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136B1 -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136B1
KR101701136B1 KR1020150181461A KR20150181461A KR101701136B1 KR 101701136 B1 KR101701136 B1 KR 101701136B1 KR 1020150181461 A KR1020150181461 A KR 1020150181461A KR 20150181461 A KR20150181461 A KR 20150181461A KR 101701136 B1 KR101701136 B1 KR 101701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flash
terminal assembly
b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득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아이
Priority to KR1020150181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는 플래시(12)와, 자동초점장치(14)와, 복수의 돔 스위치(16)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이동 단말 어셈블리(10)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제어부가 내장되는 본체케이스(100)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상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가 안착되는 안착블럭(200)과, 상기 안착블럭(2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덮개블럭(210)와, 상기 덮개블럭(2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플래시(12)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플래시(12)의 작동여부를 검사하는 플래시 검사부(220)와, 상기 덮개블럭(210)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자동초점장치(14)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를 반사시켜 상기 자동초점장치(14)의 성능을 검사하는 자동초점 검사부(230)와, 상기 안착블럭(200)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돔 스위치(16)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검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돔 스위치(16)의 상측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중검사부(500)를 통해 다양한 형태와 개수로 구비되는 돔 스위치(16)를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플래시 감지센서(212)와 반사판(232)을 통해 각각 플래시(12)와 자동초점장치(14)를 검사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짧은 시간 동안 다양한 부품들을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Mobile terminal assembly inspe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 후면에 구비되는 플래시(Flash LED)와, 자동초점장치(LDAF)와, 돔 스위치(Dome switch)에 대한 작동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에는 전면에 액정패널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가 구비된다.
특히,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후면에는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과 플래시, RGB 센서 및 자동초점장치(laser detection auto focusing, LDAF)와 터치 또는 클릭 등의 조작을 위한 돔 스위치가 구비된다.
최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카메라 기능도 강화되면서 고해상도의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수요가 높아지고, 또한 상기 돔 스위치의 사용감도(이하, 클릭감) 향상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제조과정에서 다양한 부품들을 검사할 수 있는 대한 검사장치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다양한 검사장치가 개발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0635475호, 등록특허 제10-0663868호, 공개특허 제10-2014-0111540호 등에서 다양하게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검사대상물을 베이스에 장착하고 이를 검사하기 위한 부재가 설치된 커버를 검사대상물이 교체될 때마다 일일이 상하로 조작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기 때문에 검사자의 피로를 누적시킬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돔 스위치를 검사하기 위해 돔 스위치마다 1:1로 대응되는 가압기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다수 구비되는 돔 스위치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검사장치의 크기 및 부피가 커져야 하므로 검사장치의 운용에 효율적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래시와 자동초점장치 등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수단은 구비되지 못하여 이러한 부품들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사장치가 구비되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635475호 등록특허 제10-0663868호 공개특허 제10-2014-011154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돔 스위치를 장착하여 검사할 수 있고 또한, 다수 구비되는 돔 스위치를 하나의 검사수단을 이용하여 검사할 수 있는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터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세밀한 검사장치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종래의 검사장치보다 정밀한 측정값을 도출할 수 있는 검사장치를 제공함과 더불어 플래시와 자동초점장치 등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종합적인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는 플래시와, 자동초점장치와, 복수의 돔 스위치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이동 단말 어셈블리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로써, 외관을 형성하며 제어부가 내장되는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가 안착되는 안착블럭; 상기 안착블럭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덮개블럭; 상기 덮개블럭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플래시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플래시의 작동여부를 검사하는 플래시 검사부; 상기 덮개블럭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자동초점장치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를 반사시켜 상기 자동초점장치의 성능을 검사하는 자동초점 검사부; 상기 안착블럭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돔 스위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검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블럭은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의 커넥터와 통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로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커넥터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래시 검사부는 상기 덮개블럭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플래시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플래시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감지하는 플래시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동초점 검사부는 상기 자동초점장치의 직상방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자동초점장치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가 반사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작업테이블로부터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반사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중검사부는 상기 안착블럭을 향해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안착블럭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돔 스위치의 상측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중검사부를 통해 다양한 형태와 개수로 구비되는 돔 스위치를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플래시 감지센서와 반사판을 통해 각각 플래시와 자동초점장치를 검사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짧은 시간 동안 다수의 부품을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누구나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손쉬운 인터페이스 방식을 구축하여 검사장치 조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단순한 조작으로도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에 의해 검사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중 안착블럭과 덮개블럭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중 안착블럭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중 수평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중 수직이동부와 하중검사부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중 수직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중 하중검사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검사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에 의해 검사되는 이동 단말 어셈블리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상세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중 안착블럭과 덮개블럭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중 안착블럭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중 수평이동부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중 수직이동부와 하중검사부의 상세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중 수직이동부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중 하중검사부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는 플래시(12)와, 자동초점장치(14)와, 복수의 돔 스위치(16)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이동 단말 어셈블리(10)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플래시(12)는 카메라 촬영 시에 빛을 발광하는 LED 소자 등을 예로 들며, 상기 자동초점장치(14)는 레이저의 발광과 수광을 통해 피사체를 식별하는 장치를 예로 든다. 그리고 상기 돔 스위치(16)는 일렬로 나란하게 다수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버튼 형식의 스위치를 그 예로 든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의 내부에는 빛의 RGB 색상의 농도를 측정하는 RGB 센서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는 플래시(12)와, 자동초점장치(14)와, 복수의 돔 스위치(16)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이동 단말 어셈블리(10)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로써, 외관을 형성하며 제어부가 내장되는 본체케이스(100)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상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가 안착되는 안착블럭(200)과, 상기 안착블럭(2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덮개블럭(210)과, 상기 덮개블럭(2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플래시(12)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플래시(12)의 작동여부를 검사하는 플래시 검사부(220)와, 상기 덮개블럭(210)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자동초점장치(14)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를 반사시켜 상기 자동초점장치(14)의 성능을 검사하는 자동초점 검사부(230)와, 상기 안착블럭(200)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돔 스위치(16)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검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됨과 더불어 내부에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가지는 통체로 구비되며, 전면에는 기기의 조작을 위한 조작버튼(101)과 기기 조작을 통해 도출된 검사결과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2)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구동 제어 및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에 대한 검사 결과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상면에는 작업테이블(110)이 구비된다.
상기 작업테이블(110)은 사각 평판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작업테이블(110)에는 절개공(112)과 관통공(114)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공(112)은 상기 작업테이블(110)의 상면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안착블럭(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공(114)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테이블(110)의 상면 우측(도 2에서)에는 고정부재(12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사각블럭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안착블럭(200)의 우측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안착블럭(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안착블럭(200)이 상기 작업테이블(110)의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상기 안착블럭(200)이 무분별하게 우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블럭(200)은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가 안착되는 부위이며, 상기 작업테이블(110)의 절개공(112)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안착블럭(200)은 첨부된 도 4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가 안착되는 상면이 함몰 형성되며 중심부 일측(도 5에서)에는 커넥터 안착부(202)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 안착부(202)는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의 커넥터(18)가 안착되는 부위로써, 상기 커넥터(18)와 통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18)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블럭(200)의 좌측에는 상기 안착블럭(200)과 힌지 결합되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의 상면을 가압하는 덮개블럭(210)이 구비된다.
상기 덮개블럭(210)은 첨부된 도 4와 같이 " ┛"자 형태로 절개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안착부(202)에 안착된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를 가압하는 부위이다. 즉,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에 대한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를 상측에서 가압하여 상기 안착블럭(2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덮개블럭(210)의 상면에는 푸셔(212)가 구비된다. 상기 푸셔(212)는 복수의 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의 커넥터(18)와 상기 안착블럭(200)의 커넥터 안착부(202)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를 상측에서 가압하는 부위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푸셔(212)는 복수의 핀이 상기 덮개블럭(210)의 절개된 홈을 지나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의 상면 중 상기 커넥터(18)가 형성된 부위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안착부(202)와 커넥터(18)가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푸셔(2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핀으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를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블럭(210)에는 플래시 검사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플래시 검사부(220)는 플래시 감지센서(222)와, 연결케이블(224)과, 케이블 고정부재(226)로 구성되며, 상기 플래시(12)의 발광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래시 감지센서(222)는 상기 덮개블럭(210)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플래시(12)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플래시 감지센서(222)는 상기 푸셔(212)의 상측(도 2에서)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블럭(210)의 저면으로부터 상면에 이르기까지 상기 덮개블럭(210)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플래시 감지센서(222)는 저면이 상기 플래시(12)의 직상방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되며, 상면은 상기 덮개블럭(210)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돌출된 상면에는 연결케이블(224)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케이블(224)은 상기 플래시 감지센서(222)의 상면으로부터 좌측(도 2에서)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어부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226)는 상기 연결케이블(224)이 상기 안착블럭(200)의 좌우 이동에 따라 꼬이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케이블(224)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플래시 검사부(220)는 상기 덮개블럭(210)이 안착블럭(200)을 향해 하강되었을 때, 상기 플래시 감지센서(222)가 상기 플래시(12)와 마주보게 됨으로써, 상기 플래시(12)의 발광여부를 감지하여 이러한 감지정보는 상기 연결케이블(224)을 통해 제어부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블럭(210)의 우측(도 7에서)에는 상기 덮개블럭(210)을 고정하는 걸림부재(214)이 더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214)는 첨부된 도 7과 같이, 상기 덮개블럭(210)과 맞닿는 면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덮개블럭(210)의 일측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덮개블럭(210)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걸림부재(214)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좌측(도 4에서)으로 젖힐 수 있게 구비된다. 즉, 상기 걸림부재(214)는 상기 덮개블럭(210)을 항시 가압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일시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블럭(210)의 상측에는 자동초점 검사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자동초점 검사부(230)는 반사판(232)과 지지대(234)로 구성되며, 상기 자동초점장치(14)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를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사판(232)은 사각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자동초점장치(14)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가 반사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상기 반사판(232)은 상기 작업테이블(110)로부터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234)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기 자동초점 검사부(230)는 상기 자동초점장치(14)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를 반사하여 다시 자동초점장치(14)로 수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레이저가 상기 반사판(232)을 맞고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232)은 상기 지지대(234)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자동초점장치(14)와 반사판(232)가 이격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레이저가 반사판(232)을 맞고 되돌아오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통해 다양한 발광거리를 가지는 자동초점장치(14)의 검사를 시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이동부(300)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블럭(200)과 연동되어 상기 안착블럭(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이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수평이동부(300)는 첨부된 도 6과 같이 상기 작업테이블(1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작업테이블(110)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기 수평실린더(310)와, 상기 수평실린더(310)로부터 좌측으로 돌출 형성된 수평실린더로드(312)와, 상기 수평실린더로드(312)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좌우로 유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실린더브로킷(320)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실린더브로킷(320)은 상기 작업테이블(110)의 절개공(112)을 통과하여 상단이 상기 안착블럭(200)의 저면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평실린더(310)로부터 발생되는 이동력을 상기 안착블럭(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이동부(400)는 첨부된 도 7과 같이 스테핑모터(410), 풀리(420), 타이밍벨트(430), 아이들러(440), 승강플레이트(4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중검사부(500)를 상기 작업테이블(1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동부(400)의 배면에는 첨부된 도 2 및 도 3과 같이 수직프레임(470), 수평프레임(472)과 실린더로드(474) 및 하강지지부재(480)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프레임(470)과 수평프레임(472)은 사각 평판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작업테이블(1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프레임(470)과 수평프레임(472)은 '∏'자 형상을 이루도록 나사 결합된다. 즉, 상기 수직프레임(470)과 수평프레임(472)은 전면(도 2에서)만이 개방된 사각블럭 형태를 이루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는 수직실린더로드(474)와 하강지지부재(480)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실린더로드(474)는 상기 수직프레임(470)과 마찬가지로 상기 작업테이블(1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450)가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하강지지부재(480)는 상기 승강플레이트(45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450)가 지정된 범위 내에서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플레이트(450)의 하측에서 이를 제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테핑모터(410)는 펄스 신호를 줄 때마다 일정한 각도씩 회전되는 모터로써,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41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풀리(420)는 상기 회전축(4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테핑모터(41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부위이다. 그리고 상기 풀리(420)는 타이밍벨트(430)의 하단이 걸치는 부위이다.
상기 타이밍벨트(430)는 하단이 상기 풀리(420)에 걸치도록 설치되며, 상기 풀리(420)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상기 타이밍벨트(430)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내부로부터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관통공(114)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14)은 상기 타이밍벨트(430)의 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타이밍벨트(430)의 두께 및 길이를 고려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들러(440)는 상기 풀리(420)의 직상방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타이밍벨트(430)의 상단이 걸쳐지도록 하여 상기 타이밍벨트(430)에 장력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즉, 상기 타이밍벨트(430)는 상기 풀리(420)와 아이들러(440)에 하단과 상단이 각각 걸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테핑모터(410)의 구동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450)는 상기 타이밍벨트(430)의 일부분과 연동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타이밍벨트(430)의 진행경로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승강플레이트(450)는 상기 실린더로드(474)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며, 상기 하중검사부(5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타이밍벨트(430)와 승강플레이트(450) 사이에는 클램프(4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460)는 상기 타이밍벨트(430)와 승강플레이트(450)가 ㅇ연동되도록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타이밍벨트(430)와 승강플레이트(450)가 직접 연동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클램프(460)를 통해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직이동부(400)의 일측에는 상기 수직이동부(400)의 승강 이동상태를 감지하는 상하리미트센서(55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상하리미트센서(550)는 상기 수직이동부(400)의 승강 이동되는 거리를 센싱하여 상기 수직이동부(400)가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중검사부(500)는 첨부된 도 9과 같이 스프링핀(510), 로드셀(520), 로드셀브로킷(530), 좌우이송모터(5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돔 스위치(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핀(510)은 상기 안착블럭(200)의 상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돔 스위치(12)의 상면을 가압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핀(510)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그 끝단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핀(510)의 끝단이 상기 돔 스위치(12)의 상면과 맞닿을 시에는 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스프링핀(510)의 끝단이 상기 돔 스위치(12)와 이격되면 스프링은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핀(510)의 상단에는 로드셀(520)이 구비된다. 상기 로드셀(520)은 상기 스프링핀(5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핀(510)과 연동되어 상기 돔 스위치(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부위이다. 즉, 상기 스프링핀(510)이 상기 돔 스위치(12)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드셀(520)의 상단에는 로드셀브로킷(530)이 구비된다. 상기 로드셀브로킷(530)은 상기 승강플레이트(450)의 전면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부위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플레이트(450)의 상면에는 좌우이송모터(54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송모터(540)는 상기 좌우이송모터(54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스크류(5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핀(510)의 좌우 이동을 위한 이동력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살펴본다. 첨부된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검사순서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이동 단말 어셈블리(10)를 안착블럭(200)에 안착시키고 덮개블럭(210)을 상기 안착블럭(200)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상기 덮개블럭(210)이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태가 되고, 상기 덮개블럭(210)의 절개된 홈을 통해 자동초점장치(14)와 돔 스위치(16)가 노출된다. 이와 더불어 푸셔(212)는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를 가압하여 커넥터(18)와 커넥터 안착부(202)가 접하는 상태가 되며, 플래시(12)와 플래시 감지센서(212)는 근접하여 마주보는 형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된 본체케이스(100)의 조작버튼(101)을 누르게 되면 내장된 제어부의 운영체제(OS)를 체크하고(S610) 플래시(12)가 방사됨과 동시에 플래시 감지센서(212)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S620), 이와 더불어 빛의 3원색을 분석하여 화이트 밸런스를 잡아주는 RGB 센서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고(S630), 이후에 상기 자동초점장치(14)로부터 방사된 레이저가 반사판(232)을 맞고 굴절되어 되돌아온다(S640). 상기 반사판(232)으로부터 굴절되어 복귀되는 레이저는 상기 자동초점장치(14)로 다시 수광되고, 상기 레이저의 발광과 수광까지 소요된 시간을 연산하여 작동여부 및 성능을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상기한 과정들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들은 상기 커넥터(18)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된다.
이후에 상기 안착블럭(200)은 수평이동부(300)에 의해 우측(도 2에서)으로 일정거리 이동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안착블럭(200)은 첨부된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우측 즉, 고정부재(120)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검사대상물인 이동 단말 어셈블리(10)가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이동 단말 어셈블리(10)를 검사하기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절차이다.
이로써, 돔 스위치(16)를 검사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고 수직이동부(400)와 하중검사부(500)가 차례대로 구동된다. 상기 수직이동부(400)는 스테핑모터(410)의 정/역회전에 의해 회전축(412)이 회전되고, 이에 풀리(420)와 아이들러(440)에 걸쳐진 타이밍벨트(430)가 회전되면서 상기 타이밍벨트(430)에 연동된 클램프(460)와 승강플레이트(450)가 상기 안착블럭(200) 방향으로 하강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450)가 하강됨에 따라 스프링핀(510)은 점점 상기 돔 스위치(16)의 상면으로 근접하게 되고, 이후 상기 돔 스위치(16)와 스프링핀(510)의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돔 스위치(16)에 가해지는 하중이 로드셀(520)을 통해 측정된다(S650). 그리고 좌우이송모터(540)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542)가 좌측(도 2에서)으로 이동되면서 로드셀브로킷(530)이 상기 승강플레이트(450)의 전면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상기 로드셀(520) 및 스프링핀(510)도 함께 좌측으로 이동되고 다음 검사할 돔 스위치(16)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최초에 상기 돔 스위치(16)와 스프링핀(510)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상기 돔 스위치(16)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로드셀(520)을 통해 측정된다.
상기한 과정은 돔 스위치(16)의 갯수만큼 반복되고, 상기 돔 스위치(16)에 대한 하중 검사가 끝나면 상기 스크류(542)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로드셀브로킷(530)과 로드셀(520), 스프링핀(510)이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블럭(200)도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최초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한 절차를 지나 전원 관계에서 불꽃, 과열 등의 상태를 감지하는 SHORT 검사 단계(S660)가 진행된 뒤에 상기 플래시(12)와 자동초점장치(14) 및 돔 스위치(16)에 대한 1회의 검사절차가 마무리된다.
즉,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에 대한 검사는 플래시 감지센서(212)를 통해 상기 플래시(12)의 발광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반사판(232)으로부터 반사되는 시간 및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자동초점장치(14)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수직이동부(400)와 하중검사부(500)를 통해 상기 돔 스위치(16)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순서로 작동된다.
이렇듯, 상기한 바와 같은 순서로 진행되는 상기 플래시(12)와 자동초점장치(14) 및 돔 스위치(16)에 대한 검사결과는 디스플레이 패널(102)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이동 단말 어셈블리 12. 플래시
14. 자동초점장치 16. 돔 스위치
18. 커넥터 100. 본체케이스
101. 조작버튼 102. 디스플레이 패널
110. 작업테이블 112. 절개공
114. 관통공 120. 고정부재
200. 안착블럭 202. 커넥터 안착부
210. 덮개블럭 212. 푸셔
214. 걸림부재 220. 플래시 검사부
222. 플래시 감지센서 224. 연결케이블
226. 케이블 고정부재 230. 자동초점 검사부
232. 반사판 234. 지지대
300. 수평이동부 310. 수평실린더
312. 수평실린더로드 320. 수평실린더브로킷
400. 수직이동부 410. 스테핑모터
412. 회전축 420. 풀리
430. 타이밍벨트 440. 아이들러
450. 승강플레이트 460. 클램프
470. 수직프레임 472. 수평프레임
474. 수직실린더로드 480. 하강지지부재
500. 하중검사부 510. 스프링핀
520. 로드셀 530. 로드셀브로킷
540. 좌우이송모터 542. 스크류
550. 상하리미트센서

Claims (5)

  1. 플래시(12)와, 자동초점장치(14)와, 복수의 돔 스위치(16)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이동 단말 어셈블리(10)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로써,
    외관을 형성하며 제어부가 내장되는 본체케이스(100)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상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가 안착되는 안착블럭(200)와, 상기 안착블럭(2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덮개블럭(210)와, 상기 덮개블럭(2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플래시(12)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플래시(12)의 작동여부를 검사하는 플래시 검사부(220)와, 상기 덮개블럭(210)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자동초점장치(14)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를 반사시켜 상기 자동초점장치(14)의 성능을 검사하는 자동초점 검사부(230)와, 상기 안착블럭(200)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돔 스위치(16)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검사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안착블럭(200)은,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의 커넥터(18)와 통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18)로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커넥터 안착부(202)를 포함하며;
    상기 플래시 검사부(220)는,
    상기 덮개블럭(21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플래시(12)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플래시(12)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감지하는 플래시 감지센서(2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동초점 검사부(230)는,
    상기 자동초점장치(14)의 직상방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자동초점장치(14)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가 반사되는 반사판(232)과, 상기 반사판(232)의 하측에 구비되며, 작업테이블(110)로부터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반사판(232)을 지지하는 지지대(23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하중검사부(500)는, 상기 안착블럭(200)을 향해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안착블럭(2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를 안착블럭(200)에 안착시키고 덮개블럭(210)을 상기 안착블럭(200)에 고정시키면, 상기 덮개블럭(210)이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태가 되고 상기 덮개블럭(210)의 절개된 홈을 통해 자동초점장치(14)와 돔 스위치(16)가 노출되며, 상기 덮개블럭(210)의 상면에는 복수의 핀으로 이루어지는 푸셔(212)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블럭(210)의 절개된 홈을 지나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의 상면 중 상기 커넥터(18)가 형성된 부위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의 커넥터(18)와 상기 안착블럭(200)의 커넥터 안착부(202)가 밀착되어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를 상측에서 가압하고, 플래시(12)와 플래시 감지센서(212)는 근접하여 마주보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어셈블리(10)에 대한 검사는,
    상기 플래시 감지센서(222)를 통해 상기 플래시(12)의 발광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반사판(232)으로부터 반사되는 시간 및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자동초점장치(14)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며, 상기 하중검사부(500)를 통해 상기 돔 스위치(16)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순서로 작동되고, 상기 플래시(12)와 자동초점장치(14) 및 돔 스위치(16)에 대한 검사결과는 디스플레이 패널(102)을 통해 확인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81461A 2015-12-18 2015-12-18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KR101701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461A KR101701136B1 (ko) 2015-12-18 2015-12-18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461A KR101701136B1 (ko) 2015-12-18 2015-12-18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136B1 true KR101701136B1 (ko) 2017-02-01

Family

ID=5810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461A KR101701136B1 (ko) 2015-12-18 2015-12-18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1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013A (ko) * 2003-12-29 2005-07-05 김용욱 휴대폰 카메라의 동작 회로기판 검사장치
KR200423921Y1 (ko) * 2006-05-30 2006-08-11 (주)리캠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KR100635475B1 (ko) 2005-02-14 2006-10-18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인쇄회로기판 검사장치
KR100663868B1 (ko) 2004-07-24 2007-01-03 주식회사 아이비기술 메탈돔의 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56718A (ko) * 2007-11-30 2009-06-03 (주)멜파스 하이브리드 입력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1343598B1 (ko) * 2013-07-18 2013-12-19 에이티시스템 주식회사 휴대폰의 led 플래시 모듈의 특성 검사 방법
KR20140111540A (ko) 2013-03-11 2014-09-19 (주)파이시스 돔 스위치 검사 지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013A (ko) * 2003-12-29 2005-07-05 김용욱 휴대폰 카메라의 동작 회로기판 검사장치
KR100663868B1 (ko) 2004-07-24 2007-01-03 주식회사 아이비기술 메탈돔의 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100635475B1 (ko) 2005-02-14 2006-10-18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인쇄회로기판 검사장치
KR200423921Y1 (ko) * 2006-05-30 2006-08-11 (주)리캠 자동촛점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모듈 특성 검사장치
KR20090056718A (ko) * 2007-11-30 2009-06-03 (주)멜파스 하이브리드 입력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20140111540A (ko) 2013-03-11 2014-09-19 (주)파이시스 돔 스위치 검사 지그
KR101343598B1 (ko) * 2013-07-18 2013-12-19 에이티시스템 주식회사 휴대폰의 led 플래시 모듈의 특성 검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042B1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KR20180130000A (ko) 트랜스-비주얼 감도를 가진 범용 신속 진단 테스트 판독기기
JP5218138B2 (ja) 反射特性測定装置、反射特性測定装置の校正基準装置、および反射特性測定装置の校正基準板の劣化測定装置
KR101767110B1 (ko) 돔 스위치 하중 검사기
CN111999309A (zh) 定位柱缺陷工业视觉检测设备及检测方法
KR101701136B1 (ko)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CN105698934A (zh) 试剂条的颜色采集装置
TWI579538B (zh) 發光強度檢測裝置及發光強度檢測方法
CN106200036B (zh) 点灯检测设备
CN113884001B (zh) 终端内导光柱装配状态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150015985A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1645133B1 (ko) 하네스 비전검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비전검사장치, 비전검사방법 및 비전검사시스템
CN111610568B (zh) 埋设物探查装置
CN210037150U (zh) 显示模组的对位系统
KR101158859B1 (ko) 광학부품 정렬 장치가 있는 휴대용 엑스선 형광분석기
CN205426341U (zh) 试剂条的颜色采集装置
JP6870445B2 (ja) 反射特性測定システム
CN116794482A (zh) 芯片测试装置
JP4250061B2 (ja) レンズ検査装置
KR101985209B1 (ko) 동력전달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컨택 동작이 이루어지는 멀티 푸셔 기능을 갖는 전자부품 테스트 소켓
JP3193277U (ja) 分光光度計用積分球
US104086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whether table is at tilt
CN212622228U (zh) 便携式荧光检测仪及系统
CN220272429U (zh) 半导体测试设备
US2012009572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cquiring physical measurements relating to a vessel and a shaft within a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