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184B1 -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 - Google Patents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184B1
KR101701184B1 KR1020157016201A KR20157016201A KR101701184B1 KR 101701184 B1 KR101701184 B1 KR 101701184B1 KR 1020157016201 A KR1020157016201 A KR 1020157016201A KR 20157016201 A KR20157016201 A KR 20157016201A KR 101701184 B1 KR101701184 B1 KR 101701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ooling water
water inlet
temperature difference
thermal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346A (ko
Inventor
히로후미 히가시
유키히로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신닛떼쯔 수미킨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떼쯔 수미킨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닛떼쯔 수미킨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7Rolls;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0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상하 한 쌍의 롤(8)이 배치된 롤 배치 위치마다 설치한 냉각수 경로(11)의 냉각수 입측 온도와 냉각수 출측 온도의 온도차(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롤 배치 위치마다 구하고, 상기 롤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로부터 1번째의 롤 배치 위치로부터 n번째의 롤 배치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있어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나타내는 회귀식을 구하고, 상기 회귀식에 의해 각 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연산해서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로 하고, 상기 각 롤의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미리 구해 둔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열 팽창량 합산값(프레임(9))의 열 팽창량 및 연주 주편의 열 팽창량의 합산값)의 관계로부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을 구하고, 상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에 의거하여 각 롤의 압하량을 보정한다.

Description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SOFT REDUCTION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PIECE}
본 발명은 연속 주조되는 주편의 응고 말기에 주편의 편석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시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연주 주편을 단순히 주편이라고도 한다.
연속 주조 설비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강(1)을 주형(2)에 주입하고 이 주형(2)에서 냉각하여 응고시키면서 얻어진 주편(10)을 주형(2)의 하부에 배치한 복수의 롤(3)을 프레임(4)에 지지된 복수의 롤 세그먼트(5)로 구성된 주편 지지 구조를 통해서 만곡 지지하면서 반출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연속 주조 설비에 있어서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편(10)의 편석을 방지하기 위해서 응고 말기에 복수의 경압하 세그먼트(6)로부터 경압하가 실시된다. 이 경압하 세그먼트(6)에 있어서는 실린더(7)에 의한 경압하에 의해 압하 반력을 받음으로써 롤(8) 및 프레임(9)이 변형되어 롤 간격이 수㎜ 정도 넓어진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롤 한 쌍당 압하량이 1㎜ 정도의 경압하를 행하는 경우 적정한 압하량 설정을 할 수 없어 롤 및 프레임의 변형이 원인으로 압하량 부족을 발생시키고, 편석 개선 효과가 불충분하거나 지나치게 압하함으로써 내부 균열이 발생하거나 하고 있었다.
그 대책으로서는 특허문헌 1에 주편 실압하량과 프레임 변형량과 롤 변형량의 합계에 의해 롤의 압하량을 설정하는 경압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경압하 세그먼트(6)에 있어서는 약 100℃의 주편을 경압하하는 점에서 그 주편의 복사열을 받아 프레임(9)이 열 팽창한다. 이 프레임(9)의 열 팽창의 문제는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고려되고 있지 않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앞서 일본 특허 출원 2011-084615호에 있어서 프레임의 열 팽창량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한 경압하 방법을 제안했다.
단, 이 경압하 방법을 실기에서 시험한 결과, 프레임의 열 팽창량을 보정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적정한 경압하를 행할 수 있어 편석 개선 및 내부 균열의 방지에 일정 효과는 보여지지만, 여전히 편석 및 내부 균열의 문제가 발생했다. 즉, 프레임의 열 팽창량을 보정하는 것만으로는 경압하에 있어서의 고정밀도의 롤 간격 제어 및 정확한 압하 구배는 실현될 수 없어 그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05-008004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속 주조 설비에 있어서 실시하는 경압하에 있어서, 고정밀도의 롤 간격 제어 및 정확한 압하 구배를 실현하기 위한 열 팽창량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경압하에 사용하는 롤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 경로의 냉각수 입측 온도와 냉각수 출측 온도를 계측하고, 그 온도차(냉각수 입출 온도차)에 의거하여 열 팽창 보정량을 구하여 롤의 압하량을 보정하는 것을 기본 사상으로 한다.
이 기본 사상은 상기 일본 특허 출원 2011-084615호와 같지만, 상기 일본 특허 출원 2011-084615호에서는 열 팽창으로서 프레임의 열 팽창만을 고려하고 있었던 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의 열 팽창에 추가해서 연주 주편의 열 팽창도 고려한다.
연주 주편의 열 팽창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연속 주조 개시 시에 있어서 경압하 세그먼트(6)에는 주편(10)은 존재하지 않고, 그 후, 주편(10)이 경압하 세그먼트(6)를 통과한다. 이 때문에 경압하 세그먼트(6)(프레임(9))는 주편(10)으로부터의 수열(受熱)에 의해 시간 경과와 함께 온도 상승한다. 한편, 경압하 세그먼트(6)에 최초로 도달하는 주편(10)의 온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경압하 세그먼트(6)에 발열(拔熱)되기 때문에 저하되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 경압하 세그먼트(6)(프레임(9))의 온도 상승은 서서히 포화되어 가기 때문에 주편(10)로부터의 발열량은 서서히 감소하고, 그 결과 경압하 세그먼트(6)에 도달하는 주편(10)의 온도는 서서히 상승한다. 즉, 경압하 세그먼트(6)(프레임(9))의 온도가 시간 경과에 따라 상승함에 따라 경압하 세그먼트(6)를 통과하는 주편(10)의 온도도 시간 경과에 따라 상승하고, 경압하 세그먼트(6)의 위치에 있어서의 주편(10)의 열 팽창량이 시간 경과에 따라 증대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의 열 팽창에 추가해서 주편의 열 팽창도 고려하여 열 팽창 보정값을 구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의 제 1에서 제 4 경압하 방법을 제공한다.
그 제 1 경압하 방법은
「연주 주편의 응고 말기에 프레임에 지지된 상하 한 쌍의 롤을 n개 병렬시킨 롤군을 통과시켜 연주 주편을 경압하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에 있어서,
미리 상기 상하 한 쌍의 롤이 배치된 롤 배치 위치마다 설치한 냉각수 경로의 냉각수 입측 온도와 냉각수 출측 온도의 온도차(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 및 연주 주편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을 합산한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를 구해 두고,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롤 배치 위치마다 계측하고,
상기 롤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로부터 1번째의 롤 배치 위치로부터 n번째의 롤 배치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있어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나타내는 회귀식을 구하고,
상기 회귀식에 의해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연산해서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로 하고,
상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미리 구해둔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로부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을 구하고,
상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에 의거하여 각 롤의 압하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이다.
이와 같이, 실측에 의한 냉각수 입출 온도차의 회귀식을 구하고, 그 회귀식에 의해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구함으로써 개별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의 불균일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어 각 롤의 압하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열 팽창량으로서 프레임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 및 연주 주편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을 합산한 열 팽창량 합산값을 구하고, 이 열 팽창량 합산값을 사용해서 각 롤의 압하량을 보정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밀도의 롤 간격 제어 및 정확한 압하 구배가 실현 가능해진다.
제 2 경압하 방법은
「연주 주편의 응고 말기에 프레임에 지지된 상하 한 쌍의 롤을 n개 병렬시킨 롤군을 통과시켜 연주 주편을 경압하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상하 한 쌍의 롤을 m개(1<m<n)의 롤 그룹으로 나누고,
미리 상기 롤 그룹이 배치된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설치한 냉각수 경로의 냉각수 입측 온도와 냉각수 출측 온도의 온도차(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 및 연주 주편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을 합산한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를 구해 두고,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계측하고,
상기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로부터 1번째의 롤 배치 위치로부터 n번째의 롤 배치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있어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나타내는 회귀식을 구하고,
상기 회귀식에 의해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계산해서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로 하고,
상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미리 구해둔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로부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을 구하고,
상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에 의거하여 각 롤의 압하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이다.
이 제 2 경압하 방법에서는 롤을 복수의 롤 그룹으로 나누고, 그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구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롤 배치 위치마다 구하는 경우에 비해서 냉각수 경로의 냉각수 입측 온도 및 냉각수 출측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 3 경압하 방법은
「연주 주편의 응고 말기에 프레임에 지지된 상하 한 쌍의 롤을 n개 병렬시킨 롤군을 통과시켜 연주 주편을 경압하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상하 한 쌍의 롤을 m개(1<m<n)의 롤 그룹으로 나누고,
미리 상기 롤 그룹이 배치된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설치한 냉각수 경로의 냉각수 입측 온도와 냉각수 출측 온도의 온도차(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 및 연주 주편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을 합산한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를 구해 두고,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계측하고,
상기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로부터 1번째의 롤 그룹 배치 위치로부터 m번째의 롤 그룹 배치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있어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나타내는 회귀식을 구하고,
상기 회귀식에 의해 각 롤 그룹 배치 위치에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계산해서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로 하고,
상기 각 롤 그룹 배치 위치에서의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미리 구해 둔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로부터 각 롤 그룹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을 구하고,
상기 각 롤 그룹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에 의거하여 각 롤 그룹의 압하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이다.
이 제 3 경압하 방법은 상기 제 2 경압하 방법의 변형이고, 상기 제 2 경압하 방법에서는 롤의 압하량의 보정을 롤마다 행하지만, 제 3 경압하 방법에서는 롤 그룹마다 행한다. 롤 그룹 배치 위치 사이에서 냉각수 입출 온도차가 작은(회귀식의 기울기가 작은) 경우는 압하량의 보정을 롤 그룹마다 행해도 롤의 압하량은 실용 레벨에 있어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 4 경압하 방법은
「연주 주편의 응고 말기에 프레임에 지지된 상하 한 쌍의 롤을 n개 병렬시킨 롤군을 통과시켜 연주 주편을 경압하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상하 한 쌍의 롤을 m개(1≤m<n)의 롤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미리 상기 롤 그룹이 배치된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설치한 냉각수 경로의 냉각수 입측 온도와 냉각수 출측 온도의 온도차(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 및 연주 주편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을 합산한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를 구해 두고,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계측하고,
상기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미리 구해 둔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로부터 각 롤 그룹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을 구하고,
각 롤 그룹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에 의거하여 각 롤 그룹의 압하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이다.
이 제 4 경압하 방법에서는 실측에 의한 냉각수 입출 온도차에 의거하는 회귀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단, 제 4 경압하 방법에 있어서 냉각수 입출 온도차는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계측되기 때문에 그 롤 그룹에 속하는 롤의 롤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는 평균된 값이 되고, 개별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의 불균일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롤 그룹 내의 롤 배치 위치 사이에서 냉각수 입출 온도차가 작은 경우는 이와 같이 롤 그룹 내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의 평균값을 사용해도 롤의 압하량은 실용 레벨에 있어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의 열 팽창량 보정에 추가해서 경압하 시의 압하 반력에 의한 롤 및 프레임의 변형량을 가미해서 각 롤 또는 각 롤 그룹의 압하량을 보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미리 롤마다 또는 롤 그룹마다 경압하하는 주편의 경압하 시의 상한과 하한으로 이루어지는 압하 반력 적정 범위를 구해 두고, 연주 주편의 경압하 시의 압하 반력이 상기 하한을 하회했을 경우는 롤 또는 롤 그룹의 압하량을 증가시키고, 압하 반력이 상기 상한을 상회했을 경우는 롤 또는 롤 그룹의 압하량을 감소시켜 각각 적정 압하력 범위가 되도록 롤 또는 롤 그룹의 압하량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압하에 사용하는 롤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 경로의 냉각수 입측 온도와 냉각수 출측 온도를 계측하고, 그 온도차(냉각수 입출 온도차)에 의거하여 열 팽창량 보정값을 구하고, 롤의 압하량을 보정한다. 또한, 상기 열 팽창량 보정값을 구함에 있어서 열 팽창량으로서 프레임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 및 연주 주편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을 합산한 열 팽창량 합산값을 구하고, 이 열 팽창량 합산값을 사용해서 열 팽창량 보정값을 구한다. 따라서, 각 롤의 압하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경압하에 있어서 정확한 압하 구배를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고품질의 주편을 안정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경압하 시의 압하 반력에 의한 롤 및 프레임의 변형량을 가미해서 각 롤 또는 각 롤 그룹의 압하량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압하 구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연속 주조 설비에 있어서 경압하를 행하는 롤군의 일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열 팽창량 보정의 기본 원리를 나타낸다.
도 3은 열 팽창량 보정값을 구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열 팽창량 합산값의 계측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롤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를 롤 번호순으로 플롯한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롤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에 의거하는 회귀식을 나타낸다.
도 7은 연속 주조 설비에 있어서 경압하를 행하는 롤군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j)를 롤 번호순으로 플롯한 예와 그 회귀식을 나타낸다.
도 9는 압하 반력을 연산하는 기기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1O은 압하 반력(Pi)과 변위(λm_i)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은 열 팽창량의 계측 결과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롤 간격의 제어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13은 주편의 품질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는 연속 주조 설비를 나타낸다.
도 15는 연속 주조 설비에 있어서의 경압하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연속 주조 설비에 있어서 경압하를 행하는 롤군의 일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롤군은 프레임(9)에 지지된 상하 한 쌍의 롤(8)을 8개 병렬시켜 구성되어 있다. 각 롤(8)의 압하량은 실린더(7)에 의해 롤(상측의 롤)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제어된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한 쌍의 롤(8)이 배치된 롤 배치 위치마다 독립적으로 냉각수 경로(11)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수 경로(11)는 각 프레임(9) 내를 돌고, 롤 배치 위치(상하 한 쌍의 롤(8))마다 이것을 냉각한다. 각 냉각수 경로(11)의 입측 및 출측에는 온도 센서(11a, 11b)가 설치되어 있고, 그 온도 센서(11a, 11b)에 의해 각 냉각수 경로(11)의 냉각수 입측 온도(Ti_in)와 냉각수 출측 온도(Ti_out)가 계측된다. 여기서, i는 롤군의 상류로부터 순서대로 붙여진 롤 번호이고, 이하도 같다. 도 1의 실시형태는 i=1,2, ···, 8이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열 팽창량 보정의 기본 원리를 나타낸다.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HMI)에 의해 입력된 롤 위치 입력값(δo_i)에 대하여 열 팽창량 보정값(λt_i)을 가미해서 롤 위치 지령값(δi)을 구하고, 이 롤 위치 지령값(δi)에 의거하여 각 롤(8)의 위치를 제어해서 압하량을 제어한다. 또한, 실제의 롤 위치는 센서에 의해서 계측되어 있고, 그 계측된 롤 위치가 롤 위치 지령값(δi)에 의거하는 롤 위치와 다른 경우는 그 편차에 따라 롤 위치 입력값(δo_i)을 보정하는 소위 피드백 제어를 행한다.
열 팽창량 보정값(λt_i)을 구하기 위해서는 개념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냉각수 경로(11)의 냉각수 입측 온도(Ti_in)와 냉각수 출측 온도(Ti_out)의 온도차(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와, 프레임(9)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f_i)과 주편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b_i)을 합산한 열 팽창량 합산값(λ_i)의 관계를 구해 둔다.
열 팽창량 합산값(λ_i)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센서(12)에 의해서 실측할 수 있다. 위치 센서(12)는 상하 한 쌍의 롤(8) 중 상하동하는 상측의 롤(이하「상롤」이라고 함)(8a)의 위치 및 그 변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실린더(7)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열 팽창량 합산값(λ_i)의 계측에 있어서는 상롤(8a)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주편(10)을 압박한 상태에서 연속 주조를 행하고, 위치 센서값(상롤(8a)의 위치)의 시간 변화를 계측함과 동시에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의 시간 변화를 계측한다(이 때 경압하는 실시하지 않는다.). 이 위치 센서값의 시간 변화는 프레임(9)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f_i)과 주편(10)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b_i)의 총합, 즉 본 발명에서 말하는 열 팽창량 합산값(λ_i)이다. 따라서, 이 위치 센서(12)에서 계측한 열 팽창량 합산값(λ_i)과, 이것과 동시에 계측한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에 의해 도 3의 관계를 구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일본 특허 출원 2011-84615호에서는 열 팽창으로 해서 프레임(9)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f_i)만을 계측하고, 주편(10)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b_i)은 고려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일본 특허 출원 2011-84615호에서는 주편(10)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b_i)만큼 열 팽창량 보정값에 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보다 고정밀도의 롤 간격 제어 및 보다 정확한 압하 구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프레임(9)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f_i)과 주편(10)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b_i)의 양자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편(10)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b_i)은 상롤 베어링 박스(13)와 하롤 베어링 박스(14) 사이에 설치한 리니어 센서(15)의 시간 변화를 계측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9)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f_i)은 열 팽창량 합산값(λ_i)으로부터 주편(10)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b_i)을 뺌으로써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 팽창량 합산값(λ_i)을 사용한 상기 도 3의 관계와 실제로 계측된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로부터 열 팽창량 보정값(λt_i)을 구한다. 즉, 상기 도 3의 관계에 있어서 실제로 계측된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에 대응하는 열 팽창량 합산값(λ_i)이 열 팽창량 보정값(λt_i)이다. 단, 개별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로부터 직접 열 팽창량 보정값(λt_i)을 구하면 그 열 팽창량 보정값이 각 롤 배치 위치에서 불균일하게 되어 버린다. 이것은 롤 배치 위치마다의 롤 외경의 가공 오차, 롤 마모에 의한 롤 지름차, 롤의 열 변형량 차 등에 의해 각 롤 배치 위치에 있어서의 롤(8)과 주편의 접촉 상태에 불균일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의 열 팽창량 보정값(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의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해서 개별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에 대하여 회귀 처리 또는 평균화 처리를 행한다.
이하, 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도 1의 실시형태와 같이 롤 배치 위치마다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를 구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롤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를 롤 번호순으로 플롯하면 도 5와 같이 된다. 이와 같이, 롤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에는 불균일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번째의 롤 배치 위치로부터 n번째(본 실시형태에서는 n=8)의 롤 배치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있어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나타내는 회귀식을 구한다. 그리고, 이 회귀식에 의해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연산해서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_rev)를 구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귀식은 최소 제곱법에 의해 ΔTi_rev=A×i+B(A, B는 정수, i는 롤 번호)가 되고, 이 회귀식에 롤 번호를 넣음으로써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_rev)가 얻어진다.
그리고, 얻어진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_rev)에 의거하여 도 3의 관계로부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λt_i_rev)을 구하고, 각 롤의 압하량을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3의 관계는 롤 배치 위치마다 개별적으로 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어느 특정(하나 또는 복수)의 롤 배치 위치에서 구한 관계를 다른 롤 배치 위치에서 사용하도록 해도 좋고, 복수의 롤 배치 위치에서 구한 관계를 평균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연속 주조 설비에 있어서 경압하를 행하는 롤군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롤(8)을 4개씩 2개의 롤 그룹(I, II)으로 나누고, 롤 그룹(I, II)이 배치된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냉각수 경로(11)를 설치하고 있다. 즉, 각 롤 그룹 배치 위치에 있어서 냉각수 경로(11)의 입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는 그 롤 그룹 내의 각 롤(8)용으로 분배되고, 그 후 합류해서 출측으로부터 배출된다.
각 냉각수 경로(11)의 입측 및 출측에는 온도 센서(11a, 11b)가 설치되어 있고, 그 온도 센서에 의해 각 냉각수 경로(11)의 냉각수 입측 온도(Tj_in)와 냉각수 출측 온도(Tj_out)가 계측된다. 여기서, j는 상류로부터 순서대로 붙여진 롤 그룹 번호이고, 이하도 같다. 도 7의 실시형태는 j=1, 2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냉각수 입측 온도(Tj_in)와 냉각수 출측 온도(Tj_out)로부터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j)를 구한다. 이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j)는 각 롤 그룹(I, II) 내의 각 롤(8)의 롤 배치 위치에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가 평균화된 값이 된다.
이하, 도 7의 실시형태와 같이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j)를 구하는 경우에서 있어서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λt'_i_rev)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j)를 롤 번호를 따라 플롯한다.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j)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롤 그룹 내의 각 롤(8)의 롤 배치 위치에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가 평균화된 값이기 때문에 롤 번호를 따라 플롯할 때에는 도 8과 같이 각 롤 그룹 I, II의 중앙 위치에 플롯한다. 이어서, 플롯된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j)로부터 1번째의 롤 배치 위치로부터 n번째(본 실시형태에서는 n=8)의 롤 배치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있어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나타내는 회귀식을 구한다. 그리고, 이 회귀식에 의해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연산해서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_rev)를 구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귀식은 최소 제곱법에 의해 ΔTi'_rev=A'×i+B'(A', B'는 정수, i는 롤 번호)가 되고, 이 회귀식에 롤 번호를 넣음으로써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_rev)가 얻어진다. 후에는, 얻어진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i'_rev)에 의거하여 도 3의 관계로부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λt'_i_rev)을 구하고 각 롤의 압하량을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3의 관계는 롤 배치 위치마다 개별적으로 구해도 좋지만, 롤 그룹 내의 각 롤 배치 위치에서 구한 관계를 평균해서 사용해도 좋고, 롤 그룹 내의 특정 롤 배치 위치에서의 관계를 동일 그룹 내의 다른 롤 배치 위치에서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j)로부터 1번째의 롤 배치 위치로부터 n번째의 롤 배치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있어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나타내는 회귀식을 구했지만,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j)로부터 1번째의 롤 그룹 배치 위치로부터 m번째(1<m<n)의 롤 그룹 배치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있어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나타내는 회귀식을 구하고, 롤 그룹 단위로 열 팽창량 보정값(λt_j)을 구해서 롤 그룹 단위로 그 압하량을 보정하도록 해도 좋다. 즉, 1롤 그룹 내의 각 롤의 압하량을 동일 열 팽창량 보정값(λt_j)으로 보정한다. 롤 그룹 배치 위치 사이에서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j)의 차가 작은(회귀식의 기울기가 작은) 경우는 압하량의 보정을 롤 그룹마다 행해도 롤의 압하량은 실용 레벨에 있어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관계로서는 롤 그룹 내의 각 롤 배치 위치에서 구한 관계를 평균해서 사용해도 좋고, 롤 그룹 내의 특정 롤 배치 위치에서의 관계를 대표시켜서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의 회귀식을 사용하지 않고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j)로부터 직접 도 3의 관계로부터 롤 그룹 단위로 열 팽창량 보정값(λt_j)을 구하고, 롤 그룹 단위로 그 압하량을 보정하도록 해도 좋다. 즉, 1롤 그룹 내의 각 롤의 압하량을 동일 열 팽창량 보정값(λt_j)으로 보정한다.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j)는 그 롤 그룹에 속하는 롤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가 평균된 값이기 때문에 반드시 회귀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개별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의 불균일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롤 그룹 내의 롤 배치 위치 사이에서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j)의 차가 작은 경우는 이와 같이 롤 그룹 내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의 평균값을 사용해도 롤의 압하량은 실용 레벨에 있어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회귀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롤 그룹의 수는 1(m=1)이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회귀식을 구하는 경우 1차식에 의한 최소 제곱법을 사용했지만, 회귀의 수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차 곡선을 비롯해 모든 곡선에 의한 회귀를 행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롤 번호를 사용하여 회귀식을 정리했지만, 이것은 주편의 이동방향의 롤 간 거리(롤 피치)가 동일한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단, 롤 피치는 그것을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경우도 있고, 반드시 롤 번호만으로 회귀식을 정리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경압하용 롤의 최상류 롤(1번째의 롤)로부터 i번째 롤까지의 거리 등을 이용하여 회귀식을 정리해도 전혀 문제는 없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경압하 장치로서 도 1 및 도 7에 있어서 빗살 프레임형 경압하 장치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적용이 빗살 프레임형 경압하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고, 세그먼트형 경압하 장치나 스탠드형 경압하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압하 반력에 의한 롤 및 프레임의 변형을 가미한 롤 또는 롤 그룹의 압하량의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압하 반력을 연산하는 기기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경압하용 실린더의 헤드(H)측에 설치한 압력계(PT1)와 로드측(R)에 설치한 압력계(PT2)에 의해 헤드(H)측의 압력(PH), 로드측의 압력(PR)이 각각 측정된다. 측정된 압력은 변환기에서 신호로 변환되고, 입력 신호가 제어 장치에 입력되어 압하 반력이 연산된다.
구체적으로는 경압하용 실린더의 헤드(H)측의 직경을 DH, 로드(R)의 직경을 DR이라고 하면, 상기 압력계(PT1)에서 측정한 헤드(H)측의 압력(PH) 및 상기 압력계(PT1)에서 측정한 로드(R)측의 압력(PR)으로부터 압하 반력(Pi)은 다음 식에 따라 연산된다.
P=π/4×{DH2×PH-(DH2-DR2)×PR}
이 압하 반력(Pi)으로부터 미리 측정해 둔 압하 반력(Pi)과 변위(Δi)의 관계(도 10 참조)로부터 보정값(밀 강성 보정값)(λm_i)을 구한다. 또한, 경압하 장치의 각 구성 부품은 전부 탄성역의 변형이기 때문에 압하 반력(Pi)과 변위(Δi)는 도 1O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례 관계에 있고, 오프라인 테스트에 의해 각 롤에 있어서의 압하 반력(Pi)과 변위(Δi)의 관계를 측정해 둔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밀 강성 보정값(λm_i)에 의거하여 앞서 나타낸 도 2에 있어서 롤 위치 입력값(δo_i)에 대하여 열 팽창량 보정값(λt_i)과 함께 밀 강성 보정값(λm_i)을 가미해서 롤 위치 지령값(δi)을 구하고, 이 롤 위치 지령값(δi)에 의거하여 각 롤의 위치를 제어해서 압하량을 제어한다. 또한, 롤마다가 아니라 롤 그룹마다 압하량을 제어하는 경우도 상술과 같은 요령으로 롤 위치 지령값(δi)을 구한다.
이 제어는 도 9에 나타낸 제어 장치에서 실행된다. 또한, 이 제어 장치에는 미리 구해진 경압하하는 주편의 경압하 시의 압하 반력 적정 범위(압하력 상한 및 압하력 하한)가 롤마다 또는 롤 그룹마다 기억되어 있다. 상기 식에 의해 연산된 압하 반력이 적정 범위를 하회했을 경우는 롤의 압하량을 증가시키고, 압하 반력이 적정 범위를 상회했을 경우는 롤의 압하량을 감소시켜 각각 적정 압하력 범위가 되도록 롤 또는 롤 그룹의 압하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를 행하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실제의 연주 주편의 경압하에 있어서 복수의 롤 사이를 통과하는 연주 주편의 형상은 다양한 조업 조건에 의해 순차적으로 변화한다. 이 경우, 연주 주편의 형상이 예를 들면 강종(鋼種), 조업 인발 속도, 냉각 조건 등에 기인해서 수㎜ 작아졌을 경우 실린더의 위치 제어에 의한 경압하의 방법에서는 필요 압하량에 대하여 미달이 된다. 최악의 경우, 주편이 압하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연주 주편의 형상이 예를 들면 강종, 조업 인발 속도, 냉각 조건 등에 기인해서 수㎜ 커졌을 경우 실린더의 위치 제어에 의한 경압하의 방법에서는 필요 압하량에 대하여 과잉이 된다. 최악의 경우, 지나친 압하에 의해 내부 균열 등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하 반력 적정 범위에 의거하는 압하량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압하 반력을 경압하용 실린더의 헤드측 및 로드측에 설치한 압력계에 의해 측정된 압력을 토대로 연산했지만, 압하 반력은 롤 또는 롤 그룹의 가대 또는 경압하 스탠드에 설치한 로드셀에 의해 검출할 수도 있다. 로드셀에 의해 검출된 신호는, 예를 들면 도 9의 변환기에서 신호로 변환되고, 입력 신호가 제어 장치에 입력되어 압하 반력이 연산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주 주편의 경압하의 예(실시예 1)를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로서 주편의 열 팽창을 고려하고 있지 않은 상기 일본 특허 출원 2011-084615호에 의한 경압하의 예(비교예 1), 열 팽창의 보정을 전혀 행하지 않은 경압하의 예(비교예 2) 및 경압하를 행하지 않은 예(비교예 3)도 나타낸다.
우선,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대해서 앞서 설명한 도 4의 방법에 의한 열 팽창량의 계측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에서는 도 4의 위치 센서(12)에 의해 상하방향 열 팽창량(λf_i)과 주편(10)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b_i)의 총합인 열 팽창량 합산값(λ_i)을 계측하고, 비교예 1에서는 도 4의 상롤 베어링 박스(13)와 하롤 베어링 박스(14) 사이에 설치한 리니어 센서(15)에 의해 계측되는 주편(10)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b_i)을 위치 센서(12)에 의해 계측되는 열 팽창량 합산값(λ_i)으로부터 뺌으로써 프레임(9) 상하방향 열 팽창량(λf_i)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낸다.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조 개시로부터 3시간 후에는 냉각수 입출 온도차(ΔT)는 1O℃가 되고, 이 때의 열 팽창량 합산값(λ)은 2㎜, 주편(10)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b)은 1.3㎜이었다. 즉, 이 때의 프레임(9) 상하방향 열 팽창량(λf)은 λ-λb=0.7㎜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에서는 이 주편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b)도 포함시켜 롤의 압하량을 보정하지만, 비교예 1에서는 주편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λb)이 고려되지 않으므로 그 만큼(1.3㎜) 롤의 압하량을 적정하게 보정할 수 없다.
이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면 도 12와 같다. 도 12에 있어서 곡선(L)은 경압하 없음에서의 롤 간격, 즉 도 4의 방법으로 계측한 열 팽창량 합산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1에서는 이 곡선(L)에 의거하여 경압하 시의 롤 간격의 보정을 행하므로 항상 적정한 경압하량(도 12의 예에서는 1㎜)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에서는 주편의 열 팽창량에 의거하는 보정이 행해지지 않으므로 주편의 열 팽창량만큼 과압하가 된다. 예를 들면, 주조 개시로부터 3시간 후에는 주편의 열 팽창량인 1.3㎜의 과압하가 된다. 한편, 열 팽창의 보정을 전혀 행하지 않은 비교예 2에서는 주조 개시 당초는 미압하 상태가 되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과압하 상태가 된다.
도 1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에 의해 주조한 주편의 품질로서 중심 편석도 및 내부 균열의 유무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강종은 베어링 강, 주편은 350×450㎜의 블룸 주편, 경압하의 목표량은 1㎜/1롤×10단으로 했다.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내부 균열은 발생하지 않고 중심 편석도 개선되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에서는 비교예 2 및 3에 비해 중심 편석은 개선되지만 내부 균열이 발생했다. 비교예 2에서는 경압하를 행하지 않은 비교예 3에 비해 중심 편석은 개선되지만 내부 균열이 발생했다. 비교예 3에서는 중심 편석이 현저히 발생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에서는 내부 균열은 발생하지 않고 중심 편석도 개선되고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경압하 방법에 의해 고정밀도의 롤 간격 제어 및 정확한 압하 구배가 실현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 용강 2 주형
3 롤 4 프레임
5 롤 세그먼트 6 경압하 세그먼트
7 실린더 8 롤
9 프레임 10 주편
11 냉각수 경로 11a, 11b 온도 센서
12 위치 센서 13 상롤 베어링 박스
14 하롤 베어링 박스 15 리니어 센서

Claims (7)

  1. 연주 주편의 응고 말기에 프레임에 지지된 상하 한 쌍의 롤을 n개 병렬시킨 롤군을 통과시켜 연주 주편을 경압하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에 있어서,
    미리 상기 상하 한 쌍의 롤이 배치된 롤 배치 위치마다 설치한 냉각수 경로의 냉각수 입측 온도와 냉각수 출측 온도의 온도차(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 및 연주 주편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을 합산한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를 구해 두고,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롤 배치 위치마다 계측하고,
    상기 롤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로부터 1번째의 롤 배치 위치로부터 n번째의 롤 배치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있어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나타내는 회귀식을 구하고,
    상기 회귀식에 의해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연산해서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로 하고,
    상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미리 구해둔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로부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을 구하고,
    상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에 의거하여 각 롤의 압하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
  2. 연주 주편의 응고 말기에 프레임에 지지된 상하 한 쌍의 롤을 n개 병렬시킨 롤군을 통과시켜 연주 주편을 경압하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상하 한 쌍의 롤을 m개(1<m<n)의 롤 그룹으로 나누고,
    미리 상기 롤 그룹이 배치된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설치한 냉각수 경로의 냉각수 입측 온도와 냉각수 출측 온도의 온도차(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 및 연주 주편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을 합산한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를 구해 두고,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계측하고,
    상기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로부터 1번째의 롤 배치 위치로부터 n번째의 롤 배치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있어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나타내는 회귀식을 구하고,
    상기 회귀식에 의해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계산해서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로 하고,
    상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미리 구해둔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로부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을 구하고,
    상기 각 롤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에 의거하여 각 롤의 압하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
  3. 연주 주편의 응고 말기에 프레임에 지지된 상하 한 쌍의 롤을 n개 병렬시킨 롤군을 통과시켜 연주 주편을 경압하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상하 한 쌍의 롤을 m개(1<m<n)의 롤 그룹으로 나누고,
    미리 상기 롤 그룹이 배치된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설치한 냉각수 경로의 냉각수 입측 온도와 냉각수 출측 온도의 온도차(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 및 연주 주편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을 합산한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를 구해 두고,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계측하고,
    상기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로부터 1번째의 롤 그룹 배치 위치로부터 m번째의 롤 그룹 배치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있어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나타내는 회귀식을 구하고,
    상기 회귀식에 의해 각 롤 그룹 배치 위치에서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계산해서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로 하고,
    상기 각 롤 그룹 배치 위치에서의 보정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미리 구해 둔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로부터 각 롤 그룹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을 구하고,
    상기 각 롤 그룹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에 의거하여 각 롤 그룹의 압하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
  4. 연주 주편의 응고 말기에 프레임에 지지된 상하 한 쌍의 롤을 n개 병렬시킨 롤군을 통과시켜 연주 주편을 경압하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상하 한 쌍의 롤을 m개(1≤m<n)의 롤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미리 상기 롤 그룹이 배치된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설치한 냉각수 경로의 냉각수 입측 온도와 냉각수 출측 온도의 온도차(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 및 연주 주편의 상하방향 열 팽창량을 합산한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를 구해 두고,
    냉각수 입출 온도차를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 계측하고,
    상기 롤 그룹 배치 위치마다의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상기 미리 구해 둔 냉각수 입출 온도차와 열 팽창량 합산값의 관계로부터 각 롤 그룹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을 구하고,
    각 롤 그룹 배치 위치에서의 열 팽창량 보정값에 의거하여 각 롤 그룹의 압하량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압하 시의 압하 반력에 의한 롤 및 프레임의 변형량을 가미해서 각 롤 또는 각 롤 그룹의 압하량을 보정하도록 하고 있고, 이 때 미리 롤마다 또는 롤 그룹마다 경압하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시의 상한과 하한으로 이루어지는 압하 반력 적정 범위를 구해 두고, 연주 주편의 경압하 시의 압하 반력이 상기 하한을 하회했을 경우는 롤 또는 롤 그룹의 압하량을 증가시키고, 압하 반력이 상기 상한을 상회했을 경우는 롤 또는 롤 그룹의 압하량을 감소시키고, 각각 적정 압하력 범위가 되도록 롤 또는 롤 그룹의 압하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압하 반력을 경압하용 실린더에 설치한 압력계에 의해 측정한 압력을 토대로 연산함으로써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압하 반력을 롤 또는 롤 그룹의 가대, 또는 경압하 스탠드에 설치한 로드셀에 의해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
KR1020157016201A 2013-09-30 2013-09-30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 KR101701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6521 WO2015045148A1 (ja) 2013-09-30 2013-09-30 連鋳鋳片の軽圧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346A KR20150086346A (ko) 2015-07-27
KR101701184B1 true KR101701184B1 (ko) 2017-02-01

Family

ID=5274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201A KR101701184B1 (ko) 2013-09-30 2013-09-30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01184B1 (ko)
CN (1) CN104870121B (ko)
WO (1) WO2015045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6195B (zh) * 2017-05-31 2019-01-15 西安交通大学 一种基于流数据的动态轻压下控制方法
CN109807298B (zh) * 2019-03-27 2021-02-12 李建勋 一种铜杆上引连铸冷却水流速自动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3061A (ja) 2008-07-16 2010-02-04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ロールセグメント装置
JP2011143448A (ja) 2010-01-14 2011-07-28 Kobe Steel Ltd 連続鋳造設備の鋳片圧下ロールスタンド
JP2012218012A (ja) 2011-04-06 2012-11-12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連鋳鋳片の軽圧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004A (ja) 1991-07-04 1993-01-19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軽圧下制御方法
CN1911561A (zh) * 2005-08-09 2007-02-14 宝钢集团上海梅山有限公司 一种板坯连铸轻压下位置的控制方法
CN100561390C (zh) * 2007-12-14 2009-11-18 鞍钢股份有限公司 连铸坯二次冷却动态控制系统
CN101363832B (zh) * 2008-09-11 2012-05-30 北京科技大学 一种用于模拟连铸坯轻压下技术的铸模实验设备及方法
CN101890488A (zh) * 2009-05-21 2010-11-2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连铸坯液芯凝固末端位置确定方法
CN201644738U (zh) * 2009-12-14 2010-11-24 田陆 用于模拟连铸凝固和轻压下过程的观察模型
JP5800392B2 (ja) * 2012-05-01 2015-10-28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連鋳鋳片の軽圧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3061A (ja) 2008-07-16 2010-02-04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ロールセグメント装置
JP2011143448A (ja) 2010-01-14 2011-07-28 Kobe Steel Ltd 連続鋳造設備の鋳片圧下ロールスタンド
JP2012218012A (ja) 2011-04-06 2012-11-12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連鋳鋳片の軽圧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70121B (zh) 2016-10-05
KR20150086346A (ko) 2015-07-27
CN104870121A (zh) 2015-08-26
WO2015045148A1 (ja)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895B1 (ko) 프로세스 파라미터들의 직접 측정으로 압연하는 동안 금속 스트립 프로파일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2126006B (zh) 连铸轻压下辊缝控制方法
CN106041010B (zh) 一种连铸大方坯轻压下标定方法
RU2728996C2 (ru) Валки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дл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линии esp, имеющие большой ресурс
US7310982B2 (en) Rolling method and rolling apparatus for flat-rolled metal materials
KR101701184B1 (ko) 연주 주편의 경압하 방법
JP6036659B2 (ja) 連続鋳造機におけるロール開度管理方法
JP2012218012A (ja) 連鋳鋳片の軽圧下方法
KR101323292B1 (ko) 연주 주편 두께 조절 장치 및 두께 조절 방법
CN103509932A (zh) 基于步进式梁式的加热炉及其防跑偏方法
JP2006281231A (ja) 連続式熱間仕上圧延機における板形状制御方法
TWI744739B (zh) 厚鋼板的冷卻控制方法、冷卻控制裝置以及厚鋼板的製造方法
JP5800392B2 (ja) 連鋳鋳片の軽圧下方法
JP2011218422A (ja) 連鋳鋳片の軽圧下制御方法
JP2005028407A (ja) 圧延材形状制御方法
KR20010075183A (ko) 오스테나이트계 강, 혼합된 오스테나이트계 페라이트계강, 및 페라이트계 강을 압연하는데 있어서 특정 제품특성을 형성하기 위한 복합 조절 시스템
CN111299534B (zh) 连铸轻重压下基准辊缝确定方法及装置
JP2018196893A (ja) 連続鋳造鋳片のクレータエンド位置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JP4461075B2 (ja) 連続鋳造方法
KR101879085B1 (ko) 연연속 열간 압연 장치 및 그 방법
JP2008297583A (ja) 表面硬度の上限規定が設けられている厚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設備
JP6319179B2 (ja) 鋳片支持ロールのロール間隔調整方法
JP6451696B2 (ja) ロールレベラによる鋼板矯正方法およびロールレベラ
JP3666437B2 (ja) 連続鋳造機におけるロールギャップ管理方法
JP6083411B2 (ja) 連続鋳造機におけるガイドロール群のロール間隔異常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