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752B1 -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 - Google Patents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752B1
KR101704752B1 KR1020160070154A KR20160070154A KR101704752B1 KR 101704752 B1 KR101704752 B1 KR 101704752B1 KR 1020160070154 A KR1020160070154 A KR 1020160070154A KR 20160070154 A KR20160070154 A KR 20160070154A KR 101704752 B1 KR101704752 B1 KR 101704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cushion
sofa
sea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익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Priority to KR1020160070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2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out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rs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에 있어서, 사람이 착석하는 시트, 상기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등받이를 포함하는 소파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 내에 마련되는 제1 안마부; 및 상기 제1 안마부의 상면에 안착되되, 각각 상기 소파의 외측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시트와 연결되는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는, 상기 등받이 내에 마련되는 제2 안마부; 및 상기 제2 안마부의 전면에 탈부착되는 제3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파의 시트와 등받이 내에 안마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안마용 소파를 탈부착 가능한 쿠션이 안마장치를 덮어 소파모드로 사용하거나, 쿠션을 떼거나 접어 안마장치에 사용자가 앉아 안마모드로 사용할 수 있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Cushion detachable massage sofa}
본 발명은 안마용 소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파의 시트와 등받이 내에 안마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안마용 소파를 탈부착 가능한 쿠션이 안마장치를 덮어 소파모드로 사용하거나, 쿠션을 떼거나 접어 안마장치에 사용자가 앉아 안마모드로 사용할 수 있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마용 소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앉아서 안마를 할 수 있는 안마기는 주 용도가 안마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장시간 앉아있는 소파의 용도로는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안마등받이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18218호에서와 같이 쿠션본체의 커버체결홈 내에 진 동자를 종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커버체결홈 내에 커버를 체결한 후에 쿠션보호커버로 포장하며, 진동자는 전기적으로 조작버튼과 연결하여 진동자의 진동에 의하여 안마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쿠션본체 내에 종방향으로 진동자를 내삽하여 조작버튼으로 진동자를 진동함으로서 안마를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진동자가 등받이의 중앙부에 횡으로 형성되어 있어 등 전체를 골고루 안마할 수 없으며 진동자가 쿠션재의 내부에 있어 진동이 인체에 가하여져 안마효과가 나타날지 의심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안마등받이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29037호에서와 같이 작동봉에 지지되어 전방을 향하여 진퇴하는 타격구를 갖는 복수개의 슬림형 솔레노이드가 등받이 내부에 장착되고, 등받이 외피에는 의자나 소파 에 결합하는 파스너 또는 결착띠로 되는 결합구를 형성하므로서 안마등받이를 결합구에 의하여 의자에 결합하고 사용자가 착석하고 외부전원을 연결하면 슬림형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타격구를 진퇴시켜, 안마작용을 하며 제 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타격구의 진퇴에 의하여 타격하는 것이므로 타격구의 타격이 인체에 직접 전달되어 두드리는 효과는 있으나 은은하게 몸 전체로 진동을 느끼거나, 편안하고 안정적인 진동을 발생하여 안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 두 특허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소파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안마기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소파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운 상태에서도 안마봉이 쿠션내부에 형성되어 있어 안마기가 직접적으로 느껴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쿠션을 안마기의 상측에 형성할 경우, 안마기의 진동이 제대로 느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은, 소파로 사용하기에도 문제점이 있을뿐만 아니라, 안마기로 사용하기에도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파의 시트와 등받이 내에 안마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안마용 소파를 탈부착 가능한 쿠션이 안마장치를 덮어 소파모드로 사용하거나, 쿠션을 떼거나 접어 안마장치에 사용자가 앉아 안마모드로 사용할 수 있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마부의 고정홈과 쿠션의 고정돌기가 결합되어 소파모드로 사용할 때 고정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이 안마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쿠션에 기대어도 안마장치가 돌출되지 않고 쿠션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쿠션의 내부에 프레임이 형성되되 안마부와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소파의 특성상 소파의 위에서 어린아이 등이 뛰어 놀더라도 안마부를 압박하지 않고, 안마부로의 직접적인 압박을 방지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마부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을 접히도록 하여 안마모드로 사용하면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의 하측에 마련된 안마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양팔을 안마할 수 있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람이 착석하는 시트, 상기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등받이를 포함하는 소파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 내에 마련되는 제1 안마부; 및 상기 제1 안마부의 상면에 안착되되, 각각 상기 소파의 외측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시트와 연결되는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는, 상기 등받이 내에 마련되는 제2 안마부; 및 상기 제2 안마부의 전면에 탈부착되는 제3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은, 하측에 제3 안마부가 마련되어, 각각의 중단을 기준으로 상기 소파의 외측 방향으로 접었을 때 상기 제3 안마부가 상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양팔을 안착시켜 안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안마부는, 좌우측에 상기 제3 쿠션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 쿠션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쿠션은, 상기 고정홈에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안마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3 안마부는,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팔이 안착되었을 때 양팔을 감싸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은, 상기 제1 안마부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이 서로 맞닿는 내측면이 제1 안마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소파의 시트와 등받이 내에 안마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안마용 소파를 탈부착 가능한 쿠션이 안마장치를 덮어 소파모드로 사용하거나, 쿠션을 떼거나 접어 안마장치에 사용자가 앉아 안마모드로 사용할 수 있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마부의 고정홈과 쿠션의 고정돌기가 결합되어 소파모드로 사용할 때 고정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이 안마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쿠션에 기대어도 안마장치가 돌출되지 않고 쿠션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쿠션의 내부에 프레임이 형성되되 안마부와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소파의 특성상 소파의 위에서 어린아이 등이 뛰어 놀더라도 안마부를 압박하지 않고, 안마부로의 직접적인 압박을 방지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마부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을 접히도록 하여 안마모드로 사용하면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의 하측에 마련된 안마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양팔을 안마할 수 있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의 소파모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의 안마모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의 투과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의 안마모드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의 안마모드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의 투과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앉아서 안마를 할 수 있는 안마기는 주 용도가 안마기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장시간 앉아있는 소파의 용도로는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10)는 쿠션을 탈부착함으로써 안마모드와 소파모드의 2가지 모드로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앞서서, 소파모드란 안마용 소파(10)를 소파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안마모드란 안마용 소파(10)를 안마기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10)의 소파모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10)의 안마모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10)의 투과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파는 시트(100) 및 등받이(300)를 포함한다.
시트(100)는 사람이 착석하고, 등받이(300)는 시트(100)의 후방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인 소파의 구조를 설명한 것으로 시트(100)에 사람이 앉고 등받이(300)에 등을 기대는 것을 의미한다.
시트(100)는 제1 안마부(117),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을 포함한다.
제1 안마부(117)는 시트(100) 내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안마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가 제1 안마부(117)에 착석하여 안마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1 안마부(117)의 제1 안마장치가 상측을 향하고 있고, 외피가 제1 안마장치를 덮어 사용자가 외피에 앉아 제1 안마장치의 작동에 의해 엉덩이, 허벅지 부위를 안마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은 제1 안마부(117)의 상면에 안착되되, 각각 안마용 소파(10)의 외측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시트(100)와 연결된다.
예컨대, 제1 쿠션(111)은 제1 안마부(117)의 좌측 상면을 덮으며, 접힘 가능하게 안마용 소파(10)와 연결되어 좌측으로 접어올려 포갤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쿠션(113)은 제1 안마부(117)의 우측 상면을 덮으며, 접힘 가능하게 안마용 소파(10)와 연결되어 우측으로 접어올려 포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이 시트(100)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경첩일 수도 있으며, 재봉을 통한 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이 시트(1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접힘 가능하다면 무엇이든 실시 가능하다.
또한, 도 1을 참고하면,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은 제1 안마부(117)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이 서로 맞닿는 내측면이 제1 안마부(117)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은 내부가 경질로 형성되거나 프레임(317)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쿠션(111)은 “┏” 형태로 경질로 형성되거나, “┏” 형태의 프레임을 내부에 포함하고, 제2 쿠션(113)은 “┓” 형태로 경질로 형성되거나, “┓” 형태의 프레임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제1 안마부(117)가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안마부(117)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에컨대, 소파의 특성상 어린아이 등이 소파의 쿠션 위에서 뛰게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만약,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이 제1 안마부(117)와 이격되어 있지 않으면 어린아이가 뛰면 직접적으로 제1 안마부(117)를 압박하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1 안마부(117)가 고장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하지만, 제1 안마부(117)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이 서로 맞닿는 내측면이 제1 안마부(117)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 내부가 경질로 형성되거나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의 형상과 대응되는 프레임을 내부에 포함함으로써, 어린아이가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 위에서 뛰더라도, 제1 안마부(117)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뿐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되는 제1 안마부(117)의 고장 위험을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의 하면에는 제3 안마부(115)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안마용 소파(10)를 안마모드로 사용할 때 사용자의 양팔을 안착할 수 있도록 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안마부(115)에 관한 것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2는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의 정면이 막혀있고, 제3 안마부(115)가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의 정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1과 도 2의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되, 정면이 막혀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안마용 소파(10)를 소파모드로 사용할 때 외부에서 제3 안마부(115)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을 각각 소파 외측 방향으로 접어올린 것이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다.
등받이(300)는 제2 안마부(321) 및 제3 쿠션(311)을 포함한다.
제2 안마부(321)는 등받이(300) 내에 마련된다.
제3 쿠션(311)은 제2 안마부(321)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안마용 소파(10)를 소파모드로 사용할 때 제3 쿠션(311)이 제2 안마부(321)의 전면에 부착되고, 안마모드로 사용할 때 제3 쿠션(311)을 안마용 소파(10)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마모드로 전환하여 제1 안마부(117)에 착석하고, 제2 안마부(321)에 등을 기대었을 때 안마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2 안마부(321)의 제2 안마장치가 전면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안마부(321)의 제2 안마장치가 전면을 향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안마모드로 전환하여 제1 안마부(117)에 착석하고, 제2 안마부(321)에 등을 기대었을 때 제2 안마장치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의 등, 목부위를 안마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안마장치 및 제2 안마장치는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외피로 덮여있다.
이때, 제1 안마장치 및 제2 안마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마장치를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시예와 같이 레일을 왕복하는 소정 수단일 수도 있고, 공기압을 이용한 수단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파 시트(100) 및 등받이(300) 내에 마련할 수 있는 안마장치라면 실시 가능하기 때문에 발명의 실시자가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3 쿠션(311)을 소파로부터 분리한 안마모드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는 안마용 소파(10)가 소파의 용도인 소파모드로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고, 도 3 내지 도 5는 안마용 소파(10)의 제3 쿠션(311)을 소파로부터 분리하고 제1 쿠션(111)과 제2 쿠션(113)을 각각 소파 외측 방향으로 접어올려 안마용 소파(10)을 안마모드로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 도 3은 도 1과 대응되는 형태로, 도 4는 도 2와 대응되는 형태로 각각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의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것과 막혀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전면이 막혀있기 때문에 안마용 소파(10)를 소파모드로 사용할 때, 정면에서 제3 안마부(115)가 보이지 않는 것을 기준으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안마모드로 전환하면, 제1 안마부(117)에 사용자가 착석하고, 제2 안마부(321)에 등을 기대어 안마기의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제1 쿠션(111)의 우측면, 제2 쿠션(113)의 좌측면에는 결합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소파모드로 사용할 때 서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시트(100)에 착석하였을 때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쿠션(111)의 우측면, 제2 쿠션(113)의 좌측면에는 벨크로테이프가 암, 수로 마련되어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의 후면과 제3 쿠션(311)의 하면에는 결합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소파모드로 사용할 때 서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시트(100)에 착석하고 등받이(300)에 기대었을 때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의 후면과 제3 쿠션(311)의 하면에는 벨크로테이프가 암, 수로 마련되어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의 하부에 제3 안마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3 안마부(115)는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의 정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안마용 소파(10)를 소파모드로 사용할 때, 외부에서 제3 안마부(115)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의 정면은 타 쿠션과 같은 재질로 막혀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의 정면이 막혀있고, 제3 안마부(115)가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의 정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면, 소파모드로 사용할 때, 외부에서 일반적인 소파와 달라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을 각각 소파의 외측 방향으로 접어올려 안마모드로 사용되면 제3 안마부(115)가 상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측으로 향하고 있는 제3 안마부(115)에 양팔을 안착시켜 제3 안마부의 제3 안마장치를 통해 양팔을 안마받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3 안마부(115)는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어 양팔이 안착되었을 때 양팔을 감싸도록 한다.
또한, 제3 안마부(115)에는 외피 내에 제3 안마장치가 마련되어 있어 양팔을 안착하면 제3 안마부(115) 내의 제3 안마장치가 작동하여 사용자의 양팔을 안마하는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안마용 소파(10)를 안마모드로 전환하면 엉덩이, 허벅지, 허리, 목, 등뿐만 아니라 양팔을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에 편안하게 안착시키는 것은 물론 양팔도 안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제1 쿠션(111), 제2 쿠션(113), 제3 쿠션(311), 제1 안마부(117), 제2 안마부(321) 및 제3 안마부(115)의 폭과 크기는 발명의 실시자가 소파를 설계함에 있어서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 상으로 상세하게 기재하지 않았지만, 제3 안마부(115)에 마련되는 제3 안마장치는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 내에 마련할 수 있는 장치라면 무엇이든 실시 가능하다.
또한, 제2 안마부(321)와 제3 쿠션(311)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2 안마부(321)에는 좌우측에 고정홈(313)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쿠션(311)은 후면에 고정돌기(31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3 쿠션(311)의 고정돌기(315)를 제2 안마부(321)의 고정홈(313)에 끼운 상태에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밀어넣어 결합하고, 분리는 이의 역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쿠션(311)은 고정홈(313)에 고정돌기(315)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안마부(32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프레임(317)이 형성된다.
즉, 프레임(317)이 제2 안마부(32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안마부(321)에 제3 쿠션(311)이 결합되더라도 제2 안마장치를 압박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제3 쿠션(311)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3 쿠션(311)에 기대더라도 제2 안마장치가 돌출되지 않고 쿠션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소파의 특성상 어린아이 등이 소파의 쿠션 위에서 뛰게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만약, 제3 쿠션(311)이 제2 안마부(321)와 이격되어 있지 않으면 어린아이가 뛰면 직접적으로 제2 안마부(321)를 압박하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2 안마부(321)가 고장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하지만, 프레임(317)이 제3 쿠션(311)의 내부에 형성되고, 제2 안마부(321)와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어린아이가 제3 쿠션(311)에 기대거나 부딪히더라도, 제2 안마부(321)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뿐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되는 제2 안마부(321)의 고장 위험을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쿠션(311)은 프레임(317)의 상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두 개의 손잡이(318)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송되는 경질의 손잡이(318)와, 손잡이(318) 삽입공의 외측에 형성되고 버튼이 클릭되면 손잡이(318)가 상하로 이송되고 클릭이 해제되면 손잡이(318)가 고정되는 손잡이 고정부재(319)를 포함한다.
위의 도 1 내지 도 5의 설명에 있어서 도 6 내지 도 11을 더 참고하도록 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통해 안마용 소파(10)를 다양한 각도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10)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10)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트(100)가 형성되어 있고 시트(100)의 후방에 등받이(3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트(100)의 상면에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이 안착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이 제1 안마부(117)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다.
이때, 제1 쿠션(111) 및 제2 쿠션(113)의 내부에는 제3 안마부(115)가 마련되어 있지만, 정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내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파모드로 사용될 때는 외부로 제3 안마부(115)가 노출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10)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10)의 안마모드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10)의 안마모드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10)의 투과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인 안마용 소파(10)의 다양한 각도를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마용 소파(10)가 안마모드로 사용될 때의 구성에 대해서 알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7과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제3 안마부(115)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는 안마용 소파(10)의 투과 측면도로, 내부에 제1 안마장치 및 제2 안마장치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소파에 착석하였을 때 각각 해당 신체부위를 안마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안마용 소파
100: 시트 111: 제1 쿠션
113: 제2 쿠션 115: 제3 안마부
117: 제1 안마부 300: 등받이
311: 제3 쿠션 313: 고정홈
315: 고정돌기 317: 프레임
318: 손잡이 319: 손잡이 고정부재
321: 제2 안마부

Claims (6)

  1. 사람이 착석하는 시트, 상기 시트의 후방에 설치된 등받이를 포함하는 소파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 내에 마련되는 제1 안마부; 및
    상기 제1 안마부의 상면에 안착되되, 각각 상기 소파의 외측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시트와 연결되는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는,
    상기 등받이 내에 마련되는 제2 안마부; 및
    상기 제2 안마부의 전면에 탈부착되는 제3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은,
    하측에 제3 안마부가 마련되어, 각각의 중단을 기준으로 상기 소파의 외측 방향으로 접었을 때 상기 제3 안마부가 상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양팔을 안착시켜 안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안마부는,
    좌우측에 상기 제3 쿠션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 쿠션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쿠션은,
    상기 고정홈에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안마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안마부는,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팔이 안착되었을 때 양팔을 감싸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은,
    상기 제1 안마부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이 서로 맞닿는 내측면이 제1 안마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
KR1020160070154A 2016-06-07 2016-06-07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 KR101704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154A KR101704752B1 (ko) 2016-06-07 2016-06-07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154A KR101704752B1 (ko) 2016-06-07 2016-06-07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752B1 true KR101704752B1 (ko) 2017-02-08

Family

ID=5815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154A KR101704752B1 (ko) 2016-06-07 2016-06-07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7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0442B2 (ja) * 1995-07-21 1999-08-25 コクヨ株式会社 椅 子
KR200211509Y1 (ko) * 2000-08-22 2001-01-15 김명하 소파
US7549966B2 (en) * 2002-09-09 2009-06-23 Family Co., Ltd. Massaging apparatus and forearm massager
US7713220B2 (en) * 2007-01-10 2010-05-11 Samuel Chen Multiple mode massage 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0442B2 (ja) * 1995-07-21 1999-08-25 コクヨ株式会社 椅 子
KR200211509Y1 (ko) * 2000-08-22 2001-01-15 김명하 소파
US7549966B2 (en) * 2002-09-09 2009-06-23 Family Co., Ltd. Massaging apparatus and forearm massager
US7713220B2 (en) * 2007-01-10 2010-05-11 Samuel Chen Multiple mode massage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312857A (ja) マッサージ機
JP4226283B2 (ja) マッサージ機
KR101767390B1 (ko) 멀티 마사지 장치
KR102472125B1 (ko) 팔과 허벅지를 동시에 안마할 수 있는 복합 안마부 및 이를 구비한 안마의자
KR20180000467A (ko) 유니버셜 찜질기를 포함하는 안마의자
KR101704752B1 (ko) 쿠션 탈부착이 가능한 안마용 소파
KR20170068237A (ko) 안마의자의 케겔 운동 모드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이 동작 가능한 안마의자
CN209950790U (zh) 一种带有可拆卸背垫的电竞椅
KR101753806B1 (ko) 내부에 안마기가 형성되고 쿠션이 탈부착되는 리클라이너 형태의 기능형 안마소파
JP2007307179A (ja) 肩等のマッサージ器具及びマッサージ機能を備えた腰掛け具
KR100787926B1 (ko) 휴대용 안마기
JP3210374U (ja) マッサージ機
JP6145328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19063190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4204339B2 (ja) マッサージ機
JP2009022789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4275843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4020793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4013042B2 (ja) マッサージ機
JP3103864U (ja) 指圧器具
JP2002369847A (ja) 脚用空気マッサージ機及び椅子型マッサージ装置
KR20110137144A (ko) 손과 팔의 전체부위를 동시에 지압시켜주는 마사지 에어백이 구비된 안마의자
JP2005152293A (ja) ソファー
KR200428946Y1 (ko) 쿠션 팬티
JP2002065791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