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612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612B1
KR101889612B1 KR1020160141236A KR20160141236A KR101889612B1 KR 101889612 B1 KR101889612 B1 KR 101889612B1 KR 1020160141236 A KR1020160141236 A KR 1020160141236A KR 20160141236 A KR20160141236 A KR 20160141236A KR 101889612 B1 KR101889612 B1 KR 101889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s
floss
grooves
cover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231A (ko
Inventor
나희자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6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46B15/0071Toothbrushes with floss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칫솔모가 식모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파지부의 반대 측 일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홈;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제 1 홈보다 상기 파지부 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홈; 상기 제 1 홈에 식모되는 복수의 치간 이물질 제거용 제 1 칫솔모; 및 상기 제 2 홈에 식모되는 복수의 치아 브러싱용 제 2 칫솔모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이하의 설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입 안으로 들어온 음식물을 씹어서 소화가 용이한 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이러한 치아는 훼손 시 완전한 원상회복이 불가능하고, 치료비 또한 고가일 수 있다. 따라서 치아와 관련된 질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칫솔을 이용한 올바른 양치 습관이 필수적이다.
칫솔은 다수의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칫솔모는 치아(이하, 잇몸 포함)를 브러싱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칫솔모를 이용해 치아를 닦는 것은 칫솔의 기본적인 기능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일반적인 치아 브러싱용 칫솔모 만으로는 치간의 이물질, 예를 들어 치아 사이의 치석, 음식물 찌꺼기 등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개발된 것이 치간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치간 칫솔 및 치실이다.
그러나, 치간 칫솔 및 치실은 칫솔과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로서는 치간 칫솔 및 치실의 준비 내지는 사용에 경제적 부담과 번거로움을 느낄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5623호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치간 이물질 제거용 칫솔모가 일반 치아 브러싱용 칫솔모와 함께 제공되는 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치실이 내장된 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칫솔모가 식모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파지부의 반대 측 일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홈;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제 1 홈보다 상기 파지부 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홈; 상기 제 1 홈에 식모되는 복수의 치간 이물질 제거용 제 1 칫솔모; 및 상기 제 2 홈에 식모되는 복수의 치아 브러싱용 제 2 칫솔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홈은 k x l 행렬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홈은 m x n 행렬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k, l, m 및 n은 각각 양의 정수로서, m은 k보다 크고, n은 l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칫솔모의 경직도는 상기 제 2 칫솔모의 경직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홈 중 어느 하나의 제 1 홈에 식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칫솔모의 상단부는, 다른 하나의 제 1 홈에 식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칫솔모의 상단부와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홈 중 어느 하나의 제 1 홈에 식모되는 복수의 제 1 칫솔모 중 적어도 일부의 상단부는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일단부에 함몰 형성되는 치실수용부; 상기 치실수용부에 수용되는 치실; 및 상기 파지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치실수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실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파지부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폐쇄 동작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폐쇄 시, 상기 치실의 일지점을 절단하는 절단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실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치실이 권취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 및 상기 커버 사이에서 상기 치실수용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보빈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파지부의 외부와 상기 치실수용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 1 치실인출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부는, 폐쇄 시, 상기 파지부의 외주면 일부와 함께 상기 제 1 치실인출로와 연통되는 제 2 치실인출로를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폐쇄 시, 상기 제 2 치실인출로에서 상기 치실의 일지점을 절단하는 절단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치간 이물질 제거용 칫솔모가 일반 치아 브러싱용 칫솔모와 함께 제공되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치실이 내장된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칫솔의 헤드부를 도면 기준 위쪽에서 아래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칫솔의 변형예의 헤드부를 옆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칫솔의 다른 변형예의 헤드부를 옆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칫솔의 파지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공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상기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특정 부분이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상기 특정 부분은 상기 특정 구성 외의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헤드부(110)를 도면 기준 위쪽에서 아래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은, 칫솔모(140, 150)가 식모되는 헤드부(110)와, 헤드부(110)로부터 연장되는 파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10)에는 칫솔모(140, 150) 식모를 위한 복수의 홈(120, 1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홈(120)은 헤드부(110)에서 파지부(160)의 반대 측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 2 홈(130)은 헤드부(110)에서 제 1 홈(120)보다 파지부(160)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홈(120)은 복수로 제공되되 l x k 행렬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 2 홈(130) 역시 복수로 제공되되 m x n 행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l, k, m 및 n은 각각 양의 정수일 수 있다.
제 1 홈(120)에는 치간 이물질 제거용 칫솔모, 즉 제 1 칫솔모(140)가 식모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홈(130)에는 일반 치아 브러싱용 칫솔모, 즉 제 2 칫솔모(150)가 식모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에서는, 헤드부(110)에 치간 이물질 제거용 칫솔모(제 1 칫솔모(140))가 일반 치아 브러싱용 칫솔모(제 2 칫솔모(150))와 함께 제공되는바, 사용자로서는 치간 칫솔을 따로 준비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 내지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으며, 사용 상의 편의도 도모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에서 말하는 "치간"은 어느 하나의 치아와 다른 하나의 치아 사이 뿐만 아니라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을 의미하는 치은열구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이물질"은 음식물 찌꺼기 뿐만 아니라 세균막, 치태, 치석 등 구강질환과 관련된 각종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2 칫솔모(150)는 치아는 물론 잇몸을 닦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칫솔모(140)와 제 2 칫솔모(150)의 배치 관계에 있어서, 제 1 칫솔모(140) 및 제 1 홈(120)을 제 2 칫솔모(150) 및 제 2 홈(130)보다 헤드부(110)의 선단부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로서는 보다 용이하게 제 1 칫솔모(140)를 치간에 삽입하여 치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유사한 취지로, 앞서 언급한 m은 k보다 클 수 있고, n은 l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k은 2, l는 2, m은 7, n은 4인 것으로 예시한다. 즉, 제 2 칫솔모 및 제 2 홈(130)은 7 x 4 행렬 형태로 제공되어 충분한 치아 브러싱이 가능하도록 하고, 제 1 칫솔모(140) 및 제 1 홈(120)은 제 2 칫솔모(150) 및 제 2 홈(130)보다 적은 개수인 2 x 2 행렬 형태로서 보다 선단에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 시 치간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치간 이물질 제거용인 제 1 칫솔모(140)를 헤드부(110)의 선단부에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좁은 폭)로 마련하였으므로, 사용자로서는 어느 하나의 틈새에 제 1 칫솔모(140)를 삽입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칫솔모(140)는 치간에 삽입되어 기능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치간에 삽입되기 위하여 그 경직도(rigidity)가 클 수 있다. 한편, 제 2 칫솔모(150)는 치아의 외면, 잇몸 등을 닦는 용도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드럽게 제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능 및 용도의 특성 상, 제 1 칫솔모(140)의 경직도는 제 2 칫솔모(150)의 경직도보다 클 수 있다.
파지부(160)의 일단부에는 커버(17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파지부(160)에는 치실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커버(170)는 파지부(160)에 대한 회동 동작을 통해 상기 치실수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폐쇄되어 있는 커버(170)를 용이하게 개방시키기 위하여, 커버(17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내지는 손톱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는 탭(175)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인접한 제 1 홈(120a, 120b)에 각각 식모된 복수의 제 1 칫솔모(140) 중 일부는 그 상단부에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면 상 좌측의 제 1 홈(120a)에 식모된 제 1 칫솔모(14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부는, 도면 상 우측의 제 1 홈(120b)에 식모된 제 1 칫솔모(14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부와 접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접합된 제 1 칫솔모(140)는 상측으로 뾰족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용이한 치간 삽입이라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도 3은 변형예에 따른 헤드부(110`)를 옆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동일한 행(row)에 속하는 제 1 홈(120)의 제 1 칫솔모(140) 간에 접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변형예에서는 동일한 열(column)에 속하는 제 1 홈(120)의 제 1 칫솔모(140)가 서로 접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상 좌측의 제 1 홈(120b)에 식모된 제 1 칫솔모(14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부는, 도면 상 우측의 제 1 홈(120c)에 식모된 제 1 칫솔모(14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부와 접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접합된 제 1 칫솔모(140)는 상측으로 뾰족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용이한 치간 삽입이라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도 4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헤드부(110``)를 옆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서로 다른 제 1 홈(120)에 식모된 제 1 칫솔모(140)가 서로 접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변형예에서는 동일한 제 1 홈(120)에 식모된 제 1 칫솔모(140) 간에 접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상 좌측의 제 1 홈(120b)에 식모된 제 1 칫솔모(140b)의 상단부는 서로 접합될 수 있고, 우측의 제 1 홈(120c)에 식모된 제 1 칫솔모(140c)의 상단부는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접합된 제 1 칫솔모(140b, 140c)는 상측으로 뾰족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용이한 치간 삽입이라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칫솔(100)의 파지부(16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를 도 1과 병행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에 치실(1)이 내장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로 한다.
파지부(160)의 일단부에는 치실수용부(180)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파지부(160)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170)는 회동 동작을 통해 치실수용부(18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길이방향(도 5 기준 상하방향)을 따라 중공부(25)가 형성된 보빈(20)이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보빈(20)의 외주면에 치실(1)이 권취될 수 있다. 치실(1)이 권취된 보빈(20), 즉 치실뭉치는 상술한 치실수용부(180)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부(16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고정돌기(163)는 보빈(20)의 중공부(25)에 도면 기준 상측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보빈(20)의 치실수용부(180) 내에서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보빈(20)과 커버(170) 사이에는 캡(190)이 제공될 수 있다. 캡(190)은 커버(170)가 개방된 상태에서 치실수용부(18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캡(190)은 치실수용부(180)에 수분, 이물질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보빈(20)을 상방 지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태인 캡(19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2 고정돌기(195)는 보빈(20)의 중공부(25)에 도면 기준 하측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보빈(20)의 치실수용부(180) 내에서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치실(1)은 치실인출로(10, 15)를 통해 파지부(16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치실인출로(10)는 파지부(160)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지부(160)의 외부와 치실수용부(180)는 상기 제 1 치실인출로(10)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 2 치실인출로(15)는 제 1 치실인출로(10)와 연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2 치실인출로(15)의 일측은 파지부(160)의 외주면에 의해 구획될 수 있고 타측은 커버(17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170)의 폐쇄 시, 커버(170)의 일부분(예를 들어, 후술할 돌출부(171))은 파지부(160)와 함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치실인출로(15)를 구획할 수 있다.
커버(170)의 폐쇄 시, 커버(170)는 파지부(160)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70)가 파지부(160)에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60)의 일부분(도면 기준, 좌하단부)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절곡부(164)는 파지부(160)의 다른 부분보다 그 두께(도면 기준, 좌우방향)가 작을 수 있다. 한편, 커버(170)의 돌출부(171)는 커버(170)의 다른 부분보다 그 두께(도면 기준, 상하방향)가 클 수 있다. 커버(170)의 폐쇄 동작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171)가 파지부(160)의 절곡된 부분에 형합되는 방식으로 파지부(160)와 커버(170)의 기계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파지부(160)의 절곡부(164)에는 체결홈(165)이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커버(170)의 돌출부(171)에는 상기 체결홈(165)에 삽입되는 체결돌기(172)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170)의 폐쇄 동작에 의하여, 상기 체결돌기(172)가 상기 체결홈(165)에 삽입될 수 있고, 커버(170)의 폐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치실(1) 사용 태양을 본격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치실(1)의 보관 및 사용에 관한 사항을 먼저 설명한다. 미관 상, 그리고 위생 상 칫솔(10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치실(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치실(1)의 미사용 시에는 치실(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다가, 사용 시 뚜껑 등의 구성을 개방하여 치실(1)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사용자가 치실(1)을 절단하여 필요한 만큼만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치실(1)에 별도 외력을 가하여 치실(1)을 절단할 수도 있으나, 앞서 설명하였듯이 이미 뚜껑 등의 구성을 개방한 상황이므로 개방된 뚜껑을 폐쇄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치실(1)이 절단된다면 더 편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치실(1)의 미사용 시에는 치실(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70)의 돌출부(171)에는 절단돌기(173)가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절단돌기(173)는 커버(170)가 폐쇄되었을 때 치실인출로(10, 15)를 차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치실(1)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커버(170)를 개방시킬 수 있고, 이어서 치실(1)의 외부 인출 부분을 당겨 상기 외부 인출 부분이 원하는 길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커버(170)를 다시 닫음으로써 절단된 치실(1)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치실(1)을 인출한 상태에서 커버(170)를 폐쇄하면, 상술한 절단돌기(173)가 제 2 치실인출로(15)에서 치실(1)과 접촉하여 치실(1)을 절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절단된 치실(1) 부분을 사용하게 되고, 커버(170)는 폐쇄되었기 때문에 도면 상 절단돌기(173)의 우측에 위치한 치실(1) 및 치실수용부(18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함께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분산되어 실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실시예 각각에서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도 서로 분산되어 실시되거나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칫솔 110: 헤드부
120: 제 1 홈 130: 제 2 홈
140: 제 1 칫솔모 150: 제 2 칫솔모
160: 파지부 170: 커버
180: 치실수용부 190: 캡

Claims (10)

  1. 칫솔모가 식모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파지부의 반대 측 일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홈;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제 1 홈보다 상기 파지부 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홈;
    상기 제 1 홈에 식모되는 복수의 치간 이물질 제거용 제 1 칫솔모; 및
    상기 제 2 홈에 식모되는 복수의 치아 브러싱용 제 2 칫솔모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부의 일단부에 함몰 형성되는 치실수용부;
    상기 치실수용부에 수용되는 치실; 및
    상기 파지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치실수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파지부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폐쇄 동작에 의해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는 폐쇄 시 상기 치실의 일지점을 절단하는 절단돌기를 포함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홈은 k x l 행렬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홈은 m x n 행렬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k, l, m 및 n은 각각 양의 정수로서, m은 k보다 크고, n은 l보다 큰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칫솔모의 경직도는 상기 제 2 칫솔모의 경직도보다 큰 칫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홈 중 어느 하나의 제 1 홈에 식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칫솔모의 상단부는, 다른 하나의 제 1 홈에 식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칫솔모의 상단부와 접합되는 칫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홈 중 어느 하나의 제 1 홈에 식모되는 복수의 제 1 칫솔모 중 적어도 일부의 상단부는 서로 접합되는 칫솔.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치실이 권취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 및 상기 커버 사이에서 상기 치실수용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보빈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캡을 더 포함하는 칫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파지부의 외부와 상기 치실수용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 1 치실인출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부는, 폐쇄 시, 상기 파지부의 외주면 일부와 함께 상기 제 1 치실인출로와 연통되는 제 2 치실인출로를 구획하는 칫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폐쇄 시, 상기 제 2 치실인출로에서 상기 치실의 일지점을 절단하는 절단돌기를 포함하는 칫솔.
KR1020160141236A 2016-10-27 2016-10-27 칫솔 KR101889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236A KR101889612B1 (ko) 2016-10-27 2016-10-27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236A KR101889612B1 (ko) 2016-10-27 2016-10-27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231A KR20180046231A (ko) 2018-05-08
KR101889612B1 true KR101889612B1 (ko) 2018-08-20

Family

ID=6218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236A KR101889612B1 (ko) 2016-10-27 2016-10-27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6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558A (ja) 2002-04-16 2004-01-08 Takayuki Kodama 歯ブラシ
JP2006068473A (ja) * 2004-09-03 2006-03-16 Masamitsu Otsubo 歯ブラシのブラシ毛の形状と構造、そのブラシ毛の配列の配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365B1 (ko) * 2002-07-04 2005-05-16 이유신 치실과 절단기가 구비된 칫솔
KR200469882Y1 (ko) * 2011-11-30 2013-11-20 (주)아모레퍼시픽 칫솔
KR20160115623A (ko) 2015-03-28 2016-10-06 주식회사 네오비 칫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558A (ja) 2002-04-16 2004-01-08 Takayuki Kodama 歯ブラシ
JP2006068473A (ja) * 2004-09-03 2006-03-16 Masamitsu Otsubo 歯ブラシのブラシ毛の形状と構造、そのブラシ毛の配列の配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231A (ko) 201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0429C2 (ru) Зубная чистящая капа с разными секциями щетинок для разных зубных областей
JP3002668B1 (ja) ブラシ楊枝
US20130000658A1 (en) Combination Toothbrush, Floss Dispenser and Tongue Scraper
WO2005115196A3 (de) Bürstenkopf für elektrische und/oder manuelle zahnbürsten
US8938841B1 (en) Tooth brushing system
JPH05506161A (ja) 隣接歯間用ブラシ
KR200479129Y1 (ko) 기능을 향상시킨 이쑤시개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 methods of use thereof
US8424544B2 (en) Toothpick with floss
WO2016190515A1 (ko) 기역자형 칫솔
KR101889612B1 (ko) 칫솔
US20160192770A1 (en) 3 In one toothbrush flosser
KR20200000359U (ko) 헤드부 교체 구조를 갖는 칫솔
KR20210154391A (ko)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KR20170000969U (ko) 브러시 팁 교체형 치간 칫솔
KR101369141B1 (ko)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KR200437911Y1 (ko) 거울이 뚜껑에 구비된 치간칫솔
GB2580404A (en) Interdental cleaning device
JP3153789U (ja) 歯ブラシ
KR200414608Y1 (ko) 측면통과형솔치실
JP6978752B2 (ja) 歯ブラシ
WO2012093762A1 (ko) 치아의 내/외부 양치가 용이한 이중모를 갖는 칫솔
GB2463097A (en) Constantly rotating bristle toothbrush with protective head
KR100970160B1 (ko) 구형 헤드를 갖는 칫솔
KR200374531Y1 (ko)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