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462B1 - 플러그인 커넥터용 락킹 기구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커넥터용 락킹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462B1
KR101703462B1 KR1020157017236A KR20157017236A KR101703462B1 KR 101703462 B1 KR101703462 B1 KR 101703462B1 KR 1020157017236 A KR1020157017236 A KR 1020157017236A KR 20157017236 A KR20157017236 A KR 20157017236A KR 101703462 B1 KR101703462 B1 KR 10170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element
connector
plug
primary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220A (ko
Inventor
하인리히 프리젠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9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응 커넥터에 플러그인 커넥터를 락킹하기 위한 락킹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락킹 기구는 2종의 락킹 수단, 즉 대응 커넥터를 락킹하는데 적합한 1차 락킹 요소 및 상기 1차 락킹 요소와 상호 락킹하는데 적합한 2차 락킹 요소를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2차 락킹 요소가 락킹 기구의 락킹 상태에 있는 하나를 1차 락킹하고 1차 락킹 요소가 언락되는 상태에 있는 하나를 2차 락킹한다. 대응 커넥터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기구는 자동으로 락킹되고 액추에이터로서 실현되는 2차 락킹 요소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락킹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플러그인 커넥터용 락킹 기구{LOCKING MECHANISM FOR PLUG CONNECTORS}
본 발명은 플러그인 커넥터(plug-in connector)를 대응 커넥터(mating connector)에 락킹(locking)하는 락킹(잠금)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락킹 기구들은 안전한 기계적인, 비영구적인 플러그인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의 연결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이 목적을 위해, 접촉 상태에서 양 플러그인 커넥터들이 기계적으로 완전히 서로 래칭(latching)되고 또한 내부 컨택들이 완전히 연결되는 것이 보장되어야만 한다.
플러그인 커넥터 카테고리는 전기적 및 광학적, 공압식 또는 유압식 플러그인 커넥터 모두에 관련된다. 이러한 락킹 기구는 어떠한 요구되는 플러그인 커넥터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다.
플러그인 커넥터의 기계적 연결과 분리하여, 또한 연결의 릴리스(release)도 보장되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기계적 래칭이 완전히 릴리스되어야만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락킹 기구의 또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요소들을 파괴하지 않아야 한다.
플러그인 커넥터 및 락킹 기구의 이러한 접촉 및 접촉 릴리스 작동은 락킹의 또는 컨택의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많이 반복되는 것이 가능해야만 한다.
DE10236275B3는 함께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플러그인 커넥터를 위한 락킹 장치를 보여주는데, 플러그인 커넥터들이 서로 결합되는 것과 같이 하나의 플러그인 커넥터 상의 래칭 후크(latching hook)가 제2 플러그인 커넥터의 래칭 리세스들(latching recesses)에 맞물린다. 래칭 후크는 슬리브(sleeve) 및 이에 통합 형성된 챔퍼(chamfer)에 의해 리프트되고 래칭 부분들 밖으로 제거될 수 있어, 플러그인 커넥터들이 분리될 수 있다.
DE102006040254A1으로부터, 2개의 커플링 위치를 갖는 원형의 플러그인 커넥터가 알려지고, 제1 커플링 위치의 래칭 캠들(latching cams)이 제2 커플링 위치의 그루브들(grooves)에 맞물린다. 이 과정에서, 래칭 캠들은 작동 슬라이더(actuation slider)에 의해 그루브들 내로 푸쉬된다. 2개의 커플링 위치에 적절한 인장력이 인가된다면, 작동 슬라이더들의 후퇴에 의해, 래칭 캠들은 그루브들 밖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해결수단의 불리한 효과는 힘이 플러그인 커넥터의 래칭 수단으로 지속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래칭이 릴리스될 때, 작동 슬라이더의 그리고 슬라이딩 슬리브의 작동 방향의 결과로서, 이 힘은 증가한다. 그 결과, 래칭 수단이 릴리스될 때까지, 래칭 수단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언락(잠금 해제)(unlocking) 과정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래칭 수단이 서로 릴리스되는 것과 같이 인장력의 증가는 래칭 수단의 가장자리 영역에 매우 큰 힘의 발생으로 이어진다. 이렇게 크게 증가된 힘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빈번한 언락 동작의 경우, 래칭 수단의 급속한 마모 및 찢어짐으로 이어진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장치의 다른 단점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완전한 래칭이 항상 보장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플러그인 커넥터들의 내부 컨택들의 매우 큰 플러그인 및/또는 컨택 힘의 경우, 래칭의 높은 마찰의 결과로서 불완전한 래칭이 유발될 수 있다. 래칭이 완전한지 여부 결정을 추가적으로 체크해야만 한다.
완전한 래칭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명확한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들을 위한 락킹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아울러, 상기 락킹 기구는 특히 래칭 수단의 어떠한 마모 및 찢어짐의 리스크도 없이, 다수의 플러그인 사이클에 적합해야만 한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나타내어 진다.
본 발명은 플러그인 커넥터들을 대응 커넥터들에 락킹하기 위한 락킹 기구를 제안한다. 이 목적을 위해, 락킹 기구는 락킹 리세스에서 대응 커넥터의 상호락킹 맞물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락킹 수단을 갖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상기 락킹 기구는 유리하게는 플러그인 커넥터 상에 제공된다. 형상 맞춤 방식으로 대응 커넥터를 플러그인 커넥터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 단지 필요하고 대응 커넥터는 락킹 수단에 대하여 대응하는 락킹 리세스를 가져야만 한다.
플러그인 커넥터를 위한 대응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인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인 카운터-커넥터이다. 대응 커넥터는 또한 플러그인 커넥터를 매치시키고 하우징 또는 장치에 부착 또는 형성되는 플러그인 리셉터클(receptacle)일 수 있다. 플러그인 커넥터와 접촉될 수 있는 다른 대응하는 요소들이 대응 커넥터와 동등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플러그인 커넥터 및 대응 커넥터는 선택적으로 교환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이는 제안된 락킹 기구의 기능 모드와 관계가 없다. 이 경우, 락킹 기구는 대응 커넥터 상에 위치할 것이고 또한 접촉되는 플러그인 커넥터로 락킹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락킹 기구의 락킹 수단 및 락킹 리세스 모두가 형상 맞춤 방식으로 전자와 매치된다면, 여기서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그 결과, 유리하게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락킹 및 언락 동안 래칭 후크의 팁 상에 어떤 큰 힘이 피해진다.
상기 락킹 수단은 락킹 리세스 및 그 릴리스에서 대응 커넥터의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는 1차 락킹 요소 상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1차 락킹 요소는 주요 회전축을 통하여 락킹 기구의 베이스 몸체 내에 회전적으로 지지되는 로커 타입(rocker-type) 요소로 구현된다. 이 방식에서, 대응 커넥터는 1차 락킹 요소를 틸팅(tilting)하는 것에 의해 락킹 또는 릴리스될 수 있다.
대응 커넥터 상의 락킹 리세스 및 락킹 수단의 라운드 형상에 기인하여 플러그인 커넥터 및 대응 커넥터 상에 반대 힘들이 작용하자마자 락킹이 자체로 릴리스될 것이기 때문에, 추가의 2차 락킹 요소가 구비된다.
2차 락킹 요소는 대응 커넥터를 락킹하는 상태에서 1차 락킹 요소를 락킹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2차 락킹 요소는 유리하게는 대응 커넥터를 릴리스할 수 없는 방식에 있는 1차 락킹 요소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블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2차 락킹 요소의 - 유리하게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플러그인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 이동에 의해, 블로킹 수단은 1차 락킹 요소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카운터-커넥터는 이제 1차 락킹 요소에 의해 다시 릴리스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2차 락킹 요소 상에서 작용하는 스프링 요소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스프링 요소는 1차 락킹 요소가 락킹되는 위치로의 2차 락킹 요소의 강제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 방식으로, 후자가 대응 커넥터를 락킹할 때 1차 락킹 요소의 강제 락킹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락킹 요소 상에서 작용하는 추가의 스프링 요소가 구비된다. 이 스프링 요소는 대응 커넥터가 릴리스되는 위치로의 1차 락킹 요소의 강제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락킹의 실제 목적과 명백히 반대되는, 이 강제 이동의 목적은 락킹 기구의 언락을 보장하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2차 락킹 요소가 동시에 액추에이터로서 형성되어, 그것이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강제 이동에 대하여 2차 락킹 요소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1차 락킹 요소가 릴리스된다. 1차 락킹 요소는 그것의 강제이동의 결과로 대응 커넥터가 릴리스되는 위치로 다시 이동하고, 플러그인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의 락킹을 릴리스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락킹 요소들은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대응 파트너가 블로킹되는 위치에서 2차 락킹 요소가 1차 락킹 요소를 블로킹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더욱이, 대응 커넥터가 릴리스되는 위치에서, 1차 락킹 요소는 2차 락킹 요소를 블로킹한다.
락킹 기구의 언락을 위해, 2차 락킹 요소는 1차 락킹 요소를 릴리스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유리하게는 플러그인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작용하는 스프링 힘의 결과로서, 1차 락킹 요소는 자동으로 언락 위치에 놓인다.
락킹 기구를 락킹하기 위하여, 1차 락킹 요소는 언락 위치에서 락킹 위치로 다시 이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락킹 상태에서, 2차 락킹 요소는, 작용하는 스프링 힘의 결과로, 자동으로 1차 락킹 요소가 락킹되는 위치에 놓인다.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락킹 요소의 락킹은 대응 커넥터 자체에 의해 초기화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1차 락킹 요소는 레버 영역을 갖는다. 레버 영역은, 언락 조건에서, 대응 커넥터의 플러그인 영역에 위치한다. 대응 커넥터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후자는 레버 영역과 협력하고 1차 락킹 요소에 힘을 가한다. 이 방식으로, 대응 커넥터의 접촉 힘이 대응 커넥터가 락킹되는 위치로의 1차 락킹 요소의 이동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그리고 실시예에 나타내어 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나타내어 지고,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플러그인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가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 기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 기구를 부분 단면으로 나타낸다.
도 3은 열린 상태에 있는 락킹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부분적으로 접촉된 상태에 있는 대응 커넥터와 함께 도 3에서와 같은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는 완전히 접촉된, 닫힌, 락킹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도 4에서와 같은 단면을 나타낸다.
도 6은 완전히 접촉된 및 락킹된 상태에 있는 락킹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 기구(1)를 3차원적으로 분해된 관점으로 나타낸다. 또한, 플러그인 커넥터(40)는 본 실시예에서 락킹 기구(1)가 스냅 링(snap ring)(41)으로 잠겨질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반대쪽 측에, 플러그인 커넥터와 컨택 및 락킹을 위하여 제공되는 대응 커넥터(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형의 플러그인 커넥터를 기반으로 한다. 이 실시예는 도시를 위해 의도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비-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타입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락킹 기구(1)는 플러그인 커넥터(40)에 연결되도록 설계되는 베이스 몸체(10)로부터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 몸체(10)는 그것의 내측에 대응하는 리세스를 가져, 스냅 링(41)으로 플러그인 커넥터에 고정될 수 있다.
이 특정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몸체(10)는 2개의 부분들(10a, 10b)로 제조된다. 이는 락킹 기구(1)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립에 관련된 이유에 불과하다. 이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단일-부분 또는 다수-부분 베이스 몸체들(10)이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몸체 부분들(10a, 10b)은 여기서 베이스 몸체(10)를 형성하는 부분들(10a, 10b)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래치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몸체 부분들(10a, 10b)은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구체화 및 조립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더이상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베이스 몸체 부분들(10a, 10b)은 추가로 고려되지 않을 것이고 베이스 몸체들(10)로서 단지 언급될 것이다.
상기 베이스 몸체(10)는, 원형의 플러그인 커넥터들(40, 50)에 기인하여, 플러그인 커넥터(40) 상에 제공되는 실린더형 슬리브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은 슬리브 타입의 베이스 몸체(10)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 여기서는 2개의 - 리세스들(11)을 갖는다. 리세스들(11)은 1차 락킹 요소(20) 각각을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리세스들(11) 각각은 수평적으로 2개의 리셉터클들(12)을 갖는다. 부분-원형의 리세스들(12)은 1차 락킹 요소들(20)이 회전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축 지지부를 형성한다.
상기 - 여기서는 2개의 - 1차 락킹 요소들(20)은 로커들로 설계되고 베이스 몸체(10)의 리세스들(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들은 회전축(24)으로 작용하는 몰딩(moulding)을 가지며 리셉터클들(12)에 수용되도록 구비된다. 회전축(24)의 반복된 부분-원형의 형성의 결과, 1차 락킹 요소들(20)은 리셉터클들(12) 내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다. 그 결과, 리세스들(11) 내에서 1차 락킹 요소들(20)의 로커 타입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추가로, 베이스 몸체(10) 내에서 그루브 형상의 스프링 리셉터클(15)에 수용되는 스프링 요소(25)가 구비된다. 스프링 리셉터클(15)은 1차 락킹 요소들(20)을 위하여 편의상 리세스들(11)을 가로지른다. 그 결과, 환형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스프링 리셉터클(15) 내에 있는 스프링 요소(25)가 1차 락킹 요소들(20) 상에 작용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1차 락킹 요소들(20)은 고정되는 조건(mounted condition)이 베이스 몸체(10)의 스프링 리셉터클(15)의 영역에 위치하는 스프링 리셉터클(23)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요소(25)는 그러므로 스프링 리셉터클들(23)의 영역 내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힘을 1차 락킹 요소들(20)에 가할 수 있다.
상기 락킹 기구(1)는 슬리브 같이 형상화된 2차 락킹 요소(30)에 의해 완성되고, 락킹 기구(1)의 남아 있는 요소들은 내부에 구비된다. 2차 락킹 요소(30)는 베이스 몸체(1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플러그인 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구비된다.
내부에서, 2차 락킹 요소(30)는 블로킹 수단(32)으로 사용되는 환형 몰딩(circumferential moulding)을 갖는다.
추가로 제공된 스프링 요소(35)는 여기서는 코일 스프링으로 설계되고 베이스 몸체(10)와 2차 락킹 요소(30) 사이에 제공된다. 이는 베이스 몸체(10) 상에 제공되는 스프링 정지부(16)와 2차 락킹 요소(30)에서 스프링 정지부로서 작용하는 블로킹 수단(32) 사이에 힘을 생성한다. 그 결과, 2차 락킹 요소(30)는 플러그인 커넥터(40)의 플러그인 방향으로 강제 이동을 받는다.
조립된 락킹 기구(1)는 도 2에 부분적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보일 수 있는 것은 회전축(24)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 몸체(10) 내에 지지되는 1차 락킹 요소(20)이다. 스프링 리셉터클(15)에 삽입되는 스프링 요소(25)는 따라서 스프링 리셉터클(23)이 반지름 방향 내측으로 프레싱하는 방식으로 1차 락킹 요소(20)의 스프링 리셉터클(23) 상에 작용한다. 그 결과, 상기 락킹 요소(20) 상에 구비되는 블로킹 수단(22)은 결과적으로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프레스된다.
이 위치에서, 블로킹 수단(22)은 블로킹 수단(32)의 이동 경로에 위치한다. 블로킹 수단(32)은 플러그인 방향으로 블로킹 수단(22)에 대하여 스프링 요소(35)에 의해 프레스되고, 이에 의해 블로킹된다. 락킹 기구(1)의 다양한 상태들은 도 3 내지 도 6에 상세히 도시 및 설명된다.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아래의 상태에 있는 접촉 및 락킹 과정 동안의 본 발명에 따른 락킹 기구(1)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대응 커넥터(50) 없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부분적으로 접촉된 대응 커넥터(50)가 있는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완전히 접촉된, 언락된 대응 커넥터(50)가 있는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완전히 접촉된 및 락킹된 대응 커넥터(50)에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스냅 링(41)에 의해 플러그인 커넥터(40) 상에 유지되는 베이스 몸체(10)를 나타낸다. 여기 도시된 바와 같은 락킹 기구(1)의 상태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 대응한다. 1차 락킹 요소(20)는 스프링 요소(25)에 의해 인가된 반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힘(여기서는 바닥에 도시됨)에 의해 제1 위치(2A)에 유지된다.
이 위치(2A)에서, 대응 커넥터(50)의 플러그인 영역(13)의 바깥쪽에서 락킹 수단(21)이 1차 락킹 요소(20)와 통합된다. 동시에, 블로킹 수단(22)이 블로킹 수단(32)의 이동 경로 내에 있다. 그 결과, 여기에 도시된 제1 위치(3A)에서 제2 위치(3B)(위치(3A) 및 위치(3B)는 도 4에 도시됨)로의 2차 락킹 요소(30)의 이동이 방지된다.
스프링 요소(35)의 힘에 의해, 2차 락킹 요소(30)는 플러그인 방향으로 강제 이동을 수행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스프링 요소(35)는 블로킹 수단(32)와 스프링 리셉터클(16) 사이에서 베이스 몸체(10) 상에 클램핑된다.
도 4는 도 3에서와 동일한 상태에 있는 락킹 기구(1)를 나타낸다. 또한, 락킹을 위해 필요한 대응 커넥터(50)의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플러그인 영역(13)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플러그인 커넥터(40)과 대응 커넥터(50) 간의 연결을 실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seal)(52)이 편의상 대응 커넥터(50) 상에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2A)에서, 1차 락킹 요소(20) 상의 레버 영역(26)이 대응 커넥터의 플러그인 영역(13) 내로 돌출한다. 따라서 대응 커넥터(50)의 전방부가 레버 영역(26)에 접촉한다.
대응 커넥터(50)가 추가로, 완전하게 플러그인 영역(13)에 도입될 때, 힘이 레버 영역(26) 및 1차 락킹 요소(20) 상에 인가된다. 이 힘의 결과, 1차 락킹 요소(20)가 제1 위치(2A)로부터 제2 위치(2B)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1차 락킹 요소(20)는 스프링 요소(25)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회전축(24)에 대하여 회전한다.
1차 락킹 요소(20)의 위치(2B)가 완전히 삽입된 대응 커넥터(50)와 함께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5로부터, 1차 락킹 요소(20)가 스프링 요소(25)의 힘에 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다. 그 결과, 락킹 수단(21)은 이제 플러그인 영역(13)에 맞물리고 그러므로 대응 커넥터(50)에 맞물린다. 이 목적을 위하여, 래칭 리세스(51)는 플러그 커넥터(50) 상에 구비된다.
이 실시예에서, 래칭 리세스(51)는 편의상 환형 그루브(circumferential groove)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플러그인 커넥터(40) 및 락킹 기구(1)에 대한 대응 커넥터(50)의 방향이 가변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사각 플러그인 커넥터들의 경우, 예를 들어 블라인드 홀(blind hole)과 같은 래칭 리세스(51)의 다른 설계가 또한 가능하다.
위치(2A)로부터 위치(2B)로의 1차 락킹 요소(20)의 회전의 결과, 또한 블로킹 수단(22)가 블로킹 수단(32)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스프링 요소(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3A)로부터 제2 위치(3B)로 2차 락킹 요소(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2차 락킹 요소(30)의 위치(3B)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플러그인 방향에서, 위치(3A)의 전방에 있다. 도 6에서 보일 수 있는 것은 블로킹 수단(32)이 이제 블로킹 수단(22)을 블로킹하고 그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것이다. 그 결과, 락킹 수단(21)에 의해 대응 커넥터(50)의 락킹이 보장된다.
1차 락킹 요소(20)가 2차 락킹 요소(30)에 의해 그것의 이동이 블로킹되기 때문에, 대응 커넥터(50)는 락킹 기구(1)로부터 또는 플러그인 커넥터(40)로부터 후퇴될 수 없다.
락킹 기구(1)를 언락하기 위하여, 2차 락킹 요소(30)는 이제 플러그인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겨져야만 한다. 블로킹 수단(32)이 블로킹 수단(22)을 릴리스하자마자, 대응 커넥터(50)는 시계 방향으로 1차 락킹 요소(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릴리스될 수 있다. 더욱이 1차 락킹 요소(20)의 회전, 및 대응 커넥터(50)의 관련된 릴리스는 스프링 요소(25)의 스프링 힘에 의해 지지된다.
1 : 락킹 기구
10 : 베이스 몸체
11 : 리세스
12 : 리셉터클
13 : 플러그인 영역
15 : 스프링 리셉터클
16 : 스프링 정지부
20 : 1차 락킹 요소
2A : 20의 제1 위치
2B : 20의 제2 위치
21 : 락킹 수단
22 : 블로킹 수단
23 : 스프링 리셉터클
24 : 회전축
25 : 스프링 요소
26 : 레버 영역
30 : 2차 락킹 요소
3A : 30의 제1 위치
3B : 30의 제2 위치
32 : 블로킹 수단
35 : 스프링 요소
40 : 플러그인 커넥터
41 : 스냅 링
50 : 대응 커넥터
51 : 래칭 리세스
52 : 실

Claims (26)

  1. 대응 커넥터(50)와 접촉되는 플러그인 커넥터(40)를 락킹(locking)하기 위한 락킹 기구(locking mechanism)(1)로서,
    상기 락킹 기구(1)는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40)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베이스 몸체(10) 및 적어도 2개 타입의 락킹 요소(20)로 구성되되,
    제1 위치(2A)와 제2 위치(2B)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제1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1차 락킹 요소(20)가 구비되고,
    제1 위치(3A) 및 제2 위치(3B)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제2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2차 락킹 요소(30)가 구비되며,
    상기 락킹 기구(1)는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40)와 상기 대응 커넥터(50)가 접촉되지 않는 제1의, 개방된 상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1차 락킹 요소(20)가 제1 위치(2A)에 있고 상기 2차 락킹 요소(30)가 제1 위치(3A)에 있으며,
    뿐만 아니라, 상기 락킹 기구는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40)와 대응 커넥터(50)가 서로 락킹되는 제2의, 닫힌 상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1차 락킹 요소(20)가 제2 위치(2B)에 있고 상기 2차 락킹 요소(30)가 제2 위치(3B)에 있으며,
    상기 1차 락킹 요소(20)는, 제2 위치(2B)에서, 접촉되는 대응 커넥터(50)에 맞물리는 락킹 수단(21)을 가지며 이 방식으로 플러그인 커넥터(40)를 대응 커넥터(50)에 락킹하며,
    상기 1차 락킹 요소(20)는, 제1 위치(2A)에서, 2차 락킹 요소(30)의 제1 위치(3A)로부터 제2 위치(3B)로의 이동을 블로킹하고,
    상기 2차 락킹 요소(30)는, 제2 위치(3B)에서, 제2 위치(2B)로부터 제1 위치(2A)로의 1차 락킹 요소(20)의 이동을 블로킹하며, 그리고
    상기 1차 락킹 요소(20)에 힘을 가하는 1차 스프링 요소(25)가 제공되고 이 방식으로 상기 1차 락킹 요소(20)의 제1 위치(2A)로의 강제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락킹 기구(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2A)에서, 상기 1차 락킹 요소(20)의 락킹 수단(21)은 접촉된 대응 커넥터(50)를 릴리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수단(21)은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형상 맞춤 방식(form-fitting manner)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대응 커넥터(50)의 래칭 리세스(51)에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락킹 요소(30)의 이동 경로가 플러그인 커넥터(40)의 플러그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위치(3A)가, 플러그인 방향으로, 상기 제2 위치(3B) 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락킹 요소(20)는, 1차 락킹 요소(20)의 제1 위치(2A)에서, 블로킹 수단(22)을 가지며, 상기 블로킹 수단은 2차 락킹 요소(30)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여 2차 락킹 요소의 이동을 블로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락킹 요소(30)는 제2 위치(3B)에서, 블로킹 수단(32)을 가지며, 상기 블로킹 수단은 1차 락킹 요소(20)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여 1차 락킹 요소의 이동을 블로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락킹 요소(20)는 제1 위치(2A)로부터 제2 위치(2B)로 플러그인 커넥터(40)와 접촉하는 동안 상기 대응 커넥터(5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락킹 요소(20)는, 1차 락킹 요소(20)의 제1 위치(2A)에서, 상기 대응 커넥터(50)의 플러그인 영역(13) 내로 돌출하고, 1차 락킹 요소(20)의 제2 위치(2B)에서, 상기 대응 커넥터(50)의 플러그인 영역(13)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레버 영역(2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영역(26) 및 따라서 상기 1차 락킹 요소(20)가 접촉하는 대응 커넥터(50)에 의해 제1 위치(2A)로부터 제2 위치(2B)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 영역(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10)는 상기 1차 락킹 요소(20)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1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11)는 상기 1차 락킹 요소(20)가 제1 위치(2A)와 제2 위치(2B) 사이에서 회전적으로 지지되는 리셉터클(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락킹 요소(20)는 로커(rocker)로 형성되며 회전축(24)으로 작용하는 몰딩(moulding)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락킹 요소(20)는 베이스 몸체(10)의 리셉터클(12)에서 회전하도록 회전축(24) 상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락킹 요소(30)는 슬리브(sleeve) 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10) 뿐만 아니라 상기 1차 락킹 요소(20)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락킹 요소(30)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기구(1)는 2개의 1차 락킹 요소들(20) 및 하나의 2차 락킹 요소(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기구(1)의 베이스 몸체(10)는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40)와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기구(1)의 베이스 몸체(10)는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40)에 릴리스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스프링 요소(25)가 고리형 스프링으로 구현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락킹 요소(30)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 요소(35)가 제공되고 이 방식으로 상기 2차 락킹 요소(30)의 제2 위치(3B) 내로의 강제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35)가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고 상기 2차 락킹 요소(30)와 상기 베이스 몸체(10) 사이에서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기구(1).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57017236A 2012-11-26 2013-11-26 플러그인 커넥터용 락킹 기구 KR101703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210111408 DE102012111408B3 (de) 2012-11-26 2012-11-26 Verriegelungsmechanismus für Steckverbinder
DE102012111408.0 2012-11-26
PCT/DE2013/100397 WO2014079418A1 (de) 2012-11-26 2013-11-26 Verriegelungsmechanismus für steckverb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220A KR20150090220A (ko) 2015-08-05
KR101703462B1 true KR101703462B1 (ko) 2017-02-06

Family

ID=4929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236A KR101703462B1 (ko) 2012-11-26 2013-11-26 플러그인 커넥터용 락킹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78911B2 (ko)
EP (1) EP2923418B1 (ko)
KR (1) KR101703462B1 (ko)
CN (1) CN104871374B (ko)
DE (1) DE102012111408B3 (ko)
WO (1) WO2014079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3631B3 (de) * 2013-12-06 2015-04-23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mit Steckkraftbegrenzung
DE102015100452A1 (de) * 2015-01-14 2016-07-14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Steckverbinderteil mit einer Ausgleichseinrichtung
DE102015103135B3 (de) * 2015-03-04 2016-06-02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mit Steckpositionierungsmittel
CN105406281B (zh) * 2015-10-16 2017-12-19 宁波天鹭莱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圆形电连接器
DE102016108780A1 (de) * 2016-05-12 2017-11-16 HARTING Electronics GmbH Mittel zum Montieren, Entriegeln und Demontieren eines Steckverbinders, sowie Verfahren zur Nutzung des Mittels
DE102016110717B3 (de) 2016-06-10 2017-08-03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DE102016111458B4 (de) * 2016-06-22 2018-12-06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CN106486793A (zh) * 2016-12-21 2017-03-08 丹阳特瑞莱电子有限公司 一种电缆组件的稳定连接装置
DE102017122245A1 (de) 2017-09-26 2019-03-28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Arretierung
DE102020105041B3 (de) * 2020-02-26 2021-05-20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element mit Verriegelungseinrichtung
EP4242712A1 (en) * 2022-03-10 2023-09-13 Reichle & De-Massari AG A transmission connector device, a transmission connector and a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8969A1 (de) 2005-12-09 2007-06-1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Steckerteil und Grundleiste eines elektrischen Steckverbinders
JP2010177132A (ja) 2009-01-30 2010-08-12 Hitachi Cable Ltd ラッチ構造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775U (ja) * 1992-01-10 1993-07-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装置のロック構造
EP0902506B1 (en) 1997-09-09 2004-03-3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DE10240428A1 (de) * 2001-09-07 2003-04-30 Sampo Corp Tao Yuan Sendeempfangsmodul mit Entriegelungsvorrichtung
US7186134B2 (en) * 2001-10-04 2007-03-06 Finisar Corporation Electronic modules having integrated lever-activated latching mechanisms
DE50303152D1 (de) * 2002-02-14 2006-06-08 Radiall Vorepp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36275B3 (de) 2002-08-08 2004-01-08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Verriegelungseinrichtung
DE10242074B3 (de) * 2002-09-11 2004-05-19 Fci Steckverbinder mit mit Federkraft beaufschlagter Sekundärverriegelung
US7083336B2 (en) * 2004-03-02 2006-08-01 Intel Corporation Optical module with latching/delatching mechanism
DE102004034321B3 (de) * 2004-07-15 2006-01-12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7134914B1 (en) * 2005-08-11 2006-11-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mechanism
US7413473B2 (en) * 2005-08-26 2008-08-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EMI gasket
US7131854B1 (en) 2005-08-31 2006-11-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airbag apparatus having an electrical connector
CN2842793Y (zh) * 2005-11-14 2006-11-29 深圳市通茂电子有限公司 推拉式圆形电连接器
US7226307B1 (en) * 2006-07-27 2007-06-05 Jess-Link Products Co., Ltd. Plug connector
DE102006040254B4 (de) 2006-08-28 2008-04-30 Franz Binder Gmbh & Co Elektrische Bauelemente Kg Rundsteckverbinder
US7666023B2 (en) * 2008-05-22 2010-02-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atch coupled to a pull member
US7572138B1 (en) * 2008-06-20 2009-08-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lug connector having a latch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8969A1 (de) 2005-12-09 2007-06-1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Steckerteil und Grundleiste eines elektrischen Steckverbinders
JP2010177132A (ja) 2009-01-30 2010-08-12 Hitachi Cable Ltd ラッチ構造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23418B1 (de) 2020-01-22
EP2923418A1 (de) 2015-09-30
DE102012111408B3 (de) 2013-10-24
US9478911B2 (en) 2016-10-25
WO2014079418A1 (de) 2014-05-30
KR20150090220A (ko) 2015-08-05
US20150303620A1 (en) 2015-10-22
CN104871374B (zh) 2017-08-15
CN104871374A (zh)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462B1 (ko) 플러그인 커넥터용 락킹 기구
US7850472B2 (en) Connector element
EP2396487B1 (en) Door lock device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with movable latch
US10587078B2 (en) Plug connector
US20210129365A1 (en) Shaving device comprising an autotightening spring device for assembling a removable cartridge with an handle
WO2005028940A1 (ja) 管継手及び管継手のソケット
JP2006331991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1026336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otary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CA2624642A1 (en) Reset fixture for rekeyable lock assembly
CN101694055B (zh) 门锁定开关及利用门锁定开关的衣物处理装置
JP2009505343A (ja) 電気差込コネクタ
US4285220A (en) Magnetically operable lock
KR20200118649A (ko) 자동차의 충전용 도어의 비상해제 장치
JP2020530189A (ja) 係止要素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部品
CA3008876A1 (en) Push-pull passage lock
CN111433402B (zh) 用于家用器具的门锁
JP2024019072A (ja) 嵌合補助部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のためのハウジングアセンブリ、ならびに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TWM541496U (zh) 可上鎖的鎖蓋總成
US20120329302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5531431A (zh) 圆筒锁的保护装置
KR101745630B1 (ko) 도어록용 래치어셈블리
KR20180103380A (ko)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
CN110494944B (zh) 安全开关
KR100991832B1 (ko) 프리턴식 도어 락
KR100395360B1 (ko) 단일조작 로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