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721U - Dental floss holder with pulling part of the dental floss - Google Patents

Dental floss holder with pulling part of the dental flo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721U
KR20110004721U KR2020090014404U KR20090014404U KR20110004721U KR 20110004721 U KR20110004721 U KR 20110004721U KR 2020090014404 U KR2020090014404 U KR 2020090014404U KR 20090014404 U KR20090014404 U KR 20090014404U KR 20110004721 U KR20110004721 U KR 201100047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ss
dental floss
groove
holder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4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봉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산
Priority to KR2020090014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721U/en
Publication of KR20110004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721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실홀더에 관한 것으로, 판상의 몸체, 몸체의 상단에 치실패, 커버,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정한 각을 이루며 분기하는 두 개의 막대로서, 각 말단에는 걸이 홈이 형성되고, 각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인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여 이루지는 걸이대, 고정돌기 및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협지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단은 두 개의 반구가 접촉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탄성부를 갖는 치실협지부와 치실당김부로 이루어진 치실협지/당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를 제공한다. 그 치실홀더는 치실을 사용하는 도중 치실이 느슨해질 때 치실협지/당김부를 누름으로써 간편하에 팽팽함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치실당김부는 협지부와 일체로 이루어져 별도로 구조를 결합함이 없이 기존의 협지부를 이용하여 치실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floss holder, plate-like body, the floss on the top of the body, cover, two rods arranged on one side of the body, forming a branch at a constant angle, each end is formed with a hook groove, each The side of the side is formed of a hanger, including a slide groove which is a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ameter becomes smaller toward the bottom and the fixing projections, the narrowing groove is formed, the upper end is made of two hemispheres in contact form, having an elastic portion Provided is a dental floss holder having a dental floss pulling portion including a dental floss narrowing / pulling portion including a dental floss holding portion and a dental floss pulling portion. The floss holder provides an easy tension by pressing the floss clamp / pull when the floss is loose while using the floss. In addition, the dental floss pull unit is made of a dental floss holder having a dental floss pull unit that can be us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by using the existing clamping portion without combining the structure separately.

치실, 치실홀더, 협지부 Dental floss, dental floss holder, pincer

Description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Dental floss holder with pulling part of the dental floss}Dental floss holder with pulling part of the dental floss

본 고안은 치실을 고정하는 치실홀더에 관한 것이다. 특히, 치실홀더에 걸린 팽팽하게 걸린 치실이 사용 중 느슨해진 치실을 간편한 방법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시켜 치간 사이에 낀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는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floss holder for fixing the dental flos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floss holder having a dental floss pulled portion which can remove food caught between the interdentals by keeping the dental floss caught in the dental floss holder in a simple manner.

통상적으로 치실홀더는 손잡이, 걸이대 및 협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걸이대는 치실을 팽팽하게 걸쳐 양치질을 할 때 치간에 치실이 용이하게 들어가도록 장력을 유지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V자형 또는 U자형 구조로서 양단에 치실이 걸쳐지도록 고안된다. 또한, 협지부는 상기 걸이대에 치실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팽팽하게 걸쳐진 상태에서 이를 잡아 고정하는 부분이다.Typically, the floss holder comprises a handle, a hanger, and a nip. Here, the hanger is to maintain the tension so that the dental floss easily enters the interdental when brushing the dental floss tightly, it is generally designed to spread the dental floss on both ends as a V-shaped or U-shaped structure. In addition, the clamping portion is a portion for holding and fixing it in a taut state so as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on the hanger.

상기 치실홀더에 걸어 사용하는 치실은 가는 실을 이 사이에 넣어 닦는다고 하여 치간세정사실이라고도 한다. 칫솔이 닿지 않는 부분의 음식물과 프라그를 없애는 데 유용하다. 그러나 치실을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경우에 치실을 팽팽하게 하여 일일이 치간에 들어가게 하는 것은 불편하므로 치실홀더에 걸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dental floss used to hang on the dental floss holder is also called an interdental cleansing chamber because the thin thread is wiped in between. This is useful for removing food and plaque from areas where the toothbrush is out of reach. However, when holding the floss by hand, it is generally inconvenient to use the dental floss holder on the dental floss holder because it is inconvenient for the dental floss to enter the interdental.

그러나 치실홀더에 걸어 치실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팽팽하게 걸쳐진 치실은 치간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압력을 받아 미세하게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느슨해진 치실은 치간에 용이하게 넣을 수 없어 제 역할을 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치실을 사용하는 도중이라도 치실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느슨해질 때마다 세팅을 다시 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dental floss to hang on the dental floss holder, the tightly stretched dental floss may be slightly loosened under pressure during the insertion of the dental floss. Loose floss can not be easily put into the interdental can not play a role, accordingly, the user had to re-set the setting every time to loosen the tension of the floss even while using the floss.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치실홀더에 걸쳐진 치실이 사용중 헐거워진 경우에 간편하게 치실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팽팽함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floss holder having a floss puller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 tension by simpl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dental floss when the dental floss is loosened during use. .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는 판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돌기로서, 치실을 감을 수 있는 구조체인 치실패, 상기 몸체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상단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상단 내면의 높이는 상기 치실패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이루어지며, 상기 치실패와 이에 감긴 치실을 보호할 수 있는 뚜껑인 커버, 상기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측면의 반대되는 타측에 소정의 각을 이루며 V자형의 홈인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판상의 조절부, 상기 조절부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일측으로부터 분기하여 대칭을 이루는 두 개의 막대로서, 각 말단에는 치실을 걸 수 있도록 걸이 홈이 형성되는 걸이대, 상기 두 개의 걸이대가 대향하는 측면과 반대되는 각 측면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단이 원형인 돌기로서, 상기 걸이대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상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이루어진 고정돌기 및 상단은 중앙을 가로지르는 협지 홈을 경계로 두 개의 반원이 접촉되어 있는 형상이고, 상기 협지홈을 경계로 접촉하는 부분은 탄성을 가지며 서로 밀착되는 탄성부를 이루며, 하부는 치실당김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치실협지부와, 상부는 상기 치실협지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하 양단은 가운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둘레가 큰 원형 또는 다각형의 고정턱를 배치하고, 상기 가운데 부분은 상기 조절부의 슬라이드홈과 높이가 같으며,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치실당김부로 이루어진다.Dental floss holder with a floss pull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is a plate-shaped body, a protrusion disposed vertically on the top of the body, the floss is a structure that can wind the floss, conforms to the shape of the body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to be coupled to, the height of the upper inner surface is made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height of the floss, cover that is a cover to protect the floss and the floss wound around 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Plate-shaped adjusting portion formed with a slide groove that is a V-shaped groove at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side connected to the body, two rods symmetrically branching from one side formed with the slide groove of the adjusting portion, at each end A hanger with a hook groove formed to hang the dental floss, each side opposit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wo hangers It is disposed at each end, the upper end is a circular projection,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hanger is a relatively small diameter compared to the upper end and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upper end is two semi-circle contact the boundary between the pinching groove crossing the center It is a shape, and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ipping grooves have elasticity and forms an elastic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ow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ental floss clamping part integrally, and the upper portion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dental floss clamping part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arranged in a fixed jaw of a circular or polygonal relatively larger than the center, the center portion is the same height as the slide groove of the adjustment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fixed by the physical force by the slide groove It consists of a dental floss to move along.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64)은 상기 치실당김부(38)의 둘레에 부합하도록 함몰된 구조를 포함하는 요철(6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걸이대와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인 고정돌기 홈을 더 배치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groove 64 may form a concave-convex 62 including a recessed structure to match the circumference of the dental floss pulling unit 38. 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may further arrange a fixing protrusion groove which is a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hang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는 치실을 사용하는 도중 치실이 느슨해질 때 치실당김부를 손가락으로 당김으로써 처음과 같은 장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치실홀더에 치실을 다시 팽팽하게 설치하는 행위를하지 않고서도 사용하는 동안 내내 치실이 팽팽하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치실당김부는 협지부와 일체로 이루어 져 별도의 구조를 더 결합함이 없이 장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The dental floss holder provided with the dental floss pu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to maintain the same tension as the first by pulling the dental floss pulled finger when the floss is loose while using the dental flo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foreign body interdental by allowing the dental floss to be tightened all the time during the use without having to install the dental floss in the dental floss holder again. In addition, the dental floss pulling unit is made integral with the pinch portion may add a function to maintain the tension without further coupling a separate structure.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범주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완전한 설명을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의 구조를 설명한 후, 치실당김부(도 1의 38)를 포함하는 치실협지/당김부(도 1의 30)를 중심으로 그 작동방법과 원리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give a complete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irst, afte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dental floss holder provided with the floss pull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floss pinch / pull portion (30 of Figure 1) including the floss pull portion (38 of Figure 1) Let's look at the methods and principle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이하, 치실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ental floss holder (hereinafter, floss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ental floss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ental floss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치실홀더는 크게 몸체(40), 걸이부(50), 커버(10), 실패(20), 치실협지 및 당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3, the dental floss holder includes a body 40, a hook part 50, a cover 10, a failure 20, a dental floss clamp, and a pulling part 30.

상기 몸체(40)는 본 고안의 치실홀더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꼭짓점 부분이 둥글려져 있는 직사각형의 형태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의 둘레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커버(10)와 결합될 수 있는 턱을 배치할 수 있다. The body 40 is a part of the body of the dental floss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with a vertex rounded,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jaw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cover 10, although not shown Can be placed.

또한, 치실패(20)는 몸체(40) 상단의 어느 한 부분에 배치되고, 형태는 원통형으로서 몸체(40)의 상단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치실(22)을 감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치실패(20)의 가운데에 축을 배치하여 치실패(20)가 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전으로 인하여 치실을 풀어 인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ss 20 is disposed on any on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40, the shape is cylindrical and mad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40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wind the floss 22. Although not shown, if necessary, the shaft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floss 20 so that the floss 20 may rotate around it. At this time, due to the rotation it can be easily performed to release the floss.

조절부(60)는 몸체(40)와 걸이대(5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걸이대(50)와 연결되는 측면에 V자형의 홈인 슬라이드홈(64)이 형성된다. 슬라이드홈(64)은 일정한 각(θ)을 이루고, 도시한 바와 같이 h1만큼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Adjusting portion 60 is a portion connecting the body 40 and the hanger 50, the slide groove 64 which is a V-shaped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connected to the hanger 50. The slide groove 64 has a constant angle θ, and has a thickness equal to h1 as shown.

또한, 치실협지/당김부(30)와 결합하여 두 걸이대(50)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60)와 걸이대(5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치실협지/당김부(30)가 슬라이드홈(64)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턱(66)을 양측에 대향 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can be combined with the floss narrowing / pulling unit 30 to perform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hooks (50). In addition, at the portion where the adjusting unit 60 and the hanger 50 are connected, the release prevention jaw 66 is disposed to face both sides to prevent the dental floss clamp / pull portion 30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slide groove 64. It is preferable.

상기 걸이대(50)는 조절부(60)의 조절홈(64)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에 연결되고, 두 개의 걸이대(50)로 이루어진다. 이때, 두 개의 걸이대(50)는 U자형으로 대칭을 이루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대향하고, 걸이대(50)의 말단 간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15mm 내지 20mm 가량을 이루어 걸린 치실을 치간에 끼워넣어 사용함에 있어 불편이 없도록 한다. 또한, 걸이홈(52)은 걸이대(50)의 말단에 몸체(40)의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됨으로써 치실(22)이 걸쳐질 수 있도록 한다.The hanger 50 is connected to the side on which the adjusting groove 64 of the adjusting unit 60 is formed, and consists of two hangers 50. At this time, the two hangers 50 are symmetrical in a U-shape and face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interval between the ends of the hanger 50 is generally 15mm to 20mm in the interdental floss in the interdental Make sure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addition, the hook groove 52 is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40 at the end of the rack 50, so that the dental floss 22 can be covered.

또한, 고정돌기(54)는 걸이대(50) 말단에서, 걸이대(50)가 서로 대향하는 측면과 반대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고정돌기(54)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걸이대(50)에 부착되는 부분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54 may be arranged at the end of the rack 50, the rack 50 is on the side and the opposite side facing each other,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 the fixing protrusion 54 has a relatively narrow width of a portion attached to each hanger 50.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치실홀더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원형의 형 태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고정돌기(54)와 걸이대(5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권선홈(55)을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치실(22)을 1회 내지 수회 감을 때, 권선홈(55)에 파고들어가 감아짐으로써 고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dental floss holder made of a circular shape. Furthermore, the winding groove 55 may be further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ixing protrusion 54 and the hanger 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when the dental floss 22 is wound once or several times, the winding groove 55 penetrates into the winding groove 55. By winding, fixing can be made easier.

치실협지/당김부(30)는 조절부(60)의 조절홈(64)과 함께 본 고안의 특징으로 이루는 구조로서, 세팅된 치실(22)을 잡아 고정할 뿐 아니라, 사용중 간편하게 치실을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하도록 한다.The floss narrowing / pull portion 30 is a structure formed by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djusting groove 64 of the adjusting portion 60, and not only to hold and fix the set dental floss 22, but also to easily tighten the dental floss during use. You can keep i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later.

커버(10)는 몸체(40)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꼭짓점이 둥글려진 직사각형의 뚜껑으로, 인출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몸체(40)의 상단에 놓여져 상기 몸체(40)와 결합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결합구조를 배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단의 내벽은 몸체(40)의 상단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치실패(20)에 감긴 치실(22)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다. 왜냐하면, 치실(22)이 풀려나오거나, 또는 회전하도록 제작된 치실패(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일정한 높이를 확보하는 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한, 인출구(12)는 커버의 일측에 최소한 치실의 둘레보다 큰 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이를 통하여 치실패(20)에 감긴 치실(22)이 인출될 수 있다.The cover 10 is a rectangular lid having rounded vertice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dy 40, including the outlet 12, and is placed on the top of the body 40 to engage with the body 40. Although not shown, it may be combined by disposing a separate coupling structure. At this time, the inner wall of the upp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not to directly contact the dental floss 22 wound on the floss 20. This is because the floss 22 is released, or a space for securing a constant height is required so that the floss 20 made to rotate can rotate. In addition, the outlet 12 is formed by forming a hole at least larger than the periphery of the floss on one side of the cover, through which the floss 22 wound on the floss 20 can be drawn out.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치실홀더에 적용되는 치실협지/당김부(3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rtion A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oss pinch / pull portion 30 is applied to the dental floss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치실협지/당김부(30)는 치실협지부(32)와 치실당김부(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두 부분의 연결부분은 홈(36)이 형성된다.4 and 5, the floss narrowing / pulling portion 30 includes a floss narrowing portion 32 and a floss pulling portion 38,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wo portions is formed with a groove 36. do.

상기 치실협지부(32)는 상단에 두 반원형태가 함께 배치되어 원형을 이루고, 치실당김부(38)와의 연결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짧아진다. 상기 두 반원이 이루는 경계는 협지홈(33)을 이루며 치실당김부(38)와 연결되는 부분까지 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계의 중앙과 그 근접한 부분은 탄성부(34)로서 두 반원이 서로 밀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탄성부(34)는 치실(22)이 파고들어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벌어지고, 치실(22)이 파고들어간 이후에는 탄성부(34)를 이루는 합성수지 자체의 탄성으로 인하여 치실(22)을 단단히 협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The dental floss narrowing portion 32 has two semicircle shapes arranged at the top thereof to form a circle, and the diameter thereof becomes shorter toward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dental floss pulling portion 38. The boundary formed by the two semicircles forms a gap groove 33 and a gap is formed to a portion connected to the dental floss pulling unit 38. 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boundary and the portion close to each other are elastic portions 34, and two semicircl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elastic part 34 is opened by the physical force that the dental floss 22 penetrates, and after the dental floss 22 is penetrated, the elastic part 34 opens the dental floss 22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ynthetic resin itself forming the elastic part 34. Can be clamped tightly.

상기 치실당김부(38)는 치실협지부(32)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도시한 바와 같이 아령형태와 같이 양단에 고정턱(39)을 갖는다. 고정턱(39)의 형태는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다각형 등 다른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치실당김부(38)는 두께가 슬라이드홈(64)의 두께(h1)와 일치하면서 슬라이드홈(64)에 끼워지고, 양단의 고정턱(39)은 조절부(60) 상단과 하단에 접촉한다.The dental floss pulling unit 38 is connected to the dental floss clamping unit 32 to form an integrated body, and has fixed jaws 39 at both ends as shown in the figure. Although the shape of the fixing jaw 39 is shown in a circular shape, it may be manufactured in other forms, such as a polygon in some cases. The dental floss pulling portion 38 is a slide groove while the thickness thereof matches the thickness h1 of the slide groove 64. 64 is fitted, and the fixing jaw 39 at both ends contact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djusting unit 60.

이에 따라, 조절부(60)와 치실협지/당김부(30)는 서로 결합되고, 슬라이드홈(64)과 치실당김부(38)의 접촉부분은 별도의 구조를 두지 않고서도 그 부분을 이루는 재질의 탄성과 마찰에 의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치실협지/당김부(30)는 슬라이드홈(64)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adjusting unit 60 and the floss narrowing / pulling unit 30 is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tact portion of the slide groove 64 and the dental floss pulling unit 38 is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structure It can be fixed without slipping by the elasticity and friction of the. In addition, the floss narrowing / pull portion 30 may be moved along the slide groove 64 by physical force.

도 6a는 도 5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6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and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6A.

도 6a에 의하면, 치실당김부(38)의 단면은 원형으로 되어 슬라이드홈(64)과 밀착되는 제1 접촉부(38a)를 이룬다. 또한, 도 6b에 의하면, 치실당김부(38)의 변형예는 제2 접촉부(38b)를 갖는다. 이때, 제2 접촉부(38b)는 슬라이드홈(64)의 측 면에 부합하도록 평평한 면으로 하여 접촉면의 면적을 제1 접촉부(38a)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하여 마찰력을 크게 한다. 따라서 평활한 측면을 갖는 슬라이드홈(64)에 적용하여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6A, the cross section of the dental floss pulling portion 38 is circular to form a first contact portion 38a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lide groove 64. Moreover, according to FIG. 6B, the modification of the dental floss pulling part 38 has the 2nd contact part 38b. At this time, the second contact portion 38b has a flat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lide groove 64 so that th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is relatively wider than that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38a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lip by applying to the slide groove 64 having a smooth side.

홈(36)은 치실협지부(32)와 치실당김부(38)의 연결부에 치실(22)을 1회 내지 수회 감을 때, 치실(22)은 홈(36)에 들어가 감아짐으로써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잘록하게 되어있으므로 홈(36)을 생략하여도 무방하다.The grooves 36 are easily fixed by being wound into the grooves 36 when the dental floss 22 is wound one to several times a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dental floss clamping portion 32 and the dental floss pulling portion 38. Can be.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is cut, the groove 36 may be omitted.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의 슬라이드홈(64)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lide groove 64 of the dental floss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의하면, 슬라이드홈(64)은 측면에 요철(62)을 형성한다. 따라서, 치실당김부(38)은 슬라이드홈(64)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요철(62)이 형성된 단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요철(62)의 함몰된 부분에 치실당김부(38)가 끼워지며 고정되어 치실당김부(38)와 조절부(6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고, 다른 위치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7, the slide groove 64 forms an unevenness 62 on the side surface. Accordingly, the dental floss pulling unit 38 may move continuously along the slide groove 64 according to the step in which the unevenness 62 is formed. Therefore, the dental floss pulling portion 38 is fitted and fixed 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unevenness 62, thereby further strengthening the coupling of the dental floss pulling portion 38 and the adjusting portion 60, and prevent slipping to another position. Can be.

아래에서는,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홀더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look for a method of using the dental floss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치실(22)을 사용하기 전 세팅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커버(10)의 인출구(20)를 통하여 인출된 치실(22)을 치실협지/당김부(30)의 홈(36)에 1회 내지 수회 감은 후, 일측의 걸이대(50)에 배치되는 고정돌기(54)의 권선홈(55)에 1회 내지 수회 감는다. 다음으로, 대응되는 다른 걸이대(50)의 걸이홈(52)에 걸치고, 다시 다른 하나의 걸이대(50)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돌기(54)의 권선홈(55)에 1회 내지 수회 감는다. 그 후, 다시 치실협지/당김부(30)의 홈(36)에 1회 내지 수회 감고, 협지홈(33)에 끼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치실을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끝난다.First, the conventional method of setting before using the dental floss 22 is briefly described, and the dental floss 22 drawn out through the outlet 20 of the cover 10 is the groove 36 of the dental floss narrowing / pull portion 30. After winding it once or several times, it is wound once or several times in the winding groove 55 of the fixing protrusion 54 arranged in the hanger 50 of one side. Next, the hook groove 52 of the corresponding other hanger 50 is wound, and then wound once or several times in the winding groove 55 of the fixing protrusion 54 disposed at one side of the other hanger 50. Then, it winds up once or several times in the groove 36 of the floss narrowing / pulling part 30, and pinches it in the pinching groove 33 again. After the above process, the dental floss is ready for use.

다음은 본 고안의 치실홀더의 특징을 나타내는 치실협지/당김부(30)를 이용한 치실홀더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Next, let's look at how to use the floss holder using the floss narrowing / pulling unit 30 tha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ss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과정을 거쳐 치실홀더에 고정된 치실(22)을 사용하면, 치실(22)은 치간에 들어가면서 받는 압력으로 인하여 미세하게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장력이 줄어들어 팽팽함이 감소하여 다시 치간에 끼워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치실협지/당김부(30)를 B방향으로 약간 밀어준다. 이에 따라, 걸이대(50)가 이루는 각(θ)은 새로운 각을 이루고, 이때, 새로운 각은 θ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걸이대(50a)와 제2 걸이대(50b)의 사이가 더 벌어짐에 따라 걸이홈(54)에 걸쳐진 치실(22)도 양쪽으로 당겨져 다시 팽팽해질 수 있다.When using the dental floss 22 fixed to the dental floss holder through the conventional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dental floss 22 is slightly expanded due to the pressure received while entering the interdental. Therefore, the tension is reduced and the tension is reduced, making it difficult to use the interdental again. At this time, the user pushes the floss narrowing / pulling unit 30 slightly in the B direction by using a finger. Accordingly, the angle θ formed by the hanger 50 forms a new angle, and in this case, the new angle may have a value greater than θ. That is, as the gap between the first hanger 50a and the second hanger 50b is further increased, the dental floss 22 spanning the hanger groove 54 may also be pulled to both sides and may be tightened again.

상기의 과정은 치실(22)을 사용하여 치간을 세정하는 도중에 복수 회에 걸쳐 반복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치실(22)을 사용하는 도중에 느슨해진 치실(22)은 상기의 세팅하는 과정을 다시 거칠 필요없이 치실협지/당김부(3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팽팽함을 유지시키며 사용할 수 있다.The above process may be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during the interdental cleaning using the dental floss 22. Therefore, the floss 22 loosened during the use of the dental floss 22 can be used simply by maintaining the tension using the dental floss clamping / pull portion 30 without having to go through the setting process again.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 커버, 치실협지부 등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한 치실을 잘라내는 데 필요한 커팅 날을 부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case, cover, dental floss clamping portion, etc. may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need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t may be manufactured by adding a cutting blade necessary to cut out the used dental flos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ental floss holder having a floss pul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ental floss holder having a floss pul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ental floss holder with a floss pul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A of FIG. 3.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치실당김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oss pull unit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도 5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6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도 6b는 도 5의 a-a선으로 절단한 치실당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dental floss pulling unit cut by the a-a line in FIG. 5. FIG.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슬라이드 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 4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lide groov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

10: 커버 12: 인출구10: cover 12: outlet

20: 치실패 22: 치실20: Floss 22: Floss

30: 치실협지/당김부 32: 치실협지부30: dental floss and pull 32: dental floss

33: 협지 홈 34: 탄성부33: sandwiching groove 34: elastic portion

36: 홈 38: 치실당김부36: home 38: floss pull

38a: 제1 접촉부 38b: 제2 접촉부38a: first contact 38b: second contact

39: 고정턱 40: 몸체39: fixed jaw 40: body

50: 걸이대 52: 걸이 홈50: hanger rack 52: hanger groove

54: 고정돌기 55: 권선 홈54: fixing protrusion 55: winding groove

60: 연결부 62: 요철60: connection part 62: unevenness

64: 슬라이드 홈 66: 이탈방지 턱64: slide groove 66: release prevention jaw

Claims (3)

판상의 몸체(40);Plate-shaped body 40; 상기 몸체(40)의 상단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돌기로서, 치실을 감을 수 있는 구조체인 치실패(20);A floss 20 which is a protrusion disposed vertically on an upper end of the body 40 and which is a structure which can wind the floss; 상기 몸체(40)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상단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상단 내면의 높이는 상기 치실패(20)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이루어지며, 상기 치실패(20)와 이에 감긴 치실을 보호할 수 있는 뚜껑인 커버(10);It is disposed and coupled to the top to match the shape of the body 40, the height of the upper inner surface is made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loss 20, to protect the floss 20 and the floss wound thereon A cover 10 which can be a lid; 상기 몸체(40)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40)와 연결되는 측면의 반대되는 타측에 소정의 각(θ)을 이루며 V자형의 홈인 슬라이드홈(64)이 형성된 판상의 조절부(60); The plate-shaped adjusting part 6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40, forms a predetermined angle θ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side connected to the body 40, and has a slide groove 64 that is a V-shaped groove. ); 상기 조절부(60)의 슬라이드홈(64)이 형성된 일측으로부터 분기하여 대칭을 이루는 두 개의 막대로서, 각 말단에는 치실을 걸 수 있도록 걸이 홈(52)이 형성되는 걸이대(50);Branches 50 which are formed by symmetrical branching from one side formed with the slide groove 64 of the adjusting portion 60, the hook base 50 is formed at each end to hang the floss; 상기 두 개의 걸이대가 대향하는 측면과 반대되는 각 측면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단이 원형인 돌기로서, 상기 걸이대(50)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상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이루어진 고정돌기(54); 및The two hooks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end of each side opposite to the opposite side, the upper end is a circular projection,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hook 50 is a fixed projection made of a relatively small diameter compared to the upper end ( 54); And 상단은 중앙을 가로지르는 협지 홈(33)을 경계로 두 개의 반원이 접촉되어 있는 형상이고, 상기 협지홈(33)을 경계로 접촉하는 부분은 탄성을 가지며 서로 밀착되는 탄성부(34)를 이루며, 하부는 치실당김부(38)와 일체로 연결되는 치실협지 부(32)와, The upper end is a shape in which two semicircles are in contact with the gripping groove 33 crossing the center, and the part contacting the gripping groove 33 at the boundary forms an elastic part 34 that is elastic and adheres to each other. , The lower portion is the floss narrowing part 32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floss pulling portion 38, 상부는 상기 치실협지부(32)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하 양단은 가운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둘레가 큰 원형 또는 다각형의 고정턱(39)을 배치하고, 상기 가운데 부분은 상기 조절부(60)의 슬라이드홈(64)과 높이가 같으며, 상기 슬라이드홈(64)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홈(6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치실당김부(38)로 이루어진 치실협지/당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The upper part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dental floss isolating portion 32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arranged a fixed jaw 39 of a circular or polygonal relatively large circumference compared to the center, the center portion is a slide of the adjustment unit 60 The same height as the groove 64, the dental floss narrowing / pulling portion consisting of a floss pulling portion 38 which can be moved along the slide groove 64 by a physical force by being fitted into the slide groove 64 ( A dental floss holder comprising a dental floss pulling unit (30).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드 홈(64)은 상기 치실당김부(38)의 둘레에 부합하도록 함몰된 구조를 포함하는 요철(6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The slide groove 64 is a dental floss holder with a floss pull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concave-convex (62) comprising a structure recessed to match the periphery of the floss pull portion (3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54)는 걸이대(50)와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인 권선홈(55)을 더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3. The dental flo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rotrusion 54 further comprises a winding groove 55, which is a groove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a portion connected to the hanger 50. holder.
KR2020090014404U 2009-11-05 2009-11-05 Dental floss holder with pulling part of the dental floss KR2011000472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04U KR20110004721U (en) 2009-11-05 2009-11-05 Dental floss holder with pulling part of the dental flo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04U KR20110004721U (en) 2009-11-05 2009-11-05 Dental floss holder with pulling part of the dental flo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21U true KR20110004721U (en) 2011-05-12

Family

ID=4929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404U KR20110004721U (en) 2009-11-05 2009-11-05 Dental floss holder with pulling part of the dental flo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721U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950B1 (en) * 2011-07-29 2012-03-09 김상한 Dental floss holder which can control the tention
KR101278160B1 (en) * 2011-07-27 2013-06-27 주식회사 치아랑 Dental floss holder for the user using orthodontic appliance
KR101533432B1 (en) * 2014-04-08 2015-07-09 장기선 Pocket installing type's dental floss holder
WO2015128686A1 (en) * 2014-02-26 2015-09-03 Holló Csaba Dental floss holding and feed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160B1 (en) * 2011-07-27 2013-06-27 주식회사 치아랑 Dental floss holder for the user using orthodontic appliance
KR101121950B1 (en) * 2011-07-29 2012-03-09 김상한 Dental floss holder which can control the tention
WO2015128686A1 (en) * 2014-02-26 2015-09-03 Holló Csaba Dental floss holding and feeding device
KR101533432B1 (en) * 2014-04-08 2015-07-09 장기선 Pocket installing type's dental floss holder
WO2015156571A3 (en) * 2014-04-08 2017-05-18 장기선 Dental floss instrument for pocket stor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100B1 (en) Cord stopper
KR20110004721U (en) Dental floss holder with pulling part of the dental floss
US6842948B2 (en) Rubber band retainer apparatus
CN203424519U (en) Hair clamping device
CN108135680B (en) Dental floss device
US4440184A (en) Dental flossing device
KR200415909Y1 (en) Rod-set for a permanent wave
KR200200016Y1 (en) Tooth thread holder
KR102023709B1 (en) Procedure apparatus for extension hair knot and extension hair knot
JPH08103018A (en) Wire end treating cap
KR20050067124A (en) A permanent set
KR102533360B1 (en) Hair band easy tie device
CN216724075U (en) Rope rotary cover, rope rotary seat, rope tightening device, shoe and article
KR20090100102A (en) Persimmons hanger for making dried persimmons
EP0222723B1 (en) Dental floss holder
JPH0870926A (en) Hair curling tool
JP3987409B2 (en) Optical cable fixture
JPH0621459Y2 (en) Dental floss tensioning holder
KR200395907Y1 (en) Teeth Thread Support
KR200246266Y1 (en) Pharmarod
KR101412926B1 (en) Permanent rod
KR200387708Y1 (en) Hair band
JPH0425949Y2 (en)
KR20070052450A (en) Swing curl permanent rods
JP3084935U (en) Spiral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