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898A - 치실 보조 도구 - Google Patents

치실 보조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898A
KR20190021898A KR1020170107307A KR20170107307A KR20190021898A KR 20190021898 A KR20190021898 A KR 20190021898A KR 1020170107307 A KR1020170107307 A KR 1020170107307A KR 20170107307 A KR20170107307 A KR 20170107307A KR 20190021898 A KR20190021898 A KR 20190021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ss
dental floss
head portions
fixing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춘호
Original Assignee
석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춘호 filed Critical 석춘호
Priority to KR102017010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1898A/ko
Publication of KR20190021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실을 팽팽하게 유지 고정시킬 수 있고, 미끄러짐 없이 파지할 수 있으며 입안 깊숙한 치아 간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위생적인 보관 및 용이한 인출과 교체가 뛰어난 치실 보조 도구에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실을 고정하여 사용하기 위한 치실 보조 기구로서, 힌지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서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의 상부 측인 양(both) 헤드부와 상기 힌지축의 하부 측인 양(both) 손잡이부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부 간은 소정 거리를 갖고 대향하게 형성되는 회동 바디; 상기 회동 바디의 양 헤드부의 상단 사이로 치실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 및 상기 회동 바디의 양 헤드부 사이로 가이드 된 치실을 고정시키기 위한 치실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치실 보조 도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치실 보조 도구{DENTAL FLOSS-ASSIST TOOL}
본 발명은 치실 보조 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실을 팽팽하게 유지 고정시킬 수 있고, 미끄러짐 없이 파지할 수 있으며 입안 깊숙한 치아 간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위생적인 보관 및 용이한 인출과 교체가 뛰어난 치실 보조 도구에 에 관한 것이다.
치아를 건강하고 청결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을 섭취한 후 적절한 시간 내에 양치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반적으로 칫솔을 이용한 양치질만으로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 및 프라그, 치석 등을 완전히 닦아내거나 제거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칫솔 사용 전 또는 칫솔 사용 후에 굵기가 작은 치실을 사용하여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 및 프라그, 치석 등을 제거하게 되는데, 즉 가는 실인 치실(치간세정사(齒間洗淨絲))을 치아와 치아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치아의 위, 아래로 이동시키면서 칫솔이 닿지않은 부분에 있는 음식물 찌꺼기 및 프라그, 치석 등을 제거한다.
상기의 치실은 휴대가 용이하면서 일정 길이만큼 절단(cutting)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커터가 구비된 치실 케이스 내에 보관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즉 치실이 지지봉의 외면에 감겨 진 구조의 치실부를 상기 치실 케이스 내에 삽입 설치하여 치실을 휴대 가능하게 보관하였다가 상기의 치실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치실 케이스의 외부로 치실부의 치실을 당겨 일정 길이만큼 인출하여 커터로 절단한 후 상기의 치실을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치실 케이스에서 인축한 치실을 절단하여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고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송곳니 또는 어금니와 같이 입안 깊숙한 치아 사이에 사용하는데는 더욱 어려움이 있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006호(2014.08.19. 공고)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6868호(2002.08.27. 공고) (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3901호(2005.12.14.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치실을 팽팽하게 유지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고, 또한 미끄러짐 없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입안 깊숙한 치아 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실 보조 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교체하여 치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치실 보조 도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치실을 고정하여 사용하기 위한 치실 보조 기구로서, 힌지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서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의 상부 측인 양(both) 헤드부와 상기 힌지축의 하부 측인 양(both) 손잡이부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부 간은 소정 거리를 갖고 대향하게 형성되는 회동 바디; 상기 회동 바디의 양 헤드부의 상단 사이로 치실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 및 상기 회동 바디의 양 헤드부 사이로 가이드 된 치실을 고정시키기 위한 치실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치실 보조 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디의 상부 측은 "U"자형 또는 "V"자형의 상기 양 헤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 바디의 하부 측은 상기 양 헤드부로부터 각각 선형 연장되는 상기 양 손잡이부로 이루어지거나, 역 "U"자형이나 역 "V"자형의 상기 양 손잡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디의 양 헤드부는 플라스틱 재질의 선형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 바디의 손잡이부에는 미끄럼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요철, 돌출부 또는 엠보싱이 상기 손잡이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요철, 돌출부 또는 엠보싱이 형성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커버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회동 바디의 양 손잡이부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 상기 회동 바디의 양 헤드부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양 헤드부의 각 상단에 형성되는 단면 "V"자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치실 고정 수단은 일측 또는 타측의 손잡이부의 상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 및 상기 고정 돌기의 끝단 면에 형성되는 고정용 슬릿(sli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치실 보조 도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치실을 팽팽하게 유지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미끄러짐 없이 용이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입안 깊숙한 치아 간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한 영역을 쉽게 교체하요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사용 시 위생적인 보관과 함께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치실부분만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 보조 기구의 사용 상태의 정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보조 기구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 보조 기구에서 치실을 거치하기 위한 사용 상태의 정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치실 보조 기구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치실 보조 기구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 보조 기구의 사용 상태의 정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보조 기구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 보조 기구에서 치실을 거치하기 위한 사용 상태의 정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실 보조 기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실을 선형으로 고정하여 사용하기 위한 치실 보조 기구로서, 일측의 힌지축(101)을 회동축으로 하여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101)의 상부 측인 양(both) 헤드부(110)와 힌지축(101)의 하부 측인 양(both) 손잡이부(120)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부(110) 간은 소정 거리를 갖고 대향하게 형성되는 회동 바디(100); 상기 회동 바디(100)의 양 헤드부(110)의 상단 사이로 치실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 및 상기 회동 바디(100)의 양 헤드부(110) 사이로 가이드된 치실을 고정시키기 위한 치실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 바디(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부(110)가 힌지축(101)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연장되고, 각 연장단에서 상향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즉 대략 "U"자형의 헤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120)는 각각 힌지축(101) 측의 상기 헤드부(110)로부터 하방으로 선형 형태로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치실 보조 기구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회동 바디(100)는 헤드부(110)가 대략 "U"자 형태 또는 "V"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손잡이부(120)가 대략 역 "U"자 형태나 역 "V"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동 바디(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축(101)을 결합 회동축으로 하되 일측의 헤드부(110a)와 일측의 손잡이부(120a)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의 헤드부(110b)와 타측의 손잡이부(120b)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바디(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축(101)을 결합 회동축으로 하되, 일측의 헤드부(110a)와 타측의 손잡이부(120b)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의 헤드부(110b)와 일측의 손잡이부(120a)가 일체로 형성되어 교차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 바디(100)의 헤드부(110)는 탄력을 갖도록 소정 두께의 선형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회동 바디(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헤드부(1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편으로 이루어져 탄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동 바디(100)의 손잡이부(120)에는 미끄럼 방지부(121)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121)는 요철이나 돌출부 또는 엠보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121)는 요철이나 돌출부 또는 엠보싱이 형성된 실리콘이나 고무재질이 커버가 손잡이부(120)에 씌워져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회동 바디(100)는 손잡이부(120)를 벌릴 경우(도 3 참조) 상기 헤드부(110)는 오므라지고, 손잡이부(120)를 오므릴 경우, 상기 헤드부(110)는 원래의 상태로 벌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겠지만 손잡이부(120)를 벌려 헤드부(110)가 오므라진 도 3의 상태에서 치실을 양 헤드부(110)의 상단에 거치한 후 후술하는 치실 고정 수단에 고정하고, 손잡이부(120)를 원 상태로 하면, 치실은 팽팽하게 된다.
이때, 치실 간의 간격이 양 헤드부(110)의 상단 간의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드부(110)가 어느 정도 탄력을 가지므로, 팽팽하게 유지되고, 치실 간의 간격이 양 헤드부(110)의 상단 간의 거리보다 커서 느슨하게 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치실 고정 수단에 고정되는 치실의 여분을 감아 고정하여 팽팽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 바디(100)의 양 헤드부(110)의 상단 사이로 치실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은, 상기 회동 바디(100)의 양 손잡이부(120a, 120b)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210)와, 상기 회동 바디(100)의 양 헤드부(110a, 110b)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220)(도 2 참조), 및 상기 양 헤드부(110a, 100b)의 각 상단에 형성되는 단면 "V"자홈(230)(도 2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210)는 치실이 그 가이드 돌기(210)의 외연에 거쳐 방향 전환되어 안내될 때, 상기 가이드 돌기(210)에서 자유단 끝단으로 쉽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가이드 돌기(210)의 외연에 하나 이상의 홈 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이드 수단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이 후술하는 고정수단에 고정되는 치실이 일측의 가이드 돌기(210)를 거쳐 외면의 가이드홈(220)을 따라 일측 헤드부(110a)의 V자홈(230)을 지나고, 계속해서 타측 헤드부(110b)의 V자홈(230)을 지나 외면의 가이드홈(220)을 따라 가이드되며 타측의 가이드 돌기(210)를 거쳐 후술하는 고정수단에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 바디(100)의 양 헤드부(110)(110a, 110b) 사이로 가이드된 치실을 고정시키기 위한 치실 고정 수단은, 일측 또는 타측의 손잡이부(120)의 상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310), 및 상기 고정 돌기(310)의 끝단 면에 형성되는 고정용 슬릿(slit)(3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돌기(310)는 끝단 면의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연장하는 연장 플랜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 돌기(310)에 감기는 치실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고정 돌기(310)는 치실이 그 고정 돌기(310)의 외연에 권선되어 있을 때, 상기 고정 돌기(310)에서 자유단 끝단으로 쉽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고정 돌기(310)의 외연에 하나 이상의 홈 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용 슬릿(320)은 상기 고정 돌기(310)의 중심을 지나며 소정 깊이의 홈을 갖고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고정 돌기(310)가 형성되는 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 수단은 치실을 고정용 슬릿(320)을 통과시킨 다음 고정 돌기(310)에 몇회 감은 후 일측의 가이드 돌기(210)로 안내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가이드 수단을 거친 치실을 고정 돌기(310)에 고정용 슬릿(320)을 통과시킨 다음 고정 돌기(310)에 몇회 감아 고정시킨다.
여기에서, 치실은 고정 돌기(310)에 감긴 다음 고정용 슬릿(320)을 통과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유롭게 고정 돌기(310)와 고정용 슬릿(320)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치실 보조 기구는 치실을 보관하고 인출하여 상기 고정 수단 및/또는 상기 가이드 수단에 거쳐 사용할 수 있는 교체용 치실 공급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교체용 치실 공급 수단은, 상기 고정 돌기(310)의 하부 측 손잡이부(120)에 형성되는 일측 개방 원통형 하우징(410)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410)의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 형성되어 하기 교체형 치실구비 풀리로부터의 치실이 통과하는 치실통과 슬롯(slot)(미도시)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410)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축(420), 및 중앙부가 상기 중심축(42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외면에 치실이 권선되어 형성되는 교체형 치실구비 풀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교체형 치실 공급 수단은 상기 원통형 하우징(410)을 커버하는 하우징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실통과 슬롯의 일측은 치실의 컷팅이 가능하게 칼날부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칼날부는 원통형 하우징(410)의 원주면 상 또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교체형 치실 공급 수단은 교체형 치실구비 풀리가 중심축(4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교체형 치실구비 풀리로부터 권출되는 치실은 치실통과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한 고정 수단 측으로 인출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치실 보조 도구는, 치실을 팽팽하게 유지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미끄러짐 없이 용이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입안 깊숙한 치아 간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한 영역을 쉽게 교체하요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시 위생적인 보관과 함께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치실부분만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회동 바디
101: 힌지축
110, 110a, 110b: 헤드부
120, 120a, 120b: 손잡이부
210: 가이드 돌기
220: 가이드홈
230: V자홈
310: 고정 돌기
320: 고정용 슬릿

Claims (5)

  1. 치실을 고정하여 사용하기 위한 치실 보조 기구로서,
    힌지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서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의 상부 측인 양(both) 헤드부와 상기 힌지축의 하부 측인 양(both) 손잡이부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부 간은 소정 거리를 갖고 대향하게 형성되는 회동 바디;
    상기 회동 바디의 양 헤드부의 상단 사이로 치실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 및
    상기 회동 바디의 양 헤드부 사이로 가이드 된 치실을 고정시키기 위한 치실 고정 수단;
    을 포함하는 치실 보조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디의 상부 측은 "U"자형 또는 "V"자형의 상기 양 헤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 바디의 하부 측은 상기 양 헤드부로부터 각각 선형 연장되는 상기 양 손잡이부로 이루어지거나, 역 "U"자형이나 역 "V"자형의 상기 양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치실 보조 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디의 양 헤드부는 플라스틱 재질의 선형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 바디의 손잡이부에는 미끄럼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요철, 돌출부 또는 엠보싱이 상기 손잡이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요철, 돌출부 또는 엠보싱이 형성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커버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어 형성되는
    치실 보조 도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회동 바디의 양 손잡이부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
    상기 회동 바디의 양 헤드부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양 헤드부의 각 상단에 형성되는 단면 "V"자홈을 포함하는
    치실 보조 도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 고정 수단은
    일측 또는 타측의 손잡이부의 상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 및
    상기 고정 돌기의 끝단 면에 형성되는 고정용 슬릿(slit)을 포함하는
    치실 보조 도구.
KR1020170107307A 2017-08-24 2017-08-24 치실 보조 도구 KR20190021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07A KR20190021898A (ko) 2017-08-24 2017-08-24 치실 보조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07A KR20190021898A (ko) 2017-08-24 2017-08-24 치실 보조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898A true KR20190021898A (ko) 2019-03-06

Family

ID=6576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307A KR20190021898A (ko) 2017-08-24 2017-08-24 치실 보조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18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1524A (en) Power driven dental cleaner
US3534745A (en) Dental tape holder for power driven tooth cleaning devices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 methods of use thereof
WO2012005757A1 (en) Dental care device
KR101387383B1 (ko) 치실 홀더 및 이를 구비한 칫솔
KR101462916B1 (ko) 치실 홀더
KR20190021898A (ko) 치실 보조 도구
US3987806A (en) Dental floss applicator
KR101535796B1 (ko) 휴대용 치실장치
EP1455677B1 (en) Tooth-cleaning paper combined with dental floss
RU75279U1 (ru) Зубная щетка (варианты)
KR20110073623A (ko) 치간 세척구
US7322367B2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KR101813975B1 (ko) 양손으로 이용 가능한 치간 세정기
KR200203393Y1 (ko) 치실이쑤시개가 부착된 치실통
KR200357424Y1 (ko) 치실 홀더
KR102583463B1 (ko) 치아 세정장치
KR200299170Y1 (ko) 다용도 칫솔
AU2002356449A1 (en) Tooth-cleaning paper combined with dental floss
KR101020097B1 (ko)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KR20180119325A (ko) 칫솔
JP2645353B2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
KR200494722Y1 (ko) 구강 관리 장치
JP2006051325A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
KR200278333Y1 (ko) 치석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