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832B1 - 프리턴식 도어 락 - Google Patents

프리턴식 도어 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832B1
KR100991832B1 KR1020100024451A KR20100024451A KR100991832B1 KR 100991832 B1 KR100991832 B1 KR 100991832B1 KR 1020100024451 A KR1020100024451 A KR 1020100024451A KR 20100024451 A KR20100024451 A KR 20100024451A KR 100991832 B1 KR100991832 B1 KR 100991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ylinder assembly
key
clutc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센
Priority to KR1020100024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6Lock cylinde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등에 구비되는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상 키가 아닌 이종(異種)키를 삽입하여 잠금 장치를 열고자 할 때 키는 자유롭게 회전되나, 잠금은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잠금 장치가 강제 해제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프리턴식 도어 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안착 홀과 상기 안착 홀 가장자리의 일부분에 형성된 환형 돌기를 구비하며,차량의 도어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 상기 장착 브래킷의 안착 홀에 설치되고, 키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키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도록 된 실린더 어셈블리,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그 일면 가장자리에 상기 환형 돌기와 맞물리는 단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에 삽입되는 키에 따라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환형 슬라이더,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로부터 선택적으로 해제되도록 되어 있으며, 일체로 회전되는 작동 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 로드의 회전에 의하여 차량의 도어를 잠금 해제하도록 된 조인트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에 삽입되는 키에 따라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와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슬라이더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단턱부가 상기 환형 돌기를 따라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턴식 도어 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리턴식 도어 락{FREE TURN-TYPE DOOR LOCK}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등에 구비되는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상 키가 아닌 이종(異種)키를 삽입하여 잠금 장치를 열고자 할 때 키는 자유롭게 회전되나, 잠금은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잠금 장치가 강제 해제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프리턴식 도어 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도어, 트렁크, 시동 장치 등에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 장치는 케이스 내에 로터가 구비되고, 이 로터에 정상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잠금이 이루어지거나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잠금 장치는 키를 삽입하여 로터를 회전시켜야만 키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상 키와 유사한 모양의 공구 또는 이종 키 등으로 로터를 강제 회전시키게 되면 잠금이 해제되거나 잠금 장치가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정상키가 아닌 드라이버 등의 공구나 이종키를 삽입하여 잠금을 해제하려고 할 때 로터는 자유롭게 회전하지만 잠금은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프리 휠링식의 잠금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잠금 장치는 상기 로터에 다수의 록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키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로터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의 내부에 걸림으로써 로터가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정상 키를 삽입한 상태에서는 록 플레이트가 로터의 내측으로 정렬되어 케이스에 걸리지 않음으로써 로터가 자유롭게 회전하여 키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로터의 뒤쪽에는 작동 레버가 연결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작동 레버를 이동시킴으로써 이 작동 레버가 키의 작동력을 도어 잠금 링크나, 시동키 회로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잠금 장치는 로터를 회전시켜야만 키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짜 키와 유사한 모양의 이종 키나 공구 등으로 로터를 강제 회전시키게 되면 잠금이 해제되거나 잠금 장치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 출원된 등록특허10-0383076호에 의하면, 홀더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더가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더의 캠 돌기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로터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하여 클러치부가 구동 플레이트와 해제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홀더 및 슬라이더가 각각 별개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내구도 및 설계의 복잡성 측면에서 신뢰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컴팩트한 프리턴식 도어 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턴식 도어 락은 안착 홀과 상기 안착 홀 가장자리의 일부분에 형성된 환형 돌기를 구비하며,차량의 도어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 상기 장착 브래킷의 안착 홀에 설치되고, 키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키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도록 된 실린더 어셈블리,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그 일면 가장자리에 상기 환형 돌기와 맞물리는 단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에 삽입되는 키에 따라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환형 슬라이더,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로부터 선택적으로 해제되도록 되어 있으며, 일체로 회전되는 작동 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 로드의 회전에 의하여 차량의 도어를 잠금 해제하도록 된 조인트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에 삽입되는 키에 따라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와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슬라이더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단턱부가 상기 환형 돌기를 따라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는 조인트 몸체, 상기 조인트 몸체의 내부에서 완충작용을 하도록 결합되는 조인트 러버, 상기 조인트 러버에 형성되는 결합 홈에 일단이 끼워지는 작동 로드 및 상기 조인트 몸체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조인트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심축에 대하여 대향하여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바, 상기 조인트 몸체와 상기 클러치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지지되도록 배치되는 리턴 스프링 및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턴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는 몸체를 이루고, 일단에 연장형성되는 중심축의 외주면에는 중심축에 대하여 대향하도록 연장형성되는 회전 돌기를 포함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홈, 상기 플레이트 홈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록 플레이트, 상기 실린더의 걸림 돌기의 반대측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셔터 핀에 의해 축방향에 대하여 90도만큼 회동하는 셔터 및 상기 셔터를 덮을 수 있도록 장착되는 실린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의 내부로 상기 셔터를 통과하여 키가 축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정상키가 아닌 이종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의 록 플레이트가 실린더의 외주면으로부터 지그재그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 플레이트가 실린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면 상기 슬리브의 걸림턱에 걸림고정됨으로써 상기 실린더, 슬리브, 환형 슬라이더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형 슬라이더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스 커버의 하단과 맞물리거나 어긋나도록 상기 환형 슬라이더의 상단 및 상기 케이스 커버의 하단에는 단턱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형 슬라이더가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클러치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 돌기가 상기 클러치의 걸림홈과 분리되고, 상기 환형 슬라이더가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클러치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 돌기가 상기 클러치의 걸림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 브래킷은 차량의 도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턴식 도어 락에 의하면, 이종키 및 공구 등이 삽입되면 잠금장치가 해제되지 않으므로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는 한편, 실린더 어셈블리와 클러치가 분리된 후 정상키를 다시 삽입하게 되면 단 시간 내에 잠금작동 및 해제작동 등을 수행할수 있도록 실린더 어셈블리와 클러치가 결합되기 때문에 이종키 및 공구등에 의해 잠금장치가 파손될수 있는 위험을 방지한다.
따라서, 신속한 정상 기능을 실현할 수 있음은 물론,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상대부품과의 조립 부분이 일반 잠금장치의 레이아웃과 유사하기 때문에 상대 부품의 변경 없이도 간편하게 조립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턴식 도어 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턴식 도어 락의 클러치의 결합 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턴식 도어 락의 클러치의 분리 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턴식 도어 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턴식 도어 락은 조인트 어셈블리(100), 클러치(200) 장착 브래킷(300), 슬리브(411)를 갖는 환형 슬라이더(400) 및 실린더 어셈블리(500)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100)는 조인트 몸체(110), 조인트 러버(120), 작동 로드(130) 및 스프링 핀(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 몸체(110)는 대략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조인트 몸체(110)의 내부에는 안착 홈(111)이 형성되고, 이러한 안착 홈에 끼워지도록 조인트 러버(120)가 형성된다.
조인트 러버(12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인트 러버(120)는 상기 작동 로드(130)를 보다 탄성적으로 유연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 러버(120)의 저면에는 상기 작동 로드(130)가 정확히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 홈(121)이 형성되고, 이러한 삽입 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 로드(130)의 상면에는 삽입 돌기(131)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 로드(130)는 본 명세서의 본래 목적상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동되는 록킹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잠금 작동 및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 로드(130)의 상단의 연결부(132)에는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 홀(133)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홀(133)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조인트 몸체(110)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작동 로드(130)가 상기 조인트 몸체(110)에 결합할 수 있도록 스프링 핀(140)이 설치된다.
상기 조인트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홈(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홈(112)은 후술하는 클러치(200)의 가이드 바(210)가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가이드 홈(112)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홈(112)이 서로 마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러치(200)는 상기 조인트 몸체(110)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홈(112)에 결합되도록 가이드 바(210)를 갖는다.
또한, 상기 클러치(200)와 상기 조인트 몸체(110)의 사이에 리턴 스프링(S)이 개재된다.
여기서, 상기 리턴 스프링(S)은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리턴 스프링(S)은 상기 클러치(200)를 상기 조인트 몸체(11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즉, 상기 클러치(200)는 상기 리턴 스프링(S)에 의하여 탄성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조인트 몸체(110)에 대하여 수직왕복운동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200)의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2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201)에는 후술하는 실린더(501)의 스템(511)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200)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홀(201)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걸림홈(220)이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홈(22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걸림홈(220)은 후술하는 회전 돌기(525)와 결합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는 형태면 어느 형태든 가능하다.
상기 장착 브래킷(300)은 후술하는 실린더 어셈블리(500)가 차량의 도어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출입용 도어에도 장착 가능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장착 브래킷(300)은 중앙부에 안착홀(310)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실린더 어셈블리(500)가 장착되어 축방향으로 움직임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홀(310)의 가장자리 상면에는 환턱(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 하면 일부에는 환형 돌기(330)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실린더 어셈블리(500)는 실린더(501), 플레이트 홈(510), 록 플레이트(521), 셔터(530), 셔터 커버(542) 및 실린더 커버(540)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50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플레이트 홈(510)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501)의 하단부에는 상기 실린더(50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스템(51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201)에 삽입되고 그 하단면은 상기 조인트 러버(120)의 상면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홈(510)에 각각 삽입되는 각각의 록 플레이트(521)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출몰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록 플레이트(521)는 일반적인 도어 락 구조에 적용되는 부품으로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각 탄성부재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슬리브(411)에 대하여 탄성지지되어서 출몰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록 플레이트(521)의 중앙부에는 키가 삽입될 수 있는 장공(522)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장공(522)의 내주면에는 돌기(523)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523)는 키에 형성된 그루브(도시하지 않음)의 형상에 따라 그 형성 위치를 달리한다. 따라서, 정상 키를 상기 키 홀에 삽입하면 상기 돌기(523)는 상기 그루브와 결합하여 록 플레이트(521)는 움직이지 않으나, 이종 키를 상기 키 홀에 삽입하면 상기 이종 키에 상기 돌기가 걸려 상기 록 플레이트(521)는 슬리브(411)로부터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템(511)의 상측 실린더(501)의 외주면에는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회전 돌기(525)가 반경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 돌기(525)는 상기 실린더(501)와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클러치(200)의 걸림홈(22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실린더(501)와 상기 클러치(200)가 선택적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즉, 정상 키가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회전 돌기(525)와 걸림홈(220)이 결합하여 상기 실린더(501)와 상기 클러치(200)가 함께 회전하며, 이종 키가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회전 돌기(525)는 상기 걸림홈(220)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실린더(501)만이 회전하도록 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회전 돌기(525)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회전 돌기(525)는 상기 걸림홈(2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어떤 형상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실린더(501)의 상단에는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셔터 핀(550)이 설치되고, 이러한 셔터 핀(550)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도록 셔터(530)가 설치된다. 이러한 셔터(530)는 키가 삽입되지 않을 때에는 셔터 홀(561)을 막아 이물질이 도어 록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셔터(530)를 상측에서 덮을 수 있도록 셔터 커버(560)가 설치된다. 이러한 셔터 커버(560)는 상기 키가 삽입될 수 있도록 셔터 홀(561)을 갖는다.
환형 슬라이더(400)는 상기 실린더(501)의 외주면을 감싸 상기 실린더(501)와 선택적인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환형 슬라이더의 외주면에는 결합면(410)이 형성되어 슬리브(411)가 장착되어 함께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환형 슬라이더(400)의 상단 일부분에는 단턱부(4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환형 슬라이드(400)의 상단 타부분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된 부분 사이에 단턱부(4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턱부(422)는 상기 장착 브래킷(300)의 환형 돌기(33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422)와 상기 돌출된 부분의 경계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슬리브(411)는 상기 환형 슬라이더(400)와 상기 실린더(501)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슬리브(411)의 외주면에는 걸림턱(421)이 형성되어 상기 록 플레이트(521)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이종 키가 도어 락에 삽입되면 상기 록 플레이트(521)가 반경 외측으로 밀려나며 상기 걸림턱(421)에 걸림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실린더(501)와 상기 환형 슬라이드(400)가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턴식 도어 락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턴식 도어 락의 클러치의 결합 시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IV-IV선 및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키를 셔터 홀(561)을 통과시킨 후, 회전시키면, 클러치(200)의 걸림홈(220)과 회전돌기(525)가 결합 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정상키가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500)와 일치하게 되면 복수개의 록 플레이트(521)는 실린더(501)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그대로 상기 키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501)가 회전함에 따라 실린더(501)의 회전 돌기(525)가 상기 걸림홈(220)을 함께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클러치(200)가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200)의 가이드 바(210)가 가이드 홈(112)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그 하측의 조인트 몸체(11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조인트 몸체(110)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작동 로드(13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록킹 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턴식 도어 락의 클러치의 분리시의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3의 VI-VI선 및 VII-VII선에 따른 각각의 단면도로, 상기 이종키가 실린더 어셈블리(500)의 내부로 결합되면, 상기 복수개의 록 플레이트(521)가 상기 실린더(501)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도록 작동한다.
이때, 상기 록 플레이트(521)의 돌출된 부분이 환형 슬라이더(400)의 슬리브(411)에 형성되는 걸림턱(412)에 걸림고정된다.
즉, 상기 실린더(50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리브(411)가 함께 회전되고, 이러한 슬리브(411)는 상기 환형 슬라이더(400)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환형 슬라이더(400)가 회전되면 환형 슬라이더(400)의 단턱부(422)와 장착 브래킷(300)의 환형 돌기(330)의 경사면에 의하여 상기 환형 슬라이더(400)가 하측으로 밀려남과 동시에 상기 환형 슬라이더(400)의 하단이 상기 클러치(200)의 상연부를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200)의 걸림홈(220)은 상기 회전 돌기(525)와 분리된다.
즉, 상기 클러치(200)는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작동 로드(130)는 회전하지 않게 되고, 이와 같이 상기 실린더(501)는 연속적으로 회전을 하게 되지만, 상기 작동 로드(130)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되므로 정상적으로 별도의 잠금장치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조인트 어셈블리
110: 조인트 몸체
112: 가이드 홈
120: 조인트 러버
121: 삽입홈
130: 작동 로드
131: 삽입 돌기
132: 연결부
133: 결합홀
140: 스프링 핀
200: 클러치
201: 관통홀
210: 가이드 바
220: 걸림홈
300: 장착 브래킷
310: 안착 홀
320: 환턱
330: 환형 돌기
400: 환형 슬라이더
410: 결합면
411: 슬리브
412: 걸림턱
422: 단턱부
500: 실린더 어셈블리
501: 실린더
510: 플레이트 홈
511: 스템
522: 장공
523: 돌기
521: 록 플레이트
522: 가드 플레이트
525: 회전 돌기
530: 셔터
540: 실린더 커버
541: 단턱부
550: 셔터 핀
560: 셔터 커버
561: 셔터 홀

Claims (11)

  1. 안착 홀과 상기 안착 홀 가장자리의 일부분에 형성된 환형 돌기를 구비하며,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
    상기 장착 브래킷의 안착 홀에 설치되고, 키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되는 키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반경 외측으로 돌출되는 록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실린더 어셈블리;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그 일면 가장자리에 상기 환형 돌기와 맞물리는 단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에 삽입되는 키에 따라 상기 록 플레이트의 돌출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환형 슬라이더;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로부터 선택적으로 해제되도록 되어 있으며, 일체로 회전되는 작동 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 로드의 회전에 의하여 차량의 도어를 잠금 해제하도록 된 조인트 어셈블리; 및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에 삽입되는 키에 따라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와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클러치;
    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는,
    몸체를 이루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그 하단에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템; 및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록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홈을 포함하며,
    상기 스템의 상측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회전 돌기가 반경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회전 돌기는 상기 실린더와 상기 클러치가 선택적으로 일체로 회전되어서 상기 클러치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환형 슬라이더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단턱부가 상기 환형 돌기를 따라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턴식 도어 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는
    상기 실린더의 걸림 돌기의 반대측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셔터 핀에 의해 축방향에 대하여 90도만큼 회동하는 셔터; 및
    상기 셔터를 덮을 수 있도록 장착되는 실린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턴식 도어 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슬라이더가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클러치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 돌기가 상기 클러치의 걸림홈과 분리되고, 상기 환형 슬라이더가 축방향을 따라 상기 클러치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 돌기가 상기 클러치의 걸림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턴식 도어 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슬라이더의 외주면에 결합면이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면에 상기 선택적으로 돌출된 록 플레이트가 걸림 고정되는 슬리브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턴식 도어 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이종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의 록 플레이트가 실린더의 외주면으로부터 상호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슬리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턴식 도어 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록 플레이트가 실린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면 상기 슬리브의 걸림턱에 걸림고정됨으로써 상기 실린더, 슬리브, 환형 슬라이더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턴식 도어 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는 조인트 몸체;
    상기 조인트 몸체의 내부에서 완충작용을 하도록 결합되는 조인트 러버;
    상기 조인트 러버의 저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삽입홈에 일단이 끼워지도록 상면에 삽입 돌기를 갖는 작동 로드; 및
    상기 조인트 몸체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핀;
    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로드는 스프링 핀에 의해서 상기 조인트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턴식 도어 락.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조인트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조인트 몸체와 상기 클러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클러치가 탄성지지되도록 배치되는 리턴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턴식 도어 락.
KR1020100024451A 2010-03-18 2010-03-18 프리턴식 도어 락 KR100991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451A KR100991832B1 (ko) 2010-03-18 2010-03-18 프리턴식 도어 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451A KR100991832B1 (ko) 2010-03-18 2010-03-18 프리턴식 도어 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832B1 true KR100991832B1 (ko) 2010-11-04

Family

ID=4340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451A KR100991832B1 (ko) 2010-03-18 2010-03-18 프리턴식 도어 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857B1 (ko) * 2021-06-30 2022-12-14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용 도어 록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433B1 (ko) 1999-12-29 2003-03-17 주식회사 신창전기 프리 휠링식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433B1 (ko) 1999-12-29 2003-03-17 주식회사 신창전기 프리 휠링식 잠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857B1 (ko) * 2021-06-30 2022-12-14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용 도어 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8911B2 (en) Locking mechanism for plug-in connectors
JP6132305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の開閉装置及びフラップの開閉装置
JP4225483B2 (ja) 特に自動車用のシリンダロック
US7472570B2 (en) Key cylinder
JP4949398B2 (ja) 車輌の施解錠機構のための解除可能なロック装置
JP5037486B2 (ja) 自動車のロッキングシステムのための解放自在なロック
US6578396B2 (en) Removable cylindrical lock core
KR102042596B1 (ko) 방화도어용 도어록
JP2008531887A (ja) 自動車のロッキングシステムのための解放自在なロック
JP5559895B2 (ja) ディスク・タンブラ・シリンダ錠と鍵の組み合わせ
US20220228401A1 (en) Pushbutton mechanisms for locksets
KR102272563B1 (ko) 자동차의 충전용 도어의 비상해제 장치
US9376838B2 (en) Cylinder lock
KR100991832B1 (ko) 프리턴식 도어 락
KR100376433B1 (ko) 프리 휠링식 잠금 장치
JP6204796B2 (ja) 錠前装置
EP0899398B1 (en) Cylinder lock
EP2385198B1 (en) Electromechanical lock adapted to doors
JP4512922B2 (ja) シリンダ錠
JP4587790B2 (ja) キーシリンダ装置におけるシリンダ錠の取付構造
KR200452482Y1 (ko) 설치가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JP6605254B2 (ja) シリンダ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403395B2 (ja) シリンダ錠
KR20010065393A (ko) 프리 휠링식 잠금 장치
JP4597745B2 (ja) サムタ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