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303B1 -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303B1
KR101702303B1 KR1020160053186A KR20160053186A KR101702303B1 KR 101702303 B1 KR101702303 B1 KR 101702303B1 KR 1020160053186 A KR1020160053186 A KR 1020160053186A KR 20160053186 A KR20160053186 A KR 20160053186A KR 101702303 B1 KR101702303 B1 KR 101702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jig
shrink tube
rope assembly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진
Priority to KR1020160053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4Turn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벨트 버클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어로프의 선단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 지그; 와이어로프의 중간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는 제2 지그; 복수 개의 상기 제1 지그를 원호상에 방사형으로 구비하여 일정 간격 단위로 회전하는 턴테이블; 및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씌워진 수축 튜브에 열을 인가하여 수축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SHRINKING TUBE ASSEMBLY DEVICE FOR WIRE ROPE OF BUCKLE}
본 발명은 수축 튜브를 결합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안전벨트 버클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안전벨트용 와이어로프 조립체(900)는 버클과 연결되는 루프를 가진 와이어로프와 와이어로프의 겹쳐진 단부가 클램핑되며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킷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와이어로프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 조립체(900)는 압착 고정부(930)를 스웨징(Swaging)하여 와이어로프(910)의 양단부를 브라켓(940)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후, 와이어로프(910)의 선단(910a)에는 안전벨트의 버클이 구비된다. 그러나 와이어로프 조립체(900)는 와이어로프(910) 부분이 탄성에 의해 폭이 넓은 둥근 형태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형태로는 외관이 좋지 않으며 버클의 조립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와이어로프(910)가 일정 폭의 형태를 가지게 하는 방안으로 와이어로프(910) 외측을 열에 의해 수축하는 튜브를 씌우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종래의 튜브 결합 방식은 수작업에 의해 와이어로프(910) 중간 부분을 압착하여 수축 튜브를 결합시켜 수행되었으므로 제조 시간 증가에 따른 제조 비용이 상승과 함께, 제조된 제품간의 품질의 편차가 크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고른 품질을 얻으면서도 신속한 제조가 가능한 제조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열수축튜브 삽입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6695호 (2011년09월29일) "자동차 안전벨트용 와이어로프 조립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5180호 (2014년06월27일)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벨트 버클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는, 와이어로프(910)의 선단(910a)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 지그; 와이어로프(910)의 중간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는 제2 지그; 복수 개의 상기 제1 지그를 원호상에 방사형으로 구비하여 일정 간격 단위로 회전하는 턴테이블; 및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씌워진 수축 튜브에 열을 인가하여 수축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턴테이블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턴테이블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때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의 브라켓 부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부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중간 부분에 씌워지는 제1 수축 튜브를 가열하는 제1 히터; 및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의 돌기에 씌워지는 제2 수축 튜브를 가열하는 제2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수축 튜브의 상측에서 열을 가하는 상측 열원; 및 상기 제1 수축 튜브의 하측에서 열을 가하는 하측 열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축 튜브가 씌워진 와이어로프 조립체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히터가 배치된 위치로 이동해 오면 상기 상측 열원은 하강하고, 상기 하측 열원은 상승하여 상기 제1 수축 튜브를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히터는 상기 제1 수축 튜브가 씌워진 와이어로프 조립체의 회전 이동 방향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씌워진 수축 튜브를 상기 제1 지그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튜브 밀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튜브 밀착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밀착부의 상승 의해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수축 튜부가 상기 제1 지그 방향으로 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단이 삽입되며, 상기 선단의 삽입 인식을 수행하는 센서공이 구비되는 지그 몸체; 및 압축 공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선단 부분의 양측을 압착하는 고정 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그는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압축 공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와이어로프(910)의 중간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는 한 쌍의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가 정위치에 안착되면 상기 제1 지그 및 상기 제2 지그는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제1 지그가 상기 선단(910a) 부분을 압착하여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가 고정되면, 상기 제2 지그는 압착을 해지하고 하강하고,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상기 수축 튜브가 씌워지면 상기 턴테이블이 일정 간격 회전하여 원호상에 구비된 다음번 제1 지그가 상기 제2 지그와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턴테이블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탱크; 및 상기 압축 공기 탱크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제1 지그에 선택적 방향으로 제공하는 스위칭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그는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상기 고정 부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동시키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어느 한쪽 끝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 밸브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는 제1 유입구; 및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에 대해 다른 한쪽 끝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 밸브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는 제2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 밸브는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상기 제1 유입구로 공급하는 유로 및 상기 제 유입구로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케이싱 부재; 및 상기 제1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입구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스위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에 의하면,
첫째, 와이어로프 조립체를 고정하는 제1 지그는 턴테이블에 복수개 구비되며 회전하여 작업이 진행되므로, 와이어로프 조립체를 투입하는 투입구와 완성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튜브 결합 장치의 어느 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도 튜브 결합 장치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공간 확보에 유리하다.
둘째, 턴테이블과 동심원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여 와이어로프 조립체의 브라켓 부분을 하측에서 지지하므로, 제1 지그가 와이어로프의 선단만을 고정하더라도 와이어로프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셋째, 제1 히터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의 회전 이동 방향에 복수개가 배치되므로, 제1 수축 튜브의 수축에 소요되는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넷째,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씌워진 수축 튜브를 상기 제1 지그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튜브 밀착부를 구비하여, 수축 튜브의 조립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다섯째, 제1 지그는 와이어로프의 선단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부리를 압축 공기에 의해 고정하므로 제1 지그를 소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턴테이블에 배치되는 고정기구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섯째, 와이어로프 조립체가 정위치에 안착되면 제1 지그 및 제2 지그는 동시에 동작하여 와이어로프를 측면에서 압착하므로 제1 지그는 선단 부분만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곱째, 제1 지그에 와이어로프 조립체가 고정되면 제2 지그는 압착을 해지하고 하강하므로 수축 튜브를 브라켓 방향에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버클용 와이어로프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버클용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결합되기 위한 수축 튜브를 도시한다.
도 3은 버클용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가 결합되어 조립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제1 지그 및 제2 지그가 마주하여 와이어로프 조립체의 안착 대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의 사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1 지그 및 제2 지그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은 튜브 밀착부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2 히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1 지그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버클용 와이어로프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와이어로프 조립체(900)는 압착 고정부(930)를 스웨징(Swaging)하여 와이어로프(910)의 양단부를 브라켓(940)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후, 와이어로프(910)의 선단(910a)에는 안전벨트의 버클이 구비된다. 와이어로프(910)는 탄성에 의해 폭이 넓은 둥근 형태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형태로는 외관이 좋지 않으며 버클의 조립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도 2는 버클용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결합되는 수축 튜브를 도시한다.
제1 수축 튜브(810)를 와이어로프(910)에 씌워 와이어로프(910)의 넓은 폭을 수축시켜 고정한다. 한편, 브라켓(940)의 돌출된 돌기(945) 보호를 위해 제2 수축 튜브(820)을 씌워 고정한다.
제1 수축 튜브(810) 및 제2 수축 튜브(820)는 열에 의해 수축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튜브이다. 제1 수축 튜브(810) 및 제2 수축 튜브(820)는 후술하는 제1 히터 및 제2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수축하여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에 결합 된다.
도 3은 버클용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가 결합되어 조립된 예이다.
제품의 외관 및 버클 조립을 위해 제1 수축 튜브(810)는 압착 고정부(930)와 와이어로프(910)의 일부를 감싸도록 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와이어로프(910)의 선단(910a)은 버클이 조립되는 부분이므로 제1 수축 튜브(810)는 와이어로프(910)의 선단(910a) 부분을 제외하고 씌워진다. 제2 수축 튜브(8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945)에 씌워진다.
제1 수축 튜브(810)에 의해 와이어로프(910)의 둥근 형태가 압착되어 폭이 좁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수축튜브 결합 장치(1000)의 전반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축튜브 결합 장치(1000)는 제1 지그(100), 제2 지그(200), 턴테이블(300), 가열부(400), 가이드레일(500), 튜브 밀착부(600) 및 검출부(700)를 포함한다.
제1 지그(100)는 와이어로프(910)의 선단(910a)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여 고정한다. 제1 지그(100)는 턴테이블(300)의 원호 상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된다.
제2 지그(200)는 와이어로프(910)의 중간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한다.
턴테이블(300)은 복수 개의 제1 지그(100)를 원호상에 방사형으로 구비하여 일정 간격 단위로 회전시킨다. 턴테이블(300)의 하측에는 턴테이블(300)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SM)이 배치된다.
턴테이블(300)의 중심축에는 제1 지그(100) 구동을 위한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실린더(SL)이 구비된다.
가열부(400)는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에 씌워진 수축 튜브에 열을 인가하여 수축시킨다.
가이드레일(500)은 턴테이블(300)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턴테이블(300)의 외측에 배치되며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턴테이블(3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때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의 브라켓(940) 부분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튜브 밀착부(600)는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에 씌워진 제1 수축 튜브(810)를 제1 지그(100) 방향으로 밀착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수축튜브 결합 장치(1000)는 턴테이블(300)에 12개의 제1 지그(100)를 구비한다. 각각의 제1 지그(100)는 턴테이블(300)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바뀌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12개의 제1 지그(100) 각각에 식별부호를 붙여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에 특정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를 각각의 식별부호로 구분하여 작업 진행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st1 내지 st12는 각각 작업위치1(station 1) 내지 작업위치12(station 12)의 약칭이다.
st1은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에 제1 수축 튜브(810) 및 제2 수축 튜브(820)가 씌워지는 위치이다.
st1에서,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제2 지그(200)의 정위치에 안착되면 제1 지그(100) 및 제2 지그(200)는 동시에 동작하여 제1 지그(100)가 선단(910a) 부분을 압착하여 고정한다.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고정되면, 제2 지그(200)는 압착을 해지하고 하강한다.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에 제1 수축 튜브(810) 및 제2 수축 튜브(820)가 씌워지면, 턴테이블(300)이 회전하고 와이어로프 조립체(900)는 제1 지그(100)에 고정된 채로 st2로 이동된다. 제1 지그(100) 및 제2 지그(200)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st2에서, 튜브 밀착부(600)는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에 씌워진 제1 수축 튜브(810)를 제1 지그(100) 방향으로 밀착시킨다. 튜브 밀착부(600)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가열부(400)는 제1 수축 튜브(810)를 가열하는 제1 히터(400-1, 400-2) 및 돌기(946)에 씌워지는 제2 수축 튜브(820)를 가열하는 제2 히터(400-3)를 포함한다.
st3 및 st4에, 각각 제1 수축 튜브(810)를 가열하는 제1 히터(400-1, 400-2)가 배치된다. 제1 히터(400-1)는 st3에 배치된 제1 히터로서, 제1 수축 튜브(810)의 상측에서 열을 가하는 상측 열원(410) 및 제1 수축 튜브(810)의 하측에서 열을 가하는 하측 열원(420)을 구비한다.
제1 수축 튜브(810)가 씌워진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제1 히터(400-1)가 배치된 위치, 즉 st3로 이동해 오면 상측 열원(410)은 하강하고, 하측 열원(420)은 상승하여 제1 수축 튜브(810)를 가열한다.
제1 히터(400-2)는 st4에 배치된 제1 히터로서, st3에 배치된 제1 히터(400-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제1 수축 튜브(810)의 상측에서 열을 가하는 상측 열원(410) 및 제1 수축 튜브(810)의 하측에서 열을 가하는 하측 열원(420)을 구비한다.
제1 수축 튜브(810)가 씌워진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st4로 이동해 오면 상측 열원(410)은 하강하고, 하측 열원(420)은 상승하여 제1 수축 튜브(810)를 가열한다.
즉, st3에서, 제1 수축 튜브(810)의 1차 가열이 수행되고, st4에서, 제1 수축 튜브(810)의 2차 가열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히터(400-1, 400-2)가 복수개 구비되므로 제1 수축 튜브의 수축에 소요되는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st5에는 제2 수축 튜브(820)를 가열하는 제2 히터(400-3)가 배치된다. 제2 수축 튜브(820)는 브라켓(940)의 돌기(946)에 씌워지는 것으로서 제2 히터(400-3)는 브라켓(940)의 돌기(946)가 회전해 오는 위치, 즉, 가이드레일(500) 상에 위치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2 히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제2 히터(400-3)는 브라켓(940)의 돌기(946)가 회전해 오면(도 11a 참조), 하강하여 돌기(946)에 씌워진 제2 수축 튜브(820)를 가열한다. 제2 히터(400-3)는 원통형 파이프 형태를 가지며, 상부에서 주입되는 공기를 파이프 내부에서 가열하여 배출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히터(400-3)는 내부에서 공기를 가열하여 돌기(946)로 분사하여 제2 수축 튜브(820)를 수축시킨다.
st6, st7 및 st8에서는 제1 수축 튜브(810) 및 제2 수축 튜브(820)의 냉각이 수행된다. 이를 위해 st6, st7 및 st8에는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의 상하 면에 냉각용 공기를 분사하는 쿨러(CL)가 배치된다(도 6 참조). 쿨러(CL)의 배치 개수 및 형태는 조립하고자 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st8 및 st9에서는 제1 수축 튜브(810) 및 제2 수축 튜브(820)가 올바르게 부착되었는지 검출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검출부(700)가 st8 및 st9에 배치된다.
검출부(700)는 조립체 검출센서(710), 제1 수축튜브 검출센서(720) 및 제2 수축튜브 검출센서(730)를 포함한다.
조립체 검출센서(710)는 st8에 배치되어,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의 형태가 올바른지 검출한다. 조립체 검출센서(710)는 다른 종류의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투입되었는지 또는 제1 수축 튜브(810) 및 제2 수축 튜브(820) 조립 과정에서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의 형태가 변형되었는지를 검출한다.
검출결과 불량인 경우, 콘트롤패널(CP)은 불량 정보를 기록하여, 해당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st10에 위치했을 때 부적합품 적제함(BOX2)으로 배출시킨다.
제1 수축튜브 검출센서(720)는 st9에서 제1 지그(100)가 와이어로프(910)을 고정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제1 수축 튜브(810)가 올바른 길이로 고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제2 수축튜브 검출센서(730)는 st9에서. 브라켓(940)의 돌기(946)가 회전해 오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2 수축 튜브(820)가 바르게 고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
st10에는, 조립체 검출센서(710), 제1 수축튜브 검출센서(720) 및 제2 수축튜브 검출센서(730)에 의해 불량인 것으로 판정된 와이어로프 조립체(900)를 배출하는 배출슬로프(T)가 구비된다.
콘트롤패널(CP)은 불량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st10에 위치했을 때 제1 지그(100)의 고정을 해지하여 불량 와이어로프 조립체(900) 부적합품 적제함(BOX2)으로 배출되게 한다.
st11은 정상으로 판정된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배출되는 위치로서, 정상품 적제함(BOX1)이 구비된다.
콘트롤패널(CP)은 정상품인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st11에 위치했을 때 제1 지그(100)의 고정을 해지하여 정상품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적제함(BOX1)으로 배출되게 한다.
도 7은 제1 지그 및 제2 지그가 마주하여 와이어로프 조립체의 안착 대기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st1에서 제1 지그(100)가 제2 지그(200)과 마주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지그(100)는 와이어로프(910)의 선단(910a)이 삽입되며, 선단의 삽입을 인식하는 센서공(H)이 구비되는 지그 몸체(110) 및 압축 공기에 의해 구동되며, 선단(910a) 부분의 양측을 압착하는 고정 부리(120a, 120b)를 포함한다.
지그 몸체(110)는 압축 공기 주입에 따라 고정 부리(120a, 120b)를 개방한 상태로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의 안착을 대기한다.
지그 몸체(110)에는 선단(910a)의 삽입을 인식하는 센서공(H)이 구비되며, 센서공을 향한 센서는 센서공(H)에 선단(910a)의 삽입됨을 인식하여 다음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 지그(200)는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안착되는 안착부(210) 및 압축 공기에 의해 구동되며, 와이어로프(910)의 중간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는 한 쌍의 압착부(220a, 220b)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의 사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1 지그 및 제2 지그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a)는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의 안착을 대기하는 상태로서, 도 7과 같다. (b)는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안착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와이어로프 조립체(90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의 탄성에 따라 둥근 형태를 가진다. (a)에서 고정 부리(120a, 120b) 및 압착부(220a, 220b)는 둥근 형태의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충분히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b)에서의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의 안착은 와이어로프 조립체(900)를 안착부(210)에 올려놓고 선단(910a)이 지그 몸체(110) 센서공(H)을 가리도록 끼워넣는 것을 의미한다.
센서공(H)에 선단(910a)의 삽입이 인식되면 고정 부리(120a, 120b) 및 압착부(220a, 220b)가 동시에 구동되어 고정 부리(120a, 120b) 선단(910a) 부분을 압착하여 고정하게 한다.
고정 부리(120a, 120b) 상기 선단(910a) 부분을 압착하여 고정할 때, 압착부(220a, 220b)는 동시에 와이어로프(910)의 중간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시키므로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선단(910a) 부분의 탄성에 의해 고정 부리(120a, 120b)로부터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 부리(120a, 120b)에 의해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의 선단(910a)가 고정되면, 압착부(220a, 220b)는 압착을 해지하고 처음의 상태로 개방된다.
이어서, 제2 지그(200)는 하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지그(200)는 승강부재 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2 지그(200)가 하강하면 와이어로프 조립체(900)는 선단(910a)만 고정된 플로팅 상태가 된다.
이어서 (e)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튜브(810) 및 제2 튜브(820)가 씌워진다. 제1 튜브(810)는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의 폭보다 넓은 것을 사용한다. 플로팅 상태의 와이어로프 조립체(900)는 브라켓(940) 쪽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1 튜브(810)는 브라켓(940) 쪽으로 씌워지게 된다. (도 8 참조)
제1 튜브(810) 및 제2 튜브(820) 씌움이 완료되면 제1 지그(100)은 st2로 이동하고, st1에서는 다시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에 튜브 씌움이 수행되어 연속적인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0은 튜브 밀착부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튜브 밀착부(600)는 경사면(620) 및 수축 튜브 인식 센서(610)를 포함한다. 경사면(620)은 승강부재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에 씌워진 제1 수축 튜브(810)는 경사면(620)의 상승에 의해 제1 지그(100) 쪽으로 밀착되게 된다. 튜브 인식 센서(610)는 제1 수축 튜브(810)가 제대로 씌워졌는지를 확인하고, 튜브 인식이 되지 않았을 경우 불량으로 판정하여 콘트롤패널(CP)로 하여금 해당 제1 지그(100)에 고정된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에 추가적인 조립동작, 즉 가열 및 냉각이 진행되지 않게 한다. 또한 콘트롤패널(CP)은 해당 제1 지그(100)에 고정된 와이어로프 조립체(900)가 st10에 위치했을 때 제1 지그(100)의 고정을 해지하여 불량 와이어로프 조립체(900) 부적합품 적제함(BOX2)으로 배출되게 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1 지그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턴테이블(300)은 턴테이블(300)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탱크(10)를 포함한다.
또한, 턴테이블(300)은 압축 공기 탱크(10)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제1 지그(100)에 선택적 방향으로 제공하는 스위칭 밸브(20)를 포함한다.
스위칭 밸브(20)는 하나가 제1 지그(100) 하나에 대응되도록 제1 지그(100)의 개수에 맞게 구비된다.
압축 공기 탱크(10)는 압축 공기를 저장하고 있으며, 연결된 복수개의 스위칭 밸브(20)에 고르게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스위칭 밸브(20)는 제1 압축공기 공급관(170) 및 제2 압축공기 공급관(180)을 통해 대응되는 제1 지그(100)에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데 스위칭 밸브(2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압축 공기는 제1 압축공기 공급관(170)을 통해서만 공급되거나, 제2 압축공기 공급관(180)을 통해서만 공급되게 된다.
제1 지그(100)는 피스톤(130), 실린더(140), 제1 유입구(150) 및 제2 유입구(160)를 포함하며, 피스톤(130), 실린더(140), 제1 유입구(150) 및 제2 유입구(160)는 지그 몸체부(110)에 배치된다.
실린더(140)는 피스톤(130)을 수용하여 압축 공기의 공급에 의해 피스톤(130)이 어느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움직이게 한다.
피스톤(130)은 실린더(140) 내부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130)에 연결된 고정 부리(120a, 120b)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동시킨다. 고정 부리(120a, 120b)는 도시에서 생략하였으며, 도 12a 및 도 12b는 어느 한쪽 고정 부리를 구동하는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한 것이다.
제1 유입구(150) 및 제2 유입구(160)는 각각 실린더(14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어느 한쪽 끝에 구비되어 실린더(140) 내부로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스위칭 밸브(20)는 케이싱 부재(21), 스위칭 부재(22), 제1 유로(23), 압축공기 유입로(24) 및 제2 유로(25)를 포함한다.
압축공기 유입로(24)는 압축 공기 탱크(10)와 연결되어 압축 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받는다.
제1 유로(23)는 제1 압축공기 공급관(170)을 통해 제1 유입구(150)와 연결된다. 제2 유로(25)는 제2 압축공기 공급관(180)을 통해 제2 유입구(160)와 연결된다.
스위칭 부재(22)는 외부 힘에 의해 이동하여 케이싱 부재(21) 내부에 형성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 경로를 변경시킨다. 외부 힘은 st1, st10, st11에 배치되는 에어실린더(SL)에 의해 가해진다.
도 12a는 스위칭 부재(22)가 압축공기 유입로(24)의 상측에 위치하여 압축 공기가 제2 유로(25), 제2 압축공기 공급관(180) 및 제2 유입구(160)를 통해 실린더(140)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설명한다.
피스톤(130)은 제2 유입구(160)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피스톤(130)에 연결된 고정 부리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동작하여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의 선단(910a)을 고정하게 된다.
도 12b는 스위칭 부재(22)가 압축공기 유입로(24)의 하측에 위치하여 압축 공기가 제1 유로(23), 제1 압축공기 공급관(170) 및 제1 유입구(150)를 통해 실린더(140)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설명한다.
피스톤(130)은 제1 유입구(150)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피스톤(130)에 연결된 고정 부리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동작하여, st1에서는 와이어로프 조립체(900)의 선단(910a) 고정을 위해 개방되고, st10 및 st11에서는 와이어로프 조립체(900)를 정상품 적제함(BOX1) 또는 부적합품 적제함(BOX2)으로 배출되게 한다.
한편, 스위칭 부재(22)는 에어실린더(SL)의 외력이 해지되면 도 12a의 상태를 갖게 된다. 이를 위해 스위칭 부재(22)에는 복원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수축튜브 결합 장치
100 : 제1 지그
200 : 제2 지그
300 : 턴테이블
400 : 가열부

Claims (13)

  1. 삭제
  2.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로서,
    와이어로프의 선단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 지그;
    와이어로프의 중간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는 제2 지그;
    복수 개의 상기 제1 지그를 원호상에 방사형으로 구비하여 일정 간격 단위로 회전하는 턴테이블;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씌워진 수축 튜브에 열을 인가하여 수축시키는 가열부; 및
    상기 턴테이블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턴테이블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때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의 브라켓 부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3.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로서,
    와이어로프의 선단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 지그;
    와이어로프의 중간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는 제2 지그;
    복수 개의 상기 제1 지그를 원호상에 방사형으로 구비하여 일정 간격 단위로 회전하는 턴테이블; 및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씌워진 수축 튜브에 열을 인가하여 수축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중간 부분에 씌워지는 제1 수축 튜브를 가열하는 제1 히터; 및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의 돌기에 씌워지는 제2 수축 튜브를 가열하는 제2 히터를 포함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터는,
    상기 제1 수축 튜브의 상측에서 열을 가하는 상측 열원; 및
    상기 제1 수축 튜브의 하측에서 열을 가하는 하측 열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축 튜브가 씌워진 와이어로프 조립체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히터가 배치된 위치로 이동해 오면 상기 상측 열원은 하강하고, 상기 하측 열원은 상승하여 상기 제1 수축 튜브를 가열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터는,
    상기 제1 수축 튜브가 씌워진 와이어로프 조립체의 회전 이동 방향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6.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로서,
    와이어로프의 선단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 지그;
    와이어로프의 중간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는 제2 지그;
    복수 개의 상기 제1 지그를 원호상에 방사형으로 구비하여 일정 간격 단위로 회전하는 턴테이블; 및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씌워진 수축 튜브에 열을 인가하여 수축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씌워진 수축 튜브를 상기 제1 지그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튜브 밀착부를 더 구비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튜브 밀착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밀착부의 상승 의해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수축 튜부가 상기 제1 지그 방향으로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그는,
    상기 선단이 삽입되며, 상기 선단의 삽입 인식을 수행하는 센서공이 구비되는 지그 몸체; 및
    압축 공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선단 부분의 양측을 압착하는 고정 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는,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압축 공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와이어로프의 중간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는 한 쌍의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10.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로서,
    와이어로프의 선단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 지그;
    와이어로프의 중간 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는 제2 지그;
    복수 개의 상기 제1 지그를 원호상에 방사형으로 구비하여 일정 간격 단위로 회전하는 턴테이블; 및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씌워진 수축 튜브에 열을 인가하여 수축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가 정위치에 안착되면 상기 제1 지그 및 상기 제2 지그는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제1 지그가 상기 선단 부분을 압착하여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가 고정되면, 상기 제2 지그는 압착을 해지하고 하강하고,
    상기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상기 수축 튜브가 씌워지면 상기 턴테이블이 일정 간격 회전하여 원호상에 구비된 다음번 제1 지그가 상기 제2 지그와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턴테이블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탱크; 및
    상기 압축 공기 탱크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제1 지그에 선택적 방향으로 제공하는 스위칭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그는,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상기 고정 부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동시키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어느 한쪽 끝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 밸브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는 제1 유입구; 및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에 대해 다른 한쪽 끝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 밸브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는 제2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13. 삭제
KR1020160053186A 2016-04-29 2016-04-29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KR101702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186A KR101702303B1 (ko) 2016-04-29 2016-04-29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186A KR101702303B1 (ko) 2016-04-29 2016-04-29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303B1 true KR101702303B1 (ko) 2017-02-03

Family

ID=5815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186A KR101702303B1 (ko) 2016-04-29 2016-04-29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30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7943A (zh) * 2018-07-05 2018-11-16 东莞市克诺五金有限公司 皮带扣自动组装机
KR102068925B1 (ko) * 2019-02-27 2020-01-21 김근태 와이어 자동 압착 장치
KR102118117B1 (ko) * 2019-12-31 2020-06-02 김태완 제조 효율이 향상된 와이어로프 어셈블리 가공장치
KR102118115B1 (ko) * 2019-12-31 2020-06-02 김태완 안전벨트용 와이어로프 어셈블리의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로프 어셈블리의 가공방법
CN111376014A (zh) * 2019-11-07 2020-07-07 神通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弹性金属夹及隔音棉装配设备
KR102213450B1 (ko) * 2019-12-19 2021-02-08 곽호영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
CN112621151A (zh) * 2020-12-11 2021-04-09 中国兵器装备集团自动化研究所 一种搭扣自动扣合拧紧装置
CN112792531A (zh) * 2020-11-20 2021-05-14 义乌市宏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绳扣自动化组装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653A (ja) * 1997-01-30 1998-08-11 Japan Automat Mach Co Ltd 電子部品のチューブ被覆装置
KR19990004433A (ko) * 1997-06-28 1999-01-15 양재신 공압 용접지그의 안전장치
KR20030005614A (ko) * 2001-07-09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용접 지그용 부품 감지장치
KR100993806B1 (ko) * 2008-12-31 2010-11-12 주식회사 경신 열수축튜브용 열성형장치
KR20110106695A (ko) 2010-03-23 2011-09-29 부국산업주식회사 열수축튜브 삽입장치
KR101415180B1 (ko) 2013-07-19 2014-07-04 주식회사 효진 자동차 안전벨트용 와이어로프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653A (ja) * 1997-01-30 1998-08-11 Japan Automat Mach Co Ltd 電子部品のチューブ被覆装置
KR19990004433A (ko) * 1997-06-28 1999-01-15 양재신 공압 용접지그의 안전장치
KR20030005614A (ko) * 2001-07-09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용접 지그용 부품 감지장치
KR100993806B1 (ko) * 2008-12-31 2010-11-12 주식회사 경신 열수축튜브용 열성형장치
KR20110106695A (ko) 2010-03-23 2011-09-29 부국산업주식회사 열수축튜브 삽입장치
KR101415180B1 (ko) 2013-07-19 2014-07-04 주식회사 효진 자동차 안전벨트용 와이어로프 조립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7943A (zh) * 2018-07-05 2018-11-16 东莞市克诺五金有限公司 皮带扣自动组装机
CN108817943B (zh) * 2018-07-05 2019-08-16 东莞市克诺五金有限公司 皮带扣自动组装机
KR102068925B1 (ko) * 2019-02-27 2020-01-21 김근태 와이어 자동 압착 장치
CN111376014A (zh) * 2019-11-07 2020-07-07 神通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弹性金属夹及隔音棉装配设备
KR102213450B1 (ko) * 2019-12-19 2021-02-08 곽호영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2118117B1 (ko) * 2019-12-31 2020-06-02 김태완 제조 효율이 향상된 와이어로프 어셈블리 가공장치
KR102118115B1 (ko) * 2019-12-31 2020-06-02 김태완 안전벨트용 와이어로프 어셈블리의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로프 어셈블리의 가공방법
CN112792531A (zh) * 2020-11-20 2021-05-14 义乌市宏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绳扣自动化组装设备
CN112621151A (zh) * 2020-12-11 2021-04-09 中国兵器装备集团自动化研究所 一种搭扣自动扣合拧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303B1 (ko)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US6685112B1 (en) Fuel injector armature with a spherical valve seat
CN100537058C (zh) 清洗器喷射流验证设备
JP2002327660A (ja) モジューラ燃料インジェクタ及びモジューラ燃料インジェクタを組み立てる方法
US5874707A (en) Processing torch having a separably assembled torch base and torch head
EP1245825A1 (en) Method of positioning components of a modular fuel injector
JP4038047B2 (ja) 衝突面が表面処理された電磁的アクチュエータを有しかつ電磁的アクチュエータと相互接続する端子コネクタを有するモジュラー燃料インジェクタ
KR101252722B1 (ko) 열풍 융착용 융착툴
KR100962606B1 (ko) 열풍융착용 모듈
EP2065168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lexible hose with tube disposed thereinside
EP1708905B1 (en) Fuel accessory for fuel tank and method for internally attaching same
CN111266859A (zh) 滤波器自动组装生产线
CN102907192A (zh) 通用射频屏蔽件的去除
JP3624279B2 (ja) 孔明き部品の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装置と溶接方法
JP2007518627A5 (ko)
US10695777B2 (en) Device for applying a viscous material
CA2429870C (en) Device and method for bonding friction material of clutch pulley
US20090000599A1 (en) Fuel accessory for fuel tank and method for internally attaching same
KR102068925B1 (ko) 와이어 자동 압착 장치
US8585970B2 (en) Flow through cartridge for selecting an analyte online with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5505606A (en) Nozzle hole sealing device for injection nozzle
EP1245823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modular fuel injector
US6554488B2 (en) Optical fiber end processing method and optical fiber end processing equipment
CN210893563U (zh) 气密性检测装置
US20020088541A1 (en) Thermoplastic we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