로 치실지지대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치실이 고정된 경우에는 앞니는 크게 어려움이 없으나, 치실이 걸려있는 U형이나 V형의 치실지지대 부분의 각도 조절이 되지 않아 어금니 부위의 각도에 맞추어 치실을 개재시킬 경우 어려움이 많았으며, 또한 치실 절단용 커터와 치실고정편이 따로 붙어 있어, 사용한 치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치실고정편에 감겨있는 치실을 풀어서 다시 케이스에 붙어 있는 커터에 걸어서 잘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후자 중 두 번째는 손잡이의 선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U형으로 치실지지대가 형성된 치아 세정기는 사용 편의성이 높으나, 1회용으로 사용 후 폐기하여야 하므로 자원의 낭비 등이 심하여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치아 세정기의 개발이 절실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치아 세정기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치아 세정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치실고정편이 치실을 고정시키는 역할과 동시에 치실을 끊는 커터의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치실을 보관하는 케이스와 치실이 고정되는 치실지지대를 일체로 가진 손잡이가 전개수단에 의해 전개 및 절첩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치실을 적량 감겨진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고, 치실지지대가 치아의 각도에 맞게 각도 조절이 용이하며, 손잡이에서 치실고정편에 이르는 치실을 안으로 감추어서 치실고정편에 탄력 개재된 고무링을 통과한 치실을 사용할 때에 고무링의 탄성작용으로 입안의 침이 치실을 타고 손잡이 안으로 옮겨가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이며, 손잡이는 케이스에서 사용 할 때에 전개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휴대, 수납상의 편익을 제공함은 물론, 케이스 내에 감겨진 상태로 보관된 치실을 손잡이 단부에 간단하게 절단, 리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의 극대화 및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토록 한 치아 세정기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1)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절첩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치아 세정기(1)의 케이스(2)에서 손잡이(3)를 전개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등으로서, 상기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통상의 치아 세정기(1)는 치실(4)을 권취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에서 전개 및 케이스(2)상으로 절첩, 수납이 가능한 손잡이(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2)와 손잡이(3)는 도 2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180° 전개 및 절첩되는 타입(이하 '수평전개'라 칭한다.)은 물론, 도 3,4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180°전개 및 절첩되는 타입(이하 '수직전개'라 칭한다), 도 5,6과 같이 슬라이드식으로 케이스(2)에서 손잡이(3)가 전개 및 절첩되는 타입(이하 '슬라이드전개'라 칭한다)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케이스(2)와 손잡이(3)를 전개 및 절첩 가능토록 하는 전개수단(5)으로 힌지(6)를 사용할 경우에는 수평전개 및 수직전개 모두 케이스(2)와 손잡이(3)에 형성된 힌지핀(7)을 상호 탄성을 갖는 연결편(8)을 사용하여 연결토록 한다.
상기 연결편(8)은 고무나 연질의 합성수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힌지핀(7)이 형성되는 케이스(2)와 손잡이(3)의 힌지결합홈(9)에 탄성을 갖고 억지끼움식으로 조립상태를 유지토록 한다.(도 7,8 참조)
상기 탄성 연결편(8)은 필요에 따라서는 도 9와 같이 힌지결합홈(9)이 간극을 갖도록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케이스(2)와 손잡이(3)의 전개 시 정위치 전개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대응 연접면에는 각각 돌기(10)와 상기 돌기(10)가 끼움결합되는 요홈(11)을 형성토록 한다. 상기 돌기(10)와 요홈(11) 뿐만 아니라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구자석(12)을 상호 대응 연접면에 내입 구성하여 자력에 의해 케이스(2)와 손잡이(3)가 전개시 유동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2)와 손잡이(3)를 슬라이드 전개 및 절첩이 가능토록 하는 전개수단(5)으로 도 5와 같이 암수나사(13,14)를 각각 케이스(2) 선단부와 손잡이(3) 의 후단부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6과 같이 전개수단(5)으로 탄성을 갖는 오링(15)을 하나 이상 케이스(2) 선단부와 손잡이(3) 후단부에 형성된 반구형 환홈(16)상에 개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약간의 힘을 주면서 강제 전개 및 강제 분리 후 절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2)에 수납되는 치실(4)은 하나 이상의 로울러(17)에 권취시켜 소정 텐션을 갖도록 권취 수납토록 하며, 상기 치실(4)은 치실지지대(18)가 형성된 손잡이(3)의 사도(19)를 통하여 치실고정편(20)에 고정토록 한다.
상기 치실고정편(20)은 치실(4)을 커팅 및 소정 텐션을 갖고 치실지지대(18)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치실고정편(20)은 도 10에서 보듯이 치실지지대(18) 상부에 나사결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수나사(21)를 가지며, 상부 헤더(22)에는 수개의 커터(23) 및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 또는 동전 등을 사용하여 치실고정편(20)을 조임 및 해제할 수 있도록 결합홈(24)이 형성되며, 헤더(22)의 하부엔 치실(4)이 경유할 수 있는 경유공(25)이 있고 치실(4)을 잡아줄 수 있는 고무링(26)이 결합되며, 경유공(25)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의 둘레는 거친 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경유공(25)을 관통하여 나온 치실(4)이 고정을 위해서 수차례 둘레를 따라 권취 시 확실하게 제자리에 잡힐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2)와 손잡이(3)에, 그리고 상기 손잡이(3)의 치실지지대(18)의 후방 부위에, 도 12와 같이 힌지편(27)과 힌지편(28) 상간에 고무링(29)을 개재하여 볼트형 힌지핀(30)을 나사조임하여 볼트형 힌지편(30) 상간에 압박 조임된 고무링(29)이 전개 및 절첩 상태에서 손잡이(3)가 임의 유동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어 안정적인 치아 세정 및 보관과 휴대가 가능하고, 치아 사이에 치실(4)을 개재시킬 때 치아들의 각도에 맞게 치실지지대(18)의 각도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또한 도 13과 같이 일측 힌지편(27)에는 볼(31)을 스프링(32)으로 탄력지지하고, 상기 볼(31)이 대응하여 탄력걸림될 수 있는 요입홈(33)을 대응하는 힌지편(28)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손잡이(3)의 전개 및 절첩 상태의 안정성을 제공받을 수도 있고, 치아 사이에 치실(4)을 개재시킬 때 치아들의 각도에 맞게 치실지지대(18)의 각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치실지지대(18)는 치아 세정을 할 시에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도 14와 같이 평면상에서 볼 시에 개략 V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치아 세정기(1)는 치아와 치아 상간에 개재된 음식물찌꺼기 등을 제거할 시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치아 세정기(1)는 우선 치실(4)이 다양한 케이스(2)상에 다량 권취 수납되어 있어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3)는 케이스(2)에서 각운동 전개 및 슬라이드 전개가 이루어져 치아 상간을 세정하게 된다.
즉, 손잡이(3)가 도 2와 같이 전개수단(5)을 구성하는 힌지(6)를 기점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180°전개 및 절첩이 가능하고, 도 3,4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180°전개 및 절첩, 그리고 도 5,6과 같이 슬라이드식으로 케이스(2)에서 손잡이(3)가 전개 및 절첩될 수도 있어 휴대 및 보관 시에는 최소 부피로 보관, 휴대가 가능하며, 사용 시에는 입속 깊숙한 곳 까지 손쉽게 투입하여 치아 세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6)는 케이스(2)와 손잡이(3)에 형성된 힌지핀(7)을 상호 탄성을 갖는 연결편(8)을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절첩 및 전개 시에 힌지결합홈(9)에 탄성을 갖고 억지끼움식으로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손잡이(3)가 전개 및 절첩 시 임의 유동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는 것이며, 이와 더불어 케이스(2)와 손잡이(3) 대응부에 형성된 돌기(10)와 요홈(11), 그리고 영구자석(12)에 의해 전개 및 절첩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케이스(2)와 손잡이(3)를 도 5와 같은 암수나사(13,14)로 이루어진 전개수단(5)을 사용할 경우는 나사조절에 의해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손잡이(3)를 전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도 6과 같이 오링(15)과 환홈(16)을 전개수단(5)으로 사용할 경우는 사용자가 약간의 힘을 주면서 강제로 전개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케이스(2) 내부에 하나 이상의 로울러(17)에 감겨서 수납되고 손잡이(3)의 사도(19)를 경유하여 치실지지대(18)에 고정된 치실(4)은 음식물찌꺼기 제거에 이미 사용한 경우에는 치실고정편(20)에 감겨있는 치실(4)을 풀어서 사용한 양만큼 당겨서 치실고정편(20)의 커터(23)를 이용해서 절단 후 제거를 하고 케이스(2) 내부에서 해권되어 치실고정편(20)의 경유공(25)을 통과한 치실(4)은 먼저 치실고정편(20)의 경유공(25) 둘레의 거친면과 고무링(26) 사이로 수차례 감아서 고정을 확실하게 한 뒤 치실지지대(18) 사이를 통과한 뒤 음식물 제거를 위해서 치실(4)의 팽팽한 긴장을 확실하게 한 후 다시 치실고정편(20)에 수차례 감아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2) 내부에 하나 이상의 로울러(17)에 권취 수납되고 손잡이(3)를 경유하여 치실지지대(18)에 고정된 치실(4)은 사용 중 교환코자 할 시는 치실고정편(20)을 구성하는 수나사(21)를 동전이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약간만 손잡이(3)로부터 나사분리시킨 후 헤더(22)와 고무링(26) 상간에 권취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치실(4)의 단부를 풀어서 치실지지대(18) 하부에 새로운 치실(4)이 위치되도록 한 후 수나사(21)를 다시 나사조임시킨 후 기히 사용된 치실(4) 부위는 헤더(22)에 형성된 커터(23)로 절단시킨 후 치실(4)의 단부를 헤더(22)와 고무링(26) 상간에 수회 권취시키면 고무링(26)의 탄성과 나사둘레의 거친면에 의해서 헤더(22)와 고무링(26) 사이에 권취상태로 개재된 치실(4)은 고정상태를 유지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손잡이(3)에서 치실고정편(20)에 이르는 치실(4)을 케이스(2) 및 손잡이(3) 상에 형성되는 밀봉 형태의 사도(19)에 감추어서 치실고정편(20)에 탄성있게 끼워져 있는 고무링(26)을 통과한 치실(4)을 사용할 때에 고무링(26)의 탄성작용으로 입안의 침이 치실(4)을 타고 손잡이(3) 및 케이스(2) 내부로 옮겨가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2)와 손잡이(3)에, 그리고 전개수단(5)과 상기 손잡이(3)의 치실지지대(18)의 후방 부위에 도 12와 같이 힌지편(27)과 힌지편(28) 상 간에 고무링(29)을 개재하여 볼트형 힌지핀(30)을 나사조임하여 볼트형 힌지편(30) 상간에 압박 조임된 고무링(29)이 전개 및 절첩 상태에서 손잡이(3) 및 치실지지대(18)가 임의 유동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어 안정적인 치아 세정 및 보관, 휴대가 가능하고, 치아 사이에 치실(4)을 개재시킬 때 치아들의 각도에 맞게 치실지지대(18)의 각도조절을 할 수도 있으며,
도 13과 같이 케이스(2) 또는 손잡이(3) 일측에, 그리고 전개수단(5)과 상기 손잡이(3)의 치실지지대(18)의 후방 부위에 스프링(32)에 탄력설치된 볼(31)을 타측 대응부에 형성된 요입홈(33)에 선택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3)의 전개 및 절첩 상태의 안정성을 제공받을 수도 있고 치아 사이에 치실(4)을 개재시킬 때 치아들의 각도에 맞게 치실지지대(18)의 각도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며,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치아 세정기(1)는 치아와 치아 상간에 개재된 음식물찌꺼기 등을 제거할 시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특히 치실고정편(20)이 치실(4)을 고정시키는 역할과 동시에 치실(4)을 끊는 커터의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치실(4)을 다량 권취하여 수납한 케이스(2)와 전개수단(5)을 사용하여 치실지지대(18)가 일체 형성된 손잡이(3)를 전개 및 절첩이 가능토록 하여 최소 부피로 휴대 및 보관이 가능하고, 더불어 치아 세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치실(4)을 치실지지대(18)상에서 교환코자 할 시는 커터(23)를 가진 치실고정편(20)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치실 교환 및 고정을 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8)

  1. 삭제
  2. 치아 상간에 개재된 음식물찌꺼기를 세정하기 위한 치아 세정기(1)는 치실(4)을 감아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와 전개수단(5)으로 연결되어 전개 및 절첩이 가능한 손잡이(3)와,
    상기 손잡이(3)와 일체로 형성되어 치실(4)이 지지되는 치실지지대(18)와,
    상기 손잡이(3)에 치실지지대(18)를 경유한 치실(4)의 단부를 고정 및 커팅할 수 있는 치실고정편(20)을 구비한 치아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전개수단(5)은 케이스(2)와 손잡이(3)에 형성된 힌지핀(7)을 탄성을 갖는 연결편(8)으로 힌지결합홈(9)상에 탄성을 가지며 억지 끼움식으로 조립된 힌지(6)와,
    상기 케이스(2)와 손잡이(3)의 대응면에는 돌기(10)와 요홈(11) 내지는 영구자석(12)을 선택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치아 상간에 개재된 음식물찌꺼기를 세정하기 위한 치아 세정기(1)는 치실(4)을 감아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와 전개수단(5)으로 연결되어 전개 및 절첩이 가능한 손잡이(3)와,
    상기 손잡이(3)와 일체로 형성되어 치실(4)이 지지되는 치실지지대(18)와,
    상기 손잡이(3)에 치실지지대(18)를 경유한 치실(4)의 단부를 고정 및 커팅할 수 있는 치실고정편(20)을 구비한 치아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치실고정편(20)은 치실지지대(18) 상부에 나사결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수나사(21)를 가지며, 상부 헤더(22)에는 결합홈(24)과 함께 수개의 커터(23)가 형성되고, 상기 헤더(22) 하부엔 치실(4)이 경유할 수 있는 경유공(25)과, 치실(4)을 잡아줄 수 있는 고무링(26)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기.
  7. 삭제
  8. 치아 상간에 개재된 음식물찌꺼기를 세정하기 위한 치아 세정기(1)는 치실(4)을 감아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와 전개수단(5)으로 연결되어 전개 및 절첩이 가능한 손잡이(3)와,
    상기 손잡이(3)와 일체로 형성되어 치실(4)이 지지되는 치실지지대(18)와,
    상기 손잡이(3)에 치실지지대(18)를 경유한 치실(4)의 단부를 고정 및 커팅할 수 있는 치실고정편(20)을 구비한 치아 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전개수단(5)은 케이스(2) 선단부와 손잡이(3) 후단부에 형성된 일측 힌지편(27)에는 볼(31)을 스프링(32)으로 탄력지지하고, 상기 볼(31)이 대응하여 탄력걸림될 수 있는 요입홈(33)을 대응하는 힌지편(28)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기.
KR2020070007377U 2007-05-04 2007-05-04 치아 세정기 KR200442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377U KR200442243Y1 (ko) 2007-05-04 2007-05-04 치아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377U KR200442243Y1 (ko) 2007-05-04 2007-05-04 치아 세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616U KR20070000616U (ko) 2007-05-28
KR200442243Y1 true KR200442243Y1 (ko) 2008-10-20

Family

ID=4164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377U KR200442243Y1 (ko) 2007-05-04 2007-05-04 치아 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2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432B1 (ko) * 2014-04-08 2015-07-09 장기선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616U (ko) 200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1043C1 (ru) Магнитная зубная щетка и держатель
WO2018085484A1 (en) Replacement toothbrush head assembly for toothbrushing systems
GB2493409A (en) Tooth brushing system
KR101387383B1 (ko) 치실 홀더 및 이를 구비한 칫솔
KR200442243Y1 (ko) 치아 세정기
KR20110070119A (ko) 휴대용 칫솔 살균기
JP5154827B2 (ja) ワンタフト歯ブラシ
KR101533432B1 (ko)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
KR101121950B1 (ko)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US20160235507A1 (en) Interdental cleaning apparatus using both hands
KR101535796B1 (ko) 휴대용 치실장치
KR200484576Y1 (ko) 칫솔
US6941607B1 (en) Jewelry toothbrush
KR200436893Y1 (ko) 폴딩 상태에서의 고정수단을 갖는 여행용 칫솔
KR20140044352A (ko) 치실케이스
CN109788843A (zh) 辅助牙齿清洁装置
US8020242B2 (en) Human torso scrubbing apparatus
KR200409882Y1 (ko) 여행용 칫솔
US20150047671A1 (en) Floss and Toothbrush Holder
KR101812314B1 (ko)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KR200171284Y1 (ko) 치솔
KR20100005175U (ko) 치간칫솔을 보관할 수 있는 칫솔 케이스.
KR200437911Y1 (ko) 거울이 뚜껑에 구비된 치간칫솔
KR200417701Y1 (ko) 치간칫솔
KR20110073623A (ko) 치간 세척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