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434B1 -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434B1
KR101705434B1 KR1020150026437A KR20150026437A KR101705434B1 KR 101705434 B1 KR101705434 B1 KR 101705434B1 KR 1020150026437 A KR1020150026437 A KR 1020150026437A KR 20150026437 A KR20150026437 A KR 20150026437A KR 101705434 B1 KR101705434 B1 KR 101705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lever
guide
guide slots
brake
hin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143A (ko
Inventor
양현철
이종민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6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43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6Means for locking the actu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랜지가 양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제 3 및 제 4 가이드 플랜지가 양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랜지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슬롯; 상기 제 3 및 제 4 가이드 플랜지에 형성되는 제 3 및 제 4 가이드 슬롯;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슬롯에 가이드 되는 제 1 힌지부재와 제 3 및 제 4 가이드 슬롯에 가이드 되는 제 2 힌지부재를 포함하여, 전방 방향과 후방 방향 모두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부재;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의 전방 방향 움직임 시,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를 전방 방향 회전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레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의 움직임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Handle brake lever apparatus for bicycle having parking brake function}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언덕길 등에서 자전거의의히트정차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파킹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하는 핸들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별도의 동력원 없이 사용자의 답력을 이용하여 주행할 수 있는 간편한 이동수단이다. 자전거는 통상적으로 평지에서 이용하지만, 자전거를 세울 때에는 평지뿐만 아니라, 언덕과 같은 비탈진 곳에 정차 및 보관할 수도 있다. 그런데, 경사면에 자전거를 세울 때에는 바퀴의 구름 동작을 제한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차 상태를 유지하기 번거롭다.
또한, 주말과 같은 경우에는 자전거를 지참한 상태로 지하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경우 세워둔 자전거가 움직이는 지하철의 진동에 의해 흔들려 움직일 수 있어, 사용자는 자전거의 브레이크를 작동한 상태로 자전거를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 또한 있다.
또한,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건널목 앞에서 보행 신호를 기다리는 시간에는 자전거가 의도하지 않게 움직이지 않도록, 사용자가 브레이크 레버를 꼭 쥔 상태로 신호 대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신호 대기 시간이 길 경우, 브레이크를 잡은 손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 사용자 편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20114호(2012.12.27. 등록)
본 실시예는 기존의 자전거 브레이크 레버의 구조를 개선하여, 주차 브레이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장시간 브레이크를 파지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랜지가 양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제 3 및 제 4 가이드 플랜지가 양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랜지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슬롯; 상기 제 3 및 제 4 가이드 플랜지에 형성되는 제 3 및 제 4 가이드 슬롯;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1 및 제 3 가이드 슬롯에 가이드 되는 제 1 힌지부재와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에 가이드 되는 제 2 힌지부재를 포함하여, 전방 방향과 후방 방향 모두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부재;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의 전방 방향 움직임 시,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를 전방 방향 회전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레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의 움직임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3 가이드 슬롯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제 1 힌지부재; 상기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제 2 힌지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 1 힌지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힌지부재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가 전방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제 1 힌지부재가 회전 중심이 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가 후방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제 2 힌지부재가 회전 중심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3 가이드 슬롯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가이드 슬롯은 호(arc) 형상으로 마련되는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는 단부에 걸림턱이 마련되어, 상기 제 2 힌지부재가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을 따라 회전할 경우,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가 초기 위치로 원복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을 따라 움직이는 상기 제 2 힌지부재의 이동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힌지부재가 제 1 및 제 3 가이드 슬롯을 따라 움직일 때에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를 원복 시키고, 상기 제 2 힌지부재가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을 따라 움직일 때에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가 일 측 측벽에 더 포함되며, 상기 측벽에 브레이크 케이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은 상기 측벽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의 상기 제 1 힌지 측과 근접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대칭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한 쌍이 각각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브레이크 패드가 자전거 바퀴가 돌아가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온 상태를 사용자의 파지력 없이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언덕과 같은 경사면에 자전거를 주차하기 편리하다.
또한, 신호 대기 등과 같이 잠시 주차할 때, 브레이크 레버를 계속 파지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한 록킹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브레이크 레버를 잡아 쥐는 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탄성부재에 의해 일반적인 브레이킹 동작 시에는 브레이크가 풀리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며, 파킹 브레이크로 사용할 경우에는 앞으로 밀어주는 동작 중에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브레이킹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의 사시도,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측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의 사시도,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자전거 몸체(B)에 마련된 핸들 조립체(H)의 회전 동작에 의해 조향이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 조립체(H)에는 브레이크 유닛이 설치되어, 바퀴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브레이크 유닛은 일반적으로 와이어로 연결되는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의 림 또는 바퀴와 연동 회전하는 허브 축에 설치되는 디스크 부재를 브레이크 패드가 가압하여, 브레이크 패드와 림 또는 디스크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바퀴의 회전을 구속한다. 이때, 브레이크 패드의 움직임은 핸들 조립체(H)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유닛을 구성하는 레버를 사용자가 잡아 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와이어 부재가 움직이면서, 브레이크 패드를 움직인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는 이와 같은 일반적인 레버 조립체의 구성을 개선하여, 통상적인 브레이킹 동작은 물론,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의 회전을 구속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작동할 수 있도록 마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는 제 1 프레임(1), 제 2 프레임(2), 제 1 내지 제 4 가이드 플랜지(10, 20, 30, 40), 제 1 내지 제 4 가이드 슬롯(11, 21, 31, 41), 레버부재(50), 고정레버(60) 및 탄성부재(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1)은 제 2 프레임(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되, 일 측 측벽(3)은 플레이트 부재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1 및 제 2 프레임(1)(2)은 동일 부품으로 밴딩 등의 가공을 통해 한 몸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프레임(1)은 일 측 단부에는 제 1 가이드 플랜지(10)가 마련되고, 그 타측에는 제 2 가이드 플랜지(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랜지(10)(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원호(arc)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랜지(10)(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후술할 브레이크 레버부재(50)가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가이드 플랜지(10)와 제 2 가이드 플랜지(20)에는 각각 그 중심 부근에 제 1 및 제 2 가이드 슬롯(11)(21)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가이드 슬롯(11)(21)은 후술할 제 1 및 제 2 힌지부재(51)(52)의 지름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힌지부재(51)(52)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슬롯(11)(21)에 각각 일단이 삽입 고정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 1 및 제 2 가이드 슬롯(11)(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2)은 일 측 단부에는 제 3 가이드 플랜지(30)가 마련되고, 그 타측에는 제 4 가이드 플랜지(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 3 및 제 4 가이드 플랜지(30)(4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원호(arc)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3 및 제 4 가이드 플랜지(30)(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후술할 브레이크 레버부재(50)가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가이드 플랜지(30)와 제 4 가이드 플랜지(40)에는 각각 그 중심 부근에 제 3 및 제 4 가이드 슬롯(31)(41)이 마련될 수 있다. 제 3 및 제 4 가이드 슬롯(31)(41)은 후술할 제 1 및 제 2 힌지부재(51)(52)의 지름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힌지부재(51)(52)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슬롯(11)(21)에 삽입 고정되는 단부의 타측 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 3 및 제 4 가이드 슬롯(31)(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부재(51)(52)의 양 단부는 각각 제 1 및 제 2 가이드 슬롯(11)(21)과 제 3 및 제 4 가이드 슬롯(31)(41)에 가이드 되어 회전할 수 있다. 그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설명한다.
브레이크 레버부재(50)는 상기 1 및 제 2 프레임(1)(2)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힌지부재(51)(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브레이크 레버부재(50)는 제 1 힌지부재(51)와 제 2 힌지부(52), 연결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50)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53) 한 쌍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53)의 양 단부측에 제 1 및 제 2 힌지부재(51)(5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53)는 2개가 한 쌍이 되도록 마련되어, 각각이 제 1 및 제 2 프레임(1)(2)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 1 및 제 2 프레임(1)(2)의 내측에 브레이크 레버부재(50)가 위치 고정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힌지부재(51)(52)는 각각 제 1 내지 제 4 가이드 슬롯(11)(21)(31)(41)에 결합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50)의 회전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고정레버(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프레임(1)(2)의 제2 및 제 4 가이드 플랜지(20)(4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레버(60)는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21)(41)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제 2 힌지부재(52)가 이동할 경우, 그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동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끝단에 돌출된 손잡이부를 눌러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레버(60)는 별도의 탄성부재의 탄력 지지 없이 사용할 수도 있고,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힌지 결합부에 설치하여, 탄력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항상 원복되는 위치가 도 2와 같이 제 2 힌지부재(52)가 이동하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고정레버(60)에 의해 제 2 힌지부재(52)는 브레이크 레버부재(50)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동작 시에는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21)(4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전방 이동 과정 중에는 제 2 힌지부재(52)가 고정레버(6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레버(60)를 밀어주어, 사용자가 고정레버(60)를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반면, 고정레버(60)가 초기 위치로 원복될 경우, 그 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50)의 안쪽 공간부와 간섭되면서, 브레이크 레버부재(50)가 초기 위치로 원복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레버부재(50)는 전방으로 밀어 제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미도시된 브레이크 패드가 자전거의 바퀴를 계속 돌지 않도록 구속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속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브레이크 레버부재(50)를 전방으로 완전히 밀어준 상태에서 제 2 힌지부재(52)와 고정레버(6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레버(60)를 회전시켜, 고정레버(60)가 제 2 힌지부재(52)의 이동경로를 이탈하도록 하고, 그 사이 브레이크 레버부재(50)를 초기 위치로 원복시킬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고정레버(60)를 초기 위치로 돌려, 제 2 힌지부재(52)가 움직이지 않도록 이동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탄성부재(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측벽(3)에 지지되고, 그 타측은 상기 연결부재(53)의 제 1 힌지부재(51)와 근접한 위치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70)는 브레이크 레버부재(50)가 후방 측으로 당겨질 때, 늘어나면서, 상기 제 1 힌지부재(51)가 다시 처음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전달할 수 있다. 탄성부재(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할 경우, 토션 스프링, 판 스프링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3)에는 브레이크 케이블 통공(80)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 통공(80)을 통해 와이어 형태의 브레이크 케이블(미도시)이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레버부재(50)를 앞으로 밀거나 뒤로 당기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미도시된 브레이크 패드가 자전거 바퀴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50)는 중앙에 배치되며, 이때, 제 1 및 제 2 힌지부재(51)(52)는 각각 제 1 및 제 2 가이드 슬롯(11)(21)과 제 3 및 제 4 가이드 슬롯(31)(41)의 일 측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에서는 미도시된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의 림 또는 디스크와 이격 되어, 바퀴가 간섭됨 없이 회전할 수 있다.
도 4는 통상의 브레이크 작동 시의 도면으로, 브레이크 레버부재(50)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쥘 경우이다. 이 경우, 제 1 힌지부재(51)는 제 1 및 제 3 가이드 슬롯(11)(31)을 따라 회전하고, 제 2 힌지부재(52)는 초기 위치에서 회동 중심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힌지부재(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버(60)에 의해 움직임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5는 파킹 브레이크로 사용할 경우의 도면으로, 브레이크 레버부재(50)를 전방으로 밀어줄 경우이다. 이 경우, 브레이크 레버부재(50)의 회전 중심은 앞선 예와 반대로 제 1 힌지부재(51)가 되고, 제 2 힌지부재(52)가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21)(41)을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레버(6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켜 제 2 힌지부재(52)의 이동 경로를 오픈할 수 있고, 그대로 두더라도 상기 제 2 힌지부재(52)가 상기 고정레버(60)를 밀어주면서 오픈 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50)가 최대한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로 밀어줄 경우, 상기 고정레버(60)를 초기위치로 돌려주어, 상기 제 2 힌지부재(52)가 다시 초기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브레이크 레버부재(50)는 사용자가 쥐는 힘을 해제하더라도, 전방으로 밀려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브레이킹 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브레이크 패드가 자전거 바퀴가 돌아가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온 상태를 사용자의 파지력 없이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언덕과 같은 경사면에 자전거를 주차하기 편리하다.
또한, 신호 대기 등과 같이 잠시 주차할 때, 브레이크 레버부재(50)를 계속 파지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한 록킹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브레이크 레버부재(50)를 잡아 쥐는 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탄성부재(70)에 의해 일반적인 브레이킹 동작 시에는 브레이크가 풀리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며, 파킹 브레이크로 사용할 경우에는 앞으로 밀어주는 동작 중에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브레이킹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제 1 프레임 2; 제 2 프레임
10; 제 1 가이드 플랜지 11; 제 1 가이드 슬롯
20; 제 2 가이드 플랜지 21; 제 2 가이드 슬롯
30; 제 3 가이드 플랜지 31; 제 3 가이드 슬롯
40; 제 4 가이드 플랜지 41; 제 4 가이드 슬롯
50; 브레이크 레버부재 51; 제 1 힌지부재
52; 제 2 힌지부재 53; 연결부재
60; 고정레버 70; 탄성부재
80; 브레이크 케이블 통공

Claims (9)

  1.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랜지가 양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제 3 및 제 4 가이드 플랜지가 양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플랜지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슬롯;
    상기 제 3 및 제 4 가이드 플랜지에 형성되는 제 3 및 제 4 가이드 슬롯;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1 및 제 3 가이드 슬롯에 가이드 되는 제 1 힌지부재와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에 가이드 되는 제 2 힌지부재를 포함하여, 전방 방향과 후방 방향 모두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부재;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의 전방 방향 움직임 시,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를 전방 방향 회전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레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의 움직임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3 가이드 슬롯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제 1 힌지부재;
    상기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제 2 힌지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 1 힌지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힌지부재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가 전방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제 1 힌지부재가 회전 중심이 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가 후방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제 2 힌지부재가 회전 중심이 되는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가이드 슬롯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가이드 슬롯은 호(arc) 형상으로 마련되는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는,
    단부에 걸림턱이 마련되어, 상기 제 2 힌지부재가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을 따라 회전할 경우,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가 초기 위치로 원복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을 따라 움직이는 상기 제 2 힌지부재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힌지부재가 제 1 및 제 3 가이드 슬롯을 따라 움직일 때에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를 원복 시키고,
    상기 제 2 힌지부재가 제 2 및 제 4 가이드 슬롯을 따라 움직일 때에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지 않는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가 일 측 측벽에 더 포함되며,
    상기 측벽에 브레이크 케이블 통공이 형성되는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은 상기 측벽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브레이크 레버부재의 상기 제 1 힌지 측과 근접한 위치에 연결되는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대칭 배치되는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한 쌍이 각각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KR1020150026437A 2015-02-25 2015-02-25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KR101705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437A KR101705434B1 (ko) 2015-02-25 2015-02-25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437A KR101705434B1 (ko) 2015-02-25 2015-02-25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143A KR20160104143A (ko) 2016-09-05
KR101705434B1 true KR101705434B1 (ko) 2017-02-13

Family

ID=5693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437A KR101705434B1 (ko) 2015-02-25 2015-02-25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4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286B1 (ko) * 2017-11-30 2019-05-07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자동차의 주차 잠금 장치
KR101954540B1 (ko) * 2017-11-30 2019-03-0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자동차의 주차 잠금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068Y1 (ko) 2005-06-09 2005-09-07 김성훈 자전거의 브레이크용 고정장치
JP2008179333A (ja) 2007-01-24 2008-08-07 Tomoyuki Furukawa 駐車用ブレーキレバー保持具
US20080271962A1 (en) 2007-03-14 2008-11-06 Kelsen Kendall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aining a bicy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939A (ko) * 2008-02-20 2009-08-25 김영수 주차브레이크를 구비한 자전거
KR101220114B1 (ko) 2009-12-24 2013-01-18 장경은 자전거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068Y1 (ko) 2005-06-09 2005-09-07 김성훈 자전거의 브레이크용 고정장치
JP2008179333A (ja) 2007-01-24 2008-08-07 Tomoyuki Furukawa 駐車用ブレーキレバー保持具
US20080271962A1 (en) 2007-03-14 2008-11-06 Kelsen Kendall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aining a bi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143A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9918B2 (en) Stroller having a brake device
US8201667B2 (en) Braking system with single actuation for a stroller
KR101705434B1 (ko)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WO2014159876A1 (en) Non-motorized scooter
JP2009132372A (ja) 乳母車用ブレーキ装置
JP2018140706A (ja) 乳母車
JPH09277938A (ja) 手押し車の制動及び停止ロック機構
KR20010056665A (ko) 페달식 주차브레이크의 주차해제장치
GB2422881A (en) Stroller having brake device
JP3178390U (ja) 車輪のブレーキ機構
US20070151400A1 (en) Brake unit for a walking aid
JP6653558B2 (ja) 手押車
WO2004074069A1 (en) Cart brake mechanism
JPH0314463Y2 (ko)
US4384637A (en) Band brake assembly
KR101831481B1 (ko) 연계 조작 기구
AU2017100678A4 (en) Handbrake Structure
CN107521544B (zh) 车轮锁定机构
JPH0322355B2 (ko)
TWI584983B (zh) Trolley wheel automatic stop device
KR102548635B1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의 소음 저감장치
KR100654925B1 (ko) 방향전환 가능한 일방클러치 조작용 안전스위치장치
JP2525765Y2 (ja) ブレーキ構造
JP3217295U (ja) 回転移動キャスターを備えたスーツケース
JP2002029205A (ja) キャスタ付き台車の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