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450B1 -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450B1
KR102213450B1 KR1020190171100A KR20190171100A KR102213450B1 KR 102213450 B1 KR102213450 B1 KR 102213450B1 KR 1020190171100 A KR1020190171100 A KR 1020190171100A KR 20190171100 A KR20190171100 A KR 20190171100A KR 102213450 B1 KR102213450 B1 KR 102213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fixing
transfer
molding
fix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호영
Original Assignee
곽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호영 filed Critical 곽호영
Priority to KR1020190171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는, 로프가 고정 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기구와, 상기 고정기구를 이송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송기구와, 상기 이송기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에 로프를 셋팅하고 절단 할 수 있도록 하는 셋팅기구와, 상기 이송기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에 고정된 로프의 양 끝단에 핀을 형성 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기구와, 상기 이송기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에 의해 고정된 로프가 분리 될 수 있도록 하는 로프분리기구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셋팅기구에 의하여 로프는 고정기구에 고정 및 절단되며, 성형기구에 의하여 핀이 형성됨으로서,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이며 원가 절감 및 균일한 품질을 유지 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Rope pin manufacturing method and equipment}
본 발명은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프를 소정 간격마다 절단 할 수 있으며, 절단된 로프의 양 끝단에는 로프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는 핀을 형성함으로서 절단된 로프의 양 끝단의 풀림 등을 방지하고 사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프 손잡이 끈 제조 장치라함은 로프의 일정 간격마다 안착부를 형성 할 수 있도록 성형 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장치이다.
상기한 로프 손잡이 끈 제조 장치는, 로프를 안내하는 롤러 또는 실린더 등에 의하여 로프가 이동되며, 이동된 로프는 성형기구에 삽입되어 인서트 성형(insert mol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로프 손잡이 끈 제조 장치는, 로프의 일정 간격마다 안착부를 형성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로프 손잡이 끈 제조 장치는, 안착부가 형성된 로프를 절단하는 별도의 공정이 더 추가되어야하고, 이러한 공정은 사람이 수작업으로 진행함으로서 정밀도와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안착부가 더 형성된 로프를 자동으로 절단 할 수 있도록 하는 로프 손잡이 끈 제조 장치가 개발되어 개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0-1917499호에서는, 로프에 안착부를 형성 할 수 있는 금형과, 안착부가 형성된 부분이 안착 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과, 이러한 안착부를 절단 할 수 있는 커터와, 절단된 로프를 인출 할 수 있는 인출유닛을 구비함으로서 로프에 안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로프의 절단도 가능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로프의 중간에 안착부를 형성하고 절단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므로, 절단된 안착부의 절단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로프와 수평하는 방향으로 안착부에 응력이 가해질 경우 안착부가 이탈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191749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견고하게 핀이 형성된 로프를 제조 할 수 있는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로프를 절단한 이후에 로프의 양 끝단을 융해하고 응고시킴으로서 보다 견고하게 핀이 형성된 로프를 제조 할 수 있는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는, 로프가 고정 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기구(100)와, 상기 고정기구(100)를 이송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송기구(500)와,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에 로프를 셋팅하고 절단 할 수 있도록 하는 셋팅기구(200)와,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의 양 끝단에 핀을 형성 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기구(300)와,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에 의해 고정된 로프가 분리 될 수 있도록 하는 로프분리기구(4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기구(100)는, 외형을 이루는 고정기구몸체(110)와, 상기 고정기구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치기어(511,512)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기구회전축(150)과, 상기 고정기구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고정기구몸체(11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지프레임(122,123)과, 상기 지지프레임(122,123)의 일측에 구비되며 왕복 운동이 가능한 왕복대(130,140)와, 상기 왕복대(130,140)의 일측에 구비되며 로프를 고정 할 수 있도록 하는 로프고정부재(17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셋팅기구(200)는,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형을 이루는 셋팅기구몸체(210)와, 상기 셋팅기구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로프가 삽입되고 꼬임을 방지하는 인출유도관(220)과, 상기 셋팅기구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로프가 고정기구(100)에 고정 될 수 있도록 위치 시키는 인출기(230)와, 상기 셋팅기구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를 절단하는 절단기(240)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기구(300)는,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일방으로 전진 및 후진하는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와, 상기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의 일측에 구비되며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에 의하여 전진 및 후진되는 성형기구몸체(310)와, 상기 성형기구몸체(310)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로프를 가압하는 성형기구돌출부(311)와, 상기 성형기구돌출부(311)의 일측에 구비되며 로프를 성형하는 성형수단(320)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은, 복수개의 로프를 인출하는 단계와, 인출된 복수개의 로프를 고정기구(100)로 고정하는 단계와,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복수개의 로프를 절단하는 단계와, 고정기구(100)에 고정됨과 더불어 절단된 복수개의 로프 양쪽 끝단에 핀을 성형하는 단계와, 고정기구(100)에 고정됨과 더불어 절단되고 핀이 형성된 로프를 고정기구(10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기구가 순환 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서, 이송기구의 상부에 놓여져 이송되는 고정기구가 계속 순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기구의 상부에 놓여져 이송되는 고정기구가 계속 순환됨에 따라 작은 공간에서도 작업이 계속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성형기구에 곡률홈이 형성됨으로서, 성형기구에 의하여 형성되는 핀의 외형이 곡률을 가지게 되어 미관과 사용자의 안전에 있어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성형기구가 구비됨으로서, 별도의 성형수지와 인서트 금형(insert mold)을 장착하는 사출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즉, 성형기구를 통하여 로프의 양 끝단을 성형함으로서,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핀을 형성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로프분리기구가 구비됨으로서, 로프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셋팅기구와 성형기구에 의하여 로프가 절단되고 핀이 성형됨으로서,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이며 원가 절감 및 균일한 품질을 유지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기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기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왕복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셋팅기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셋팅기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기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기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로프분리기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는, 로프가 고정 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기구(100)와, 상기 고정기구(100)를 이송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송기구(500)와,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에 로프를 셋팅하고 절단 할 수 있도록 하는 셋팅기구(200)와,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의 양 끝단에 핀을 형성 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기구(300)와,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에 의해 고정된 로프가 분리 될 수 있도록 하는 로프분리기구(4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기구(500)는, 제1이송수단(501)과, 제2이송수단(502)과, 제3이송수단(503)과, 제4이송수단(504) 등으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구(100)가 놓여져 이송 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기구(50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이송수단(501)과 제2이송수단(502)이 복층으로 구비된다. 즉, 1층에는 제1이송수단(501)이 구비되고, 2층에는 제2이송수단(502)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이송수단(502)의 우측(도 1에서)에는 제3이송수단(503)이 구비되고, 제1이송수단(501)의 좌측(도 1에서)에는 제4이송수단(504)이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기구(50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고정기구(100)가 놓여져 이송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이송수단(502)의 상부에는, 셋팅기구(200)가 구비된다.
상기 셋팅기구(200)는,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형을 이루는 셋팅기구몸체(210)와, 상기 셋팅기구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로프가 삽입되고 꼬임을 방지하는 인출유도관(220)과, 상기 셋팅기구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로프가 고정기구(100)에 고정 될 수 있도록 위치 시키는 인출기(230)와, 상기 셋팅기구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를 절단하는 절단기(240)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셋팅기구(200)는, 로프를 인출하여 고정기구(100)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절단 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제3이송수단(503)의 상부에는, 성형기구(300)가 구비된다.
상기 성형기구(300)는, 가열수단(321)과 냉각수단(32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성형기구(300)는, 제3이송수단(503)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처럼 제3이송수단(503)의 상부에 성형기구(300)가 고정 설치되는 것은, 성형기구(300)를 제3이송수단(503)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520)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성형기구(300)는, 제3이송수단(503)과 함께 상하로 왕복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성형기구(300)는, 로프의 선단과 후단에 열을 가하여 녹이고, 녹은 로프를 다시 냉각시킴으로서 핀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제1이송수단(501)의 상부에는, 로프분리기구(400)가 구비된다.
상기 로프분리기구(400)는, 다수개의 분리홈(450)이 형성되어 가공을 마친 로프가 고정기구(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로프분리기구(400)는, 로프의 핀 부분과 결합하게 됨으로서 고정기구(100)에서 끼임 등이 발생되어 분리되지 않은 로프를 분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로프분리기구(400)의 하부에는, 바구니(530)가 구비된다.
상기 바구니(530)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고정기구(100)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바구니(530)는, 로프분리기구(400)에 의하여 분리된 로프를 수용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를 통하여 로프는 절단 및 성형되고 가공을 마친 로프는 지면 방향으로 낙하되어 바구니(530)에 수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이송기구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이송기구(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에는, 이송기구(50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기구(500)는, 제1이송수단(501)과, 제2이송수단(502)과, 제3이송수단(503)과, 제4이송수단(50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기구(500)에 포함된 제1이송수단(501)과 제2이송수단(502)과 제3이송수단(503)과 제4이송수단(504)은, 롤러 컨베이어와 유사한 것으로서,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이송수단(501)과 제2이송수단은, 복층으로 구비된다. 즉, 1층에는 제1이송수단(501)이 구비되고, 2층에는 제2이송수단(502)이 구비된다.
한편 제1이송수단(501)의 상부와, 제2이송수단(502)의 상부에는, 고정기구(100)의 열림과 닫힘을 제어 할 수 있는 내치기어(511,512)가 구비된다. 즉, 제1이송수단(501)의 좌측부(도 2에서) 상면에는 제1내치기어(511)가 구비되며, 제2이송수단(502)의 중앙부(도 2에서) 상면에는 제2내치기어(512)가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기구(100)의 열림은, 제1왕복대(130)와 제2왕복대(140)에 구비된 서로 다른 로프고정부재(170)가 이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고정기구(100)의 닫힘은, 제1왕복대(130)와 제2왕복대(140)에 구비된 서로 다른 로프고정부재(170)가 밀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내치기어(511)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원형 링(ring)이 형성되고, 원형 링(ring)의 내륜에는 내륜부를 따라서 기어 이빨이 더 형성되며, 이처럼 내륜에 기어 이빨이 형성된 원형 링(ring)에는 하나의 개방된 면을 커버 할 수 있는 원형 평판이 더 형성된다. 즉, 제1내치기어(511)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원형 평판에 홈이 형성되고, 홈의 내륜에는 기어 이빨이 형성된 것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제1내치기어(511)는, 적어도 고정기구기어(153)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며, 고정기구기어(153)와 결합 시 기어 이빨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제1내치기어(511)는, 모터와 실린더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내치기어(511)는, 모터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이러한 모터는 실린더와 결합되어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내치기어(512)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원형 링(ring)이 형성되고, 원형 링(ring)의 내륜에는 내륜부를 따라서 기어 이빨이 더 형성되며, 이처럼 내륜에 기어 이빨이 형성된 원형 링(ring)에는 하나의 개방된 면을 커버 할 수 있는 원형 평판이 더 형성된다. 즉 제2내치기어(512)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원형 평판에 홈이 형성되고, 홈의 내륜에는 기어 이빨이 형성된 것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제2내치기어(512)는, 적어도 고정기구기어(153)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며, 고정기구기어(153)와 결합 시 기어 이빨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제2내치기어(512)는, 모터와 실린더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2내치기어(512)는, 모터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이러한 모터는 실린더와 결합되어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내치기어(511,512)에 의하여 고정기구(100)는, 열리고 닫힐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내치기어(511,512)의 우측(도 2에서)에는, 레바실린더(551,552)가 구비된다. 즉, 제1내치기어(511)의 우측(도 3에서)에는 제1레바실린더(551)가 구비되며, 제2내치기어(512)의 우측(도 3에서)에는, 제2레바실린더(552)가 구비된다.
그리고 내치기어(511,512)와 레바실린더(551,552) 간 이격 거리(도 2에서 좌우)는, 고정기구회전축(150)과 레바(182) 간 이격 거리(도 3에서 좌우)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레바실린더(551,552)는, 상기 이송기구(50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하(도 2에서)로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레바실린더(551,552)의 실린더로드 끝단은, 실린더로드의 우측(도 2에서)에서 좌측(도 2에서)으로 경사를 가지며, 이러한 경사는 하측(도 2에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레바실린더(551,552)가 상측(도 2에서)으로 전진하게 되면, 레바실린더(551,552)의 실린더로드에 형성된 경사에 의하여 레바(182)를 우측(도 2에서)에서 좌측(도 2에서)으로 가압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잠금수단(180)을 우측(도 3에서)으로 소정 거리 만큼 이동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이송수단(502)의 우측(도 2에서)에는, 제3이송수단(503)이 구비된다.
상기 제3이송수단(503)은, 실린더 등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실린더 등에 의하여 제3이송수단(503)은, 상하(도 2에서)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3이송수단(503)은 하부에 가이드레일(520)이 구비되어 상하(도 2에서)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제3이송수단(503)은 하강 하였을 경우 제1이송수단(501)과 수평을 이루고, 상승 하였을 경우 제2이송수단(502)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제1이송수단(501)의 좌측(도 2에서)에는, 제4이송수단(504)이 구비된다.
상기 제4이송수단(504)은, 실린더 등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실린더 등에 의하여 제4이송수단(504)은, 상하(도 2에서)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제4이송수단(504)은 상부에 가이드레일(520)이 구비되어 상하(도 2에서)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제4이송수단(504)은 상승 하였을 경우, 제2이송수단(502)과 수평을 이루고, 하강 하였을 경우, 제1이송수단(501)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제1이송수단(501)과 제2이송수단(502)과 제3이송수단(503)과 제4이송수단(504)의 상부에는, 이송롤러(54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롤러(540)는, 제1이송수단(501)과 제2이송수단(502)과 제3이송수단(503)과 제4이송수단(504)의 상부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제1이송수단(501)과 제2이송수단(502)과, 제3이송수단(503)과 제4이송수단(504)에는, 각각의 이송롤러(540)를 시계 방향(도 2에서) 또는 반시계 방향(도 2에서)으로 회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인(chain) 과 모터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처럼 이송롤러(540)는 체인(chain)과 모터 등에 의하여 시계 방향(도 2에서) 또는 반시계 방향(도 2에서)으로 회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 시스템은,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1이송수단(501)과 제2이송수단(502)과 제3이송수단(503)과 제4이송수단(504)의 상부에 놓여진 고정기구(100)는, 좌측(도 2에서) 또는 우측(도 2에서)으로 이송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내지 도 4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기구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기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왕복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기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구(1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기구(100)는, 외형을 이루는 고정기구몸체(110)와, 상기 고정기구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치기어(511,512)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기구회전축(150)과, 상기 고정기구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고정기구몸체(11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지프레임(122,123)과, 상기 지지프레임(122,123)의 일측에 구비되며 왕복 운동이 가능한 왕복대(130,140)와, 상기 왕복대(130,140)의 일측에 구비되며 로프를 고정 할 수 있도록 하는 로프고정부재(170)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기구몸체(11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즉, 4개의 사각 프레임(frame)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을 만든 것과 유사하다.
그리고 고정기구몸체(110)의 내부 우측(도 3에서)에는, 고정기구회전축(15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기구회전축(150)은, 고정기구몸체(110)의 전방(도 3에서) 프레임과 후방(도 3에서) 프레임을 관통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후방측(도 3에서)으로 일부가 더 연장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고정기구회전축(150)에는, 베벨기어(151,152)가 더 구비된다. 즉, 제1베벨기어(151)와 제2베벨기어(152)가 구비된다.
상기 제1베벨기어(151)와, 제2베벨기어(152)는,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즉, 회전 방향은 같지만 연결되는 종속베벨기어(161,163) 끼리는 서로 다른 회전 방향을 가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고정기구회전축(150)의 후단(도 3에서)에는, 고정기구기어(153)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베벨기어(151)와 제2베벨기어(152)는, 전후(도 3에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정기구회전축(150)은, 베어링에 의하여 고정기구몸체(1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고정기구몸체(110)의 내부에는, 고정기구지지대(121)가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기구지지대(121)는, 고정기구회전축(150)으로부터 좌측(도 3에서)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고정기구몸체(110)의 전방(도 3에서) 프레임과 후방(도 3에서) 프레임을 이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기구지지대(121)는, 사각 또는 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고정기구몸체(110)의 내부에는, 지지프레임(122,123)이 더 구비된다. 즉, 제1지지프레임(122)과 제2지지프레임(123)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22,123)은, 사각 또는 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22)은, 고정기구(100)의 전방(도 3에서) 프레임으로부터 후방(도 3에서)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의 좌측(도 3에서) 프레임과 고정기구지지대(121)를 이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123)은, 고정기구(100)의 후방(도 3에서) 프레임으로부터 전방(도 3에서)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의 좌측(도 3에서) 프레임과 고정기구지지대(121)를 이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지지프레임(122)에는, 제1왕복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왕복대(130)는, 제1지지프레임(122)에 구속되어 좌우(도 3에서)로 슬라이딩되어 이동 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제1왕복대(130)는, 제1지지프레임(122)에 베어링 결합되어 좌우(도 3에서)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제1왕복대(130)는, 내부가 중공된 원 또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왕복대고정부(133)와, 제1왕복대돌출부(131)와, 제1왕복대지지부(132)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1왕복대(130)의 우측단(도 3에서)에는, 제1왕복대고정부(133)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1왕복대고정부(133)는, 제1왕복대(130)의 우측단(도 3에서) 후방면(도 3에서)으로부터 후방측(도 3에서)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왕복대고정부(133)는, 원 또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제1왕복대(130)에는, 제1왕복대돌출부(13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1왕복대돌출부(131)는, 제1왕복대(130)의 후방면(도 3에서)에서 후방측(도 3에서)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제1왕복대돌출부(131)는,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제1왕복대돌출부(131)에는, 한 쌍의 제1왕복대지지부(132)가 더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1왕복대지지부(132)는, 제1왕복대돌출부(131)의 상면(도 4에서)으로부터 상측(도 4에서)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한 쌍의 제1왕복대지지부(132)는, 전후(도 4에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한 쌍의 제1왕복대지지부(132)에는, 로프고정부재(1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로프고정부재(17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 기둥을 반으로 절단한 반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로프가 안착 될 수 있도록 하는 반 원 홈이 전후(도 3에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로프고정부재(170)의 외형은, 후단(도 4에서 우측)에서 선단(도 4에서 좌측)으로 경사가 형성된다. 이처럼 로프고정부재(170)의 상부(도 4에서)에서 하부(도 4에서)로, 하부(도 4에서)에서 상부(도 4에서)로 형성되는 경사에 의하여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로프고정부재(170)의 선단(도 4에서 좌측)은, 후단(도 4에서 우측)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로프고정부재(170)는, 서로 다른 두개의 로프고정부재(170)가 밀착되었을 때, 내부에 형성된 홈은 로프보다는 크게 형성되나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로프가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로프고정부재(170)는, 한 쌍의 제1왕복대지지부(132) 중 전방(도 3에서)에 위치한 제1왕복대지지부(132)와 후방(도 3에서)에 위치한 제1왕복대지지부(132)에 각각 구비된다. 즉, 로프고정부재(170)는, 한 쌍의 제1왕복대지지부(132)에 두개가 구비된다.
한번 더 설명하면, 한 쌍의 제1왕복대지지부(132) 중 전방(도 3에서)에 위치한 제1왕복대지지부(132)에 구비된 로프고정부재(170)는, 로프고정부재(170)의 선단이 전방(도 3에서)으로 향하도록 구비되며, 후방(도 3에서)에 위치한 제1왕복대지지부(132)에 구비된 로프고정부재(170)는, 로프고정부재(170)의 선단이 후방(도 3에서)으로 향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제2지지프레임(123)에는, 제2왕복대(1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왕복대(140)는, 제1왕복대(130)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왕복대(140)는, 제2지지프레임(123)에 구속되어 좌우(도 3에서) 슬라이딩 되어 이동 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제2왕복대(140)는, 내부가 중공된 원 또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왕복대고정부(143)와, 제2왕복대돌출부(141)와, 제2왕복대지지부(142)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2왕복대(140)의 우측단(도 3에서)에는, 제2왕복대고정부(143)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2왕복대고정부(143)는, 제2왕복대(140)의 우측단(도 3에서) 전방면(도 3에서)으로부터 전방측(도 3에서)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왕복대고정부(143)는, 원 또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제2왕복대(140)에는, 제2왕복대돌출부(14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2왕복대돌출부(141)는, 제2왕복대(140)의 전방면(도 3에서)에서 전방측(도 3에서)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제2왕복대돌출부(141)는, 제1왕복대돌출부(131)와 좌우(도 3에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제2왕복대돌출부(141)에는, 한 쌍의 제2왕복대지지부(142)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왕복대지지부(142)는, 전후(도 3에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제2왕복대지지부(142)는, 제2왕복대돌출부의 상면(도 4에서)으로부터 상측(도 4에서)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한 쌍의 제2왕복대지지부(142)에는 로프고정부재(170)가 더 구비된다.
이처럼 제2왕복대지지부(142)에 구비되는 로프고정부재(170)는, 한 쌍의 제2왕복대지지부(142) 중 전방(도 3에서)에 위치한 제2왕복대지지부(142)와 후방(도 3에서)에 위치한 제2왕복대지지부(142)에 각각 구비된다. 즉, 로프고정부재(170)는, 한 쌍의 제2왕복대지지부(142)에 두개가 구비된다.
한번 더 설명하면, 한 쌍의 제2왕복대지지부(142) 중 전방(도 3에서)에 위치한 제2왕복대지지부(142)에 구비된 로프고정부재(170)는, 로프고정부재(170)의 선단이 전방(도 3에서)으로 향하도록 구비되며, 후방(도 3에서)에 위치한 제2왕복대지지부(142)에 구비된 로프고정부재(170)는, 로프고정부재(170)의 선단이 후방(도 3에서)으로 향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1왕복대(130)와 제2왕복대(14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왕복대돌출부(131)와 제2왕복대돌출부(1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왕복대돌출부(131)와 제2왕복대돌출부(141)은 좌우(도 3에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고, 제1왕복대지지부(132)와 제2왕복대지지부(142)는 좌우(도 3에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고정기구지지대(121)의 상부와 제1왕복대고정부(133)에는, 홀이 좌우(도 3에서)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처럼 고정기구지지대(121)의 상부와 제1왕복대고정부(133)에 형성된 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기구지지대(121)의 하부와 제2왕복대고정부(143)에는, 홀이 좌우(도 3에서)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처럼 고정기구지지대(121)의 하부와 제2왕복대고정부(143)에 형성된 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기구지지대(121)에는, 이동나사(160,162)가 구비된다. 즉, 제1이동나사(160)와 제2이동나사(162)가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나사(160)는, 고정기구지지대(121)의 상부와 제1왕복대고정부(133)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위치되며, 외륜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제1이동나사(160)는, 고정기구지지대(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지만 좌우(도 3에서)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제1이동나사(160)의 좌측부(도 3에서)는, 제1왕복대고정부(133)에 형성된 홀(미도시)과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제1이동나사(160)의 우측단(도 3에서)에는, 제1베벨기어(151)와 대응되는 제1종속베벨기어(16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종속베벨기어(161)는, 제1베벨기어(151)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1종속베벨기어(161)는, 제1베벨기어(151)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이동나사(162)는, 고정기구지지대(121)의 하부와 제2왕복대고정부(143)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위치되며, 외륜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제2이동나사(162)는, 고정기구지지대(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지만 좌우(도 3에서)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제2이동나사(162)의 좌측부(도 3에서)는, 제2왕복대고정부(143)에 형성된 홀(미도시)과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제2이동나사(162)의 우측단(도 3에서)에는, 제2베벨기어(152)와 대응되는 제2종속베벨기어(163)가 형성된다.
상기 제2종속베벨기어(163)는 제2베벨기어(152)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2종속베벨기어(163)는, 제1베벨기어(151)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고정기구회전축(150)이 회전하게 되면 제1베벨기어(151)와 제2베벨기어(152)는 회전하게 되고, 제1이동나사(160)와 제2이동나사(162)는 제1베벨기어(151)와 제2베벨기어(152)로부터 각기 다른 회전 방향을 가지는 회전력을 전달 받음으로서 제1왕복대(130)와 제2왕복대(14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좌우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고정기구(100)에 의하여 다수개의 로프는 고정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고정기구회전축(150)의 중앙부에는, 방지기어(15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방지기어(154)는, 평기어와 유사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기구몸체(110)의 우측(도 3에서) 프레임에는, 잠금수단지지대(181)가 형성된다.
상기 잠금수단지지대(181)는, 고정기구몸체(110)의 우측(도 3에서) 프레임의 좌측면(도 3에서)으로부터 좌측(도 3에서)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방지기어(15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잠금수단지지대(181)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잠금수단지지대(181)의 외륜부에는, 스프링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스프링은, 좌우(도 3에서) 방향으로 압축되고 복원 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잠금수단지지대(181)의 좌측(도 3에서)단에는, 잠금수단(180)이 구비된다.
상기 잠금수단(18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사각 기둥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잠금수단(180)의 좌측단(도 3에서)에는, 방지기어(154)와 대응되는 홈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잠금수단(180)의 우측단(도 3에서)에는, 잠금수단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잠금수단홈은, 소정 깊이를 가지며, 적어도 잠금수단지지대(181)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잠금수단홈은, 잠금수단(180)의 우측단(도 3에서)에서 좌측(도 3에서)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잠금수단홈을 통하여 잠금수단(180)은, 잠금수단지지대(181)와 결합하여 좌우(도 3에서)로 왕복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잠금수단(180)은, 잠금수단지지대(181)의 외륜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잠금수단지지대(181)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하여 항상 좌측(도 3에서)으로 밀어지게 될 것이다.
이처럼 잠금수단(180)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하여 좌측(도 3에서)으로 밀어지는 잠금수단(180)은, 방지기어(154)와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기구회전축(150)은, 방지기어(154)와 잠금수단(180)이 밀착하게 됨으로 회전이 제한 될 것이다.
다음으로, 잠금수단(180)에는, 레바(182)가 더 형성된다.
한편 고정기구몸체(110)의 후방(도 3에서) 프레임 우측부(도 3에서)에는, 레바(182)가 관통 될 수 있고 좌우(도 3에서)로 소정 거리 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레바홀이 더 형성된다.
상기 레바(182)는, 잠금수단(180)의 후방면(도 3에서)으로부터 후방측(도 3에서)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고정기구몸체(110)의 후방(도 3에서) 프레임에 형성된 레바홀을 관통하여 고정기구몸체(110)의 후방(도 3에서) 프레임보다 후방측(도 3에서)으로 더 연장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레바(182)의 상면(도 3에서)에는, 지면(도 3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레바고정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레바(182)는, 잠금수단(180)으로부터 고정기구몸체(110)의 후방(도 3에서) 프레임을 관통 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잠금수단지지대(181)의 후방측(도 3에서)에는, 레바지지대(183)가 구비된다. 즉, 고정기구몸체(110)의 우측(도 3에서) 프레임의 좌측면(도 3에서)으로부터 좌측(도 3에서)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레바지지대(183)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 또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레바지지대(183)는, 레바고정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레바지지대(183)는, 레바고정홀을 통하여 레바(182)와 결합된다. 이 때 레바(182)는 레바지지대(183)를 축으로 하여 회전 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레바(182)는, 레바지지대(183)에 구속되고 레바지지대(183)를 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도 3에서) 또는 반시계 방향(도 3에서)으로 회전 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레바지지대(183)와 레바(182)의 결합 방식은 가위와 유사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레바(182)를 우측(도 3에서)에서 좌측(도 3에서)으로 가압함으로서 잠금수단(180)을 우측(도 3에서)으로 소정 거리 이동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레바(182)를 통하여 잠금수단(180)을 우측(도 3에서)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서 방지기어(154)와 잠금수단(180)은 이격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고정기구회전축(150)은 회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레바(182)에 가하던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잠금수단(180)은 잠금수단지지대(181)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하여 다시 좌측(도 3에서)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즉, 방지기어(154)와 잠금수단(180)은 밀착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잠금수단(180)에 의하여, 고정기구회전축(150)의 회전은 제한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정기구(100)에 의하여 다수개의 로프는 고정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 내지 도 6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셋팅기구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셋팅기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셋팅기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셋팅기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구(100)에 로프를 셋팅하고 절단 할 수 있는 셋팅기구(200)가 구비된다.
상기 셋팅기구(200)는,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형을 이루는 셋팅기구몸체(210)와, 상기 셋팅기구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로프가 삽입되고 꼬임을 방지하는 인출유도관(220)와, 상기 셋팅기구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로프가 고정기구(100)에 고정 될 수 있도록 위치 시키는 인출기(230)와, 상기 셋팅기구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를 절단하는 절단기(2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셋팅기구몸체(21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즉, 4개의 사각 프레임(frame)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을 만든 것과 유사하다.
그리고 셋팅기구몸체(210)의 전방(도 5에서) 프레임과 후방(도 5에서) 프레임 사이에는, 한 쌍의 유도관이송부재(222)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유도관이송부재(222)는, 셋팅기구몸체(210)의 전방(도 5에서) 프레임과 후방(도 5에서) 프레임 사이를 이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좌우(도 5에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한 쌍의 유도관이송부재(222)는, 셋팅기구몸체(210)의 하부(도 6에서)에 구비된다.
이러한 한 쌍의 유도관이송부재(222)는, 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륜에는 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유도관이송부재(222)는, 셋팅기구몸체(210)의 전방(도 5에서) 프레임과 후방(도 5에서) 프레임에 구속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지만 전후(도 5에서)로 이동되지는 않도록 구비된다.
또한 한 쌍의 유도관이송부재(222)는, 셋팅기구몸체(210)의 전방(도 5에서)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측(도 5에서)으로 일부가 더 연장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처럼 셋팅기구몸체(210)의 전방측(도 5에서)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유도관이송부재(222)의 선단(도 5에서 전방)에는, 유도관기어(223)가 더 형성된다. 즉, 유도관기어(223)는, 두개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유도관기어(223)는, 평기어와 유사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한 쌍의 유도관기어(223)에는, 유도관벨트(224)가 구비된다.
상기 유도관벨트(224)는, 한 쌍의 유도관기어(223)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유도관벨트(224)의 내륜에는, 유도관기어(223)와 대응되는 홈이 내륜을 따라 형성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다음으로, 셋팅기구몸체(210)의 전방(도 5에서) 프레임에는, 유도관모터(225)가 구비된다.
상기 유도관모터(225)는, 셋팅기구몸체(210)의 전방(도 5에서)프레임의 전방면(도 5에서)에서 전방측(도 5에서)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유도관모터(225)에는, 유도관모터(225)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는 기어가 더 포함되며, 이러한 기어는 상기 유도관벨트(224)의 내부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유도관모터(225)는, 유도관모터(225)에 포함되는 기어가 유도관벨트(224)의 내부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유도관이송부재(222) 사이에서 유도관벨트(224)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한 쌍의 유도관이송부재(222)는, 유도관모터(225)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유도관벨트(224)와, 유도관벨트(224)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유도관기어(223)에 의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한 쌍의 유도관이송부재(222)에는, 유도관지지부재(22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유도관지지부재(221)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유도관지지부재(221)는, 한 쌍의 유도관이송부재(222) 간 이격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한 쌍의 유도관이송부재(222)에 구속되어 나사에 의하여 전후(도 5에서)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유도관지지부재(221)는, 유도관모터(225)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유도관벨트(224)와, 유도관벨트(224)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유도관기어(223)에 의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유도관이송부재(222)에 의하여 전후(도 5에서)로 이동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도관기어(223)가 유도관모터(225)와 유도관벨트(224)를 이용하여 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래크(rack)와 피니언(pinion) 또는 웜과 웜기어 또는 실린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 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유도관지지부재(221)의 저면(도 6에서)에는, 유도관연결부재(226)가 형성된다.
상기 유도관연결부재(226)는, 유도관지지부재(221)의 저면(도 6에서)으로부터 하측(도 6에서)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다수개가 구비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유도관연결부재(226)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 또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유도관연결부재(226)의 저면(도 6에서)에는, 인출유도관(220)이 구비된다.
상기 인출유도관(220)은, 내부가 중공된 원 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경은 로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인출유도관(220)의 내부에는, 로프가 삽입되어 인출기(230)에 의하여 로프가 인출 될 때 로프가 꼬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셋팅기구몸체(210)의 전방(도 5에서) 프레임과 후방(도 5에서) 프레임 사이에는, 한 쌍의 인출기이송부재(232)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인출기이송부재(232)는, 셋팅기구몸체(210)의 전방(도 5에서) 프레임과 후방(도 5에서) 프레임 사이를 이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좌우(도 5에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한 쌍의 인출기이송부재(232)는, 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륜에는 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인출기이송부재(232)는, 셋팅기구몸체(210)의 전방(도 5에서) 프레임과 후방(도 5에서) 프레임에 구속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지만 전후(도 5에서)로 이동되지는 않도록 구비된다.
또한 한 쌍의 인출기이송부재(232)는, 셋팅기구몸체(210)의 후방(도 5에서) 프레임의 후방측(도 5에서)으로 일부가 더 연장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처럼 셋팅기구몸체(210)의 후방측(도 5에서)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인출기이송부재(232)의 후단(도 5에서 후방)에는, 인출기기어(233)가 더 형성된다. 즉, 인출기기어(233)는, 두개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인출기기어(233)는, 평기어와 유사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한 쌍의 인출기기어(233)에는, 인출기벨트(234)가 구비된다.
상기 인출기벨트(234)는, 한 쌍의 인출기기어(233)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인출기벨트(234)의 내륜에는 인출기기어(233)와 대응되는 홈이 내륜을 따라 형성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다음으로, 셋팅기구몸체(210)의 후방(도 5에서) 프레임에는, 인출기모터(235)가 구비된다.
상기 인출기모터(235)는, 셋팅기구몸체(210)의 후방(도 5에서) 프레임의 후방면(도 5에서)에서 후방측(도 5에서)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인출기모터(235)에는, 인출기모터(235)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는 기어가 더 포함되며, 이러한 기어는 상기 인출기벨트(234)의 내부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인출기모터(235)는, 인출기모터(235)에 포함되는 기어가 인출기벨트(234)의 내부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인출기이송부재(232) 사이에서 인출기벨트(234)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한 쌍의 인출기이송부재(232)는, 인출기모터(235)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인출기벨트(234)와 인출기벨트(234)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인출기기어(233)에 의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한 쌍의 인출기이송부재(232)에는, 인출기지지부재(23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인출기지지부재(231)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인출기지지부재(231)는, 한 쌍의 인출기이송부재(232) 간 이격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인출기이송부재(232)에 구속되어 나사에 의하여 전후(도 5에서)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인출기지지부재(231)는, 인출기모터(235)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인출기벨트(234)와, 인출기벨트(234)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인출기기어(233)에 의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인출기이송부재(232)에 의하여 전후(도 5에서)로 이동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출기기어(233)가 인출기모터(235)와 인출기벨트(234)를 이용하여 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래크(rack)와 피니언(pinion) 또는 웜과 웜기어 또는 실린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 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인출기지지부재(231)에는, 다수개의 인출기(230)가 구비된다.
상기 인출기(230)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린더는 상하(도 6에서)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인출기(230)에 포함된 실린더의 선단(도 6에서 하측)에는, 로프를 선택적으로 고정 할 수 있도록 하는 집게가 구비된다.
상기 집게는,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집게는, 공압 및 유압에 의하여 로프를 선택적으로 고정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집게의 내부에는, 로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어 로프가 안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로프의 일부에만 가압되는 것이 아니라 로프의 외륜을 따라 전체적으로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셋팅기구몸체(210)의 전방(도 5에서) 프레임과 후방(도 5에서) 프레임 사이에는, 한 쌍의 절단기이송부재(242)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절단기이송부재(242)는, 셋팅기구몸체(210)의 전방(도 5에서) 프레임과 후방(도 5에서) 프레임 사이를 이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좌우(도 5에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절단기이송부재(242)는, 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륜에는 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절단기이송부재(242)는, 셋팅기구몸체(210)의 전방(도 5에서) 프레임과 후방(도 5에서) 프레임에 구속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지만 전후(도 5에서)로 이동되지는 않도록 구비된다.
또한 한 쌍의 절단기이송부재(242)는, 셋팅기구몸체(210)의 후방(도 5에서) 프레임의 후방측(도 5에서)으로 일부가 더 연장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처럼 셋팅기구몸체(210)의 후방측(도 5에서)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절단기이송부재(242)의 후단(도 5에서)에는, 절단기기어(243)가 더 형성된다. 즉, 절단기기어(243)는, 두개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절단기기어(243)는, 평기어와 유사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절단기기어(243)에는, 절단기벨트(244)가 구비된다.
상기 절단기벨트(244)는, 한 쌍의 절단기기어(243)과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절단기벨트(244)의 내륜에는, 절단기기어(243)와 대응되는 홈이 내륜을 따라 형성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다음으로, 셋팅기구몸체(210)의 후방(도 5에서) 프레임에는, 절단기모터(245)가 구비된다.
상기 절단기모터(245)는, 셋팅기구몸체(210)의 후방(도 5에서) 프레임의 후방면(도 5에서)에서 후방측(도 5에서)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절단기모터(245)에는, 절단기모터(245)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는 기어가 더 포함되며, 이러한 기어는 상기 절단기벨트(244)의 내부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절단기모터(245)는, 절단기모터(245)에 포함되는 기어가 절단기벨트(244)의 내부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절단기이송부재(242) 사이에서 절단기벨트(244)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한 쌍의 절단기이송부재(242)는, 절단기모터(245)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절단기벨트(244)와, 절단기벨트(244)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절단기기어(243)에 의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한 쌍의 절단기이송부재(242)에는, 절단기지지부재(24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절단기지지부재(241)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절단기지지부재(241)는, 한 쌍의 절단기이송부재(242) 간 이격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절단기이송부재(242)에 구속되어 나사에 의하여 전후(도 5에서)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절단기지지부재(241)는, 절단기모터(245)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절단기벨트(244)와, 절단기벨트(244)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절단기기어(243)에 의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절단기이송부재(242)에 의하여 전후(도 5에서)로 이동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절단기기어(243)가 절단기모터(245)와 절단기벨트(244)를 이용하여 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래크(rack)와 피니언(pinion) 또는 웜과 웜기어 또는 실린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 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절단기지지부재(241)에는, 다수개의 절단기(240)가 구비된다.
상기 절단기(240)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린더는 상하(도 6에서)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절단기(240)에 구비된 실린더의 선단(도 6에서 하측)에는, 로프를 선택적으로 절단 할 수 있도록 하는 커터가 구비된다.
상기 커터는,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커터는, 공압 및 유압에 의하여 로프를 선택적으로 절단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셋팅기구(200)에 의하여 다수개의 로프는, 고정기구(100)와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소정 길이로 절단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도관이송부재(222)와, 인출기이송부재(232)와, 절단기이송부재(242)는, 셋팅기구몸체(210)의 내부에서 상하(도 6에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도 7 내지 도 8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성형기구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기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기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성형기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의 양 끝단에 핀을 형성 할 수 있는 성형기구(300)가 구비된다.
상기 성형기구(300)는,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일방으로 전진 및 후진하는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와, 상기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의 일측에 구비되며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에 의하여 전진 및 후진되는 성형기구몸체(310)와, 상기 성형기구몸체(310)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로프를 가압하는 성형기구돌출부(311)와, 상기 성형기구돌출부(311)의 일측에 구비되며 로프를 성형하는 성형수단(3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성형수단(320)은, 상기 성형수단(32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고열을 발생시켜 로프를 녹일 수 있도록 하는 가열수단(321)와, 상기 성형수단(320)의 내부에 구비되며 가열수단(321)에 의하여 가열된 로프를 냉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각수단(322)과, 상기 성형수단(320)의 일측에 형성되며 가열수단(321)과 냉각수단(322)이 이격 될 수 있도록 하는 이격홈(32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기구(500)의 상부에는,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가 구비된다.
상기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는, 실린더로드가 좌우(도 7에서)로 전진 또는 후진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의 좌측단(도 7에서)에는, 성형기구몸체(310)가 구비된다.
상기 성형기구몸체(31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성형기구몸체(310)는,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에 의하여 좌우(도 7에서)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성형기구몸체(310)의 좌측단(도 7에서)에는, 성형기구돌출부(311)가 성형기구몸체(310)로부터 좌측(도 7에서)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성형기구돌출부(311)는, 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다수개가 구비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성형기구돌출부(311)의 좌측단(도 7에서)에는, 곡률홈(312)이 형성된다.
상기 곡률홈(312)은, 성형기구돌출부(311)의 좌측면(도 7에서)으로부터 우측(도 7에서)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소정 곡률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성형기구돌출부(311)에는, 성형수단(320)이 구비된다.
상기 성형수단(320)은, 가열수단(321)과 냉각수단(32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소정 길이를 가지는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성형수단(320)의 내부에는, 삽입홀(32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323)은, 성형수단(320)의 좌측면(도 7에서)으로부터 우측(도 7에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홀(323)은, 로프고정부재(170)가 삽입 될 수 있도록 로프고정부재(17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삽입홀(323)은, 성형기구돌출부(311)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형성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삽입홀(323)을 통하여 성형수단(320)은, 다수개의 성형기구돌출부(311)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다수개의 성형기구돌출부(311)에 구속되어 좌우(도 7에서)로 왕복 운동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성형수단(320)과 성형기구몸체(310) 사이에는, 성형수단실린더(325)가 구비된다.
따라서 성형수단(320)은, 성형수단실린더(325)에 의하여 좌우(도 7에서)로 왕복 운동이 가능 할 것이다.
이 때 성형수단(320)과 다수개의 성형기구돌출부(311)는, 베어링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성형수단(320)의 우측단(도 8에서)에는, 가열수단(321)이 구비된다.
상기 가열수단(321)은, 히터 등을 포함하여 고열을 발생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성형수단(320)의 좌측단(도8 에서)에는, 냉각수단(322)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수단(322)은, 냉각수 등을 포함하여 열을 식힐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로프고정부재(170)에 결합된 로프는, 성형수단(320)에 의하여 녹고 다시 굳게 됨으로서 재결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핀이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홀(323)은, 핀이 형성 될 때 외형을 결정하게 됨으로 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냉각수단(322)과 가열수단(321)의 사이에는, 소정 깊이를 가지는 이격홈(324)이 형성되어 가열수단(321)과 냉각수단(322)이 서로 열 교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이격홈(324)은, 가열수단(321)과 냉각수단(322)이 서로 열 교환 하는 현상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격홈(324)은, 성형수단(320)의 상면(도 7에서)으로부터 하측(도 7에서) 방향으로 형성되고, 성형수단(320)의 하면(도 7에서)으로부터 상측(도 7에서) 방향으로도 형성되며, 냉각수단(322)과 가열수단(321)을 이격 시킬 수 있도록 전후(도 8에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성형기구(300)는,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에 의하여 로프가 결합된 로프고정부재(170)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성형수단실린더(325)에 의하여 성형수단(320)이 좌측(도 7에서)으로 전진함으로서, 성형수단(320)은 로프고정부재(170)에 결합되어있는 다수개의 로프와 밀착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구성되는 성형기구(3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로프고정부재(170)에 결합된 로프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위치하여 성형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로프분리기구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로프분리기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로프분리기구(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를 용이하게 분리 될 수 있도록 하는 로프분리기구(400)가 구비된다.
즉, 이송기구(500)의 상부에는, 로프분리기구(4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로프분리기구(400)는,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지지하는 로프분리기구지지부재(420)와, 상기 로프분리기구지지부재(4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일방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로프분리기구이송부재(430)와, 상기 로프분리기구이송부재(430)에 결합되어 일방으로 이송 가능함과 더불어 외형을 이루는 로프분리기구몸체(410)와, 상기 로프분리기구(410)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핀이 삽입될 수 있는 분리홈(450)과, 상기 로프분리기구지지부재(420)와 로프분리기구몸체(410) 사이에 구비되며 로프분리기구몸체(410)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로프분리기구실린더(4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프분리기구지지부재(420)는, 이송기구(5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소정 길이를 가지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로프분리기구지지부재(420)는, 이송기구(5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부위이다.
그리고 로프분리기구지지부재(420)의 후방면(도 9에서)에는, 한 쌍의 로프분리기구이송부재(430)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로프분리기구이송부재(43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 또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 쌍의 로프분리기구이송부재(430)는, 좌우(도 9에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한 쌍의 로프분리기구이송부재(430)에는, 로프분리기구몸체(410)가 구비된다.
또한 한 쌍의 로프분리기구이송부재(430)는, 로프분리기구몸체(410)가 전후로 이송되는 경로를 안내하는 부위이다.
상기 로프분리기구몸체(41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로프분리기구이송부재(430)에 구속되어 전후(도 9에서)로 왕복 운동이 가능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로프분리기구몸체(410)의 후방면(도 9에서)에는, 분리홈(450)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홈(450)은, 로프에 형성된 핀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분리홈(450)은, 로프분리기구몸체(410)의 후방면(도 9에서)으로부터 전방(도 9에서)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분리홈(450)은, 로프에 형성된 핀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프분리기구몸체(410)의 후방면(도 9에서)에서 다수개가 형성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로프분리기구지지부재(420)와 로프분리기구몸체(410) 사이에는, 로프분리기구실린더(440)가 구비된다.
상기 로프분리기구실린더(440)에 의하여 로프분리기구몸체(410)는, 전후(도 9에서)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 할 것이다.
또한 로프분리기구실린더(440)는, 일부가 로프분리기구지지부재(420)의 외측으로 연장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로프분리기구(400)는, 분리홈(450)이 로프고정부재(170)에 결합된 로프의 핀 부분과 밀착함으로서, 로프고정부재(170)가 이격될 때 로프가 용이하게 분리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로프분리기구(4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로프고정부재(170)에 결합된 로프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위치하여 분리 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의 적용 예 즉, 상기에서 설명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로프 손잡이 핀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수단(501)과 제2이송수단(502)과 제3이송수단(503)과 제4이송수단(504)이 구비된다.
상기 제4이송수단(504)의 상부(도 1에서)에는, 고정기구(100)가 놓여질 수 있을 것이다.
제4이송수단(504)의 상부에 고정기구(100)가 놓여지게 되면, 제4이송수단(504)은 상측으로(도 1에서) 상승한다.
제4이송수단(504)이 상승하여 제2이송수단(502)과 수평을 이루게 되면, 제4이송수단(504)의 상승은 정지하게 된다.
한편 제4이송수단(504)과 제2이송수단(502)이 수평을 이루게 되면, 제4이송수단(504)에 구비된 이송롤러(540)는 시계 방향(도 1에서)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4이송수단(504)의 상부에 놓여진 고정기구(100)는, 우측(도 1에서)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제4이송수단(504)의 상부에 고정기구(100)가 없을 경우, 제4이송수단(504)은 하강한다.
제4이송수단(504)이 하강하여 제1이송수단(501)과 수평을 이루게 되면, 제4이송수단(504)의 구동은 정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4이송수단(504)에 의하여 제2이송수단(502)에 고정기구(100)가 위치하게 되면, 제2이송수단(502)에 구비된 이송롤러(540)는 시계 방향(도 1에서)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기구(100)는, 제2이송수단(502)에 의하여 우측(도 1에서)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제2이송수단(502)의 상부에 위치된 고정기구(100)가 이동하여 셋팅기구(200)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2이송수단(502)에 구비된 이송롤러(540)의 회전은 정지하게 된다.
이 때 고정기구(100)에 구비된 고정기구기어(153)와 제2이송수단(502)에 구비된 제2내치기어(512)는, 서로 인접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복수개의 로프를 인출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제2이송수단(502)에 구비된 이송롤러(540)가 정지하게 되면, 인출유도관(220)에 삽입되어 있는 로프는 인출기(230)에 구비된 집게에 의하여 구속되고, 집게가 로프를 구속하게 되면, 인출기(230)는 후방(도 5에서)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 때 인출기(230)는 서로 다른 로프고정부재(170) 사이를 관통하듯 지나며, 모든 로프고정부재(170)를 관통하게 되어 소정 위치에 다다르게 되면 인출기(230)의 이동은 정지한다.
이와 같은 복수개의 로프를 인출하는 단계에 의하여 로프는 서로 다른 로프고정부재(17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한편 인출유도관(220)은, 인출기(230)와 멀어지게 될 경우 로프의 장력이 줄어들어 처짐이 발생 될 수 있으므로 인출기(230)와 소정 이격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인출기(230)를 따라서 이동한다.
인출기(230)의 이동이 정지하게 되면, 인출유도관(220)의 이동도 정지된다.
다음으로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복수개의 로프를 절단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인출기(230)가 정지하게 되면, 제2레바실린더(552)가 상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제2레바실린더(552)에 의하여 레바(182)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가압 될 것이고, 이를 통하여 잠금수단(180)은 우측으로 이동 될 것이다. 즉, 잠금수단(180)과 방지기어(154)는 이격된다.
잠금수단(180)과 방지기어(154)가 이격 되면, 제2내치기어(512)가 전진하여 고정기구기어(153)와 결합하게 되고, 제2내치기어(512)가 모터에 의하여 시계 방향(도 1에서)으로 회전함으로서 고정기구(100)에 구비된 서로 다른 로프고정부재(170)가 밀착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서로 다른 로프고정부재(170)는, 제1왕복대지지부(132)와 제2왕복대지지부(142)에 구비된 로프고정부재(170)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포함하는 인출된 복수개의 로프를 고정기구(100)로 고정하는 단계에 의하여 로프는 고정기구(100)에 구비된 로프고정부재(170)에 고정된다.
한편 제2내치기어(512)는, 고정기구(100)가 닫히게 되면, 다시 후진하여 본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 제2내치기어(512)가 본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제2레바실린더(552)는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레바(182)에 가해지던 압력은 제거되고, 잠금수단지지대(181)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하여 잠금수단(180)은 방지기어(154) 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즉, 고정기구회전축(150)의 회전은 제한된다.
잠금수단(180)과 방지기어(154)가 밀착하여 고정기구회전축(150)의 회전이 제한되면, 인출기(230)에 구비된 집게는 로프를 구속하지 않게 되고, 인출기(230)에 구비된 실린더는 후진하여 고정기구(1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동된다.
다음으로, 인출기(230)는 인출유도관(220)의 좌측(도 6에서)에 위치되도록 이동하고, 인출기(230)가 인출유도관(220)의 좌측(도 6에서)에 위치하게 되면, 인출기(230)에 구비된 실린더는 전진하며, 인출기(230)에 구비된 집게를 이용하여 다시 로프를 구속하게 된다.
다음으로,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복수개의 로프를 절단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절단기(240)가 이동하여 인출기(230)의 좌측(도 6에서)에 위치하게 된다.
인출기(230)의 좌측(도 6에서)에 위치하게 된 절단기(240)는, 절단기(240)에 구비된 실린더에 의하여 로프와 접하게 되고, 절단기(240)에 구비된 커터에 의하여 로프를 절단하게 된다.
로프의 절단을 마친 절단기(240)는, 절단기(240)에 구비된 실린더가 후진하여 고정기구(1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동된다.
다음으로, 절단기(240)는 좌측(도 6에서)으로 이동한다. 즉, 본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포함하는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복수개의 로프를 절단하는 단계에 의하여 로프는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채로 소정 길이로 절단 될 것이다.
한편 로프가 절단되면, 인출기(230)와 인출유도관(220)은 우측(도 6에서)으로 이동한다. 즉, 본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셋팅기구(200)의 모든 동작이 완료되어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가 소정 길이로 절단되면, 제2이송수단(502)에 구비된 이송롤러는 시계 방향(도 1에서)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고정기구(100)는, 우측(도 2에서)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3이송수단(503)의 상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제3이송수단(503)의 상부에 고정기구(100)가 놓여지게 되면, 제3이송수단(503)에 구비된 이송롤러(540)가 시계 방향(도 1에서)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3이송수단(503)의 상부에 놓여진 고정기구(100)는, 우측으로(도 1에서) 이송 될 것이다.
제3이송수단(503)에 의하여 고정기구(100)가 성형기구(3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3이송수단(503)에 구비된 이송롤러(540)는 정지하게 될 것이다.
이 때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와 성형기구(300)에 형성된 삽입홀(323)은 대응 될 수 있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다음으로, 고정기구(100)에 고정됨과 더불어 절단된 복수개의 로프 양쪽 끝단에 핀을 성형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고정기구(100)가 성형기구(3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3이송수단(503)에 구비된 이송롤러(540)가 정지하게 되면, 성형기구(300)에 구비된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가 전진하여 성형기구(300)를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와 인접 할 수 있도록 위치 시킨다.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가 전진하게 되면, 고정기구(100)에 고정되고 로프고정부재(170)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된 로프는 삽입홀(323)에 삽입된다. 즉, 로프는, 성형기구돌출부(311)에 형성된 곡률홈(312)과 접 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 때 로프는, 냉각수단(322)이 구비된 영역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성형기구돌출부(311)의 좌측단(도 7에서)은, 로프와 접하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성형수단실린더(325)가 구동되어 성형수단(320)을 고정기구(100) 방향으로 더 전진시키게 되면,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는 가열수단(321)이 구비된 영역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로프는, 삽입홀(323)의 내부에서 가열수단(321)에 의하여 녹게 될 것이다.
이 때, 삽입홀(323)은 로프고정부재(17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로프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므로, 삽입홀(323)의 내부에서 온전한 형상의 핀이 형성되기 위하여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가 좌측(도 7에서)으로 소정 거리 만큼 더 전진하게 된다. 즉, 성형기구돌출부(311)가 좌측(도 7에서)으로 소정 거리 만큼 더 이동된다.
따라서 가열수단(321)에 의하여 녹은 로프는, 삽입홀(323)의 내부에서 빈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삽입홀(323)의 내부를 완전히 채울 수 있을 것이다. 즉, 기존 로프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성형수단실린더(325)가 후진하면서 가열수단(321)에 의하여 변형이 일어나는 로프 부분에 냉각수단(322)이 위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로프는 삽입홀(32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시 굳게 될 것이다. 즉, 기존 로프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고, 로프의 선단(도 7에서 우측)은 곡률홈(312)에 의하여 소정 곡률을 가지게 될 것이다.
로프의 양쪽 끝단이 녹고 다시 굳음으로서 핀이 형성되면,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가 우측(도 7에서)으로 후진하게 된다. 즉, 고정기구(100)와 성형기구(300)가 분리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포함하는 고정기구(100)에 고정됨과 더불어 절단된 복수개의 로프 양쪽 끝단에 핀을 성형하는 단계에 의하여 로프의 양쪽 끝단에는 핀이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성형기구(300)에 의하여 로프에 핀이 형성되고, 고정기구(100)와 성형기구(300)가 분리되면, 제3이송수단(503)은 하측으로(도 1에서) 하강하게 된다.
제3이송수단(503)이 하강하여 제1이송수단(501)과 수평을 이루게 되면, 제3이송수단(503)의 하강은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3이송수단(503)과 제1이송수단(501)이 수평을 이루게 되면, 제3이송수단(503)에 구비된 이송롤러(540)는 반시계 방향(도 1에서)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3이송수단(503)의 상부에 놓여진 고정기구(100)는, 좌측으로(도 1에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제3이송수단(503)의 상부에 고정기구(100)가 없을 경우, 제3이송수단(503)은 상승한다.
제3이송수단(503)이 상승하여 제2이송수단(502)과 수평을 이루게 되면, 제3이송수단(503)의 구동은 정지하게 된다.
한편, 제3이송수단(503)에 의하여 제1이송수단(501)에 고정기구(100)가 위치하게 되면, 제1이송수단(501)에 구비된 이송롤러(540)는 반시계 방향(도 1에서)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기구(100)는, 제1이송수단(501)에 의하여 좌측(도 1에서)으로 이송 될 것이다.
다음으로, 제1이송수단(501)의 상부에 위치된 고정기구(100)가 좌측(도 1에서)으로 이동하여 로프분리기구(400)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1이송수단(501)에 구비된 이송롤러(540)의 회전은 정지하게 된다.
이 때 고정기구(100)에 구비된 고정기구기어(153)와 제1이송수단(501)에 구비된 제1내치기어(511)는, 서로 인접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와 로프분리기구(400)에 형성된 삽입홀(323)은 대응 될 수 있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다음으로, 고정기구(100)에 고정됨과 더불어 절단되고 핀이 형성된 로프를 고정기구(10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제1이송수단(501)에 구비된 이송롤러(540)가 정지하게 되면, 로프분리기구(400)에 구비된 로프분리기구실린더(440)가 후방(도 9에서)으로 전진하게 된다. 즉,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는, 분리홈(450)에 삽입된다.
이 때 분리홈(450)에는, 로프의 핀 부분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로프가 분리홈(450)에 삽입되면, 제1레바실린더(551)가 상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제1레바실린더(551)에 의하여 레바(182)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가압 될 것이고, 이를 통하여 잠금수단(180)은 우측으로 이동 될 것이다. 즉, 잠금수단(180)과 방지기어(154)는 이격된다.
잠금수단(180)과 방지기어(154)가 이격 되면, 제1내치기어(511)가 전진하여 고정기구기어(153)와 결합하게 되고, 제1내치기어(511)가 모터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도 1에서)으로 회전함으로서 고정기구(100)에 구비된 서로 다른 로프고정부재(170)는 이격 될 것이다. 여기서 서로 다른 로프고정부재(170)는, 제1왕복대지지부(132)와 제2왕복대지지부(142)에 구비된 로프고정부재(170)이다.
이 때 로프는 성형수단(320)에 의하여 재결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로프고정부재(170)에 접착되거나, 로프고정부재(170)의 내부에서 끼임이 발생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로프고정부재(170)로부터 로프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분리홈(450)에 의하여 로프의 이동이 제한됨으로 로프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내치기어(511)는, 고정기구(100)가 열리게 되면, 다시 후진하여 본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 제1내치기어(511)가 본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제1레바실린더(551)는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레바(182)에 가해지던 압력은 제거되고, 잠금수단지지대(181)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하여 잠금수단(180)은 방지기어(154) 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즉, 고정기구회전축(150)의 회전은 제한된다.
로프분리기구(400)에 의하여 고정기구(100)로부터 로프가 분리되면, 로프분리기구실린더(440)는 전방(도 9에서)으로 후진하게 된다. 즉, 고정기구(100)와 로프분리기구(400)가 서로 분리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포함하는 고정기구(100)에 고정됨과 더불어 절단되고 핀이 형성된 로프를 고정기구(10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에 의하여 로프는 고정기구(10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고정기구(100)로부터 분리된 로프는, 고정기구(100)로부터 하측(도 1에서)으로 낙하하여 제1이송수단(501)의 하부(도 1에서)에 구비된 바구니(530)로 수용 될 것이다.
고정기구(100)와 로프분리기구(400)가 서로 분리되면, 제1이송수단(501)에 구비된 이송롤러(540)는 반시계 방향(도 1에서)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즉, 고정기구(100)는 좌측(도 1에서)으로 이송 될 것이다.
고정기구(100)가 좌측(도 1에서)으로 이송되어 제4이송수단(504)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1이송수단(501)에 구비된 이송롤러(540)는 정지하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로프는, 소정 길이로 절단되고 핀이 형성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셋팅기구(200)와, 성형기구(300)와, 로프분리기구(400)는, 이송기구(500)의 상부에 다양한 순서와 방식으로 배치 및 설치 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에는 다양한 감지 센서가 구비되고, 센서를 통하여 얻은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조건을 만족 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제어 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로프를 인출하는 단계와, 인출된 복수개의 로프를 고정기구(100)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복수개의 로프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기구(100)에 고정됨과 더불어 절단된 복수개의 로프 양쪽 끝단에 핀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기구(100)에 고정됨과 더불어 절단되고 핀이 형성된 로프를 고정기구(10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복수개의 로프를 인출하는 단계는 상기 인출기(230)를 이용하여 로프 뭉치로부터 로프를 인출하고, 상기 고정기구(100)에 구비된 로프고정부재(170) 사이에 로프를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상기 인출된 복수개의 로프를 고정기구(100)로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내치기어(512)에 의하여 상기 고정기구(100)가 닫히도록 함으로서 고정기구(100)가 로프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정이다.
상기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복수개의 로프를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절단기(240)를 이용하여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정이다.
상기 고정기구(100)에 고정됨과 더불어 절단된 복수개의 로프 양쪽 끝단에 핀을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기구(300)를 이용하여 로프의 양 끝단을 가열하고 냉각함으로서 고정기구(100)에 고정되고 소정 길이로 절단된 로프의 양 끝단에 핀을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정이다.
상기 고정기구(100)에 고정됨과 더불어 절단되고 핀이 형성된 로프를 고정기구(10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로프분리기구(400)와 제1내치기어(511)를 이용하여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를 분리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고정기구 110. 고정기구몸체
121. 고정기구지지대 122,123. 지지프레임
130. 제1왕복대 131. 제1왕복대돌출부
132. 제1왕복대지지부 133. 제1왕복대고정부
140. 제2왕복대 141. 제2왕복대돌출부
142. 제2왕복대지지부 143. 제2왕복대고정부
150. 고정기구회전축 151,152. 베벨기어
153. 고정기구기어 154. 방지기어
160,162. 이동나사 161. 제1종속베벨기어
163. 제2종속베벨기어 170. 로프고정부재
180. 잠금수단 181. 잠금수단지지대
182. 레바 183. 레바지지대
200. 셋팅기구 210. 셋팅기구몸체
220. 인출유도관 221. 유도관지지부재
222. 유도관이송부재 223. 유도관기어
224. 유도관벨트 225. 유도관모터
226. 유도관연결부재 230. 인출기
231. 인출기지지부재 232. 인출기이송부재
233. 인출기기어 234. 인출기벨트
235. 인출기모터 240. 절단기
241. 절단기지지부재 242. 절단기이송부재
243. 절단기기어 244. 절단기벨트
245. 절단기모터 300. 성형기구
310. 성형기구몸체 311. 성형기구돌출부
312. 곡률홈 313. 성형기구몸체실린더
320. 성형수단 321. 가열수단
322. 냉각수단 323. 삽입홀
324. 이격홈 325. 성형수단실린더
400. 로프분리기구 410. 로프분리기구몸체
420. 로프분리기구지지부재 430. 로프분리기구이송부재
440. 로프분리기구실린더 450. 분리홈
500. 이송기구 511,512. 내치기어
520. 가이드레일 530. 바구니
540. 이송롤러 551,552. 레바실린더

Claims (5)

  1. 로프가 고정 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기구(100);
    상기 고정기구(100)를 이송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송기구(500);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에 로프를 셋팅하고 절단 할 수 있도록 하는 셋팅기구(200);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의 양 끝단에 핀을 형성 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기구(300);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에 의해 고정된 로프가 분리 될 수 있도록 하는 로프분리기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셋팅기구(200)는,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형을 이루는 셋팅기구몸체(210);
    상기 셋팅기구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로프가 삽입되고 꼬임을 방지하는 인출유도관(220);
    상기 셋팅기구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로프가 고정기구(100)에 고정 될 수 있도록 위치 시키는 인출기(230);
    상기 셋팅기구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기구(100)에 고정된 로프를 절단하는 절단기(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100)는,
    외형을 이루는 고정기구몸체(110);
    상기 고정기구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치기어(511,512)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기구회전축(150);
    상기 고정기구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고정기구몸체(11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지프레임(122,123);
    상기 지지프레임(122,123)의 일측에 구비되며, 왕복 운동이 가능한 왕복대(130,140);
    상기 왕복대(130,140)의 일측에 구비되며, 로프를 고정 할 수 있도록 하는 로프고정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구(300)는,
    상기 이송기구(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일방으로 전진 및 후진하는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
    상기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의 일측에 구비되며, 성형기구몸체실린더(313)에 의하여 전진 및 후진되는 성형기구몸체(310);
    상기 성형기구몸체(310)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로프를 가압하는 성형기구돌출부(311);
    상기 성형기구돌출부(311)의 일측에 구비되며, 로프를 성형하는 성형수단(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손잡이 핀 제조 장치.
  5. 삭제
KR1020190171100A 2019-12-19 2019-12-19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2213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100A KR102213450B1 (ko) 2019-12-19 2019-12-19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100A KR102213450B1 (ko) 2019-12-19 2019-12-19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450B1 true KR102213450B1 (ko) 2021-02-08

Family

ID=7456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100A KR102213450B1 (ko) 2019-12-19 2019-12-19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4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345B1 (ko) * 2003-10-08 2005-03-23 기산정보시스템주식회사 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101564393B1 (ko) * 2014-09-26 2015-10-30 주식회사 대양금속 와이어네트의 제조장치
KR101702303B1 (ko) * 2016-04-29 2017-02-03 주식회사 효진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KR101858671B1 (ko) * 2017-10-13 2018-05-16 이용진 로프 커팅유닛
KR101917499B1 (ko) 2017-03-07 2018-11-09 최형준 차량용 배터리의 손잡이끈 커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345B1 (ko) * 2003-10-08 2005-03-23 기산정보시스템주식회사 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101564393B1 (ko) * 2014-09-26 2015-10-30 주식회사 대양금속 와이어네트의 제조장치
KR101702303B1 (ko) * 2016-04-29 2017-02-03 주식회사 효진 와이어로프 조립체에 수축 튜브를 결합하는 장치
KR101917499B1 (ko) 2017-03-07 2018-11-09 최형준 차량용 배터리의 손잡이끈 커팅장치
KR101858671B1 (ko) * 2017-10-13 2018-05-16 이용진 로프 커팅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995B1 (ko) 튜브 시스템 벤딩머신
JP5255582B2 (ja) ばね製造機
ITUB20155709A1 (it) Macchina per lavorare lastre in posizione sostanzialmente verticale, con utensile di molatura a tazza che e' orientabile intorno ad un asse ortogonale al piano della lastra
CN110076386A (zh) 一种拉索套管自动切割倒角一体机
KR102213450B1 (ko) 로프 손잡이 핀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170064659A (ko) 와이어의 캐스팅 성형 걸림구 형성장치
EP4066959B1 (en) Spring forming machine
WO2017137897A1 (en) Machine for cutting and drilling blocks of natural stone material with a diamond wire and a drilling device
EP1637300B1 (en) Holding and advancing device for natural cork slabs
JP2008279588A (ja) 昆布穿孔装置
KR101747996B1 (ko) 2-헤드 2-래디어스 시스템 벤딩머신
CN212469352U (zh) 自动弯管机
EP1232830B1 (en)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drive rods for handle units for window frames and the equipment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215704268U (zh) 一种用于Z-pin低损伤自动化植入装置
CN111558640A (zh) 自动弯管机
EP1325802B1 (de) Verfahren und Anlage zum Einbringen und Ablegen eines Plastifikats in die Matrize einer Formpresse
KR101203637B1 (ko) 소재의 성형장치
ITMO970163A1 (it) Macchina per il taglio di blocchi, in particolare, in poliuretano.
KR20090036718A (ko) 자동화된 슬라이드 부재의 프레스작업 장치
CN106003562B (zh) 一种金刚石串珠绳注塑工艺中的自动排珠系统
CN207615891U (zh) 激光切割机
CN216100348U (zh) 一种线缆加工的冷却水槽
CN214340766U (zh) 一种穿丝机构
ITMI960856A1 (it) Macchina torsionatrice o piegatrice particolarmente studiata per la fabbricazione di molle a torsione semplici e doppie
CN114947354B (zh) 立体式全自动植毛修毛开花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