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042B1 -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042B1
KR101898042B1 KR1020170005256A KR20170005256A KR101898042B1 KR 101898042 B1 KR101898042 B1 KR 101898042B1 KR 1020170005256 A KR1020170005256 A KR 1020170005256A KR 20170005256 A KR20170005256 A KR 20170005256A KR 101898042 B1 KR101898042 B1 KR 101898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urved display
curved
curved su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135A (ko
Inventor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주)트라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라이시스 filed Critical (주)트라이시스
Priority to PCT/KR2017/0004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31732A1/ko
Priority to KR1020170005256A priority patent/KR1018980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8Inspecting transparent materials or objects, e.g. windscre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021/9513Liquid crystal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평면상에서 전후좌우로 이동가능하고, 상부에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이동에 따라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촬영하며 회동가능한 카메라부;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카메라부와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면에 선택적으로 접하며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곡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필름이 제대로 부착되었는지 확인하여 불량품을 감별할 수 있으므로 출하되는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출하되는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APPARATUS FOR INSPECTION OF CURVED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패널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이 굴곡진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의 편리성 때문에,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모바일 통신 기기와 내비게이션, TV 등의 전자기기에서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는 윈도우 글래스에 터치스크린 기능이 내장되거나 필름 형태의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하는 구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 등에 터치 스크린 패턴이 내재되는 구조 등이 구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패널 또는 터치스크린 기능이 내장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전자기기 표면의 내구성 확보 및 보호를 위하여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커버 글래스(cover glass)를 터치스크린 패널 전면에 설치하는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버 글래스는 일반적으로 평판형태를 가지지만, 최근에는 평판 형태의 커버 글래스에서 마주보는 양측면 또는 3측면이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는 곡면 커버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완전한 평판 형태의 커버 글래스에 필름을 합착하는 것은 비교적 쉬운 편이지만, 2군데 이상의 곡면을 가지는 커버 글래스에 필름을 합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므로, 불량품이 양산될 가능성이 상당하다.
KR 10-2015-0068015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필름이 제대로 부착되었는지 확인하여 불량품을 감별할 수 있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따라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분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지지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진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 부착을 검사할 수 있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평면상에서 전후좌우로 이동가능하고, 상부에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이동에 따라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촬영하며 회동가능한 카메라부;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카메라부와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면에 선택적으로 접하며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곡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되는 거치 베이스; 및 상기 거치 베이스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받침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 베이스는,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홈; 및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대응하는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 베이스는, 상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가 편심되게 관통하고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부재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편심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따른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기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면과 상기 곡면 지지부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카메라부의 가상의 연결선은 상기 곡면 지지부와 수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면 지지부는, 상기 거치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체; 및 상기 제1지지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면과 접하며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면을 향하여 발광가능한 제2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는, 상기 거치부에 설치되는 고정판; 및 상기 제2지지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판의 길이방향의 양끝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U자형의 기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재는 상기 고정판의 폭방향을 따라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는, 함체 형상이고, 내부에 복수 개의 광원이 지그재그로 배치된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고,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면을 지지하는 제1가이드부재와 제2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광원부에 고정되도록 나사가 삽입되는 조절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상기 카메라부가 회동되는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측에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외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시작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비상시 작동을 중지시키는 긴급 중지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거치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며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필름이 제대로 부착되었는지 확인하여 불량품을 감별할 수 있으므로 출하되는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출하되는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따라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진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검사할 수 있고, 분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검사대상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검사대상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2의 (b)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일부를 벗겨낸 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거치 베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곡면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제2지지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검사대상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을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검사대상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의 (a)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1의 저면도이다.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은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a)와 (b), 도 2의 (a)와 (b)를 참조하면, 테두리 부분이 모두 일방향으로 휘어져 굴곡진 모습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부만 휘어진 곡면을 가진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완전 평면의 디스플레이 패널도 본 발명을 통해 검사가 가능하다.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은 스마트폰의 일면에 베젤(Bezel)에 대응하는 테이프 또는 필름(이하, 필름(2)이라 칭함)을 증착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름(2)이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에 증착됨에 있어 올바른 위치에 증착되었는지 확인하고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별다른 언급이 없더라도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을 칭할 때 필름(2)이 부착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에 부착된 필름(2)의 위치 및 형태를 검사함에 있어,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테두리 부분을 검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일부를 벗겨낸 내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거치 베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곡면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제2지지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는 케이스(10)와 거치부(20), 카메라부(3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통상의 직육면체에 해당하는 모습이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거치부(20)에 해당하는 부분이 돌출되어 사용자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을 거치시키기 용이하다. 케이스(10)는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손잡이(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손잡이(11)를 통해 본 발명을 파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돌출된 케이스(10)의 부분에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을 검사하기 위한 시작 버튼(12)과 검사를 긴급히 중지시키기 위한 긴급 정지 버튼(13) 및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14)가 마련될 수 있다.
시작 버튼(12)은 한 쌍이 준비되어 케이스(10)의 외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한 쌍의 시작 버튼(12)이 각각 양 끝단부에 위치하도록 도시되었다. 사용자는 양손을 각각 한 쌍의 시작 버튼(12)에 올린 후 동시에 시작 버튼(12)을 누름으로써,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인 신호를 송신하여 본 발명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 검사를 시작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거치부(20)에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거치부(20)에 거치하는 과정에서 어느 한 손이라도 거치부(20)와 근접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긴급 정지 버튼(13)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비상상황시 누름으로써,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인 신호를 송신하여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 검사를 중지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14)는 물체(예컨대, 사용자의 손)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10)의 일측에 거치부(2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구비되었다. 센서(14)는 사용자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을 거치부(20)에 거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14)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면,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을 검사하기 위한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제작자는 물체를 감지하기만 하면 센서(14)를 다양한 개수로 배치하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는 거치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20)의 상부에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될 수 있다.
거치부(20)는 케이스(10) 내부, 자세하게는 케이스(10)의 돌출된 부분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거치부(20)는 제어부(미도시)의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평면상에서 전후좌우로 이동가능하다. 이때, 거치부(20)를 구동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미부호)가 마련될 수 있고, 거치부(20)의 전후좌우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미부호)이 마련될 수 있다.
거치부(20)는 거치 베이스(100)와 받침돌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 베이스(100)는 상부에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이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 베이스(100)는 상면에 받침돌기(110)가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받침돌기(11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이 거치 베이스(100)의 상부에 거치될 때, 받침돌기(110)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이 거치 베이스(1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일면과 접촉함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을 보호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거치 베이스(100)는 복수 개의 홈(120, 130, 140, 150, 16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홈(120, 130, 140, 150, 160)에는 선택적으로 가이드 돌부(121)가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거치 베이스(100)에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이 거치되었을 때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1홈(120)에 가이드 돌부(121)가 삽입되고,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측부와 가이드 돌부(121)의 외면이 접함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은 가이드 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돌부(121)는 양방향에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을 지지하도록 제4홈(150)에도 삽입될 수 있다.
만약, 거치 베이스(100)에 거치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가이드 돌부(12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2홈(13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홈(120)과 제2홈(130)은 가이드 돌부(121)의 삽입에 따라 거치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폭이 ‘α’만큼 변동될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홈(150) 편심 돌부(151)가 삽입될 수 있다. 즉, 결합부재(미부호)가 편심 돌부(151)의 관통공(미부호)을 관통하고 제4홈(150)에 삽입될 수 있다. 편심 돌부(151)는 거치 베이스(100)에 거치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폭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을 지지하도록 접촉할 수 있다. 이때, 편심 돌부(151)를 거치 베이스(100)에 결합시키는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나 나사일 수 있다. 도면에는 편심 돌부(151)를 회전시킴으로써 ‘β’의 간격만큼 이동이 가능하지만, 이는 편심 돌부(151)의 중심축이 거치 베이스(100)의 폭방향으로 편심 돌부(151)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총 ‘2β’만큼의 간격이 이동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거치 베이스(100)는 제3홈(140)과 제5홈(160)과 같은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홈(140)과 제5홈(160)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측면을 따른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3홈(140)과 제5홈(160)은 가이드 돌부(121)나 편심 돌부(151)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거치 베이스(100)에 거치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상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3홈(140)과 제5홈(160)이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을 기준으로 모서리를 따라 길이를 갖지 않고, 상기 모서리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을 지지하기 위하여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길이와 폭 모두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는, 거치 베이스(100) 상에서 제1홈(120)과 제2홈(130) 및 제4홈(150)이 제3홈(140)과 제5홈(160)의 내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홈(120)과 제2홈(130) 및 제4홈(150)이 제3홈(140)과 제5홈(16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거치 베이스(100)에 형성되는 홈의 배치와 형상은 제작자의 다양한 선택에 따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는 곡면 지지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면 지지부(200)는 거치 베이스(100)에 거치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곡면에 선택적으로 접하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을 지지할 수 있다. 곡면 지지부(200)는 거치부(20) 상에서 거치 베이스(100)와 이격되어 거치 베이스(100)를 중심에 두고 사방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곡면 지지부(200)가 배치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카메라부(30)를 통해 사용자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선택한 부분을 촬영 및 검사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모든 모서리와 꼭지부가 곡면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일부만 곡면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검사하는 경우 곡면 지지부(200)는 평면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서리와 접하여 지지할 수 있다.
곡면 지지부(200)는 제1지지체(210)와 제2지지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체(210)는 거치 베이스(100)와 이격되어 거치 베이스(100) 주변의 거치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지지체(210)는 거치부(20)에 설치되는 고정판(211)과 기둥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기둥부재(212)는 한 쌍이 마련되어 고정판(211)의 길이방향 즉, 거치 베이스(100)의 폭방향을 따라 고정판(211)의 양 끝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기둥부재(212)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제2지지체(2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재(212)는 U자형으로 마련되어 양단이 모두 고정판(211)과 연장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기둥부재(212)는 제1지지체(210)의 폭방향 즉, 거치 베이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판(211)의 일측으로 치우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거치 베이스(100)에 거치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크기에 따라 후술하는 제2지지체(220)의 위치를 변경가능케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지지체(210)를 폭방향을 서로 뒤바꾸어 설치하면, 기둥부재(212)의 위치가 거치 베이스(10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제2지지체(220) 또한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제2지지체(220)는 제1지지체(210)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2지지체(220)는 한 쌍의 기둥부재(212) 사이에 배치되고, 제2지지체(220)와 기둥부재(212)는 결합부재(예컨대,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체(220)는 제1지지체(210)에 상기 결합부재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지지체(220)는 거치 베이스(100)의 상부에 거치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곡면과 접할 수 있다. 제2지지체(220)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곡면을 향하여 발광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지지체(220)는 광원부(221)와 지지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221)는 함체 형상일 수 있고, 내부에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곡면을 향하여 발광하도록 복수 개의 광원(221a)이 배치될 수 있다. 광원(221a)은 엘이디(LED)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복수 개의 광원(221a)은 광원부(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광원(221a)이 발광하지 않더라도 그 주위의 다른 광원(221a)들로부터 발광하는 빛에 의해 발광영역이 커버될 수 있다.
지지부재(222)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곡면과 접함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222)는 광원부(22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222)는 광원(221a)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체(220)가 기둥부재(212) 사이에서 상기 결합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지지부재(222)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곡면과 접하는 지점이 변경될 수 있다.
곡면 지지부(200)는 제1가이드부재(223)와 제2가이드부재(2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가이드부재(223)와 제2가이드부재(224)는 광원부(221)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고, 지지부재(22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재(223)와 제2가이드부재(224)는 광원부(221)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곡면의 일부와 접함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을 지지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재(223)와 제2가이드부재(224)는 조절홈(223a, 22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재(223)와 제2가이드부재(224)는 광원부(221)의 상측에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과정에서, 거치 베이스(100)에 거치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크기에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결합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에는 곡면 지지부(200)가 거치 베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곡면 지지부(200)는 거치 베이스(10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제작자의 선택에 따른다. 또한, 거치 베이스(10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곡면 지지부(200)는 제1가이드부재(223)와 제2가이드부재(224)가 제작자의 선택사항에 따라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는 카메라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30)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에 부착된 필름(2)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4개의 카메라(3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그 개수를 변경가능하다. 거치부(20)가 전후 좌우로 이동하면서 카메라부(30)의 촬영위치와 곡면 지지부(200)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면, 카메라부(30)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모서리 부분과 필름(2)을 각각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부(30)는 회동이 가능하고, 회동각도가 표시되는 각도 표시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검사가 시작되기 전에 사용자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곡면에 대응하는 각도로 카메라부(30)의 촬영각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카메라부(30)로부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곡면과 곡면 지지부(200)가 접하는 부분까지 잇는 가상의 연결선은 곡면 지지부(200)와 수직되도록 카메라부(30)의 촬영각도를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가상의 연결선이 곡면 지지부(200)와 수직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서로 마주보는 카메라부(30)는 서로 동일한 촬영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촬영지점과 대응하는 곡면 지지부(200)로부터 카메라부(30)의 거리까지도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의 케이스(10)를 벗기고,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곡면의 각도에 대응하도록 카메라부(30)를 회동시킴으로써 촬영각도를 결정한다.
이후, 거치부(20)에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을 거치시킨다. 이때,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크기에 따라 가이드 돌부(121) 또는 편심 돌부(151)가 제1 내지 제5홈(120, 130, 140, 150, 160)에 선택되어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돌부(121) 또는 편심 돌부(151)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곡면의 측부 모서리와 접하며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체(210)를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크기에 따라 배치하고, 광원부(221)를 회동시킴으로써 지지부재(222)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곡면과 접하도록 배치한다. 이때, 지지부재(222)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이 접하는 지지부재(222)의 부분으로부터 카메라부(30)까지 잇는 가상의 연결선은 지지부재(222)의 면과 수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1가이드부재(223)와 제2가이드부재(224)의 위치를 결정한다. 제1가이드부재(223)와 제2가이드부재(224)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모서리 또는 곡면과 접함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부재(223)와 제2가이드부재(224)는 조절홈(223a, 223b)을 통해 슬라이딩하고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광원부(221)와 결합함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크기에 따라 그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이 거치부(20)에 세팅완료되면, 사용자는 양손을 한 쌍의 시작 버튼(12)에 올려 시작 버튼(12)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검사를 시작한다. 시작 버튼(12)이 눌려짐으로써 제어부(미도시)는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하고, 거치부(20)의 액추에이터(미도시)에 시작 신호를 전기적으로 송신함으로써, 거치부(20)는 전후좌우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양손을 모두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시작 버튼(12)에 위치시킴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을 검사하는 도중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긴급 정지 버튼(13)을 누르게 되면, 실시되고 있는 검사는 중지되며, 거치부(20)는 처음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거치부(20)를 중심으로 서로 바라보도록 케이스(10)의 양측에 설치된 센서(14)에 의해 물체(예컨대, 사용자의 손)가 감지되면 실시되고 있는 검사가 중지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후, 카메라부(30)는 촬영한 영상을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인 신호로 송부하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영상을 분석한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1)과 필름(2)의 위치를 수치로 계산하고 미리 설정해 둔 허용 오차 범위 내인지 판단하여 양호 또는 불량의 판단을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2 : 필름
10 : 케이스 11 : 손잡이
12 : 시작 버튼 13 : 긴급 정지 버튼
14 : 센서 20 : 거치부
30 : 카메라부 31 : 각도 표시부
40 : 디스플레이부 100 : 거치 베이스
110 : 받침돌기 120 : 제1홈
121 : 가이드 돌부 130 : 제2홈
140 : 제3홈 150 : 제4홈
151 : 편심 돌부 160 : 제5홈
200 : 곡면 지지부 210 : 제1지지체
211 : 고정판 212 : 기둥부재
220 : 제2지지체 221 : 광원부
221a : 광원 222 : 지지부재
223 : 제1가이드부재 223a : 조절홈
224 : 제2가이드부재 224a : 조절홈

Claims (17)

  1.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테두리가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갖는 곡면 디스플레이를 검사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평면상에서 전후좌우로 이동가능하고, 상부에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이동에 따라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촬영하며 회동가능한 카메라부; 및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카메라부와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되는 거치 베이스;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거치 베이스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거치 베이스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고 탄성을 갖는 받침돌기; 및
    상기 거치베이스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곡면부에 선택적으로 접하며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곡면 지지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곡면 지지부는,
    상기 거치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체; 및
    상기 제1지지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곡면부와 접하며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면을 향하여 발광가능한 제2지지체;
    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베이스는,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홈; 및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대응하는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부;
    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베이스는,
    상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가 편심되게 관통하고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부재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편심 돌부;
    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따른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장공을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면과 상기 곡면 지지부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카메라부의 가상의 연결선은 상기 곡면 지지부와 수직인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는,
    상기 거치부에 설치되는 고정판; 및
    상기 제2지지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판의 길이방향의 양끝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U자형의 기둥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재는 상기 고정판의 폭방향을 따라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배치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는,
    함체 형상이고, 내부에 복수 개의 광원이 지그재그로 배치된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고,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면을 지지하는 제1가이드부재와 제2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광원부에 고정되도록 나사가 삽입되는 조절홈을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상기 카메라부가 회동되는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측에 손잡이가 마련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외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시작 버튼을 더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비상시 작동을 중지시키는 긴급 중지 버튼을 더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거치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며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KR1020170005256A 2017-01-12 2017-01-12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KR101898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0424 WO2018131732A1 (ko) 2017-01-12 2017-01-12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KR1020170005256A KR101898042B1 (ko) 2017-01-12 2017-01-12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256A KR101898042B1 (ko) 2017-01-12 2017-01-12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35A KR20180083135A (ko) 2018-07-20
KR101898042B1 true KR101898042B1 (ko) 2018-09-12

Family

ID=6284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256A KR101898042B1 (ko) 2017-01-12 2017-01-12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8042B1 (ko)
WO (1) WO2018131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0725B2 (en) * 2018-12-04 2022-10-04 Samsung Display Co., Ltd.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20231113A1 (ko) * 2019-05-10 2020-11-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치수 측정용 지그 및 그를 포함하는 치수 측정 장치
WO2021090827A1 (ja) * 2019-11-05 2021-05-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検査装置
CN110927164B (zh) * 2019-12-13 2022-12-02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用于显示面板的检测设备
CN112850145B (zh) * 2020-12-18 2022-06-17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曲面屏幕裂纹检测设备
CN114235812B (zh) * 2021-11-26 2022-10-21 江苏凡润电子有限公司 显示器背板高精密制造检测过程中的智能视觉系统
CN115900568A (zh) * 2022-12-29 2023-04-04 资阳市博祥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检测异形玻璃盖板产品弧边高度的冶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874B1 (ko) * 1992-11-25 1995-04-20 금성계전주식회사 전압형 인버터의 데드타임 보상회로
JP3297950B2 (ja) * 1993-07-13 2002-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平面型表示パネル検査装置
KR101241130B1 (ko) * 2006-12-13 2013-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패널을 검사하기 위한 오토 프로브 장치
KR101452214B1 (ko) * 2012-12-11 2014-10-2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패널 검사장치
KR102037384B1 (ko) * 2013-05-31 2019-10-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117652B1 (ko) * 2013-11-26 2020-06-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KR20150068015A (ko) 2013-12-11 2015-06-19 박근노 곡면 커버에 필름을 부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35A (ko) 2018-07-20
WO2018131732A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042B1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KR101277314B1 (ko) 근접센서
WO2019100971A1 (zh) 电子装置及传感器组件
CN107024475B (zh) 基于自动光学检测程序的触摸面板自动检测设备
US20160189896A1 (en) Control knob having image output part
JP6739670B2 (ja) 印刷回路基板の縦置き構造
US8760737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veyance apparatus
CN108418910B (zh) 电子装置
CN107978261B (zh) 电子设备
US11761760B2 (en) Digital level
CN110770554A (zh) 用于表面测量仪的容纳设备
TWI599920B (zh) 滑鼠
JP2007325793A (ja) 静脈パターンセンサ
US9204584B2 (en) Testing system for tes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106672B1 (ja) 電子機器
ES2901500T3 (es)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con un sistema de sensores de proximidad de funcionamiento óptico integrado
CN107968884B (zh) 电子设备
CN207946622U (zh) 点灯装置
TW201727202A (zh) 發光強度檢測裝置及發光強度檢測方法
CN109561207B (zh) 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JP3360027B2 (ja) 感知器の光軸調整機構
CN109309740B (zh) 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TWI494825B (zh) 光學式觸摸屏用攝像模組
KR101701136B1 (ko)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검사장치
KR20150001676A (ko) 장치를 위한 외부 부품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