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608Y1 - 측면통과형솔치실 - Google Patents

측면통과형솔치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608Y1
KR200414608Y1 KR2020060001915U KR20060001915U KR200414608Y1 KR 200414608 Y1 KR200414608 Y1 KR 200414608Y1 KR 2020060001915 U KR2020060001915 U KR 2020060001915U KR 20060001915 U KR20060001915 U KR 20060001915U KR 200414608 Y1 KR200414608 Y1 KR 200414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dental
brush
dental floss
floss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한
Original Assignee
김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학 filed Critical 김용학
Priority to KR2020060001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6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46B15/0073Brushes with an arrangement for using the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아의 치간을 깨끗이 하는 측면통과형솔치실로, 전후좌우, 상하 운동을 필요로 하지 않고 치아 측면의 하부 치아 공간을 통과하는 운동만이 필요한 치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치실 상에 솔을 구비한 솔치실을 치간 하부 홈에 삽입을 유도할 수 있는 스틱을 구성하여 솔 치실이 치간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치간을 깨끗이 할 수 있는 치실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솔 치실에 스틱부를 형성하여 치아 측면을 통과함으로써 잇몸의 상처발생을 막고, 어금니와 기형적 치아 등의 사용상의 편이와 안전을 제고시킬 수 있다.
치실, 치간치솔, 치간칫솔, 솔, 양치,

Description

측면통과형솔치실{A passing Type thread with bristle}
제1도는 본 고안의 기술을 나타낸 상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솔 치실의 사용도
제3도는 치아 측면 사용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스틱부(1) 측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스틱부(1) 단면도
본 고안은 치아 사이를 청소하는 도구인 치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치실은 치아 사이에 넣기 위해서는 치실 양끝을 잡고 치아 상부로부터 넣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이것은 치간의 접촉력이 큰 경우 치실의 삽입이 곤란하다. 그 이유로 첫째, 치아 상부로부터 두 개 치아 사이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므로 치아 사이가 넓어지며, 과도한 힘이 치간을 순간적으로 통과 직후, 잔여 힘이 잇몸으로 향하여 치간 잇몸에 치실에 의한 상처가 발생한다. 둘째, 두 손을 사용하여 치실을 치간에 삽입함에 있어 입 안쪽 어금니 등 치아의 위치 및 형태에 따라 사용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다. 셋째, 보통 치실은 치간을 통하여야 하는 구조로서 과도하게 가늘어 치간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치간 상하좌우로 비틀면서 왕복운동을 시켜야 하는 곤란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치간 상부로부터 치실을 억지로 삽입시킴으 로 인한 상처발생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번잡한 여러 방향의 운동을 하지 않아도 단순히 치간을 통과하기만 하여도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치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치간에 치실을 삽입하기 위하여 세사(細絲)를 여러 겹으로 구성된 치실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치실 양단에 스틱부(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극용 솔붙이 실(이하 솔 치실) 제공한다.
본 고안은 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섬모가 치실을 따라 형성된 솔부(2) 양단에, 치간하부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공간 치열을 중심으로 한쪽 측면으로부터 삽입하여 통과할 수 있는 스틱부(1)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치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솔치실 양단에 스틱부(1)를 형성한다. 스틱부(1)는 치열을 중심으로 한쪽(예 입 밖)에서 치열의 다른 한쪽(예 입안)으로 치실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치실 끝 부분에 플라스틱재의 소성(塑性)재를 가하여 치간 하부의 삼각형태의 공간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빳빳하게 만들어 입안의 침에 의하여 그 성질이 변하여 구부러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솔부(2)는 치실을 따라 형성되어 치실이 치간을 통과할 때 치간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는 구조이며 치간의 이물질이 충분히 제거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한다. 스틱부(1)를 갖는 솔치실을 사용하여 치간을 통과하며 이물질을 제거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치열 상부에서 묘사한 것이며, 도 3은 치열 측면에서 치간에 스틱부(1)가 삽입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도 4는 스틱부(1)의 끝 부분은 하부 면으로부터 빗면이 구성된 형태의 뾰족부(1a)를 나타낸다. 치간의 형태는 외부에서 보면 삼각형 구조를 갖는다. 이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스틱부(1)의 단면은 제5도와 같이 삼각형(1b)으로 구성하며 치간하부의 잇몸에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서 삼각형(1b)의 각 모서리는 라운딩을 부여한다.
본 고안의 솔치실은 일회용 제품으로써 약 10cm이상의 일정 길이와 일정량을 한 묶음으로 포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솔부(2)는 브리슬, 섬모, 털, 솔 등의 어떤 재질이든 신체에 해가 없이 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제작 할 수 있으며, 치간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솔부(2)의 굵기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치간 접촉부를 치아 상부로부터 억지로 통과하지 않고도 치실을 치아 측 공간에 스틱부(1)를 삽입하여 치아 사이에 치실을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상처 발생과 치간 확대를 방지할 수 있다.
어금니 등 기존 치실 사용이 곤란한 치간이나 기형적 치아에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치실은 굵기가 가늘고 마찰력이 적어 상하좌우 전후 움직임이 필요했지만, 본 고안 치실은 치열의 한쪽(예 입 밖)으로부터 다른 한쪽(예 입안 쪽)으로 또는 밖으로부터 안쪽으로 또는 안에서 밖으로 통과하는 작용만으로도 충분히 이물질 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실에 솔이 형성된 치실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의 치실에 미세한 솔이 부착된 치실의 양단에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 스틱부(1)를 갖는 솔부(2)가 구성된 특징을 갖은 측면통과형솔치실
  2. 제 1항에 있어서, 스틱부(1)의 끝 부분에 뾰족부(1a)가 형성된 특징을 갖은 측면통과형솔치실
  3. 제 1항에 있어서, 스틱부(1)의 단면이 삼각형(1b)으로 형성된 특징을 갖은 측면통과형솔치실
KR2020060001915U 2006-01-22 2006-01-22 측면통과형솔치실 KR200414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915U KR200414608Y1 (ko) 2006-01-22 2006-01-22 측면통과형솔치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915U KR200414608Y1 (ko) 2006-01-22 2006-01-22 측면통과형솔치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608Y1 true KR200414608Y1 (ko) 2006-04-21

Family

ID=4448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915U KR200414608Y1 (ko) 2006-01-22 2006-01-22 측면통과형솔치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6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592B1 (ko) * 2018-07-25 2019-04-05 박형태 치실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592B1 (ko) * 2018-07-25 2019-04-05 박형태 치실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65186T3 (es) Cabezal para un utensilio de cuidado bucal y utensilio de cuidado bucal
KR101876716B1 (ko) 구강 케어 기구용 헤드
KR102239551B1 (ko) 구강 케어 기구용 헤드, 구강 케어 기구, 및 그러한 헤드의 제조 방법
JP7063824B2 (ja) 口腔ケア器具用のフィラメント及び口腔ケア器具
KR200479129Y1 (ko) 기능을 향상시킨 이쑤시개
KR200414608Y1 (ko) 측면통과형솔치실
JP3124246U (ja) 歯間清掃具
JP6530077B2 (ja) オーラルケア器具用のヘッド及びオーラルケア器具
US3929144A (en) Device for inserting dental floss through interproximal area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570934B1 (ko) 치간 칫솔
JP3128400U (ja) 歯間磨き具
US11464323B2 (en) Toothbrush
KR20110002319U (ko) 치간칫솔과 이쑤시개를 갖는 치간 세정 도구
KR101780003B1 (ko) 절곡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KR200406454Y1 (ko) 브러쉬 타입의 이쑤시개
KR20060015352A (ko) 박막을 이용한 치실
KR200472006Y1 (ko) 치간 칫솔
KR200235879Y1 (ko) 이쑤시개
KR100311360B1 (ko) 침상 모 칫솔
KR200331547Y1 (ko) 치아틈새 소제장치용 헤드브러쉬
JP2006212143A (ja) 歯間ブラシ
KR200370912Y1 (ko) 치간치솔
ES2776230T3 (es) Mechón y cabezal para un utensilio de cuidado bucal y utensilio de cuidado bucal
TWM503881U (zh) 齒間清潔按摩刷
JP5409002B2 (ja) 歯間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