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160B1 -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160B1
KR101278160B1 KR1020110074550A KR20110074550A KR101278160B1 KR 101278160 B1 KR101278160 B1 KR 101278160B1 KR 1020110074550 A KR1020110074550 A KR 1020110074550A KR 20110074550 A KR20110074550 A KR 20110074550A KR 101278160 B1 KR101278160 B1 KR 101278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body portion
dental
flos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3126A (ko
Inventor
홍원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치아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치아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치아랑
Priority to KR1020110074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16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정용와이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치아 사이를 세척하기 위한 치간세척구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전면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치실이 거치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 1치실지지부; 상기 치실이 통과되기 위한 치실투입공을 말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제 1치실지지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교정용와이어와 상기 치아 사이에 삽입되는 제 2치실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 1돌기부; 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교정기를 착용한 사용자도 불편함 없이 치실을 이용해 치간을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Dental floss holder for the user using orthodontic appliance}
본 발명은 치간세척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교정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치아를 세척할 수 있는 치간 세척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실(dental floss)이라 함은, 구강 위생용품의 하나로서 가는 실을 이 사이에 넣어 칫솔이 닿지 않는 치석과 세균막을 없애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치실을 사용할 때는 치실케이스로부터 치실을 적당한 길이로 잘라내고 잘라낸 치실을 손가락에 감아 돌려서 사용하거나, 또는 잘라낸 치실을 치실홀더에 걸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최근에는 치열의 불균일 또는 부정교합(치아의 물림이 맞지 않는 상태)의 개선 또는 미용 목적으로 치아 교정기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일반인뿐만 아니라 이러한 치아 교정기 착용자들에게도 치실의 사용은 필요한 것이나, 실제 손가락이나 기존의 치실홀더를 이용할 경우에는 치아 교정기의 교정용 와이어(archwire) 때문에 치실 사용을 원활히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 교정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치간을 세척할 수 있는 치간 세척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교정용와이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치아 사이를 세척하기 위한 치간세척구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전면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치실이 거치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 1치실지지부, 상기 치실이 통과되기 위한 치실투입공을 말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제 1치실지지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교정용와이어와 상기 치아 사이에 삽입되는 제 2치실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 1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치실지지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돌기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3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 1치실지지부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치실지지부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제 3돌기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치실패를 수납하고, 상기 치실패로부터의 치실을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된 치실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치실패를 수납하기 위하여 하부의 양 측면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과 끼움 결합하는 결합편을 갖는 뚜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치실절단날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치실투입공은, 상기 제 2치실지지부의 말단으로부터 2mm 내지 3mm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들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교정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치간을 세척할 수 있는 치간 세척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치아 교정기를 착용한 착용자의 치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 내부에 치실패를 수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5b,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에 치실을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인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이하, 치간세척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치아 교정기를 착용한 착용자의 치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치아 교정기(20)는 각 치아(10)의 전면부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교정용브라켓(21)과, 이 다수의 교정용브라켓(21)들을 연결시켜 고정하는 교정용와이어(22)를 포함한다.
이 때, 고무링 또는 철사 등을 통해 교정용와이어(22)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훅(미도시) 등이 교정용브라켓(21)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치아 교정기(20)의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되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 1을 비롯한 도면에서는 교정용브라켓(21)과 교정용와이어(22)만을 대표적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치아 교정기(20)를 착용한 사용자도 치실을 통해 치아 사이를 세척할 필요가 있는데, 치아 교정기(20)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치실이 교정용와이어(22)에 걸리게 되어 상당히 불편한 점이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100)는 교정용와이어(22)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기(20)를 착용한 사용자의 치아(10) 사이를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부(110), 제 1치실지지부(120), 제 2치실지지부(13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몸체부(110)의 전면(112)에는 미끄럼 방지 및 그립감 향상을 위하여 다수의 돌기들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부(2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110)는 그 내부에 치실패(220, 도 4 참조)를 수납할 수 있으며, 후면(116)에 형성된 치실인출구(170)를 통해 치실패(220)로부터 치실(50)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치실패(220)의 수납 방법에 대하여는 추후 도 4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몸체부(110)의 후면(116)에는 치실(50)을 절단하기 위한 치실절단날(18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치실패(220)로부터 사용된 치실(50) 부분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치실인출구(17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 일례로, 도 3에서는 치실절단날(180)이 치실인출구(170)의 하측에 위치한 것을 도시하였다.
제 1치실지지부(120)는 몸체부(110)로부터 몸체부(110)의 전면(112)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치실(50)이 거치되기 위한 가이드홈(125)을 형성한다.
가이드홈(125)은 치실(50)이 제 1치실지지부(120)에서 이탈되지 않고 거치되기 위하여 제 1치실지지부(120)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보다 완벽한 치실(5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제 1치실지지부(120)의 말단부로부터 제 1치실지지부(120)의 상측면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치실지지부(130)는 치실(50)이 교정용와이어(22)에 걸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정용와이어(22)와 치아(10)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치실(50)이 통과되기 위한 치실투입공(131)을 말단부(R)에 형성하고, 제 1치실지지부(1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몸체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제 2치실지지부(130)는 제 1치실지지부(120)와 중첩되도록 몸체부(110)의 전면(112)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치실지지부(120)와 제 2치실지지부(130)는 상호간 U자 형상을 이루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112) 측 상부 대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치실투입공(131)과 제 2치실지지부(130)의 말단 사이의 길이(d)는 치실투입공(131)에 치실(50)을 안정적으로 가두어 두기 위하여 최소 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 2치실지지부(130)가 교정용와이어(22)와 치아(10) 사이에 투입된 경우에 그 길이가 길어 사용자의 잇몸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대 3mm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100)는 제 1돌기부(140)를 더 포함한다.
제 1돌기부(140)는 치실(50)의 고정 설치를 위하여 몸체부(110)의 후면(116)에 돌출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치실(50)을 먼저 제 1돌기부(140)에 감아 한쪽 끝을 고정시킨 뒤, 치실(50)의 다른쪽 끝을 제 2치실지지부(130)의 치실투입공(131)에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통과시키고, 그 후 제 1치실지지부(120)의 가이드홈(125)에 치실(50)을 거치시키며, 다시 한번 치실(50)의 다른쪽 끝을 제 1돌기부(140)에 감아 치실(50)을 치간 세척구(100)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 1돌기부(140)의 상측면에 절개부(14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가 제 1돌기부(140)에 감긴 치실(50)을 상기 절개부(142)에 삽입시킴으로써 치실(50)을 제 1돌기부(14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함이다.
도 3에서는 절개부(142)가 제 1돌기부(140)의 상측면 양측에 각각 떨어져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일직선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100)는 제 2돌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돌기부(150)는 몸체부(110)의 전면(112)에 돌출 형성되며, 제 2치실지지부(130)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 1돌기부(140)에서 감긴 치실(50)이 제 2치실지지부(130)의 치실투입공(131)으로 바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치실(50)이 몸체부(110)의 측면(114)으로부터 치실투입공(131)까지 대각 방향을 이루게 되므로, 제 2치실지지부(130)를 측면쪽으로 당기는 힘이 발생하게 되어 제 2치실지지부(130)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게 되고, 제 2치실지지부(130)가 교정용와이어(22)와 치아(10) 사이에 투입될 때 치실(50)이 인접한 교정용브라켓(21) 등에 걸릴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치실(50)을 제 1돌기부(140)에 감은 다음 치실투입공(13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돌기부(150)에 재차 감아 치실투입공(131)의 하측으로 투입하는 경우에는, 치실(50)이 제 2돌기부(150)로부터 치실투입공(131)까지 일직선을 이루게 되므로, 제 2치실지지부(130)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교정용와이어(22)와 치아(10) 사이에 제 2치실지지부(130)의 투입 시 치실(50)이 인접한 교정용브라켓(21) 등에 걸릴 위험도 사라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100)는 제 3돌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돌기부(160)는 몸체부(110)의 후면(116)에 돌출 형성되며, 제 1돌기부(140)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 2치실지지부(130)의 치실투입공(131)을 통해 제 1치실지지부(120)의 가이드홈(125)에 안착된 치실(50)은 치간 세척구(100)에 고정 설치되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제 1돌기부(140)에 감김 고정되는데, 가이드홈(125)에 안착된 치실(50)을 바로 제 1돌기부(140)에 감는 경우에는 치실(50)이 가이드홈(125)과 제 1돌기부(140) 사이에서 대각선 방향을 이루려는 성향을 가지므로 치실(50)이 가이드홈(125)에서 이탈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가이드홈(125)에 안착된 치실(50)을 가이드홈(125)과 제 1돌기부(140) 사이에 위치한 제 3돌기부(160)에 먼저 걸리게 한 상태(또는 감은 상태)로 제 1돌기부(140)에 감는 경우에는, 치실(50)이 일직선을 이룰 수 있어 가이드홈(125)에서의 이탈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이 때, 치실(50)의 이탈 가능성을 보다 낮추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홈(125)은 제 1치실지지부(120)의 말단부로부터 제 1치실지지부(120)의 상측면을 따라 제 3돌기부(16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 내부에 치실패를 수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100)는 몸체부(110) 내부에 치실(50)을 제공하는 치실패(220)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후면(116)에 형성된 치실인출구(170)를 통해 내부의 치실패(220)로부터 외부로 치실(50)을 인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치실패(220)를 몸체부(110) 내부에 수납하는 일 실시예를 살펴본다.
몸체부(110)는 하측에 분리되는 뚜껑부(200)를 형성하여, 몸체부(110) 하측과 뚜껑부(20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치실패(2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몸체부(110) 하부의 양 측면(114)에 각각 결합홈(19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90)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결합편(210)을 뚜껑부(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결합편(210)을 가압함으로써 결합편(210)을 결합홈(190)으로부터 빼낼 수 있고, 이에 따라 뚜껑부(200)를 몸체부(110)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다음, 사용자는 치실패(220)로부터 제공되는 치실(50)을 몸체부(110) 후면에 형성된 치실인출구(170)로 빼낸 뒤, 몸체부(110)와 뚜껑부(200) 사이에 치실패(220)를 넣고, 결합편(210)을 다시 결합홈(190)에 삽입시킴으로써 뚜껑부(200)를 몸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치실패(220)를 몸체부(110)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도 5a, 5b,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에 치실을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몸체부(110) 내부에 수납된 치실패(220)로부터의 치실(50)을 치실인출구(170)를 통해 외부로 인출한다.
그 후, 사용자는 치실(50)을 1차적으로 제 1돌기부(140)에 소정 횟수 감는다.
그 다음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돌기부(140)로부터의 치실(50)을 몸체부(110)의 측면(114)을 거쳐 2차적으로 제 2돌기부(150)에 소정 횟수로 감는다.
그리고, 제 2돌기부(150)로부터의 치실(50)을 제 2치실지지부(130)의 치실투입공(131)으로 삽입하고, 제 1치실지지부(120)의 가이드홈(125)에 거치한다.
다음,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가이드홈(125)에 거치된 치실(50)을 제 3돌기부(160)의 일측에 걸리게 한 상태로 제 1돌기부(140)에 소정 횟수 감는다.
이 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돌기부(160)의 우측에 치실(50)이 걸리게 한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제 1돌기부(140)에 치실(50)을 감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3돌기부(160)의 좌측에 치실(50)을 걸리게 한 경우 시계방향으로 제 1돌기부(140)에 치실(50)을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으면, 치실(50)이 제 3돌기부(160)에 걸리지 않아 치실(50)이 가이드홈(125)에서 이탈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 후, 사용자는 치실(50)을 제 1돌기부(140)의 상측면에 형성된 절개부(142)에 삽입함으로써 치실(50)을 제 1돌기부(140)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 세척구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치실(50)이 고정 설치된 치간 세척구(100)를 이용하여 치간을 세척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투입공(131)이 형성된 제 2치실지지부(130)를 치아(10)와 교정용와이어(22) 사이에 삽입하여 치아 교정기(20)를 착용한 상태에서 원활히 치간을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된 치실(50) 부분은 치실인출구(170) 일측에 형성된 치실절단날(180)을 통해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치아 교정기 21: 교정용브라켓
22: 교정용와이어 50: 치실
100: 치간 세척구 110: 몸체부
120: 제 1치실지지부 130: 제 2치실지지부
140: 제 1돌기부 150: 제 2돌기부
160: 제 3돌기부

Claims (9)

  1. 교정용와이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치아 사이를 세척하기 위한 치간세척구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전면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치실이 거치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 1치실지지부;
    상기 치실이 통과되기 위한 치실투입공을 말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제 1치실지지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교정용와이어와 상기 치아 사이에 삽입되는 제 2치실지지부;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 1돌기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치실지지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돌기부;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돌기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3돌기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들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 1치실지지부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치실지지부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제 3돌기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치실패를 수납하고, 상기 치실패로부터의 치실을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된 치실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치실패를 수납하기 위하여 하부의 양 측면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과 끼움 결합하는 결합편을 갖는 뚜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치실절단날; 을 더 포함하는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투입공은,
    상기 제 2치실지지부의 말단으로부터 2mm 내지 3mm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9. 삭제
KR1020110074550A 2011-07-27 2011-07-27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KR101278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550A KR101278160B1 (ko) 2011-07-27 2011-07-27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550A KR101278160B1 (ko) 2011-07-27 2011-07-27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126A KR20130013126A (ko) 2013-02-06
KR101278160B1 true KR101278160B1 (ko) 2013-06-27

Family

ID=4789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550A KR101278160B1 (ko) 2011-07-27 2011-07-27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1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835Y1 (ko) 2004-11-15 2005-02-03 김우태 치실 지지대
JP3140533U (ja) * 2008-01-18 2008-03-27 饒文欽 ホルダ付デンタルフロス
KR20110019831A (ko) * 2009-08-21 2011-03-02 조일구 치실 고정 지지대
KR20110004721U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고산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835Y1 (ko) 2004-11-15 2005-02-03 김우태 치실 지지대
JP3140533U (ja) * 2008-01-18 2008-03-27 饒文欽 ホルダ付デンタルフロス
KR20110019831A (ko) * 2009-08-21 2011-03-02 조일구 치실 고정 지지대
KR20110004721U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고산 치실당김부를 구비한 치실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126A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6197B2 (en) Apparatus for user having teeth
US5094256A (en) Dental cleansing device and interdental floss for such a device
US8631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 floss aid
US5183064A (en) Dental cleansing device and interdental floss for such a device
KR101331147B1 (ko)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EP2136673A1 (en) Improved mouth cleaning device
KR20120110982A (ko) 와이어 덮개부 및 그를 구비한 치열 교정기
JP2015535467A (ja) 歯列矯正用歯ブラシ
US20180353274A1 (en) Adjustable interdental cleaning element and a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090090380A1 (en) Flossing and Oral Hygiene Tool
US10888403B2 (en) Interdental brush and cleaning device for the same
KR101278160B1 (ko)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CA2619089C (en) Custom instant flossing appliance
CN209750198U (zh) 一种用于口腔正畸患者专用牙刷
CA2911714C (en) Apparatus for user having teeth
KR20170066972A (ko) 일회용 치실장치
KR20170000969U (ko) 브러시 팁 교체형 치간 칫솔
US20120186603A1 (en) Orthodontia flosser
KR101365205B1 (ko) 덴탈미러
JP3199778U (ja) 角度を有するブラシ固定構造
JP2012080970A (ja) 歯列矯正用粘膜保護シート
ZA200101967B (en) Dental floss holder.
US20240065430A1 (en) Interproximal brush floss pick
KR20120081530A (ko) 절단 부재가 구성된 인출용 치간 칫솔
EP4226895A1 (en) Dental floss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