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118B1 - 오일필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오일필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118B1
KR101706118B1 KR1020150113914A KR20150113914A KR101706118B1 KR 101706118 B1 KR101706118 B1 KR 101706118B1 KR 1020150113914 A KR1020150113914 A KR 1020150113914A KR 20150113914 A KR20150113914 A KR 20150113914A KR 101706118 B1 KR101706118 B1 KR 101706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ter
oil
fixing part
posit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점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알필트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알필트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알필트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113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118B1/ko
Priority to US14/844,699 priority patent/US2017004328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21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01D2201/291End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29Oilsumps with oil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필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는 차량의 엔진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오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오염된 오일을 여과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일필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오염된 오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 상기 필터부의 하부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조립을 가이드하는 위치조절부 및 상기 위치조절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드레인공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일필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오일필터 어셈블리{A OIL-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오일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된 엔진오일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한 필터부재와, 이 필터부재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과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오일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내연기관은 각 회전부 및 마찰부 등 접동부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윤활유인 엔진오일을 반드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엔진오일은 엔진 저부의 오일팬에 저장되어 있다가 오일펌프의 펌핑에 의해 오일필터를 거쳐 여과된 후, 엔진의 각 부에 복잡하게 형성된 윤활회로를 따라 엔진의 각 접동부에 공급되어 윤활 작용을 한다. 그런 후, 엔진의 마모분 등 오염물질을 포함한 상태로 다시 오일팬으로 회수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엔진의 각 접동부에서 발생한 쇳가루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카본뿐만 아니라 오일의 열화 및 노화로 발생한 산화물, 흡입 공기와 함께 실린더로 들어와 오일에 흡착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여과해서 엔진오일을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장치가 바로 오일필터이다.
도 1은 상술한 오일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모습이다.
이를 참고하면, 차량의 오일펌프부(미도시)로터 펌핑된 오염된 엔진오일을 유입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10)은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으로 이루어되,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 내에 수용되는 필터부재(20)는 오염된 엔진오일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한 여과지(21)와, 상기 여과지(21)의 상하면에 고정설치되는 상부고정부재(23) 및 하부고정부재(24)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오일필터 어셈블리(1)는 하우징(10) 내로 엔진오일이 유입되면 유입된 엔진오일은 필터부재(20)의 여과지(21)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엔진으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하는 필터부재(20)는 장시간 사용할 경우 필터부재(20)에 흡착된 찌꺼기로 인하여 여과효율이 감소되어 새로운 필터부재로 교환하여 사용하는데, 이때에는 상호 나사결합된 상부하우징(11)을 하부하우징(12)에서 분리한 후 필터부재(20)를 하부하우징(12)에서 꺼냄으로써,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사용한 엔진오일은 하부하우징(12)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공(13)을 밀폐하고 있던 필터부재((20)의 밀폐부재(25)가 분리되면서 드레인공(13)이 개방되어 하우징 내의 엔진오일이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오일필터 어셈블리(1)의 경우 필터부재(20)의 교체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즉,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하우징(12)의 일측에 편심되게 엔진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공(13)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드레인공(13)에 필터부재(20)의 형성된 밀폐부재(25)를 정확히 위치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드레인공(13)의 측면 일측에 스토퍼(14)를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14)에 밀폐부재(25)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드레인공(13)과 밀폐부재(25)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하여 하우징(10)과 필터부재(20)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하우징(10)에 필터부재(20)를 조립하여 드레인공(13)을 밀폐부재(25)가 밀폐하도록 함으로써, 엔진오일이 드레인공(13)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럴 경우 상부하우징(11)에 필터부재(2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다시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을 나사결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띄도록 한다.
이때,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하부하우징(12)에 형성된 스토퍼(14)와, 필터부재(20)에 형성된 밀폐부재(25)는 상호 이격된 상태이며, 상부하우징(11)을 하부하우징(12)에 나사결합함에 따라 필터부재(20)가 점차 하강하면서 스토퍼에 밀폐부재(25)가 걸리게 된다 이후, 상부하우징(11)은 하부하우징(12)에 대해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필터부재(20)는 밀폐부재(25)가 스토퍼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을 하지 않고 하강만을 하게 되어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필터부재(20)를 하부하우징(12)에 조립시 원활한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재(20)를 하부하우징(12)에 결합하기 위해 하부하우징(12)에 형성된 돌출연결부(15)에 필터부재(20)를 안착시킬 경우 필터부재(20)에 형성된 밀폐부재(25)가 스토퍼(14)와 접촉되면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즉, 필터부재(20)를 돌출연결부(15)에 안착시켰을 경우 돌출연결부(15)의 상측에 필터부재(20)가 위치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필터부재(20) 내측으로 돌출연결부(15)가 삽입되면서 필터부재(25)가 결과적으로 하부하우징(12)의 바닥면으로 향하면서 밀폐부재(25)가 스토퍼(14)와 접촉되어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 필터부재(20)와 하우징(10) 간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오일필터 어셈블리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는 차량의 엔진 하우징에 필터부재를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부재의 교체작업에 따른 소요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오일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오일필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는 차량의 엔진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오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오염된 오일을 여과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일필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오염된 오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 상기 필터부의 하부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조립을 가이드하는 위치조절부 및 상기 위치조절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드레인공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일필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오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하부하우징과 필터부재가 조립되는 부분, 즉 필터부재의 하부 고정부에 하우징과의 조립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위치조절부를 설치함으로써, 하우징과 필터부재의 조립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오일필터의 교체에 따른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상술한 오일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모습이다.
도 2는 종래의 하우징 및 필터부재의 밀폐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의 필터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의 위치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는 도 5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의 위치조절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9는 도 8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100)는 엔진오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과 오염된 엔진오일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한 필터부재가 쉽고 간편하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100)는 차량의 엔진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오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는 오염된 오일을 여과하는 필터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은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오일펌프부(미도시)로부터 펌핑된 오염된 엔진오일을 유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하우징(112)과 하부하우징(114)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114)은 유입된 엔진오일을 엔진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출구에는 후술하는 필터부재(120)와 접촉되어 상기 필터부재(1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씰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돌출연결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연결부(116)가 형성된 상기 하부하우징(114)의 일측에는 하우징(110) 내에 수용되는 엔진오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드레인공(1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공(118)은 엔진오일을 장시간 사용함으로써, 오염된 엔진오일을 배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드레인공(118)의 일측에는 스토퍼(119)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119)는 후술하는 밀폐부재(170)의 위치구속돌기(172)와 접촉되어 필터부재(12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필터부재(120)의 밀폐부재(170)와 상기 하우징(110)의 드레인공(118)이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 내에 조립되어 오염된 엔진오일을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한 필터부재(1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염된 오일을 여과하는 필터부(130)와, 상기 필터부(130)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110)과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상부 고정부(140) 및 하부 고정부(150)와, 상기 필터부(130)의 하부 고정부(150)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재(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조립을 가이드하는 위치조절부(160) 및 상기 위치조절부(16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 내에 마련되는 드레인공(118)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밀폐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부(130)는 엔진오일에 포함된 찌꺼기를 걸러주어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통상 종이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부(130)를 종이재질로 설명하였으나, 찌꺼기를 걸러줄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재질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필터부(130)의 상하부에는 상기 필터부(130)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상부 고정부(140)와 하부 고정부(150)가 위치되는 것으로,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고정부(140)부는 상부하우징(112)의 내측에 형성되는 끼움돌기(113)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 끼움공(142)이 형성되며, 하부 고정부(150)에는 필터부재(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조립을 가이드하는 위치조절부(16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하부 고정부(150)는 상기 필터부(13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플레이트(152)와, 상기 필터부(130)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152)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4)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부(160)는 일면이 상기 하부하우징(114)의 돌출연결부(116)와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고정부(150)의 가이드레일(154) 내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지지체(162)와, 상기 하부 고정부(150)와 상기 지지체(16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체(162)를 탄성지지하도록 한 탄성부재(164)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 (162)는 상기 하부하우징(114)의 돌출연결부(116)와 일면이 접촉되는 접촉부재(162a) 및 상기 접촉부재(162a)의 타측 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말단에 상기 하부 고정부(150)와 접촉하여 슬라이드를 제한하도록 하는 스토퍼(162b)가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재(16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위치조절부(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하부하우징(114)의 돌출연결부(116)에 지지체(162)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부하우징(112)을 하부하우징(114)과 나사결합함에 따라 필터부재(120)가 점차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164)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있던 지지체(162)가 탄성부재(164)의 탄성력을 무시하고 점차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조절부(160)의 구성을 지지체(162)와 탄성부재(164)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부(15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100)의 위치조절부(260)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이를 참고하면, 상술한 일 실시예의 필터부재(120)와 마찬가지로 필터부(13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하부 고정부(250)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고정부(250)에서 필터부(130)가 위치된 방향으로 지지부(252)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100)의 위치조절부(160)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조절부(260)의 일단이 상기 지지부(252)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하우징(114)의 돌출연결부(116)와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26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터부(130)를 상기 하부하우징(114)의 돌출연결부(116) 방향으로 가압시 힘에 의해 상기 위치조절부(260)의 일단이 돌출연결부(116)의 유로로 삽입될 수 있게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필터부재(120)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위치조절부(260)가 상기 돌출연결부(116)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30)에 하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 위치조절부(260)의 일단이 돌출연결부(116)의 유로 내로 삽입되면서 필터부(130)가 하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돌출연결부(116)와 접촉되는 위치조절부(260)의 일단을 도 8의 확대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유로로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위치연결부(160,260)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돌출연결부(116)에 대해 필터부재(120)를 일시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하우징(110)에 대해 필터부재(120)의 조립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위치조절부(160)와 인접한 위치의 하부 고정부(150) 상에는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드레인공(118)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한 밀폐부재(17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170)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단부가 외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단부의 일측에는 상기 드레인공(118)과 동심원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필터부재(12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한 위치구속돌기(17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하우징(114)의 드레인공(118)에 형성된 스토퍼(119)에 상기 위치구속돌기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드레인공(118)과 상기 밀폐부재(170)가 동심원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밀폐부재(170) 상에는 상기 드레인공(118)과의 결합시 완전한 밀폐상태가 이루어지도록 씰링(174)이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1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부하우징(112)과 하부하우징(114)을 분리한다.
이후, 상부하우징(112)의 끼움돌기(113)에 필터부재(120)의 상부 고정부(140)를 끼움결합한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112)과 필터부재(120)는 끼움결합된 상태이므로 필터부재(120) 또는 상부하우징(112)에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할 경우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 상태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12)과 하부하우징(114)을 나사결합한다. 이때, 상부하우징(112)에 필터부재(120)가 나사결합된 상태로서 필터부재(120)의 위치조절부(160)는 하부하우징(114)의 돌출연결부(116)에 의해 탄성지지 되는 상태이다.
이후, 상부하우징(112)을 회전시키게 되면 필터부재(120)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위치조절부(160)에 마련된 탄성부재(164)가 압축되면서 필터부재(120)가 하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후 지속적으로 필터부재(120)가 하강하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부(150)에 형성된 밀폐부재(170)가 드레인공(118)에 형성된 스토퍼(119)에 걸려 결과적으로 상부하우징(112)이 회전하여도 필터부재(120)는 회전을 하지 않게 되며 하강만 하게 되면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공(118)을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하우징(114)에 형성된 돌출연결부(116)와 밀폐부재(170)에 설치된 위치조절부(160)는 상호 접촉을 통해 상기 필터부재(120)가 안정적으로 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동시에 상기 밀폐부재(170)가 상기 드레인공(118)에 원활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재(120)를 상기 상부하우징(112)에 끼움결합하지 않고 직접 하부하우징(114)에 위치시킨 후 결합할 수도 있다.
즉, 위치조절부(160)에 의해 돌출연결부(116)에 필터부재(120)가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119)와 필터부재(120)에 형성된 밀폐부재(170)가 접촉되지 않기 때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일필터 어셈블리(100)의 경우 본원발명의 위치조절부(160)에 대응하는 구성 즉, 스토퍼(119)와 밀폐부재(170)를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 없기 때문에 필터부재(120)를 하부하우징(114)에 직접 결합이 어려운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어셈블리(100)는 쉽고 간편하게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그로 인해 필터부재(120)의 교체작업에 따른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오일필터 어셈블리 110 : 하우징
112 : 상부하우징 113 : 끼움돌기
114 : 하부하우징 116 : 돌출연결부
118 : 드레인공 119 : 스토퍼
120 : 필터부재 130 : 필터부
140 : 상부 고정부 142 : 끼움공
150 : 하부 고정부 152 : 플레이트
154 : 가이드레일 160 : 위치조절부
162 : 지지체 162a : 접촉부재
162b : 스토퍼 162c : 지지부재
164 : 탄성부재 170 : 밀폐부재
172 : 위치구속돌기

Claims (7)

  1. 차량의 엔진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오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오염된 오일을 여과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일필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오염된 오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
    상기 필터부의 하부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조립을 가이드하는 위치조절부; 및
    상기 위치조절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드레인공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하부 고정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된 오일을 엔진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출구에 형성되는 돌출연결부와 일부가 접촉되는 지지체; 및
    상기 하부 고정부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어셈블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하우징의 돌출연결부와 일면이 접촉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의 타측 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말단에 상기 하부 고정부와 접촉하여 슬라이드를 제한하도록 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위치조절부의 일단은 상기 하부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돌출연결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단부는 외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외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단부의 일측에, 상기 드레인공과 동심원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필터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위치구속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어셈블리.

KR1020150113914A 2015-08-12 2015-08-12 오일필터 어셈블리 KR101706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14A KR101706118B1 (ko) 2015-08-12 2015-08-12 오일필터 어셈블리
US14/844,699 US20170043285A1 (en) 2015-08-12 2015-09-03 Oil-filte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914A KR101706118B1 (ko) 2015-08-12 2015-08-12 오일필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118B1 true KR101706118B1 (ko) 2017-02-13

Family

ID=5799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914A KR101706118B1 (ko) 2015-08-12 2015-08-12 오일필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043285A1 (ko)
KR (1) KR1017061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273B1 (ko) * 2021-07-09 2022-01-04 정성봉 오일 필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3107A1 (ja) * 2015-03-12 2016-09-15 東京濾器株式会社 オイルミストフィルタ及びオイルセパレータ
US10112133B2 (en) * 2015-07-20 2018-10-30 Caterpillar Inc. Filter housing with end cap seal
DE102016219408A1 (de) * 2016-10-06 2018-04-12 Mahle International Gmbh Flüssigkeitsfilter
CN106958473B (zh) * 2017-04-25 2019-04-23 安徽宏辉滤清器有限公司 一种汽车用防堵塞机油滤清器
CN111663980B (zh) * 2020-06-09 2020-12-29 深圳市创裕达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滤芯
FR3129848B1 (fr) * 2021-12-08 2023-10-27 Sogefi Filtration Spa Cartouche filtrante à bouchon décentré et Filtre pour liquide de moteur à combustion incluant la cartouch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2165A (ja) * 1999-10-23 2003-04-02 マーレ フィルタージステーメ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液体フィルタ
JP2005299550A (ja) * 2004-04-14 2005-10-27 Hitachi Ltd オイルフィルタ装置
JP2007154765A (ja) * 2005-12-05 2007-06-21 Toyota Boshoku Corp 流体フィルタ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0502438A (ja) * 2006-09-05 2010-01-28 ポール・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ィルタエレメントおよび組立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2165A (ja) * 1999-10-23 2003-04-02 マーレ フィルタージステーメ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液体フィルタ
JP2005299550A (ja) * 2004-04-14 2005-10-27 Hitachi Ltd オイルフィルタ装置
JP2007154765A (ja) * 2005-12-05 2007-06-21 Toyota Boshoku Corp 流体フィルタ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0502438A (ja) * 2006-09-05 2010-01-28 ポール・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ィルタエレメントおよび組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273B1 (ko) * 2021-07-09 2022-01-04 정성봉 오일 필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43285A1 (en)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118B1 (ko) 오일필터 어셈블리
US11958003B2 (en)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JP5902754B2 (ja) 濾過装置
US10316804B2 (en) Filter element with at least one guide crosspiece, filter with a filter element and filter housing of a filter
JP5390687B2 (ja) フィルタ要素と協働するドレンを有するキャニスタフィルタシステム
JP5984817B2 (ja) 濾過要素と協働する排水部を備えるキャニスタの濾過システム
JP4865867B2 (ja) 交換可能なフィルタインサート部材
US7507339B2 (en) Self-draining oil filter adaptor
JP2006513834A (ja) オイルフィルタ装置
JP2010538193A (ja) フィルタ装置
JP2012530872A (ja) フィルタ装置
KR101190220B1 (ko) 오일필터모듈
JP2008267322A (ja) 流体フィルタのドレン構造
CN109126299B (zh) 扁平过滤器元件,具体地用于气体过滤
US20210129051A1 (en) Filter with inner container arrangement
JP4149982B2 (ja) 内燃機関用磁性濾過装置
KR20150102847A (ko) 차량용 공기 청정기
KR102075015B1 (ko) 에어 브리더
CN110582337B (zh) 用于提供预充油体积更换的油壳体、过滤器元件和阀调组件
CA3156557A1 (en)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US20190009196A1 (en) Low Profile Radial Indexing Water Bowl with Integrated WIF/Connector
KR200213352Y1 (ko) 가스여과기의 고정장치
KR20220086561A (ko) 유체, 더욱 특히 액체 유체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장치, 및 처리 장치를 위한 처리 유닛과 연결 헤드
KR20170117683A (ko) 필터용 개폐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