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553B1 - 치실 홀더 - Google Patents

치실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553B1
KR102567553B1 KR1020230028554A KR20230028554A KR102567553B1 KR 102567553 B1 KR102567553 B1 KR 102567553B1 KR 1020230028554 A KR1020230028554 A KR 1020230028554A KR 20230028554 A KR20230028554 A KR 20230028554A KR 102567553 B1 KR102567553 B1 KR 102567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ss
groove
hanger
tension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컴
Priority to KR102023002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5Threading or knot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실뭉치가 수납된 치실수납부에서 치실을 사용할 만큼 공급한 후 치실걸이부에 걸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치실걸이부에 걸린 치실이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텐션이 유지되게 구성되어 치실이 이탈되거나 느슨해지지 않으며, 치실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치실 홀더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치실 홀더{DENTAL FLOSS HOLDER}
본 발명은 치실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실뭉치가 수납된 치실수납부에서 치실을 사용할 만큼 공급한 후 치실걸이부에 걸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치실걸이부에 걸린 치실이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텐션이 유지되게 구성되어 치실이 이탈되거나 느슨해지지 않으며, 치실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치실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실은 치아 사이의 프라그나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치실을 사용할 때는 치실케이스로 부터 치실을 적당한 길이로 잘라내고 잘라낸 치실을 손가락에 감아 돌려서 사용하거나, 또는 잘라낸 치실을 치실홀더에 걸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는 치실을 손가락에 감아 돌려서 사용하는 관계로 실제 사용하는 치실보다는 손가락에 감는 치실이 많아져서 치실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후자의 경우는 치실을 면도기와 유사한 형태로 된 치실홀더에 걸어서 사용하는 관계로 치실손실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치실홀더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치실홀더는 치실대(10)와, 상기 치실대(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치실(1)이 거치되는 치실 걸이부(11)와, 상기 치실대(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2)와, 상기 치실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치실 권취부(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치실 권취부(13)는 회전노브(14)와, 상기 회전노브(14)의 하측에 구비되는 래칫휠(15)과, 상기 치실대(10)에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래칫휠(15)의 기어와 치합되는 폴(16)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치실홀더에 치실을 설치할 때는, 적정길이로 된 치실(1)의 일단을 상기 치실 권취부(12)에 위치시키고, 치실(1)의 다른 일단은 상기 치실 걸이부(11)에 거치시킨 후 상기 치실의 일단과 다른 일단을 합친 채로 상기 회전노브(13)와 래칫휠(14) 사이에 감아 돌린다. 그리고, 상기 회전노브(13)를 일방향으로 적당히 회전시키게 되면 약하게 거치되어 있던 치실이 팽팽한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로 사용을 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치실홀더는 치실수납부가 없어서 치실(1)을 별도로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치실뭉치로 부터 치실을 적당 길이로 미리 절단한 후 절단한 치실(1)을 치실홀더에 거치하기 때문에 치실의 길이를 잘못 절단한 경우에는 재차 절단해야 하기 때문에 자칫 치실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실홀더는 치실 걸이부에 형성된 홈에 치실이 단순 걸림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치실을 사용할 때, 치실이 치실 걸이부에서 쉽게 이탈되어 치실을 다시 치실 걸이부에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에 따른 치실의 사용 또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635363호 (2016년06월27일), 발명의 명칭: "치실홀더" 2. 한국 등록특허 제10-1059860호 (2011년08월22일), 발명의 명칭: "치실 고정 지지대" 3. 한국 등록특허 제10-2091688호 (2020년03월16일), 발명의 명칭: "치실 장치" 4.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4988호 (2006년08월22일), 발명의 명칭: "치실홀더"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치실뭉치가 수납된 치실수납부에서 치실을 사용할 만큼만 공급한 후 치실걸이부에 걸어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불필요한 치실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치실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그 목적은 치실걸이부에 걸린 치실이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텐션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치실이 이탈되거나 느슨해지지 않게 구성됨으로써 치실의 사용이 용이하고 편리하고, 치실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치실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손잡이 내부에 치실뭉치가 수납되어 치실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게 구성되는 치실수납실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 전방으로 외면에 커버결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치실수납실에서 공급되는 치실이 이동되는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되는 치실을 안내하여 고정시키게 구성되되, 하측으로 라운지게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 치실이 안내되는 개방형의 치실안내홈이 형성되며 전단에 치실이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공이 형성되는 전방걸이대 및 상기 전방걸이대의 시작점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상기 걸림공을 통해 후측으로 안내되는 치실이 걸림되는 일자형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후방걸이대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공 및 걸림홈 사이에 치실이 걸림 고정되게 구성되는 치실걸이부와, 상기 후방걸이대의 내부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 상기 이동통로에서 치실안내홈으로 이동되는 치실이 끼워지는 상부텐션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걸림홈에 걸림된 치실이 끼워지는 일자형의 하부텐션홈이 형성되는 텐션봉과, 상기 텐션봉의 상단에 형성되어 텐션봉을 회전시키는 핸들로 구성되어, 상기 핸들을 통해 상기 상부텐션공 및 하부텐션홈에 치실이 끼워진 텐션봉을 회전시키면 상부텐션공 및 하부텐션홈의 외측에 치실이 권취되면서, 상기 전방걸이대의 걸림공 및 후방걸이대의 걸림홈 사이에 걸림된 치실이 양측으로 당겨져 팽팽하게 신장시키게 구성되는 치실텐션수단과, 상기 몸체의 커버결합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사용된 치실을 절단시키는 치실절단수단과, 상기 몸체의 커버결합부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기 치실걸이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텐션봉은 하단이 상기 후방걸이대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텐션홈의 상단부 일측에는 양측으로 상기 전방걸이대의 걸림공 및 후방걸이대의 걸림홈 사이에 걸림된 치실을 당겨 팽팽하게 신장시키기 위해 텐션봉을 회전시켜 치실을 텐션봉의 외면에 권취시킬 때, 치실이 수용 걸림되어 텐션봉의 하측으로 치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치실이탈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에는 후단 일측에 후단끼움홈부가 형성되고 전단 일측에 전단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결합부에는 전단에 상기 후단끼움홈부가 끼움되어 고정되는 후단고정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단고정돌부의 전방에는 전단끼움홈부가 끼움되어 고정되는 전단고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치실절단수단은 상기 커버결합부의 하측으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개방된 설치홈부를 갖는 절단하우징과, 상기 절단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된 치실이 끼움되어 탄성에 의해 치실이 고정되는 고정클립과, 상기 절단하우징의 후측 외면에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치실을 절단할 때 상기 고정클립에 끼움된 치실의 단부를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가이드하는 치실절단안내홈과, 상기 고정클립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클립에 치실이 고정된 상태에서 치실의 단부를 치실절단안내홈으로 라운드지게 가이드하면 치실의 단부가 텐션을 가지면서 절단시키게 구성되는 절단칼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는 치실뭉치가 수납된 치실수납부에서 치실을 사용할 만큼만 공급한 후 치실걸이부에 걸어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불필요한 치실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는 치실걸이부에 걸린 치실이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텐션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치실이 이탈되거나 느슨해지지 않게 구성됨으로써 치실의 사용이 용이하고 편리하고, 커버를 통해 치실걸이부가 보호되기 때문에 치실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주요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에서 치실텐션수단의 바람직한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에서 후방걸이대와 텐션봉의 바람직한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는 치실뭉치가 수납된 치실수납부에서 치실을 사용할 만큼 공급한 후 치실걸이부에 걸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치실걸이부에 걸린 치실이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텐션이 유지되게 구성되어 치실이 이탈되거나 느슨해지지 않으며, 치실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몸체(100), 치실걸이부(200), 치실텐션수단(300), 치실절단수단(400) 및 커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0)는 치실 홀더를 파지할 수 있게 구성됨 동시에 치실뭉치가 수납되게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00)는 손잡이(110)와, 상기 손잡이(110)의 내부에 치실뭉치(S)가 수납되어 치실(Y)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게 구성되는 치실수납실(12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치실수납부(120)는 손잡이(110) 후면에 구비된 마개(121)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는 상기 손잡이(110) 전방으로 외면에 커버결합부(130)가 형성되고 내부에 치실수납실(130)에서 공급되는 치실(Y)이 이동되는 이동통로(14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치실걸이부(200)는 상기 치실수납부(120)에서 이동통로(140)를 통해 치실(Y)을 사용할 만큼 공급한 후 치실(Y)을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좀 구체적으로, 상기 치실걸이부(200)는 전방걸이대(210)와 후방걸이대(220)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걸이대(21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이동통로(140)를 따라 이동되는 치실(Y)을 안내하여 고정시키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걸이대(210)는 하측으로 라운지게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 치실(Y)이 안내되는 개방형의 치실안내홈(2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치실(Y)이 안내되는 치실안내홈(211)은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치실(Y)을 치실안내홈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걸이대(210)의 전단에는 치실(Y)이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공(212)이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치실걸이부에 형성된 홈에 치실이 단순 걸림된 구조가 아닌, 치실(Y)을 걸림공(212)에 끼워 거는 구조이기 때문에 치실(Y)이 전방걸이대(210)에서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치실걸이부(200)에 걸림되는 치실(Y)이 견고하게 걸림되어 종래와 같이 치실걸이부에서 치실이 이탈되는 현상없이 치실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후방걸이대(220)는 전방걸이대(210)의 시작점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상기 걸림공(212)을 통해 후측으로 안내되는 치실(Y)이 걸림되는 일자형의 걸림홈(2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치실걸이부(200)는 상기 치실수납부(120)에서 이동통로(140)를 통해 공급된 치실(Y)이 전방걸이대(210)의 치실안내홈(211)을 따라 가이드된 다음, 전방걸이대(210)의 걸림공(212)과 후방걸이대(220)의 걸림홈(221) 사이에 치실(Y)이 걸림되어, 전방걸이대(210)와 후방걸이대(220) 사이에 고정된 치실(Y)을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치실텐션수단(300)은 상기 전방걸이대(210)의 걸림공(212)과 후방걸이대(220)의 걸림홈(221) 사이에 걸림 고정된 치실(Y)을 팽팽하게 텐션을 주어 치실(Y)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좀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실텐션수단(300)은 텐션봉(310) 및 핸들(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텐션봉(310)은 상기 후방걸이대(220)의 내부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 상기 이동통로(140)에서 치실안내홈(211)으로 이동되는 치실(Y)이 끼워지는 상부텐션공(311)이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걸림홈(221)에 걸림된 치실(Y)이 끼워지는 일자형의 하부텐션홈(312)이 형성된다.
상기 핸들(320)은 상기 텐션봉(310)의 상단에 형성되어 텐션봉(310)을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텐션봉(310)의 상단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어 텐션봉(310)을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치실텐션수단(300)은 상기 핸들(320)을 통해 상기 상부텐션공(311) 및 하부텐션홈(312)에 치실(Y)이 끼워진 텐션봉(310)을 회전시키면 상부텐션공(311) 및 하부텐션홈(312)의 외측에 치실(Y)이 권취되면서, 상기 전방걸이대(210)의 걸림공(212) 및 후방걸이대(220)의 걸림홈(221) 사이에 걸림된 치실(Y)이 양측으로 당겨져 팽팽하게 신장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텐션봉(31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걸이대(210)의 걸림공(212) 및 후방걸이대(220)의 걸림홈(221) 사이에 치실(Y)이 걸림된 상태에서 핸들(320)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되는 데, 이때 텐션봉(310)의 외면에 치실이 권취되면서 상기 전방걸이대(210)의 걸림공(212) 및 후방걸이대(220)의 걸림홈(221) 사이에서 치실(Y)이 팽팽하게 당겨져 신장된다. 즉, 상기 핸들(320)의 회전운동은 대략 180도 내지 270도, 즉 2/4 내지 3/4회전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걸이대(210)와 후방걸이대(220) 사이에 걸림된 치실(Y)의 양측이 텐션봉(310)에 권취되면서 당겨져 전방걸이대(210)의 걸림공(212) 및 후방걸이대(220)의 걸림홈(221) 사이에서 치실(Y)이 팽팽하게 신장된다.
더불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봉(310)은 하단이 상기 후방걸이대(22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텐션봉(310)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텐션홈(312)이 후방걸이대(220)의 걸림홈(221)보다 더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후방걸이대(220)의 걸림홈(221)에 걸림된 치실을 텐션봉(310)의 하부텐션홈(312)에 걸어 회전시킬 때, 걸림홈(221) 및 하부텐션홈(312)에서 치실(Y)의 이탈없이 치실이 텐션봉에 권취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하부텐션홈(312)의 상단부 일측에는 양측으로 상기 전방걸이대(210)의 걸림공(212) 및 후방걸이대(220)의 걸림홈(221) 사이에 걸림된 치실(Y)을 당겨 팽팽하게 신장시키기 위해 텐션봉(310)을 회전시켜 치실(Y)을 텐션봉(310)의 외면에 권취시킬 때, 치실(Y)이 수용 걸림되어 텐션봉(310)의 하측으로 치실(Y)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치실이탈방지홈(3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후방걸이대(220)에 텐션봉(310)이 삽입되면 치실이탈방지홈(313)의 하측은 완전 폐쇄되기 때문에 치실이탈방지홈(313)에 권취되는 치실(Y)은 후방걸이대(220)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더욱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텐션봉(310)에 치실(Y)을 권취시켜, 전방걸이대(210)의 걸림공(212) 및 후방걸이대(220)의 걸림홈(221) 사이에서 치실(Y)이 팽팽하게 신장이 유지되도록 하는 잠구구조가 더 마련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핸들(320)에는 후단 일측에 후단끼움홈부(321)가 형성되고 전단 일측에 전단끼움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결합부(130)에는 전단에 상기 후단끼움홈부(321)가 끼움되어 고정되는 후단고정돌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후단고정돌부(321)의 전방에는 상기 전단끼움홈부(322)가 끼움되어 고정되는 전단고정돌부(133)가 형성된다. 즉, 상기 텐션봉(310)에 치실(Y)을 권취시키기 위해 핸들(320)을 회전시킨 다음, 핸들(320)의 후단끼움홈부(321) 및 전단끼움홈부(322)를 커버결합부(130)의 후단고정돌부(132) 및 전단고정돌부(133)에 끼워 고정시키면, 핸들(320)이 커버결합부(130)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어 치실(Y)의 텐션이 풀리지 않게 잠금된다.
다음으로, 상기 치실절단수단(400)은 상기 몸체(100)의 커버결합부(130)의 전방에 형성되어 사용한 치실(Y)을 절단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즉, 치실절단수단(400)은 상기 전방걸이대(210)의 걸림공(212) 및 후방걸이대(220)의 걸림홈(221) 사이에 걸림된 치실(Y)을 사용한 후, 치실절단수단(400) 측으로 사용된 치실(Y)을 당겨 절단할 수 있게 구성되는 부분이다
좀 구체적으로, 상기 치실절단수단(400)은 상기 커버결합부(130)의 하측으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개방된 설치홈부(411)를 갖는 절단하우징(410)과, 상기 절단하우징(410)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된 치실(Y)이 끼움되어 탄성에 의해 치실이 고정되는 고정클립(420)과, 상기 절단하우징(410)의 후측 외면에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치실(Y)을 절단할 때 상기 고정클립(420)에 끼움된 치실의 단부를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가이드하는 치실절단안내홈(430)과, 상기 고정클립(42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클립(420)에 치실(Y)이 고정된 상태에서 치실의 단부를 치실절단안내홈(430)으로 라운드지게 가이드하면 치실(Y)의 단부가 텐션을 가지면서 절단시키게 구성되는 절단칼날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커버(500)는 상기 몸체(100)의 커버결합부(130)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기 치실걸이부(200)를 덮어 보호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결합부(130)의 외면에는 결합돌기(131)가 형성되고, 커버(500) 후단부의 내면에는 미도시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500)가 커버결합부(130)에 결합될 때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어 커버결합부에 커거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커버를 통해 상기 치실걸이부를 덮어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치실걸이부에 설치된 치실이 외부의 오염원으로 부터 차단되어 치실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의 작동 및 사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 따른 치실 홀더를 사용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을 18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치실수납실(130)에서 치실(Y)을 이동통로(140)를 통해 배출한 다음, 치실(Y)을 텐션봉(310)의 상부텐션공(311)에 삽입하고 전방걸이대(210)의 안내홈(211)을 따라 이동시킨 후, 전방걸이대(210)의 걸림공(212)에 삽입하고 치실(Y)을 후방으로 당겨 후방걸이대(220)의 걸림홈(221)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때,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치실걸이부에 형성된 홈에 치실이 단순 걸림된 구조가 아닌, 치실(Y)을 걸림공(212)에 끼워 거는 구조이기 때문에 치실(Y)이 전방걸이대(210)에서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치실걸이부(200)에 걸림되는 치실(Y)이 견고하게 걸림되어 종래와 같이 치실걸이부에서 치실이 이탈되는 현상없이 치실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320)을 180도 회전시키면, 핸들(320)의 후단끼움홈부(321) 및 전단끼움홈부(322)가 커버결합부(130)의 후단고정돌부(132) 및 전단고정돌부(133)에 끼워 고정되면서, 핸들(320)이 커버결합부(130)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어 치실(Y)의 텐션이 풀리지 않게 잠금된다. 이때, 전방걸이대(210)와 후방걸이대(220) 사이에 걸림된 치실(Y)의 양측이 텐션봉(310)에 권취되면서 당겨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걸이대(210)의 걸림공(212) 및 후방걸이대(220)의 걸림홈(221) 사이에서 치실(Y)이 팽팽하게 신장된다. 이와 같이 치실걸이부(200)에 팽팽하게 신장된 치실(Y)을 손잡이(110)를 파지한 후 사용한다.
그리고, 치실(Y)을 사용한 후 재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6의 상태로 핸들(320)의 잠금을 해제한 후, 상기 전방걸이대(210)의 걸림공(212) 및 후방걸이대(220)의 걸림홈(221) 사이에 걸림된 치실(Y)을 치실절단수단(400) 측으로 당겨 절단한 다음, 치실수납실(130)에서 치실(Y)을 공급하고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치실걸이부(200)에 치실(Y)을 고정시킨 다음 치실(Y)을 팽팽하게 신장시켜 텐션을 가지게 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는 치실뭉치가 수납된 치실수납부에서 치실을 사용할 만큼만 공급한 후 치실걸이부에 걸어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불필요한 치실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는 치실걸이부에 걸린 치실이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텐션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치실이 이탈되거나 느슨해지지 않게 구성됨으로써 치실의 사용이 용이하고 편리하고, 커버를 통해 치실걸이부가 보호되기 때문에 치실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0: 몸체 200: 치실걸이부
300: 치실텐션수단 400: 치실절단수단
500: 커버

Claims (3)

  1. 손잡이 내부에 치실뭉치가 수납되어 치실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게 구성되는 치실수납실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 전방으로 외면에 커버결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치실수납실에서 공급되는 치실이 이동되는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되는 치실을 안내하여 고정시키게 구성되되, 하측으로 라운지게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 치실이 안내되는 개방형의 치실안내홈이 형성되며 전단에 치실이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공이 형성되는 전방걸이대 및 상기 전방걸이대의 시작점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상기 걸림공을 통해 후측으로 안내되는 치실이 걸림되는 일자형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후방걸이대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공 및 걸림홈 사이에 치실이 걸림 고정되게 구성되는 치실걸이부와,
    상기 후방걸이대의 내부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 상기 이동통로에서 치실안내홈으로 이동되는 치실이 끼워지는 상부텐션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걸림홈에 걸림된 치실이 끼워지는 일자형의 하부텐션홈이 형성되는 텐션봉과, 상기 텐션봉의 상단에 형성되어 텐션봉을 회전시키는 핸들로 구성되어, 상기 핸들을 통해 상기 상부텐션공 및 하부텐션홈에 치실이 끼워진 텐션봉을 회전시키면 상부텐션공 및 하부텐션홈의 외측에 치실이 권취되면서, 상기 전방걸이대의 걸림공 및 후방걸이대의 걸림홈 사이에 걸림된 치실이 양측으로 당겨져 팽팽하게 신장시키게 구성되는 치실텐션수단과,
    상기 몸체의 커버결합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사용된 치실을 절단시키는 치실절단수단과,
    상기 몸체의 커버결합부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기 치실걸이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봉은 하단이 상기 후방걸이대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텐션홈의 상단부 일측에는 양측으로 상기 전방걸이대의 걸림공 및 후방걸이대의 걸림홈 사이에 걸림된 치실을 당겨 팽팽하게 신장시키기 위해 텐션봉을 회전시켜 치실을 텐션봉의 외면에 권취시킬 때, 치실이 수용 걸림되어 텐션봉의 하측으로 치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치실이탈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는 후단 일측에 후단끼움홈부가 형성되고 전단 일측에 전단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결합부에는 전단에 상기 후단끼움홈부가 끼움되어 고정되는 후단고정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단고정돌부의 전방에는 전단끼움홈부가 끼움되어 고정되는 전단고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치실절단수단은 상기 커버결합부의 하측으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개방된 설치홈부를 갖는 절단하우징과, 상기 절단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된 치실이 끼움되어 탄성에 의해 치실이 고정되는 고정클립과, 상기 절단하우징의 후측 외면에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치실을 절단할 때 상기 고정클립에 끼움된 치실의 단부를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가이드하는 치실절단안내홈과, 상기 고정클립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클립에 치실이 고정된 상태에서 치실의 단부를 치실절단안내홈으로 라운드지게 가이드하면 치실의 단부가 텐션을 가지면서 절단시키게 구성되는 절단칼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KR1020230028554A 2023-03-03 2023-03-03 치실 홀더 KR102567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554A KR102567553B1 (ko) 2023-03-03 2023-03-03 치실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554A KR102567553B1 (ko) 2023-03-03 2023-03-03 치실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553B1 true KR102567553B1 (ko) 2023-08-16

Family

ID=8784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554A KR102567553B1 (ko) 2023-03-03 2023-03-03 치실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55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28310A1 (en) * 2000-10-03 2002-04-11 Von Sanden, Eunice, Linette A flossing apparatus
KR200424988Y1 (ko) 2006-06-09 2006-08-28 오경호 치실홀더
US20060254610A1 (en) * 2005-05-10 2006-11-16 Cheng-Chuan Chen Dental floss applicator
KR20110057926A (ko) * 2009-11-25 2011-06-01 김혜경 접이식 치실홀더
KR101059860B1 (ko) 2009-08-21 2011-08-29 조일구 치실 고정 지지대
KR20130068916A (ko)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치아랑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KR101635363B1 (ko) 2015-10-22 2016-07-05 오봉균 치실홀더
US20190110874A1 (en) * 2016-10-12 2019-04-18 Sang Han Kim Dental floss holder capable of controlling tension
KR102091688B1 (ko) 2014-11-14 2020-03-20 아이디 인피니티 리미티드 치실 장치
KR20200052539A (ko) * 2018-11-07 2020-05-15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치실 홀더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28310A1 (en) * 2000-10-03 2002-04-11 Von Sanden, Eunice, Linette A flossing apparatus
US20060254610A1 (en) * 2005-05-10 2006-11-16 Cheng-Chuan Chen Dental floss applicator
KR200424988Y1 (ko) 2006-06-09 2006-08-28 오경호 치실홀더
KR101059860B1 (ko) 2009-08-21 2011-08-29 조일구 치실 고정 지지대
KR20110057926A (ko) * 2009-11-25 2011-06-01 김혜경 접이식 치실홀더
KR20130068916A (ko)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치아랑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KR102091688B1 (ko) 2014-11-14 2020-03-20 아이디 인피니티 리미티드 치실 장치
KR101635363B1 (ko) 2015-10-22 2016-07-05 오봉균 치실홀더
US20190110874A1 (en) * 2016-10-12 2019-04-18 Sang Han Kim Dental floss holder capable of controlling tension
KR20200052539A (ko) * 2018-11-07 2020-05-15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치실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3726B2 (ja) 釣針保管用ケース構造及びその固定方法
KR200319887Y1 (ko) 헤어 랩핑 장치용 스풀
KR101059860B1 (ko) 치실 고정 지지대
KR102567553B1 (ko) 치실 홀더
WO1988009646A1 (en) Device for cleaning of the teeth
US6123087A (en) Dental floss holder
KR101066090B1 (ko) 튜브타입 실리콘 용기 및 그 실리콘 건
KR20200010019A (ko) 훅 키퍼 및 낚시용 릴
KR100756832B1 (ko) 치간 청소구
KR20180000764U (ko) 찌홀더가 구비된 삽입형 낚시줄감개
WO2011013325A1 (ja) 植物栽培用紐巻き器
KR200374910Y1 (ko) 낚시 꿰미
KR101050148B1 (ko)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JP3443098B2 (ja) 道糸リール付き釣竿
JP3098828U (ja) 重力を利用した仕掛け巻き具
CN218682518U (zh) 一种自动回收伞束带的伞
KR20110057926A (ko) 접이식 치실홀더
JP2005053367A (ja) 車体カバー収納装置
TWI705780B (zh) 窗簾收線器之收線管結構改良
KR200468466Y1 (ko) 낚시대용 줄감개
US1607061A (en) Dental floss holder
KR102025333B1 (ko)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JPH0440437Y2 (ko)
JP3012549U (ja) 傘収納用カバー
KR101008428B1 (ko) 낚시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