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926A - 접이식 치실홀더 - Google Patents

접이식 치실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926A
KR20110057926A KR1020090114553A KR20090114553A KR20110057926A KR 20110057926 A KR20110057926 A KR 20110057926A KR 1020090114553 A KR1020090114553 A KR 1020090114553A KR 20090114553 A KR20090114553 A KR 20090114553A KR 20110057926 A KR20110057926 A KR 20110057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floss
hanger
denta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경
장지일
김동연
Original Assignee
김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경 filed Critical 김혜경
Priority to KR102009011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7926A/ko
Publication of KR20110057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시에는 펼치고, 비 사용시에는 접을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치실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접이식 치실홀더의 주요 특징은,
치실뭉치(113)가 수납되는 치실수납부(110); 상기 치실수납부(110)에 접철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 채, 상기 치실수납부(110)로 부터 인출되는 치실(1)을 거치하기 위한 치실거치부(131)를 갖는 치실걸이부(130);로 구성된 것이다.
치실, 치실홀더, 접이식

Description

접이식 치실홀더{Floss holder}
본 발명은 접이식 치실홀더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사용시에는 펼치고, 비 사용시에는 접을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치실홀더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듯이, 치실은 치아 사이의 프라그나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치실을 사용할 때는 치실케이스로 부터 치실을 적당한 길이로 잘라내고 잘라낸 치실을 손가락에 감아 돌려서 사용하거나, 또는 잘라낸 치실을 치실홀더에 걸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는 치실을 손가락에 감아 돌려서 사용하는 관계로 실제 사용하는 치실보다는 손가락에 감는 치실이 많아져서 치실손실이 크다는 폐단이 있는 반면, 후자의 경우는 치실을 면도기와 유사한 형태로 된 치실홀더에 걸어서 사용하는 관계로 치실손실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2는 종래 치실홀더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치실홀더는 치실대(10)와, 상기 치실대(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치실(1)이 거치되는 치실 걸이부(11)와, 상기 치실대(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2)와, 상기 치실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치실 권취부(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치실 권취부(13)는 회전노브(14)와, 상기 회전노브(14)의 하측에 구비되는 래칫휠(15)과, 상기 치실대(10)에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래칫휠(15)의 기어와 치합되는 폴(16)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치실홀더에 치실을 설치할 때는, 적정길이로 된 치실(1)의 일단을 상기 치실 권취부(12)에 위치시키고, 치실(1)의 다른 일단은 상기 치실 걸이부(11)에 거치시킨 후 상기 치실의 일단과 다른 일단을 합친 채로 상기 회전노브(13)와 래칫휠(14) 사이에 감아 돌린다.
이로 부터, 상기 회전노브(13)를 일방향으로 적당히 회전시키게 되면 약하게 거치되어 있던 치실이 팽팽한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로 사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치실홀더는 1회용 면도기 처럼 길이가 길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고, 치실 걸이부(11)에 치실(1)을 걸어놓은 채 오랫동안 그대로 방치할 경우 먼지나 이물질이 묻을 수 있어서 재차 사용이 불가하다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또한, 종래의 치실홀더는 치실수납부가 없어서 치실(1)을 별도로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치실홀더는 치실뭉치로 부터 치실을 적당 길이로 미리 절단한 후 절단한 치실(1)을 치실홀더에 거치하기 때문에 치실의 길이를 잘못 절단한 경우에는 재차 절단해야 하기 때문에 자칫 치실을 낭비하게 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접철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휴대나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치실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실수납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별도로 치실을 소지할 필요가 없는 접이식 치실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실을 절단하지 않고도 거치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치실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치실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중인 치실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오염방지 부를 두어서 치실을 위생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치실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관점에 따르면,
치실뭉치가 수납되는 치실수납부; 상기 치실수납부에 접철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 채, 상기 치실수납부로 부터 인출되는 치실을 거치하기 위한 치실거치부를 갖는 치실걸이부;로 구성된 접이식 치실홀더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 관점에 따르면,
상기 치실걸이부의 후방측 양쪽에는 힌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치실수납부의 선측에는 상기 치실걸이부의 힌지축을 포함한 후방측이 길이방향으로 인입되는 인입슬롯이 구비되며, 상기 인입슬롯의 전방으로는 상기 힌지축이 인입슬롯으로 부터 이탈되게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구비된 접이식 치실홀더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수적 관점에 따르면,
상기 치실수납부의 치실걸이부를 향하는 면에, 치실뭉치로 부터 풀려져 나온 치실가닥이 인출되는 치실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치실수납부와 치실걸이부의 접면중 어느 하나의 접면에는 암형 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치실수납부와 치실걸이부의 접면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암형 톱니부와 형합되는 숫형 톱니부가 형성되어, 상기 치실인출공을 통해 인출된 치실가닥을 암형 톱니부와 숫형 톱니부의 형합에 의해 두 톱니부 사이에서 고정되게 한 접이식 치실홀더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수적 관점에 따르면,
상기 치실수납부는 치실뭉치가 내장되는 일측 개방형의 치실수납 하우징과, 상기 치실수납 하우징의 개방부를 덮는 덮개로 이루어진 접이식 치실홀더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수적 관점에 따르면,
상기 치실걸이부는 그 선단에 치실걸이홈을 갖는 Y자형의 치실거치부가 마련된 접이식 치실홀더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수적 관점에 따르면,
상기 치실걸이부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치실거치부에 거치된 치실의 종단을 감아서 고정하기 위한 권취륜을 포함하는 접이식 치실홀더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수적 관점에 따르면,
상기 치실수납부의 후방측 저부에는 상기 치실걸이부를 접었을 때 치실걸이부의 선단이 인입되어 치실걸이부에 거치되어 있는 치실을 오염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오염방지부가 구비된 접이식 치실홀더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수적 관점에 따르면,
상기 오염방지부의 치실걸이부의 선단과 접촉되는 부위에는 상기 치실걸이부의 선단을 락킹하기 위한 락킹돌부가 구비된 접이식 치실홀더이다.
본 발명의 치실홀더는 접철할 수 있어서 휴대나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치실홀더는 치실수납부를 가지고 있어서 별도로 치실을 소지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치실홀더는 치실을 절단하지 않고도 치실을 거치할 수 있어 서 치실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실홀더는 거치된 치실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오염방지부를 두어서 치실을 위생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의 결합사시도로서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4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의 결합사시도로서 치실수납부의 인입슬롯으로 부터 치실걸이부를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7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에 있어서, 치실걸이부의 힌지축을 가이드 홈으로 이동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에 있어서 치실걸이부를 접철한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저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의 전체적 도면에서 보듯이, 치실홀더(100)는 치실수납부(110)와 치실걸이부(120)로 크게 구성되며, 상기 치실수납부(110)와 치실걸이부(120)는 서로 접철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치실수납부(110)는 치실뭉치(113)가 내장되는 일측 개방형의 치실수 납 하우징(111)과, 상기 치실수납 하우징(111)의 개방부를 덮는 덮개(1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치실뭉치(113)는 치실보빈(114)에 치실(1)이 권취된 구성을 이루고 있고, 상기 치실보빈(114)은 상기 치실수납 하우징(111)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보빈축(115)에 그 중앙홀(115)이 끼움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치실수납부(110)의 후방측 저부에는 상기 치실걸이부(130)를 접었을 때 치실걸이부(130)의 선단이 인입되어 치실걸이부(130)에 거치되어 있는 치실(1)을 오염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오염방지부(1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염방지부(116)의 치실걸이부(130)의 선단과 접촉되는 부위에는 상기 치실걸이부(130)의 선단을 락킹(locking)하기 위한 락킹돌부(117)가 구비되어 치실걸이부(130)를 접었을 때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치실걸이부(130)는 상기 치실수납부(110)에 접철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 채, 상기 치실수납부(110)로 부터 인출되는 치실이 거치되는 치실거치부(131)를 갖는다.
상기 치실거치부(131)는 전체적으로 Y자 형태로 되고, 그 상단은 일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치실거치부(131)에는 치실(1)을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치실걸이홈(13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치실걸이부(130)의 후방측(치실수납부를 향하는 쪽) 양쪽에는 힌지축(132)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치실수납부(110)의 선측(치실걸이부를 향하는 쪽)에는 상기 치실걸이부(130)의 힌지축(132)을 포함한 후방측이 길이방향으로 인입되는 인입슬롯(118)이 구비되며, 상기 인입슬롯(118)의 전방으로는 상기 힌지축(132)을 하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홈(119)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치실수납부(110)의 치실걸이부(130)를 향하는 면에는 치실뭉치(113)로 부터 풀려져 나온 치실가닥이 인출되는 치실인출공(1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치실수납부(110)에는 후술될 권취륜(134)의 숫형 톱니부(135)와 형합되는 암형 톱니부(1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숫형 톱니부(135)와 형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치실걸이부(130)의 표면에는 상기 치실거치부(131)에 거치된 치실(1)의 종단을 감아서 고정하기 위한 권취륜(13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권취륜(134)은 치실걸이부(13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끼움 결합되며, 그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암형 톱니부(121)에 인입되는 숫형 톱니부(13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치실인출공(120)을 통해 인출된 치실가닥은 암형 톱니부(121)와 숫형 톱니부(133)의 형합(맞물림)에 의해 두 톱니부(121,133) 사이에서 고정되며, 상기 숫형 톱니부(133)는 상기 권취륜(134)을 회전조작에 의해 회전되면서 암 형 톱니부(121)와의 형합정도를 보다 견고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숫형 톱니부(133)는 도 6에서와 같이 치실걸이부(130)의 치실인출공(120) 근방에 형성된 스토퍼(136)에 의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치실홀더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치실홀더(100)를 사용할 때는, 치실수납부(110)에 수납된 치실뭉치(113)로 부터 한가닥의 치실(1)을 치실인출공(120)을 통해 소정 길이만큼 뽑아낸다.
다음, 상기 치실걸이부(130)의 후방을 치실수납부(110)의 인입슬롯(118)으로 밀어넣으면, 치실수납부(110)와 치실걸이부(130)는 일직선 상태가 된다. 아울러, 상기 암형 톱니부(121)와 숫형 톱니부(133)가 서로 형합되면서 상기 치실인출공(120)을 통해 인출된 치실(1)이 이들 톱니부(121,133) 사이에 끼여서 고정된다.
다음, 상기 치실인출공(120)으로 부터 인출된 치실(1)을 상기 권취륜(134)에 수 회 감아 돌린 후, 상기 치실거치부(131) 주변을 따라 둘러감고, 그 단부를 권취륜(134)에 다시 감아서 마감한다. 그러면, 치실(1)이 치실거치부(131)에 팽팽하게 거치된 상태이므로 치간 소제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치실홀더의 사용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치실걸이부(130)를 인입슬롯(118)으로 부터 잡아빼어, 상기 치실걸이부(130)의 양쪽에 마련된 힌지축(132)이 상기 치실수납부(110)에 마련된 가이드 홈(119)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게 되면, 치실걸이부(130)가 인입슬롯(118)으로 부터 벗어난 상태가 되므로 치실걸이부(130)가 힌지축(132)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로 부터, 상기 치실걸이부(130)를 180°회전시켜서 상기 치실수납부(110)의 저면에 밀착되게 하고, 상기 치실걸이부(130)의 선단이 상기 치실수납부(110)의 저면에 구비된 오염방지부(116)로 인입되게 하면, 오염방지부(116)의 벽면에 형성된 락킹돌부(117)에 치실걸이부(130)의 선단이 걸림됨으로써 치실수납부(110)와 치실걸이부(13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치실홀더(10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치실걸이부(130)에 거치된 치실(1)이 오염방지부(116) 내에 위치함으로써 치실(1)이 외부 오염원으로 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치실을 재차 사용함에 있어서 위생감을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치실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의 결합사시도로서,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4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의 결합사시도로서, 치실수납부의 인입슬롯으로 부터 치실걸이부를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7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에 있어서, 치실걸이부의 힌지축을 가이드 홈으로 이동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홀더에 있어서, 치실걸이부를 접철한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저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치실
100 : 치실홀더
110 : 치실수납부
111 : 치실수납 하우징 112 : 덮개
113 : 치실뭉치 116 : 오염방지부
117 : 락킹돌부 118 : 인입슬롯
119 : 가이드 홈 120 : 치실인출공
121 : 암형 톱니부
130 : 치실걸이부
131 : 치실거치부 132 : 힌지축
133 : 숫형 톱니부 134 : 권취륜

Claims (8)

  1. 치실뭉치(113)가 수납되는 치실수납부(110);
    상기 치실수납부(110)에 접철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 채, 상기 치실수납부(110)로 부터 인출되는 치실(1)을 거치하기 위한 치실거치부(131)를 갖는 치실걸이부(130);로 구성된 접이식 치실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걸이부(130)의 후방측 양쪽에는 힌지축(132)이 구비되고,
    상기 치실수납부(110)의 선측에는 상기 치실걸이부(130)의 힌지축(132)을 포함한 후방측이 길이방향으로 인입되는 인입슬롯(118)이 구비되며, 상기 인입슬롯(118)의 전방으로는 상기 힌지축(132)이 인입슬롯(118)으로 부터 이탈되게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홈(119)이 구비된 접이식 치실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수납부(110)의 치실걸이부(130)를 향하는 면에, 치실뭉치(113)로 부터 풀려져 나온 치실가닥이 인출되는 치실인출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치실수납부(110)와 치실걸이부(130)의 접면중 어느 하나의 접면에는 암형 톱니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치실수납부(110)와 치실걸이부(130)의 접면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암형 톱니부(121)와 형합되는 숫형 톱니부(133)가 형성되어, 상기 치실인출공(120) 을 통해 인출된 치실가닥을 암형 톱니부(121)와 숫형 톱니부(133)의 형합에 의해 두 톱니부 사이에서 고정되게 한 접이식 치실홀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수납부(110)는 치실뭉치(113)가 내장되는 일측 개방형의 치실수납 하우징(111)과, 상기 치실수납 하우징(111)의 개방부를 덮는 덮개(112)로 이루어진 접이식 치실홀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걸이부(130)는 그 선단에 치실걸이홈(131a)을 갖는 Y자형의 치실거치부(131)가 마련된 접이식 치실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걸이부(130)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치실거치부(131)에 거치된 치실(1)의 종단을 감아서 고정하기 위한 권취륜(134)을 포함하는 접이식 치실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수납부(110)의 후방측 저부에는 상기 치실걸이부(130)를 접었을 때 치실걸이부(130)의 선단이 인입되어 치실걸이부(130)에 거치되어 있는 치실(1)을 오염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오염방지부(116)가 구비된 접이식 치실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부(116)의 치실걸이부(130)의 선단과 접촉되는 부위에는 상기 치실걸이부(130)의 선단을 락킹하기 위한 락킹돌부(117)가 구비된 접이식 치실홀더.
KR1020090114553A 2009-11-25 2009-11-25 접이식 치실홀더 KR20110057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553A KR20110057926A (ko) 2009-11-25 2009-11-25 접이식 치실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553A KR20110057926A (ko) 2009-11-25 2009-11-25 접이식 치실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926A true KR20110057926A (ko) 2011-06-01

Family

ID=4439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553A KR20110057926A (ko) 2009-11-25 2009-11-25 접이식 치실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79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062B1 (ko) 2016-04-26 2016-06-27 김칠은 위생용 치실홀더
KR102567553B1 (ko) * 2023-03-03 2023-08-16 주식회사 오토컴 치실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062B1 (ko) 2016-04-26 2016-06-27 김칠은 위생용 치실홀더
KR102567553B1 (ko) * 2023-03-03 2023-08-16 주식회사 오토컴 치실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34745A (en) Dental tape holder for power driven tooth cleaning devices
US20090301514A1 (en) Dental floss dispenser
US8272389B2 (en) Compact mirror floss container
US9016287B2 (en) Dental flossing device
US10806551B2 (en) Dental tape and floss holder with installation cassette
KR200182299Y1 (ko) 플로스 케이스를 포함하는 플로스 홀더
US20160199163A1 (en) System for dispensing and discarding material
KR20110057926A (ko) 접이식 치실홀더
US11612465B2 (en) Dental flossing pick
US4966176A (en) Dental flosser
US4637412A (en) Device for storing dental floss and for forming three separately-usable strips of floss for use with tensioning means
KR101462916B1 (ko) 치실 홀더
US20140290691A1 (en) Dental Tape and Floss Holder With Installation Cassette
JP2006204556A (ja) デンタルフロスケース
KR100756832B1 (ko) 치간 청소구
KR101535796B1 (ko) 휴대용 치실장치
CN209019009U (zh) 一种可多次使用的便携式牙线用具
US20100006120A1 (en) Dental floss holder
US20030230320A1 (en) Kind of dental flossing tool
CN201108510Y (zh) 牙线洁牙器
KR102075235B1 (ko) 치실 홀더
KR101135119B1 (ko) 트윈 치실홀더
KR200460075Y1 (ko) 다기능 휴대용 치솔
KR102415080B1 (ko) 치실이 내장된 칫솔 거치대
US20180279764A1 (en) Combination toothbrush and dental floss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