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721U -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 Google Patents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721U
KR20110004721U KR2020090014404U KR20090014404U KR20110004721U KR 20110004721 U KR20110004721 U KR 20110004721U KR 2020090014404 U KR2020090014404 U KR 2020090014404U KR 20090014404 U KR20090014404 U KR 20090014404U KR 20110004721 U KR20110004721 U KR 201100047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ss
dental floss
groove
holder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산
Priority to KR2020090014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721U/ko
Publication of KR20110004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7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실홀더에 관한 것으로, 판상의 몸체, 몸체의 상단에 치실패, 커버,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정한 각을 이루며 분기하는 두 개의 막대로서, 각 말단에는 걸이 홈이 형성되고, 각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인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여 이루지는 걸이대, 고정돌기 및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협지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단은 두 개의 반구가 접촉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탄성부를 갖는 치실협지부와 치실당김부로 이루어진 치실협지/당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를 제공한다. 그 치실홀더는 치실을 사용하는 도중 치실이 느슨해질 때 치실협지/당김부를 누름으로써 간편하에 팽팽함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치실당김부는 협지부와 일체로 이루어져 별도로 구조를 결합함이 없이 기존의 협지부를 이용하여 치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에 관한 것이다.
치실, 치실홀더, 협지부

Description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Dental floss holder with pulling part of the dental floss}
본 고안은 치실을 고정하는 치실홀더에 관한 것이다. 특히, 치실홀더에 걸린 팽팽하게 걸린 치실이 사용 중 느슨해진 치실을 간편한 방법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시켜 치간 사이에 낀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는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치실홀더는 손잡이, 걸이대 및 협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걸이대는 치실을 팽팽하게 걸쳐 양치질을 할 때 치간에 치실이 용이하게 들어가도록 장력을 유지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V자형 또는 U자형 구조로서 양단에 치실이 걸쳐지도록 고안된다. 또한, 협지부는 상기 걸이대에 치실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팽팽하게 걸쳐진 상태에서 이를 잡아 고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치실홀더에 걸어 사용하는 치실은 가는 실을 이 사이에 넣어 닦는다고 하여 치간세정사실이라고도 한다. 칫솔이 닿지 않는 부분의 음식물과 프라그를 없애는 데 유용하다. 그러나 치실을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경우에 치실을 팽팽하게 하여 일일이 치간에 들어가게 하는 것은 불편하므로 치실홀더에 걸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치실홀더에 걸어 치실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팽팽하게 걸쳐진 치실은 치간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압력을 받아 미세하게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느슨해진 치실은 치간에 용이하게 넣을 수 없어 제 역할을 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치실을 사용하는 도중이라도 치실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느슨해질 때마다 세팅을 다시 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치실홀더에 걸쳐진 치실이 사용중 헐거워진 경우에 간편하게 치실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팽팽함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는 판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돌기로서, 치실을 감을 수 있는 구조체인 치실패, 상기 몸체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상단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상단 내면의 높이는 상기 치실패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이루어지며, 상기 치실패와 이에 감긴 치실을 보호할 수 있는 뚜껑인 커버, 상기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측면의 반대되는 타측에 소정의 각을 이루며 V자형의 홈인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판상의 조절부, 상기 조절부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일측으로부터 분기하여 대칭을 이루는 두 개의 막대로서, 각 말단에는 치실을 걸 수 있도록 걸이 홈이 형성되는 걸이대, 상기 두 개의 걸이대가 대향하는 측면과 반대되는 각 측면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단이 원형인 돌기로서, 상기 걸이대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상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이루어진 고정돌기 및 상단은 중앙을 가로지르는 협지 홈을 경계로 두 개의 반원이 접촉되어 있는 형상이고, 상기 협지홈을 경계로 접촉하는 부분은 탄성을 가지며 서로 밀착되는 탄성부를 이루며, 하부는 치실당김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치실협지부와, 상부는 상기 치실협지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하 양단은 가운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둘레가 큰 원형 또는 다각형의 고정턱를 배치하고, 상기 가운데 부분은 상기 조절부의 슬라이드홈과 높이가 같으며,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치실당김부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64)은 상기 치실당김부(38)의 둘레에 부합하도록 함몰된 구조를 포함하는 요철(6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걸이대와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인 고정돌기 홈을 더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는 치실을 사용하는 도중 치실이 느슨해질 때 치실당김부를 손가락으로 당김으로써 처음과 같은 장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치실홀더에 치실을 다시 팽팽하게 설치하는 행위를하지 않고서도 사용하는 동안 내내 치실이 팽팽하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치실당김부는 협지부와 일체로 이루어 져 별도의 구조를 더 결합함이 없이 장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범주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완전한 설명을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의 구조를 설명한 후, 치실당김부(도 1의 38)를 포함하는 치실협지/당김부(도 1의 30)를 중심으로 그 작동방법과 원리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이하, 치실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치실홀더는 크게 몸체(40), 걸이부(50), 커버(10), 실패(20), 치실협지 및 당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40)는 본 고안의 치실홀더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꼭짓점 부분이 둥글려져 있는 직사각형의 형태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의 둘레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커버(10)와 결합될 수 있는 턱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치실패(20)는 몸체(40) 상단의 어느 한 부분에 배치되고, 형태는 원통형으로서 몸체(40)의 상단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치실(22)을 감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치실패(20)의 가운데에 축을 배치하여 치실패(20)가 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전으로 인하여 치실을 풀어 인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조절부(60)는 몸체(40)와 걸이대(5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걸이대(50)와 연결되는 측면에 V자형의 홈인 슬라이드홈(64)이 형성된다. 슬라이드홈(64)은 일정한 각(θ)을 이루고, 도시한 바와 같이 h1만큼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또한, 치실협지/당김부(30)와 결합하여 두 걸이대(50)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60)와 걸이대(5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치실협지/당김부(30)가 슬라이드홈(64)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턱(66)을 양측에 대향 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대(50)는 조절부(60)의 조절홈(64)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에 연결되고, 두 개의 걸이대(50)로 이루어진다. 이때, 두 개의 걸이대(50)는 U자형으로 대칭을 이루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대향하고, 걸이대(50)의 말단 간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15mm 내지 20mm 가량을 이루어 걸린 치실을 치간에 끼워넣어 사용함에 있어 불편이 없도록 한다. 또한, 걸이홈(52)은 걸이대(50)의 말단에 몸체(40)의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됨으로써 치실(22)이 걸쳐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돌기(54)는 걸이대(50) 말단에서, 걸이대(50)가 서로 대향하는 측면과 반대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고정돌기(54)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걸이대(50)에 부착되는 부분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치실홀더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원형의 형 태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고정돌기(54)와 걸이대(5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권선홈(55)을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치실(22)을 1회 내지 수회 감을 때, 권선홈(55)에 파고들어가 감아짐으로써 고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치실협지/당김부(30)는 조절부(60)의 조절홈(64)과 함께 본 고안의 특징으로 이루는 구조로서, 세팅된 치실(22)을 잡아 고정할 뿐 아니라, 사용중 간편하게 치실을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하도록 한다.
커버(10)는 몸체(40)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꼭짓점이 둥글려진 직사각형의 뚜껑으로, 인출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몸체(40)의 상단에 놓여져 상기 몸체(40)와 결합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결합구조를 배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단의 내벽은 몸체(40)의 상단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치실패(20)에 감긴 치실(22)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다. 왜냐하면, 치실(22)이 풀려나오거나, 또는 회전하도록 제작된 치실패(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일정한 높이를 확보하는 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한, 인출구(12)는 커버의 일측에 최소한 치실의 둘레보다 큰 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이를 통하여 치실패(20)에 감긴 치실(22)이 인출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치실홀더에 적용되는 치실협지/당김부(3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치실협지/당김부(30)는 치실협지부(32)와 치실당김부(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두 부분의 연결부분은 홈(36)이 형성된다.
상기 치실협지부(32)는 상단에 두 반원형태가 함께 배치되어 원형을 이루고, 치실당김부(38)와의 연결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짧아진다. 상기 두 반원이 이루는 경계는 협지홈(33)을 이루며 치실당김부(38)와 연결되는 부분까지 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계의 중앙과 그 근접한 부분은 탄성부(34)로서 두 반원이 서로 밀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탄성부(34)는 치실(22)이 파고들어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벌어지고, 치실(22)이 파고들어간 이후에는 탄성부(34)를 이루는 합성수지 자체의 탄성으로 인하여 치실(22)을 단단히 협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치실당김부(38)는 치실협지부(32)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도시한 바와 같이 아령형태와 같이 양단에 고정턱(39)을 갖는다. 고정턱(39)의 형태는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다각형 등 다른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치실당김부(38)는 두께가 슬라이드홈(64)의 두께(h1)와 일치하면서 슬라이드홈(64)에 끼워지고, 양단의 고정턱(39)은 조절부(60) 상단과 하단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조절부(60)와 치실협지/당김부(30)는 서로 결합되고, 슬라이드홈(64)과 치실당김부(38)의 접촉부분은 별도의 구조를 두지 않고서도 그 부분을 이루는 재질의 탄성과 마찰에 의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치실협지/당김부(30)는 슬라이드홈(64)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a는 도 5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에 의하면, 치실당김부(38)의 단면은 원형으로 되어 슬라이드홈(64)과 밀착되는 제1 접촉부(38a)를 이룬다. 또한, 도 6b에 의하면, 치실당김부(38)의 변형예는 제2 접촉부(38b)를 갖는다. 이때, 제2 접촉부(38b)는 슬라이드홈(64)의 측 면에 부합하도록 평평한 면으로 하여 접촉면의 면적을 제1 접촉부(38a)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하여 마찰력을 크게 한다. 따라서 평활한 측면을 갖는 슬라이드홈(64)에 적용하여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홈(36)은 치실협지부(32)와 치실당김부(38)의 연결부에 치실(22)을 1회 내지 수회 감을 때, 치실(22)은 홈(36)에 들어가 감아짐으로써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잘록하게 되어있으므로 홈(36)을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의 슬라이드홈(64)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에 의하면, 슬라이드홈(64)은 측면에 요철(62)을 형성한다. 따라서, 치실당김부(38)은 슬라이드홈(64)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요철(62)이 형성된 단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요철(62)의 함몰된 부분에 치실당김부(38)가 끼워지며 고정되어 치실당김부(38)와 조절부(6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고, 다른 위치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치실(22)을 사용하기 전 세팅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커버(10)의 인출구(20)를 통하여 인출된 치실(22)을 치실협지/당김부(30)의 홈(36)에 1회 내지 수회 감은 후, 일측의 걸이대(50)에 배치되는 고정돌기(54)의 권선홈(55)에 1회 내지 수회 감는다. 다음으로, 대응되는 다른 걸이대(50)의 걸이홈(52)에 걸치고, 다시 다른 하나의 걸이대(50)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돌기(54)의 권선홈(55)에 1회 내지 수회 감는다. 그 후, 다시 치실협지/당김부(30)의 홈(36)에 1회 내지 수회 감고, 협지홈(33)에 끼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치실을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끝난다.
다음은 본 고안의 치실홀더의 특징을 나타내는 치실협지/당김부(30)를 이용한 치실홀더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과정을 거쳐 치실홀더에 고정된 치실(22)을 사용하면, 치실(22)은 치간에 들어가면서 받는 압력으로 인하여 미세하게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장력이 줄어들어 팽팽함이 감소하여 다시 치간에 끼워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치실협지/당김부(30)를 B방향으로 약간 밀어준다. 이에 따라, 걸이대(50)가 이루는 각(θ)은 새로운 각을 이루고, 이때, 새로운 각은 θ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걸이대(50a)와 제2 걸이대(50b)의 사이가 더 벌어짐에 따라 걸이홈(54)에 걸쳐진 치실(22)도 양쪽으로 당겨져 다시 팽팽해질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은 치실(22)을 사용하여 치간을 세정하는 도중에 복수 회에 걸쳐 반복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치실(22)을 사용하는 도중에 느슨해진 치실(22)은 상기의 세팅하는 과정을 다시 거칠 필요없이 치실협지/당김부(3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팽팽함을 유지시키며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 커버, 치실협지부 등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한 치실을 잘라내는 데 필요한 커팅 날을 부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치실당김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5의 a-a선으로 절단한 치실당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슬라이드 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 4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 커버 12: 인출구
20: 치실패 22: 치실
30: 치실협지/당김부 32: 치실협지부
33: 협지 홈 34: 탄성부
36: 홈 38: 치실당김부
38a: 제1 접촉부 38b: 제2 접촉부
39: 고정턱 40: 몸체
50: 걸이대 52: 걸이 홈
54: 고정돌기 55: 권선 홈
60: 연결부 62: 요철
64: 슬라이드 홈 66: 이탈방지 턱

Claims (3)

  1. 판상의 몸체(40);
    상기 몸체(40)의 상단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돌기로서, 치실을 감을 수 있는 구조체인 치실패(20);
    상기 몸체(40)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상단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상단 내면의 높이는 상기 치실패(20)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이루어지며, 상기 치실패(20)와 이에 감긴 치실을 보호할 수 있는 뚜껑인 커버(10);
    상기 몸체(40)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40)와 연결되는 측면의 반대되는 타측에 소정의 각(θ)을 이루며 V자형의 홈인 슬라이드홈(64)이 형성된 판상의 조절부(60);
    상기 조절부(60)의 슬라이드홈(64)이 형성된 일측으로부터 분기하여 대칭을 이루는 두 개의 막대로서, 각 말단에는 치실을 걸 수 있도록 걸이 홈(52)이 형성되는 걸이대(50);
    상기 두 개의 걸이대가 대향하는 측면과 반대되는 각 측면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단이 원형인 돌기로서, 상기 걸이대(50)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상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이루어진 고정돌기(54); 및
    상단은 중앙을 가로지르는 협지 홈(33)을 경계로 두 개의 반원이 접촉되어 있는 형상이고, 상기 협지홈(33)을 경계로 접촉하는 부분은 탄성을 가지며 서로 밀착되는 탄성부(34)를 이루며, 하부는 치실당김부(38)와 일체로 연결되는 치실협지 부(32)와,
    상부는 상기 치실협지부(32)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하 양단은 가운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둘레가 큰 원형 또는 다각형의 고정턱(39)을 배치하고, 상기 가운데 부분은 상기 조절부(60)의 슬라이드홈(64)과 높이가 같으며, 상기 슬라이드홈(64)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홈(6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치실당김부(38)로 이루어진 치실협지/당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64)은 상기 치실당김부(38)의 둘레에 부합하도록 함몰된 구조를 포함하는 요철(6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54)는 걸이대(50)와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인 권선홈(55)을 더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KR2020090014404U 2009-11-05 2009-11-05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KR201100047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04U KR20110004721U (ko) 2009-11-05 2009-11-05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04U KR20110004721U (ko) 2009-11-05 2009-11-05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21U true KR20110004721U (ko) 2011-05-12

Family

ID=4929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404U KR20110004721U (ko) 2009-11-05 2009-11-05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72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950B1 (ko) * 2011-07-29 2012-03-09 김상한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KR101278160B1 (ko) * 2011-07-27 2013-06-27 주식회사 치아랑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KR101533432B1 (ko) * 2014-04-08 2015-07-09 장기선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
WO2015128686A1 (en) * 2014-02-26 2015-09-03 Holló Csaba Dental floss holding and feed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160B1 (ko) * 2011-07-27 2013-06-27 주식회사 치아랑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KR101121950B1 (ko) * 2011-07-29 2012-03-09 김상한 장력조절이 가능한 치실홀더
WO2015128686A1 (en) * 2014-02-26 2015-09-03 Holló Csaba Dental floss holding and feeding device
KR101533432B1 (ko) * 2014-04-08 2015-07-09 장기선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
WO2015156571A3 (ko) * 2014-04-08 2017-05-18 장기선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100B1 (ko) 끈 고정 부재
KR20110004721U (ko)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US6842948B2 (en) Rubber band retainer apparatus
CN203424519U (zh) 头发夹持装置
CN108135680B (zh) 牙线器
US4440184A (en) Dental flossing device
EP1360121B1 (en) A fitting for the use as a means for the gripping of one or more objects
KR200200016Y1 (ko) 치실홀더
US6332471B1 (en) Fixing structure for large-size sunshade
KR20050067124A (ko) 퍼머로드 세트
KR102533360B1 (ko) 헤어 밴드 이지 타이기
KR20090100102A (ko) 곶감제조용 감걸이구
EP0222723B1 (fr) Porte-fil dentaire
JPH0870926A (ja) ヘアカール用具
JP3987409B2 (ja) 光ケーブル固定具
CN216724073U (zh) 一种绳物收紧盖、绳物收紧座、绳物收紧装置、鞋及物品
JPH0621459Y2 (ja) デンタルフロスの張設用ホルダー
KR200395907Y1 (ko) 치실 지지대
KR200246266Y1 (ko) 파마롯드
KR101412926B1 (ko) 파마 로드
JP2017185032A (ja) ヘアセット用器具
JPH0425949Y2 (ko)
KR20070052450A (ko) 스윙 컬 퍼머 롯트
JP3084935U (ja) スパイラルチューブ
JPH05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