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994B1 - 차량의 트레이 - Google Patents

차량의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994B1
KR101703994B1 KR1020100109218A KR20100109218A KR101703994B1 KR 101703994 B1 KR101703994 B1 KR 101703994B1 KR 1020100109218 A KR1020100109218 A KR 1020100109218A KR 20100109218 A KR20100109218 A KR 20100109218A KR 101703994 B1 KR101703994 B1 KR 101703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variable
rack gear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7571A (ko
Inventor
이영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9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9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의 트레이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의 트레이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내부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와, 수납부에 힌지 연결되고, 개방구를 커버하는 도어와, 수납부 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부로부터 출몰되는 가변수납함 및 가변수납함의 출몰작동이 도어의 개폐작동과 연동되게 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트레이{TRA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도어의 개폐와 연동되어 수납함이 출몰됨으로 편의를 제공하는 차량의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를 위한 각종 편의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편의장치에는 흡연가를 위한 에쉬 트레이를 비롯하여 주행 중에 운전자나 다른 탑승자가 마시는 식수나 음료수가 들어 있는 컵 또는 음료수 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컵홀더와, 운전에 필요한 간단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운전석 시트와 조수석 시트 사이에 마련된 콘솔박스 및 조수석 시트 전방의 대시보드에 설치된 글러브 박스가 있다.
상기 콘솔박스나 글러브박스 등은 차량에서 각종 책이나 잡화, 기호식품, 음악씨디(CD) 등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서 차내부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장치는 점점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차량의 수납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트레이로서 도 1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차량의 트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차량의 트레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수납박스와 수납박스를 개폐하도록 수납박스의 전방중앙에 힌지 결합된 개폐수단과 개폐수단의 회전운동을 감쇠하도록 하는 감쇠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는 도어만 개폐됨에도 불구하고 기본부품의 복잡한 형상 설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 감쇠구조가 복잡하며, 추가 부품이 다수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내측에 기어부를 형성하여 단순한 구조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함으로,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도어의 개폐와 연동되어 트레이 내부가 전측으로 돌출됨으로 사용이 편리한 차량의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내부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와, 수납부에 힌지 연결되고, 개방구를 커버하는 도어와, 수납부 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부로부터 출몰되는 가변수납함 및 가변수납함의 출몰작동이 도어의 개폐작동과 연동되게 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어는 곡률지게 형성되는 전면패널 및 전면패널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되고, 수납부의 양측면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힌지바는 탄성부재에 의해 수납부로부터 탄동지지되고, 도어는 수납부 전면에서 로킹부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변수납함은 수납부로부터 출몰시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동부는 도어의 양측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랙기어와, 가변수납함의 양측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랙기어 및 수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는 종래 발명과 달리 도어의 개폐와 연동되어 수납부의 내부에서 수납함이 출몰됨으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그리고, 단순한 힌지 구조에 의해 자동 개폐작동이 가능하고, 부품수의 축소로 인해 원가절감의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를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100)는 크게, 수납부(110), 도어(120), 가변수납함(150) 및 연동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량의 전면 대쉬보드에는 수납부(110)가 형성된다.
수납부(110)는 개방구(112)가 형성되고, 내부로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어(120)는 수납부(110)의 개방구(112)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수납부(110)에 힌지 연결된다.
도어(120)는 곡률지게 형성되어 개방구(112)를 커버하는 전면패널(122)과, 전면패널(122)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되고, 수납부(110)의 양측면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바(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면패널(122)의 전면에는 파지부(12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바(124)는 수납부(110)의 내측면에 축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축에는 탄성부재(130)가 구비되어 수납부(110)로부터 탄동지지되고, 도어(120)는 수납부(110) 전면에서 로킹부(140)에 의해 개폐가 단속된다.
로킹부(140)는 수납부(110)의 개방구(112) 하단에 형성되는 로킹홈(142)과 전면패널(122)의 하단에 형성되어 로킹홈(142)에서 착탈되는 후크(144)로 이루어진다.
후크(144)는 로킹홈(142)에서 원터치방식에 의해 착탈된다.
상기 탄성부재(130)와 로킹부(140)는 도어(120)의 자동개폐를 위한 구성이며, 도어(120)의 수동개폐의 경우, 탄성부재(130) 및 로킹부(140)의 구성은 삭제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수납부(110)의 내부에는 가변수납함(150)이 구비된다.
가변수납함(150)은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납부(11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부(110)의 전측으로 출몰될 수 있다.
가변수납함(150)은 수납부(110)로부터 출몰시 슬라이드부재(160)에 의해 안내된다.
슬라이드부재(160)는 수납부(110)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62)과 슬라이드홈(162)에 결합되도록 가변수납함(150)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돌기(164)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홈(162)과 슬라이드돌기(164)의 각각의 위치는 상호 바뀌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도어(120)의 개폐작동과 가변수납함(150)의 출몰작동은 연동부(170)에 의해 연동된다.
연동부(170)는 도어(120)의 양측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랙기어(172)와, 가변수납함(150)의 양측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랙기어(174) 및 수납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제1랙기어(172)와 제2랙기어(174)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어(120)가 개폐작동에 의해 힌지바(124)의 일정 궤적을 따라 회동되면, 제1랙기어(172)가 피니언기어(176)에 치합되어 피니언기어(176)를 회전시키고, 피니언기어(176)의 회전에 의해 제2랙기어(174)가 이동됨에 따라 가변수납함(150)이 수납부(110)로부터 출몰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수납부(110) 내부에는 가변수납함(150)이 구비되는데, 수납부(110)와 가변수납함(150)은 가변수납함(150)의 슬라이드돌기(164)가 수납부(110) 양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6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가변수납함(150)에 형성된 제2랙기어(174)는 수납부(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피니언기어(176)와 치합된 상태이다.
그리고, 도어(120)의 힌지바(124)는 수납부(110)의 외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전면패널(122)은 수납부(110)의 개방구(112)를 커버한다.
이후, 도어(120)의 개폐작동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어(120)의 전면패널(122)에 형성된 파지부(123)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로킹부(140)가 해제됨과 동시에 힌지바(124)를 탄동지지하는 탄성부재(130)에 의해 도어(120)는 힌지바(124)의 궤적을 따라 회동되어 개방구(112)를 개방한다.
이때, 도어(120)의 회동에 따라 제1랙기어(172)가 피니언기어(176)와 치합되어 피니언기어(176)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피니언기어(176)는 제2랙기어(174)와 치합된 상태이므로 회전에 의해 가변수납함(150)을 수납부(110)의 전측으로 돌출시킨다.
가변수납함(150)이 도어(120)의 개방과 연동되어 전측으로 돌출됨으로 내부의 가변수납함(150) 내부의 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어 편의를 제공한다.
이때, 가변수납함(150)은 슬라이드부재(160)에 의해 직선으로 정확하게 안내된다.
그리고, 탄성부재(130)의 급격한 반발력은 도어(120)와 가변수납함(150)의 무게에 의해 감쇠됨으로 부드러운 작동이 가능하다.
반대로, 도어(120)를 닫을 때에는 상기와 같은 원리로 이루어지는데, 도어(120)는 반대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가변수납함(150)은 수납부(11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후, 도어(120)는 로킹부(140)에 의해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는 탄성부재(130)와 로킹부(140)에 의해 도어(120)가 자동으로 열리는 구조이고, 탄성부재(130)와 로킹부(140)의 구성을 삭제하고, 수동으로도 작동될 수 있으며, 수동개폐방식에서는 도어(120)의 자중에 의해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의 트레이 110 : 수납부
112 : 개방구 120 : 도어
122 : 전면패널 123 : 파지부
124 : 힌지바 130 : 탄성부재
140 : 로킹부 142 : 로킹홈
144 : 후크 150 : 가변수납함
160 : 슬라이드부재 162 : 슬라이드홈
164 : 슬라이드돌기 170 : 연동부
172 : 제1랙기어 174 : 제2랙기어
176 : 피니언기어

Claims (5)

  1. 개방구가 형성되고 내부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개방구를 커버하는 도어;
    상기 수납부 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로부터 출몰되는 가변수납함; 및
    상기 가변수납함의 출몰작동이 상기 도어의 개폐작동과 연동되게 하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수납함은 상기 수납부로부터 출몰시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드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가변수납함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도어의 양측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랙기어와, 상기 가변수납함의 양측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랙기어와, 상기 수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랙기어는 상기 도어의 회동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제2랙기어와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가변수납함을 상기 수납부로부터 출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곡률지게 형성되는 전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양측면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레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바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수납부로부터 탄동지지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수납부 전면에서 로킹부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레이.
  4. 삭제
  5. 삭제
KR1020100109218A 2010-11-04 2010-11-04 차량의 트레이 KR101703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218A KR101703994B1 (ko) 2010-11-04 2010-11-04 차량의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218A KR101703994B1 (ko) 2010-11-04 2010-11-04 차량의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571A KR20120047571A (ko) 2012-05-14
KR101703994B1 true KR101703994B1 (ko) 2017-02-07

Family

ID=4626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218A KR101703994B1 (ko) 2010-11-04 2010-11-04 차량의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9522B2 (en) * 2014-08-21 2016-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ving axis compartment door
KR101734266B1 (ko) 2015-07-13 2017-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US9796314B2 (en) * 2015-08-13 2017-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k cover for moving axis compartment door
US9914398B1 (en) 2017-03-09 2018-03-13 Honda Motor Co., Ltd. Vehicle storage compart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2670A (ja) 2004-09-15 2006-03-30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内装部材
JP2007030840A (ja) * 2005-07-29 2007-02-08 Toyoda Gosei Co Ltd レジス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576B1 (ko) * 2003-12-18 2006-03-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개방형 트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2670A (ja) 2004-09-15 2006-03-30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内装部材
JP2007030840A (ja) * 2005-07-29 2007-02-08 Toyoda Gosei Co Ltd レジ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571A (ko) 201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3202A1 (en) Vehicle interior accessory having a pivotable door
US4902061A (en) Glove box with convenience tray
KR101703994B1 (ko) 차량의 트레이
US20060197353A1 (en) Vehicle instrument panel having movable storage compartment
US8430440B1 (en) Console door that pivots and stows
JP5662463B2 (ja) 自動飲料保持デバイスを備えたトレイ機構
RU2688402C2 (ru) Узел консоли (варианты) и выдвижной элемент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5755041B2 (ja) 蓋開閉機構及び収納装置
EP3072745B1 (en) Vehicle storage assembly
WO2021070845A1 (ja) 車両用物品収納構造
KR100828924B1 (ko) 덮개체 및 그 구동구조
JP3965190B2 (ja) 食品若しくは飲料容器のための保持装置
US20070051764A1 (en) Folding floor mounted console
GB2445741A (en) Lid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storage cavity
JP2016101769A (ja) 車載用カップホルダ
JP2008037203A (ja) 蓋付き装置
JP2017178315A (ja) 車載用カップホルダ
KR101929551B1 (ko) 자동차의 수납박스
JP2009184498A (ja) 車内用物入れ
KR101126903B1 (ko) 차량 내 수납 공간
JP4909690B2 (ja) 自動車のデッキボード開閉構造
JP2009196483A (ja) 車両用トノボード装置
JP5816021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KR100568744B1 (ko) 콘솔 리드의 스토퍼 구조
JPH09136577A (ja) 小物入れの出し入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